KR20110008866A - 광섬유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섬유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866A
KR20110008866A KR1020090066409A KR20090066409A KR20110008866A KR 20110008866 A KR20110008866 A KR 20110008866A KR 1020090066409 A KR1020090066409 A KR 1020090066409A KR 20090066409 A KR20090066409 A KR 20090066409A KR 20110008866 A KR20110008866 A KR 20110008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optical fiber
coupling part
insertion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860B1 (ko
Inventor
문계태
Original Assignee
나노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8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43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with auxiliary facilities for movably aligning or adjusting the fibre within its ferrule, e.g. measuring position or eccentric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페룰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홀더와, 제1홀더의 타단에 제1삽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삽입구를 통해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중공을 갖는 제2홀더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2홀더의 중공내에 내장되어 광섬유를 외측에서 홀딩하는 3개의 지지봉과, 제1홀더 외측에서 제1홀더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제1결합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결합부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제1결합부를 감싸도록 제1결합부 타측에서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한다. 이러한 광섬유 커넥터에 의하면, 페룰로 삽입되는 광섬유를 지지하는 정렬요소가 3개의 지지봉에 의해 정렬 및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정렬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외부 충격에 대해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고, 열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66409
광섬유 커넥터, 지지봉

Description

광섬유 커넥터{optical fiber connecter}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섬유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열적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광섬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정보 전송 매체로서 광섬유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섬유의 접속에 사용되는 광커넥터는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고, 일반적인 구조로는 탈피된 광섬유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페룰을 감싸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광커넥터의 성능은 삽입손실과 반사손실에 의해 결정되며, 삽입손실은 페룰과 함께 광섬유를 정렬 및 지지를 위한 정렬요소에 의해 크게 좌우되고, 실외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도 광섬유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현장에서 광섬유를 절단하여 상호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광커넥터는 현장 접속이 용이한 조립구조가 요구된다.
한편, 출력이 높은 광 예를 들면 고출력 레이저광이 광섬유를 통해 전송될 때 광커넥터의 정렬요소는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의한 변형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광섬유의 정렬 및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열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광섬유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는 일단에 페룰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타단에 상기 제1삽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삽입구를 통해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중공을 갖는 제2홀더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홀더의 중공내에 내장되어 광섬유를 외측에서 홀딩하는 3개의 지지봉과; 상기 제1홀더 외측에서 상기 제1홀더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결합부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결합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결합부 타측에서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봉은 세라믹 소재와 금속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홀더는 중공이 형성된 메인부분과; 상기 메인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삽입구로 삽입시 상기 제2홀더에 간섭되어 상기 지지봉을 가압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되어 연장된 분할편;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에 의하면, 페룰로 삽입되는 광섬유를 지지하는 정렬요소가 3개의 지지봉에 의해 정렬 및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정렬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외부 충격에 대해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고, 열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를 분리해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섬유 커넥터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2홀더를 반대방향에서 확대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광섬유 커넥터(100)는 페룰(110), 제1홀더(120), 제2홀더(130), 지지봉(140), 제1결합부(150), 제1하우징(160) 및 제2하우징(170)을 구비한다.
제1홀더(120)는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홀더(1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에 페룰(110)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12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2홀더(13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홀더(120)의 제1삽입구(121)는 페룰(110)의 외경에 대응되게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제2삽입구(122)는 제2홀더(130)의 진입부분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진입될 수록 내경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제1홀더(120)의 중간에는 제2삽입구(122)를 통해 진입되는 제2홀더(130) 및 제1삽입구(121)를 통해 진입되는 페룰(110)의 진입깊이를 각각 제한하고, 제1홀더(120)와 페룰(110)을 이격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제1삽입구(121) 및 제2삽입구(122)와는 연통되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24)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25는 제2홀더(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5)가 진입되어 제1홀더(120)와의 끼움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끼움홈이다.
제2홀더(130)는 제1홀더(120)의 제2삽입구(122)를 통해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중공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2홀더(130)는 후술되는 지지봉(140)을 중공 내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1홀더(120)에 진입시 제1홀더(120)의 제2삽입구(122)의 내측면과의 간섭에 의해 내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오르라들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홀더(130)를 구분해보면, 중공이 형성된 메인부분(131)과, 메인부분(13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삽입구(122)로 삽입시 제2홀더(122)의 경사진 내벽부분에 간섭되어 지지봉(14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되어 연장된 분할편(13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할편(133)은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각도로 3개가 마련되고, 분할편(133) 각각의 내주면(133a)은 지지봉(140)이 외주면이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36은 메인부분(13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이고, 참조부호 137을 후술되는 제1결합부내의 장착공간에 구속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연장부보다 확장되게 형성된 확장부이다.
지지봉(14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2홀더(130)의 중공내에 내장되어 피복이 탈피된 광섬유(220)를 외측에서 홀딩한다.
지지봉(1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이 탈피된 광섬유(22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양단부(143)의 외경이 몸통부분(141) 보다 작게 모서리 부분(142)이 경사지거나 라운딩 되게 처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봉(140)은 열적 변형이 억제될 수 있도록 세라믹 소재 또는 금속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봉(140)에 적용되는 금속소재는 스테인레스 소재 또는 알루미늄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140)의 몸통부분(141)의 외경은 제2홀더(130)에 3개가 내장될 때 3개의 지지봉(1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이 탈피된 광섬유(2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광섬유(220)에 대응되게 형성되면 된다.
제1결합부(150)는 상호 결합된 제1홀더(120) 및 제2홀더(130) 외측에서 제1홀더(120) 및 제2홀더(130)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150)는 제1홀더(120) 및 제2홀더(130)가 구속되게 수용될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후술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과의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는 제1홀더(120) 및 제2홀더(130)가 구속되게 수용될 수용공간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분할 된 구조로 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게 된 제1분할체(151)와 제2분할체(152)로 형성되어 있다.
제1분할체(151)와 제2분할체(152) 각각의 상호 대응되는 외주면의 일측에는 제1하우징(160)에 삽입시 제1하우징(160)에 형성된 걸림홈(162)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편(153)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2하우징(170)과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164)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55는 상호 조립된 제1분할체(151)와 제2분할체(152)에 의해 제1홀더(120) 및 제2홀더(130)가 구속되게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고, 참조부호 156은 페룰(110)이 일부가 수용되며, 페룰(110) 외측으로 접속대상 리셉터클(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는 결합공간이고, 158a는 결합공간과 수용공간을 일측에서 구획하는 제1구획편이고, 참조부호 158b는 수용공간(155)을 타측에서 구획함과 아울러 스프링(18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구획편이다.
제1분할체(151)와 제2분할체(152)의 제2하우징내에 수용되는 종단부분 각각은 제2하우징(170)과 결합시 간섭에 의해 중앙부분으로 가압될 수 있게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종단부분이 이격되게 분할된 가압 가이드 편(159)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54는 진입된 제1하우징(160)에 간섭되어 수용공간(155) 내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홀더(120)를 가압상태로 지지하는 간섭 지지편이다.
스프링(180)은 제2홀더(130)의 메인부분(131)과 제2구획편(158b)사이에 삽입되어 제2홀더(130)를 페룰(110)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제1하우징(160)은 제1결합부(150)의 일측에서 제1결합부(150)를 감싸도록 진 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을 수용되게 결합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제2하우징(170)은 제1결합부(150)의 타측에서 제1결합부(150)를 감싸도록 진입되어 나사산(164)과 나사결합될 수 있게 내측면에 암나사산(172)가 형성되어 있다.
제2하우징(17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되 제1결합부(150)와 나사결합시 제1결합부(150)의 가압 가이드편(159)을 가압할 수 있도록 암나사산(172) 맞은 편으로 진행할 수 록 내부 유로가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1하우징(160), 제2하우징(170), 제1홀더(120), 제2홀더(130), 제1결합부(150)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광커넥터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참조부호 200은 튜브자켓에 의해 피복된 광섬유이고, 210은 튜브자켓이 탈피되어 보호튜브가 노출된 부분이고, 참조부호 220은 코어를 감싸는 클래드층이 노출된 베어 광섬유 부분이다.
먼저, 광섬유(200)를 제2하우징(200)에 관통되게 삽입하고, 제1분할체(151)에 페룰(110), 제1 및 제2홀더(120)(130), 스프링(180)을 수용공간(155) 내에 장착하고, 베어 광섬유(210) 부분을 제2홀더(130)의 지지봉(140) 사이의 공극 공간을 통해 페룰(110)까지 진입시키고, 제2분할체(152)를 제1분할체(151)에 결합시킨 다음 제2하우징(170)과 나사결합한 후 제1하우징(160)을 제1결합체(150)에 진입시켜 결합하면 된다.
한편, 페룰(110)은 제1삽입구(121) 내에 고정되게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플러그 형태로 적용되는 광섬유 커넥터용 제1하우징(160)이 적용되었고, 어댑터형 광섬유 커넥터로 적용되는 경우 제1하우징이 어댑터형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적용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를 분리해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섬유 커넥터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2홀더를 확대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홀더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지지봉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제1홀더의 단면도이다.

Claims (3)

  1. 일단에 페룰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타단에 상기 제1삽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삽입구를 통해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중공을 갖는 제2홀더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홀더의 중공내에 내장되어 광섬유를 외측에서 홀딩하는 3개의 지지봉과;
    상기 제1홀더 외측에서 상기 제1홀더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결합부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결합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결합부 타측에서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세라믹 소재와 금속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는
    중공이 형성된 메인부분과;
    상기 메인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삽입구로 삽입시 상기 제2홀더에 간섭되어 상기 지지봉을 가압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되어 연장된 분할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넥터.
KR1020090066409A 2009-07-21 2009-07-21 광섬유 커넥터 KR10102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409A KR101020860B1 (ko) 2009-07-21 2009-07-21 광섬유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409A KR101020860B1 (ko) 2009-07-21 2009-07-21 광섬유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866A true KR20110008866A (ko) 2011-01-27
KR101020860B1 KR101020860B1 (ko) 2011-03-09

Family

ID=4361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409A KR101020860B1 (ko) 2009-07-21 2009-07-21 광섬유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8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34B1 (ko) * 2012-03-29 2013-07-05 (주)옵토네스트 광섬유 커넥터
KR20180131725A (ko) * 2017-05-31 2018-12-11 주식회사 골드텔 일체형 광 커넥터
WO2020081428A1 (en) * 2018-10-15 2020-04-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Ferruled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optical fibers in ferru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239B1 (ko) 2020-10-15 2023-03-31 (주)포스텍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87535A1 (en) 2002-06-07 2003-12-18 Mikio Miyake Optical fiber connector-use ferrule and optical fiber connector structure, and ferrule connecting slee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34B1 (ko) * 2012-03-29 2013-07-05 (주)옵토네스트 광섬유 커넥터
KR20180131725A (ko) * 2017-05-31 2018-12-11 주식회사 골드텔 일체형 광 커넥터
WO2020081428A1 (en) * 2018-10-15 2020-04-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Ferruled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optical fibers in ferr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860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4051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optical fiber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converter
TWI297402B (en) Optical fiber plug-in connection
CA2681801C (en) Adapter unit
EP1990665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fiber optic connector
JP6390370B2 (ja) アダプタと光コネクタ結合システム
US7883275B2 (en) Fiber guiding platform for mechanical splicer, optical connectors, fiber holder and methods
US6923578B2 (en) Optical terminus keying
JP2014517358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法
KR101020860B1 (ko) 광섬유 커넥터
JP2008070675A (ja) 雌フェルール
US20200166715A1 (en) Connector plug,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CN107272119B (zh) 光连接器及光纤光缆连接方法
US20060018603A1 (en) Optical plug-in connection
WO2014195893A1 (en) Indexing tool, calibrating method, ferrule assembly and fiber optic connector
US9612408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TW201723545A (zh) 具獨立對準組件的放大光束連接器
US20160025943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ing device
JP2014501398A (ja) 帯状光ファイバーコネクター
US9400355B2 (en) Optical fiber fastening device
JP4192751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及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US10025038B2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US8425127B2 (en) Optical fiber coupling connector
US9964710B2 (en) Tunable optical fiber connector and tuning methods for optical fiber cable assemblies
CN209746190U (zh) 光纤连接装置
JP2019053187A (ja) 光コネクタ及び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