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859U - 키보드용 키 캡 - Google Patents

키보드용 키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859U
KR20110008859U KR2020100002493U KR20100002493U KR20110008859U KR 20110008859 U KR20110008859 U KR 20110008859U KR 2020100002493 U KR2020100002493 U KR 2020100002493U KR 20100002493 U KR20100002493 U KR 20100002493U KR 20110008859 U KR20110008859 U KR 201100088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key cap
cap
li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철
Original Assignee
안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철 filed Critical 안종철
Priority to KR2020100002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859U/ko
Publication of KR20110008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8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보드의 키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보드 상에 있는 개별키의 인지와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키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키보드용 키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보드용 키 캡{Key cap for keyboard}
본 고안은 키보드의 키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보드 상에 배치된 개별키의 인지와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키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키보드용 키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문자열의 입력을 위하여 키보드(keyboar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키보드는 대표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에 사용되고, 그 외에도 각종 산업 현장, 의료장비 등에도 널리 사용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장치에 입력하는 수단이다.
상기 키보드는 입력을 위한 문자가 할당된 다수의 키들이 키보드상에 배치되며, 이러한 키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알파벳, 한글(영문) 자음 및 모음, 각종 부호, 특수 기능키 등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100 여개가 넘는 키들을 특정 크기로 키보드 상판에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록 제조사가 각 키들을 사용자가 최대한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배치하였다 하더라도, 키보드에 배치된 키들중에서 사용자 자신이 원활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키가 한두개씩은 반드시 발생하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지우는데 이용하는 딜리트(delete) 키나 백스페이스(back space) 키와 같은 삭제키는 키보드 상에서 일반적인 문자나 숫자열의 위치와는 다소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러한 삭제 키의 입력을 하려고 손가락을 전개하다가 키보드상의 다른 키를 눌러 또 다른 오타를 발생시키기도 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삭제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따라서 특정한 문자키 또는 특정 기능키에 집중될 수도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인지가 어려운 키가 아니라 하더라도, 사용자에 의하여 자주 사용되는 키를 다른 키와 차별화시킴으로써 그 입력을 더욱 용이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키보드에 배치된 키들중에서 사용자 자신이 원활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키 또는 빈번하게 사용되는 키의 인지와 타이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키보드용 키 캡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의 구성은, 키보드상에 배치된 키에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키 캡으로서, 하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내부 공간을 가진 육면체 형상의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키의 하측 말단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걸려지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은, 본 고안 키 캡이 장착되면 해당 키의 높이가 다른 키들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보지 않고 손가락만으로도 해당 키를 직접적이고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입력상의 실수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키 캡은 사용자가 평소 원활하게 인지하기 어려웠던 키나 빈번하게 사용되는 키에 사용되면 더욱 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진보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의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게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1)은 키보드 상에 배치된 개별키의 인지와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키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키 캡(Key cap)이다.
본 고안 키 캡(1)은 하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내부 공간을 가진 육면체 형상의 뚜껑부(10)와, 상기 뚜껑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키보드 키(Key)의 하측 말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걸려지는 걸이부(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뚜껑부(10)는 천정벽(11)과, 상기 천정벽(11)의 각 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정면벽(12), 후면벽(13) 및 한쌍의 측면벽(14)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상에는 상기 천정벽(11)은 사각형 형상이고, 정면벽(12), 후면벽(13) 및 한쌍의 측면벽(14)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 키 캡(1)이 장착될 키의 형상에 맞추어 그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키보드에 배치된 엔터(ENTER)키의 경우에는 그 형상이 "
Figure utm00001
" 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본 고안 뚜껑부(10)가 이러한 형상에 치합되도록 상기 천정벽(11) 및 정면벽(12), 후면벽(13)과 측면벽(14)들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 뚜껑부(10)의 하부에는 걸이부(20)가 형성되되, 상기 걸이부(20)는 각 측면벽(14)의 하부에 측면벽(14)의 말단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면(21)과, 상기 연장면(21)에서 상기 뚜껑부(1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면(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장면(21)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면(21)은 상기 천정면(11)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면(22)은 상기 연장면(21)에 수직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면(21) 및 받침면(22)은 본 고안 키 캡(1)을 키보드상의 키에 장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의 상세한 작용은 후술한다.
한편, 본 고안 천정벽(11), 정면벽(12), 후면벽(13) 및 측면벽(14), 연장면(21)과 받침면(22)의 두께(t)는 키보드에 배치된 키의 통상적인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이러한 키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 키 캡(1)을 키보드에 장착할 때 상기 연장면(21)과 받침면(22)이 키들의 사이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천정벽(11), 정면벽(12), 후면벽(13) 및 측면벽(14), 연장면(21)과 받침면(22)의 두께(t)는 대략 0.5mm ~ 1mm 로 형성하고, 상기 연장면(21)의 길이(a)를 대략 1mm ~ 2mm, 받침면(22)의 길이(b)를 대략 1mm ~ 2mm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부(10)와 걸이부(20)를 포함하는 본 고안 키 캡(1)의 재질은 통상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키 캡(1)을 키로부터 제거할 경우를 상정하여 키 캡(1)의 제거시 해당 키에 손상이 되지 않도록 본 고안 키 캡(1)의 재질을 가능하면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선택하며, 그 두께도 되도록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뚜껑부(10)와 걸이부(20) 전체 또는 상기 뚜껑부(10)를 투명하게 형성하면 본 고안 키 캡(1)이 장착되었을 때, 키 캡(1)이 장착된 키가 보이게 되므로, 장착된 키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 키캡(1)의 작용을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의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의 상부 도면은 본 고안 키 캡(1)의 장착전 상태도로서, 본 고안 키 캡(1)을 사용자가 장착하고자하는 특정 키(100)의 상측에 정렬시키고, 뚜껑부(10) 하부의 개방면을 통하여 해당 특정 키(100)의 상부면을 진입시킨 다음, 뚜껑부(10)를 하방향으로 눌러준다.
그러면, 뚜껑부(10)의 정면벽(12), 후면벽(13) 및 측면벽(14)들이 상기 특정키(100)의 각 벽면을 따라서 하방향으로 진입하고, 진입 결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벽(14)의 연장면(21)에 형성된 받침면(22)에 상기 특정키(100)의 하부 말단 부분이 걸려지게 되면서 상기 특정 키(100)에 본 고안 키 캡(1)이 장착된다. 도 3 의 하부 도면은 이러한 키 캡(1)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키보드에 배치된 통상의 키들의 높이와 본 고안 키 캡(1)의 높이를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특정 키(100)의 상부면과 본 고안 키 캡(1)의 천정면(11)과의 거리(x)가 대략 5-10 mm 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뚜껑부(10)의 높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키(100)에 본 고안 키 캡(1)이 장착되면, 키 캡(1)이 장착된 특정 키(100)의 높이가 키 캡(1)에 의하여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보지 않고 손가락만으로도 해당 키를 직접적이고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입력상의 실수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키 캡(1)은 사용자가 평소 원활하게 인지하기 어려웠던 키나 빈번하게 사용되는 키에 사용되면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키 캡(1)의 뚜껑부(10)의 상면인 천정벽(11) 상에 키보드상의 소정 키가 가지는 키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표시함으로써, 해당되는 키 만에 전용적으로 장착되는 키 캡(1)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천정벽(11) 상에 키보드의 백 스페이스(back space)키의 통상의표시를 나타내는 "" 모양의 표시나, 딜리트(delete)의 키의 통상의 표시를 나타내는 "Del" 을 표시하여, 백 스페이스 키 또는 딜리트 키 전용의 키 캡(1)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장착된 키 캡(1)을 특정 키(100)로부터 제거하려면, 상기 키 캡(1)의 측면벽(14)을 파지하고 내측으로 힘을 가하면서 살짝 들어올리게 되면, 측면벽(14)의 하측 부분의 받침면(22)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 받침면(22)에 걸려있던 특정키(100)의 하부 말단 부분이 받침면(2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키 캡(1)이 특정 키(100)로부터 탈거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200 은 상기 특정 키(100)의 입력을 전달하는 키 누름구(200)이다. 상기와 같이 특정 키(100)의 상부에 본 고안 키 캡(1)이 장착되면, 키 캡(1)의 천정면(11)이 눌려질 경우, 그 누름 압력이 키 캡(1)의 전면벽(12), 후면벽(13) 및 측면벽(14)을 따라서 특정 키(100)의 몸체 및 이와 연결된 키 누름구(200)로 전달되어 특정 키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키 누름구(200)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 고안 키보드용 키 캡
10; 뚜껑부
11; 천정벽
12; 전면벽
13; 후면벽
14; 측면벽
20; 걸이부
21; 연장면
22; 받침면
100; 키보드 키 200; 키 누름구

Claims (7)

  1. 키보드상에 배치된 키에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키 캡으로서,
    상기 키 캡은,
    하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내부 공간을 가진 육면체 형상의 뚜껑부(10)와,
    상기 뚜껑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키의 하측 말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걸려지는 걸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0)는,
    천정벽(11)과, 상기 천정벽(11)의 각 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정면벽(12), 후면벽(13) 및 한쌍의 측면벽(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 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0)는,
    상기 키 캡이 키에 장착되었을 때, 키의 상부면과 상기 천정벽(11) 사이의 거리(x)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뚜껑부(10)의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 캡.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0)는,
    상기 각 측면벽(14)의 하부에 측면벽(14)의 말단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면(21)과, 상기 연장면(21)에서 상기 뚜껑부(1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면(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 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0)와 걸이부(20)의 재질은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 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0)를 투명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 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0)의 상면에 키의 이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 캡.
KR2020100002493U 2010-03-11 2010-03-11 키보드용 키 캡 KR201100088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493U KR20110008859U (ko) 2010-03-11 2010-03-11 키보드용 키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493U KR20110008859U (ko) 2010-03-11 2010-03-11 키보드용 키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859U true KR20110008859U (ko) 2011-09-19

Family

ID=4509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493U KR20110008859U (ko) 2010-03-11 2010-03-11 키보드용 키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85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974A1 (en) * 2016-06-14 2017-1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essed keycaps
KR20190054003A (ko) 2017-11-11 2019-05-21 최영찬 드럼스틱을 이용한 전자악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974A1 (en) * 2016-06-14 2017-1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essed keycaps
US10809809B2 (en) 2016-06-14 2020-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essed keycaps
KR20190054003A (ko) 2017-11-11 2019-05-21 최영찬 드럼스틱을 이용한 전자악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79835A (ja) キーボード装置
KR20110008859U (ko) 키보드용 키 캡
JP2015143977A (ja) キーボード
JP2009272164A (ja) 配線用静電スイッチ
USD682792S1 (en) Telephone cord detangler
KR101128104B1 (ko) 태블릿 컴퓨터의 터치 스크린용 부착식 키보드
JP2003248542A5 (ko)
KR101136096B1 (ko) 가상 키보드의 키버튼 구분장치
KR200327899Y1 (ko)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KR101155195B1 (ko) 착용식 터치펜
KR20080067941A (ko) 컴퓨터등 전자문자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한손 타이핑이가능한 문자입력 키보드
US20160266665A1 (en) Multi-purpose writing device
KR200471687Y1 (ko) 컴퓨터 키보드
WO2021075083A1 (ja) タイピング補助部材およびキーボード
CN215494942U (zh) 一种多功能免接触按压器
JP3199232U (ja) バッグ
JP4302142B2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キーボードカバー
KR102149330B1 (ko) 펀칭기를 탈착할 수 있는 분리형 키보드
CN213780917U (zh) 一种多功能免接触按键触屏组件
CN110286752A (zh)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KR20170066784A (ko) 오뚜기의 원리를 이용한 세안제품 뚜껑
CN211208293U (zh) 一种防尘键帽
CN203666577U (zh) 一种新型紧急逃生器
CN216623079U (zh) 一种方便撕揭且无痕迹的平板面壳
KR200462844Y1 (ko)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