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492U - 연등 - Google Patents

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492U
KR20110008492U KR2020100010796U KR20100010796U KR20110008492U KR 20110008492 U KR20110008492 U KR 20110008492U KR 2020100010796 U KR2020100010796 U KR 2020100010796U KR 20100010796 U KR20100010796 U KR 20100010796U KR 20110008492 U KR20110008492 U KR 201100084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lamp
clasp
ring
lan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권
Original Assignee
오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권 filed Critical 오대권
Priority to KR2020100010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492U/ko
Publication of KR20110008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45Adjustable mounting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21V3/023Chinese lanterns; Balloons

Abstract

본 고안은 연등 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등에 관한 것으로, 연등 고리는 연등에 장착되며, 상기 연등을 외부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연등 고리에서,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걸쇠부, 그리고 상기 연등에 장착되고, 상기 걸쇠부가 탈 부착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삽입공을 통과한 후 상기 삽입공에 걸릴 수 있으며, 상기 걸쇠부는 회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등{LAMP FOR BUDDHISM}
본 고안은 종교 행사에 사용되는 연등에 관한 것이다.
연등을 줄 등에 매달아 놓길 위해서는, 연등에 철사를 꼬아서 줄에 고정하였다. 이에 따라 줄에 고정된 연등은 철사에 의해 움직임을 제약 받았다. 결국 바람이 불 경우 바람의 움직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연등이 찢어지거나 심할 경우 아예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작업자가 연등의 방향을 변경하려고 하면 철사를 풀어 제거한 후, 다시 철사를 꼬아서 줄에 연결 고정시켜야 하는 등 복잡한 작업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수백 개의 연등을 짧은 시간에 설치하여야 하는 작업의 특성상 작업자는 철사를 연등에 일일이 끼워 넣어서 철사를 꼬고 나중에 다시 줄에 감는 작업을 반복해야 함으로 작업 효율이 극히 낮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등을 외부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연등 자체를 회전시켜 주어 바람 등의 외부 환경에 쉽게 대처 가능케 해 주는 연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고리를 이용하여 줄 등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바람 등의 외부적인 환경에 쉽게 대응하여 연등 자체를 회전시켜 주는 연등 고리를 포함한 연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등의 회전을 억제하고, 연등의 어느 한 일면이 바라보는 전시 방향을 임의로 고정할 수 있는 연등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외부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연등 고리를 포함하는 연등에서, 상기 연등 고리는 일측에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걸쇠부, 그리고 상기 연등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걸쇠부가 삽입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쇠는 상기 삽입공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쇠부의 상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쇠부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는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된 부분을 기점으로 제1 가지부와 제2 가지부로 갈라져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 가지부에 형성된 제1 돌기와 상기 제2 가지부와 연결된 제2 돌기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걸쇠부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탄성 있게 벌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쇠부는 고리와, 상기 고리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삽입공에 탄성변형하며 통과하도록 말려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등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 주변에 한 쌍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 끝단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는 결합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등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 주변에 두 쌍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양 끝단에는 제1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는 바깥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제1 고정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소정 거리 떨어져 있으며, 양 끝단에는 제2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는 바깥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삽입공은 타원형일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홈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쇠부는 일측은 만곡되어 상기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은 탄성 있게 벌어지며, 그 끝단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걸리는 상기 걸림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홈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쇠부의 걸림부재 상측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등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쇠부는 상기 걸쇠부는 상기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된 부분을 기점으로 제1 가지부와 제2 가지부로 갈라져 있을 수 있으며, 더하여, 상기 삽입공은 타원형상이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삽입공의 장축방향과 단축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작업자가 보다 쉽게 연등을 줄에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은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가 걸쇠부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고정부가 장착된 연등은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바람이 불더라도 자연스럽게 회전이 가능하여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더라도 연등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에 다단으로 장착된 걸림부재에 의해 연등을 설치할 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쉽게 연등 자체를 회전시켜 줄 수 있으며, 줄 등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삽입공에 끼움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연등의 어느 한 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연등의 전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채용된 연등 고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채용된 연등 고리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채용된 연등 고리의 분리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채용된 연등 고리의 동작도.
도 7 내지 도 9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채용된 연등 고리의 동작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채용된 연등 고리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채용된 연등 고리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채용된 연등 고리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채용된 연등 고리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따른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과 관련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연동 고리(1)는 연등(2)에 장착된다. 이때, 연등(2)은 그 상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 주변에는 한 쌍의 결합공(30)이 형성되어 있다.
연등 고리(1)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연동 고리(1)는 걸쇠부(10) 및 고정부(20)를 포함한다.
걸쇠부(10)는 말 그대로 연등(2)을 줄(3)에 걸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걸쇠부(10)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110)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부재(100)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즉, 고리가 형성된 제1 부재(100)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연등(2)을 줄(3)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처럼 철사 등을 이용하여 줄(3)에 하나씩 꼬아서 연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제2 부재(110)는 제1 부재(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걸림부재(120)가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20)는 연등(2)에 장착되고, 걸쇠부(10)와 연결됨에 따라 걸쇠부(10)와 연등(2)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20)가 연등(2)에 장착될 때는, 고정부(20)의 양 끝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210)가 연등(2)의 결합공(3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그러나, 고정부(20)가 연등(2)에 장착될 때 결합 부재(210)을 이용하지 않고, 접착제나 볼트 및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20)의 중앙에는, 걸쇠부(10)가 탈 부착될 수 있도록 삽입공(200)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고정부(20)와 걸쇠부(10)는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탈 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정부(20)는 삽입공(200)에 삽입된 걸쇠부(1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20)가 장착된 연등(2) 역시 고정부(20)를 따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연등(2)이 회전됨에 따라 바람 등의 외부 환경에 자연스럽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삽입공(200)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걸림부재(120)가 삽입공(200)에 삽입된 후, 회전을 하더라도 삽입공(200)에서 걸쇠부(10)가 쉽게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삽입공(200)은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다단 배치되어 있는 걸림부재(120)에 의해 작업자는 연등(2)의 높낮이를 임의적으로 조정하여 줄(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등(2)을 다수 배치할 경우 종래에는 작업자가 연등의 높낮이를 조절하지 못해 제각각 설치되어 경향이 있다. 이에 통일감 등의 미적 감각이 크게 떨어졌지만,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 고리(2)는 높낮이가 규격화되어 작업자가 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연등(2)을 설치할 때 일정하게 높낮이를 맞추어 배열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통일성이 있으며, 보는 이에게 심미감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동작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제1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의 제2 부재(110)는, 제1 부재(100)와 연결된 부분을 기점으로 제1 가지부(130)와 제2 가지부(140)로 갈라져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재(120) 역시 제1 가지부(130)에 형성되는 제1 돌기(150)와 제2 가지부(140)에 형성되는 제2 돌기(160)로 나누어 진다.
이렇게 제2 부재(110)는, 제1 가지부(130)와 제2 가지부(140)로 갈라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제1 가지부(130)와 제2 가지부(140)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 바깥 방향으로 쉽게 벌어진다.
이에 따라 삽입공(200)에 삽입된 제1 가지부(130)와 제2 가지부(140)를 작업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면, 제1 가지부(130)와 제2 가지부(140)는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삽입공(200) 내측에 밀착되며, 제1 돌기(150)와 제2 돌기(160)에 의해 삽입공(200)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가지부(130)와 제2 가지부(140)가 갈라져 있지만 삽입공(200)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동작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120)는 제2 부재(110)에 접이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재(120)는, 제2 부재(110)에 일측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제2 부재(110)의 바깥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다.
이에 따라 삽입공(200)에 제2 부재(110)가 삽입될 때, 걸림부재(120)는 삽입공(200)의 내경에 맞추어 접어지면, 삽입공(200)을 지나가게 되면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어 삽입공(200)에 걸려 연등(2)을 지지해 준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서의 상기 걸쇠부는 고리와, 상기 고리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삽입공에 탄성변형하며 통과하도록 말려져 형성된다. 걸림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토션 스프링 형태로 제2 부재(1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삽입공(200)에 제2 부재(110)가 삽입될 때, 걸림부재(120)는 삽입공(200)의 내경에 맞추어 구부러지면, 삽입공(200)을 지나가게 되면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어 삽입공(200)에 걸려 연등(2)을 지지해 준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등 고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서의 고정부(20)는, 제1 고정 부재(230)와 제2 고정 부재(240)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230)와 제2 고정 부재(240)는 각각 제1 결합 부재(211)와 제2 결합 부재(212)가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 부재(211)와 제2 결합 부재(212)는 연등(2)에 형성된 결합공(30)에 결합된다. 또한, 제1 고정 부재(230)와 제2 고정 부재(240)의 중앙부는 바깥 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이는 휘어져 있는 중앙부가 삽입공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휘어진 중앙부로 걸쇠부(10)가 삽입되거나 탈착된다. 또한, 제1 고정 부재(230)와 제2 고정 부재(240)는 와이어 등의 철사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채용된 연등 고리와 관련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6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공(200)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홈(300)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쇠부(10)는 일측은 만곡되어 상기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은 탄성 있게 벌어지며, 그 끝단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300)에 걸리는 상기 걸림부재(120)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200)은 원형 또는 타원형상일 수 있다. 이때, 삽입공(200)의 내주면에는 끼움홈(300)이 더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끼움홈(300)은 서로 반대 방향에서 바라보게 한 쌍을 이루고 있다. 이때, 끼움홈(300)은 삽입공(200)이 타원형상일 경우에 장축방향과 단축방향에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삽입공이 원형인 경우에는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45도)마다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홈의 배치 간격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걸쇠부(10)는 철사,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긴 길이부재를 적당히 굴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사로 이루어진 경우에 양 끝단부가 나란하도록 그 중앙을 만곡하고, 만곡된 철사의 중앙부를 구부려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철사의 나란한 중앙 부분은 서로 멀어지도록 적당한 탄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철사의 끝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걸림부재(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철사의 지름은 상기 끼움홈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작음으로써, 서로 탄성있게 멀어지려는 철사의 중간 부분이 상기 끼움홈(300)에 걸릴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걸림부재(120)가 걸쇠부(10)를 삽입공(200)에서 빠지지 아니하도록 걸쳐지게 하면서, 걸림부재(120)가 형성된 철사의 중간 부분이 끼움홈(300)에 삽입되며 고리의 방향이 고정된다. 따라서 줄에 걸리는 연등이 회전되지 아니하고 어느 일 방향을 바라보게 할 수 있다. 이는 연등에 시주자의 이름이나 소원 등 추가적인 기재가 있는 경우, 연등이 바라보는 방향을 특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사용자가 걸쇠부의 중간을 오므려, 끼움홈에서 철사가 빠진 상태에서 이웃하는 다른 끼움홈에 고정함으로써 연등의 전시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고정부(20)의 양 끝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210`)는 통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210`)는 연등에서 형성된 관통공(도시 생략)에 중심이 맞추어지고 피스못이 관통공과 결합부재(210`)에 결합됨으로써 연등에 고정부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공의 주연부는 피스못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스못에 의한 고정부의 결합방식은 본 실시예뿐만 아니라 전술된 실시예들과 하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채용된 연등 고리에 관련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7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공(200)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홈(300)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쇠부(10)의 걸림부재(120) 상측에는 상기 끼움홈(300)에 삽입되어 상기 연등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출부(40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삽입공(200)의 내주면에 따라 형성되는 끼움홈(300)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삽입공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타원형 삽입공(200)에서 그 장축방향과 단축방향에 각각 한 쌍 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걸쇠부(10)의 걸림부재(120)는 전술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며, 걸림부재(120)가 형성된 걸쇠부의 상측에는 돌출부(40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00)는 상기 끼움홈(300)에 삽입가능한 높이와 폭을 가지며, 상기 걸쇠부(10)의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400)의 상하 길이는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두께만큼 형성됨으로써 걸림부재(120)가 삽입공(200)에 걸린 상태에서 돌출부(400)가 끼움홈(300)에 파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걸쇠부(10)가 삽입공(200)에 삽입된 후 걸쇠부(10)를 들어올리면 연등의 자중에 의하여 걸림부재(120)가 삽입공(200) 주변의 고정부(20) 하단면에 걸리면서, 돌출부(400)가 끼움홈(300)에 자연스럽게 파지된다. 이로써 걸쇠부(10)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의 회전이 억제되며, 연등의 전시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연등의 전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쇠부를 내려 돌출부가 끼움홈의 하부로 내려가게 하고, 요구되는 방향으로 걸쇠부를 회전시킨 다음 걸쇠부를 들어올리면 돌출부가 이웃하는 다른 끼움홈에 파지되면서 새로운 방향으로 걸쇠부가 고정된다.
이러한, 걸쇠부는 상기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부재(100)와, 상기 제1 부재(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12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110)는 상기 제1 부재(100)와 연결된 부분을 기점으로 제1 가지부(130)와 제2 가지부(140)로 갈라져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가지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있게 벌어진 상태이므로, 돌출부가 쉽게 끼움부에 파지될 수 있게 한다. 즉, 바람 등 외력에 의하여 연등이 회전되려하는 경우에도 벌어진 제1,2가지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돌출부가 여전히 끼움홈에 파지되어 있어, 연등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연등 고리 2 : 연등
3 : 줄
10 : 걸쇠부 100 : 제1 부재
110 : 제2 부재 120 : 걸림부재
130 : 제1 가지부 140 : 제2 가지부
150 : 제1 돌기 160 : 제2 돌기
20 : 고정부 200 : 삽입공
210 : 결합 부재 211 : 제1 결합 부재
212 : 제2 결합 부재 230 : 제1 고정 부재
240 : 제2 고정 부재
30 : 결합공 300 : 끼움홈
400 : 돌출부

Claims (13)

  1. 외부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연등 고리를 포함하는 연등에서,
    상기 연등 고리는
    일측에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걸쇠부, 그리고
    상기 연등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걸쇠부가 삽입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연등.
  2. 제1항에서,
    상기 걸림쇠는 상기 삽입공에서 회전 가능한 연등.
  3. 제2항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쇠부의 상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연등.
  4. 제3항에서,
    상기 걸쇠부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는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된 부분을 기점으로 제1 가지부와 제2 가지부로 갈라져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 가지부에 형성된 제1 돌기와 상기 제2 가지부와 연결된 제2 돌기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연등.
  5. 제2항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걸쇠부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탄성 있게 벌어져 형성되어 있는 연등.
  6. 제2항에서,
    상기 걸쇠부는
    고리와, 상기 고리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삽입공에 탄성변형하며 통과하도록 말려져 형성되는 연등.
  7. 제1항에서,
    상기 연등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 주변에 한 쌍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 끝단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는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연등.
  8. 제1항에서,
    상기 연등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 주변에 두 쌍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양 끝단에는 제1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는 바깥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제1 고정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소정 거리 떨어져 있으며, 양 끝단에는 제2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는 바깥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제2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연등 고리.
  9. 제1항에서,
    상기 삽입공은 타원형인 연등 고리.
  10. 제1항에서,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홈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쇠부는
    일측은 만곡되어 상기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은 탄성 있게 벌어지며, 그 끝단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걸리는 상기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연등.
  11. 제1항에서,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홈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쇠부의 걸림부재 상측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등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연등.
  12. 제11항에서,
    상기 걸쇠부는
    상기 걸쇠부는 상기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된 부분을 기점으로 제1 가지부와 제2 가지부로 갈라져 있는 연등.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삽입공은 타원형상이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삽입공의 장축방향과 단축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등.
KR2020100010796U 2010-02-25 2010-10-21 연등 KR201100084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96U KR20110008492U (ko) 2010-02-25 2010-10-21 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12 2010-02-25
KR2020100010796U KR20110008492U (ko) 2010-02-25 2010-10-21 연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649A Division KR101265223B1 (ko) 2010-02-25 2012-07-27 연등 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92U true KR20110008492U (ko) 2011-08-31

Family

ID=4559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796U KR20110008492U (ko) 2010-02-25 2010-10-21 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4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78B1 (ko) * 2012-04-02 2013-03-11 주식회사 위지트동도 클립 고정식 조명커버를 갖는 매달림 천장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78B1 (ko) * 2012-04-02 2013-03-11 주식회사 위지트동도 클립 고정식 조명커버를 갖는 매달림 천장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7737B2 (en) Binding band and binding band set
AU2016273936B2 (en) Adjustable Cord Locker and Window Blind Having Such Adjustable Cord Locker
KR20120112279A (ko) 연등 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등
KR20110008492U (ko) 연등
US20150083983A1 (en) Cable pulling roller guide
EP2787161A1 (en) Sunlight-shielding device and device for adjusting lower limit position of bottom rail
TWM561117U (zh) 具鍊條收納之圍欄柱
KR101619479B1 (ko) 철사와 케이블 타이의 겸용이 가능한 연등
ES2585033T3 (es) Dispositivo para el montaje de dos elementos
US6439747B1 (en) Lamp shade folding structure
KR20170062011A (ko) 국기봉
JP2007312610A (ja) 鳥害防止具
EP3470597B1 (en) Articulated arm for awning and awning comprising said arm
KR200347344Y1 (ko) 배너 게양 구조
JP2004135420A (ja) ケーブルグリップ
KR200372112Y1 (ko) 간판용 전기기구의 고정클립
KR102564596B1 (ko) 교체 가능한 전등갓
KR200403391Y1 (ko) 매입형 등기구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KR102220881B1 (ko) 국기게양대 로프 결착용 회전식 국기고리
US118854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ging decorative lighting
US11306868B2 (en) Ceiling box with mounting bracket
CN108552688B (zh) 一种项链连接结构
JP6156866B2 (ja) ロープ固定具
KR102352432B1 (ko) 생산성이 증가된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125 Withdrawal of application by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