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324U -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324U
KR20110008324U KR2020100001788U KR20100001788U KR20110008324U KR 20110008324 U KR20110008324 U KR 20110008324U KR 2020100001788 U KR2020100001788 U KR 2020100001788U KR 20100001788 U KR20100001788 U KR 20100001788U KR 20110008324 U KR20110008324 U KR 201100083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frame
door
glass door
wi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643Y1 (ko
Inventor
차원준
차상봉
Original Assignee
차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원준 filed Critical 차원준
Priority to KR2020100001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64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6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12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two or more sealing-lines or -planes between the wing and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이중의 프레임방풍부재 및 문틀에 장착되는 이중의 문틀방풍부재로 문틀과 강화유리문 사이의 이격부를 4중으로 차단하여 단열기능을 발휘하면서 빗물, 먼지, 바람 등의 이물질과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강화유리문의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용 문틀(20)과 강화유리문용 문틀(20)에 장착되는 강화유리문(1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18)를 차폐하기 위한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은,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과 수평문틀프레임(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형성된 두 줄의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와,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에 삽입되어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1쌍의 문틀방풍부재(31, 32)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유리문(10)은, 상기 강화유리(17)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프레임(13)과 하부프레임(12) 및 상기 강화유리(17)의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측면프레임(19)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방풍부재 삽입홈과,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과 수평문틀프레임(23) 및 바닥면(24)과 인접하는 프레임방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WINDBREAK STRUCTURE OF TEMPERED GLASS DOOR}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화유리문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이중의 프레임방풍부재 및 문틀에 장착되는 이중의 문틀방풍부재로 문틀과 강화유리문 사이의 이격부를 4중으로 차단하여 단열기능을 발휘하면서 빗물, 먼지, 바람 등의 이물질과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강화유리문의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문은 외관이 미려하고 투명하여 실내에서 출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과 깨지기 쉬운 일반 유리에 비하여 단단하여 쉽게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혹 깨지더라도 사용자가 다치지 않는 구조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상가 밀집지역이나 백화점, 관공서, 학교, 병원 등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지역의 건축물에서 인테리어 및 진열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문은 유리의 표면층에 압축응력을 잔류시켜 그 강도를 높인 것으로, 두 장의 강화유리를 적용한 복식과 한 장의 강화유리를 적용하는 단식 등이 있다.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강화유리문이 설치된 사용상태도로, 강화유리문(10) 및 강화유리문용 문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강화유리문(10)은 강화유리(17)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상부프레임(13)과 하단부에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2) 및 강화유리(17)의 일측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손잡이(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강화유리문(10)을 장착하기 위한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은 사각의 프레임으로 상기 강화유리문(10)의 상하 및 좌우에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이격부(18)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2)의 일측과 힌지(15, 16)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24)과, 상기 바닥면(24)에 상기 강화유리문(10)이 상기 힌지(15, 16)를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는 간격의 이격부(18)를 두고 기립하여 설치되는 1쌍의 수직문틀프레임(21, 22)과,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문틀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강화유리문용 문틀(20) 중에서 수평문틀프레임(23)과 바닥면(24)에 상기 힌지(15, 16)로 각각 연결되는 강화유리문(10)은 힌지(15, 16)를 따라 회전작동하여 여닫이 형식으로 강화도어문(10)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한편, 상기 강화유리문(10)은 측면의 가장자리에 측면프레임(19)을 더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프레임(19)은 강화유리(17)의 파손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강화유리문(10)은 힌지(15, 16)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개폐되어야 하기 때문에 강화유리문용 문틀(20)과 필연적으로 이격부(18)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단열상 큰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강화유리문(10)과 문틀을 형성하는 수평문틀프레임(23), 바닥면(24), 수직문틀프레임(21, 22) 사이에 이격부(18)가 존재해야만 강화유리문이 각각 개폐될시 서로 부딪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이러한 강화유리문(10) 둘레의 이격부(18) 사이로 겨울철에 외부의 찬바람이 유입되어 실내 기온을 저하시키거나 여름의 실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한편, 눈ㆍ비로 인한 물기가 유입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등 외부와 실내가 단열이 되지 않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06143호(고안의 명칭: 완충고무패드와 겸용되는 강화유리문용 방풍브러시)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31011호(고안의 명칭: 강화유리문 방풍패드)와, 특허출원 제2007-0042527호(안전구조형 강화유리문) 등에는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에 방풍브러쉬나 방풍패드를 부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강화유리문(10)의 상부프레임(13)과 하부프레임(12)에 방풍브러쉬나 방풍패드를 부착하고, 또한 강화유리(17)의 측면에 측면프레임(19)을 부착하고, 상기 측면프레임(19)에 방풍브러쉬나 방풍패드를 장착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일정 부분 차단할 수 있었지만, 차단의 정도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방풍브러쉬나 방풍패드로 인하여 원활한 개폐에 방해가 되고 있으며,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상기 방풍브러쉬나 방풍패드가 변형되어 방풍의 기능이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실외의 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문틀과 문에 각각 이중의 방풍기능을 갖는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1차적으로 강화유리문의 가장자리에 이중의 프레임방풍부재를 장착하고, 2차적으로 상기 강화유리문에 장착되는 프레임의 측면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문틀에 문틀방풍부재를 장착하여 4중으로 강화유리문과 문틀의 이격부를 차단할 수 있는 방풍구조물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바닥면(24)에 대하여 기립된 1쌍의 수직문틀프레임(21, 22) 및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문틀프레임(23)을 포함하는 강화유리문용 문틀(20)과,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에 장착되는 사각형상의 강화유리(17)를 포함하는 강화유리문(1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18)를 차폐하기 위한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은,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과 수평문틀프레임(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형성된 두 줄의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와,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에 삽입되어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1쌍의 문틀방풍부재(31, 32)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유리문(10)은, 상기 강화유리(17)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프레임(13)과 하부프레임(12) 및 상기 강화유리(17)의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측면프레임(19)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방풍부재 삽입홈과,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과 수평문틀프레임(23) 및 바닥면(24)과 인접하는 프레임방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은, 두 줄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방풍부재는 1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문틀방풍부재(31, 32) 및 프레임방풍부재(37, 38)는 모야털이나 합성수재의 브러쉬 또는 고무재질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강화유리문과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를 4중으로 차단하여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변형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문틀에 형성된 문틀방풍부재 사이에 강화유리문에 끼워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문의 닫힘상태를 확실히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강화유리문이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을 도시한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을 도시한 도 1의 B-B선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강화유리문이 설치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강화유리문이 설치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을 도시한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을 도시한 도 1의 B-B선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어 구성되는 이중의 프레임방풍부재(37, 38)와, 상기 강화유리문(10)의 앞면 및 배면의 가장자리면과 각각 접촉되도록 강화유리문용 문틀(20)에 장착되는 문틀방풍부재(31, 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강화유리문(10)은, 공지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17)와, 상기 강화유리(17)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상부프레임(13)과, 상기 강화유리(17)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2)과, 상기 강화유리(17)의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측면프레임(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2)의 일측에는 힌지(15, 16)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면부호 14는 강화유리문(20)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부호 11은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강화유리문(10)은 강화유리(17)를 이용하는 것으로, 강화유리(17)는 일반유리에 비하여 그 강도가 단단하고 깨지더라도 이용자에게 상해를 덜 입히도록 특수 제작되어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강화유리(17)를 이용하되 강화유리(17)를 안전하게 장착하여 미관을 좋게 하고, 손을 다치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방풍부재를 가장자리에 장착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추운 겨울에 찬바람의 유입 및 여름철의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측면프레임(19)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17)의 양측단부를 삽입하도록 형성된 구조체로 상기 강화유리(17)와는 실리콘마감부재(25)로 견고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 사이의 이격부(18)를 차단하도록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과 인접되는 면에 이중의 프레임방풍부재(37, 38)가 삽입되도록 상하로 길게 방풍부재 삽입홈(35, 36)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35, 36)은 1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도 2와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35, 36)은 더브테일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방풍부재(37, 38)는 모야털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방풍부재(37, 38)는 상기 이격부(18)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과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이중의 프레임방풍부재(37, 38) 간격은 상기 측면프레임(19)의 두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3)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에 상기 이중의 프레임방풍부재(37, 38)가 구성되도록 방풍부재 삽입홈(35, 36)이 1줄 또는 2줄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2)에도 동일하게 이중의 프레임방풍부재(37, 38)가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24)과 인접하게 구성되도록 방풍부재 삽입홈(35, 3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은, 상기 강화유리문(10)을 사이에 두고 기립되는 수직문틀프레임(21, 22)과,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문틀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화유리문(20)에 장착되는 측면프레임(19)과 이격부(18)를 사이에 두고 기립되며, 상기 측면프레임(19)과 대응되는 면에 문틀방풍부재(31, 32)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에 삽입되는 상기 문틀방풍부재(31, 32)는 상기 강화유리문(10)의 앞면 및 배면과 연결되는 상기 측면프레임(19)의 프레임 접촉면(39)과 밀착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18)는 상기 측면프레임(19)에 장착된 프레임방풍부재(37, 38)에 의해 1차적으로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과 접촉되어 차단되고, 2차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19)의 프레임 접촉면(39)과 상기 문틀방풍부재(31, 32)가 접촉하여 결국 4중으로 상기 이격부(18)는 차단되게 된다.
상기 수평문틀프레임(23)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화유리문(20)에 장착되는 상부프레임(13)과 이격부(18)를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강화유리문(10)에 장착된 상기 상부프레임(13)의 앞면 및 배면부와 밀착되게 문틀방풍부재(31, 32)가 위치되도록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문틀방풍부재(31, 32)나 프레임방풍부재(37, 38)는 모야털이나 합성수재의 브러쉬나 고무재질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강화유리문(10)의 상부프레임(13)과 하부프레임(12) 및 양단의 측면프레임(19)에는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과 인접하는 면에 각각 프레임방풍부재(37, 38)가 1줄 또는 2줄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에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찬넬(channel) 형상으로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도록 문틀방풍부재(31, 32)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강화유리문(10)이 닫힌상태에서는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가 상기 문틀방풍부재(31, 32)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 앞면 및 배면과 상기 문틀방풍부재(31, 32)가 밀착되어 1차적으로 실외와 실내를 이중으로 차단하게 되고, 상기 강화유리문(10)에 구성된 프레임방풍부재(37, 38)에 의해 2차적으로 실외와 실내를 차단하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은 상기 강화유리문(10)과 강화유리문용 문틀(2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18)를 4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강화유리문(10)이 개방되기 위해 열린상태에서 다시 닫힌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방풍부재(37, 38)가 상기 문틀방풍부재(31, 32) 사이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야 하기 때문에 외부와의 차단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찬넬 형상을 이루는 문틀방풍부재(31, 32) 사이에 프레임방풍부재(37, 38)가 수용되어 4중으로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강화유리문과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를 4중으로 차단하여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변형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문틀에 형성된 문틀방풍부재 사이에 강화유리문에 끼워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문의 닫힘상태를 확실히 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강화유리문 11: 손잡이
12: 하부프레임 13: 상부프레임
14: 잠금장치 15, 16: 힌지
17: 강화유리 18: 이격부
19: 측면프레임 20: 강화유리문용 문틀
21, 22: 수직문틀프레임 23: 수평문틀프레임
24: 바닥면 25: 실리콘마감부재
31, 32: 문틀방풍부재 33, 34: 방풍부재 삽입홈부
35, 36: 방풍부재 삽입홈 37, 38: 프레임방풍부재
39: 프레임 접촉면

Claims (2)

  1. 바닥면(24)에 대하여 기립된 1쌍의 수직문틀프레임(21, 22) 및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문틀프레임(23)을 포함하는 강화유리문용 문틀(20)과,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에 장착되는 사각형상의 강화유리(17)를 포함하는 강화유리문(1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18)를 차폐하기 위한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문용 문틀(20)은,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과 수평문틀프레임(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형성된 두 줄의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와,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부(33, 34)에 삽입되어 상기 강화유리문(10)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1쌍의 문틀방풍부재(31, 32)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유리문(10)은, 상기 강화유리(17)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프레임(13)과 하부프레임(12) 및 상기 강화유리(17)의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측면프레임(19)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방풍부재 삽입홈과,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문틀프레임(21, 22)과 수평문틀프레임(23) 및 바닥면(24)과 인접하는 프레임방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부재 삽입홈은, 두 줄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방풍부재는 1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문틀방풍부재(31, 32) 및 프레임방풍부재(37, 38)는 모야털이나 합성수재의 브러쉬 또는 고무재질의 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KR2020100001788U 2010-02-19 2010-02-19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KR200456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88U KR200456643Y1 (ko) 2010-02-19 2010-02-19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88U KR200456643Y1 (ko) 2010-02-19 2010-02-19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24U true KR20110008324U (ko) 2011-08-25
KR200456643Y1 KR200456643Y1 (ko) 2011-11-09

Family

ID=4559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788U KR200456643Y1 (ko) 2010-02-19 2010-02-19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64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26B1 (ko) 2015-08-03 2016-06-24 주식회사 중일 단열재가 내장된 강화유리문 조립체
KR20180009976A (ko) * 2016-07-20 2018-01-30 변형석 샤워 부스용 도어
KR102064613B1 (ko) 2018-09-18 2020-02-11 노선호 단열 방풍 현관문
KR102516719B1 (ko) * 2023-01-17 2023-03-31 주식회사 미소테크 유압식 힌지의 인출이 용이한 스윙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598B1 (ko) 2013-12-19 2014-11-11 임식규 방풍성이 강화된 강화유리 안전 쌍도어
KR101562332B1 (ko) 2014-05-09 2015-10-22 임식규 방풍성 및 단열성이 강화된 강화유리 안전 쌍도어
KR102229925B1 (ko) * 2020-11-17 2021-03-18 김윤옥 시공이 용이한 상롯드가 결합된 유리문용 단열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3844B2 (ja) 2001-03-02 2011-02-02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ショーケースの扉装置
KR200234004Y1 (ko) 2001-03-03 2001-09-28 임흥빈 방풍방음과 안전이 겸비된 강화유리 출입문용 안전구
KR200306006Y1 (ko) 2002-11-23 2003-03-04 장재혁 문틀용 패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26B1 (ko) 2015-08-03 2016-06-24 주식회사 중일 단열재가 내장된 강화유리문 조립체
KR20180009976A (ko) * 2016-07-20 2018-01-30 변형석 샤워 부스용 도어
KR102064613B1 (ko) 2018-09-18 2020-02-11 노선호 단열 방풍 현관문
KR102516719B1 (ko) * 2023-01-17 2023-03-31 주식회사 미소테크 유압식 힌지의 인출이 용이한 스윙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643Y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643Y1 (ko)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EP1920120B1 (en) Double-skin and moveable- sunshade facade system
US10597930B2 (en) Impact rated light frame for sectional doors
CN205713697U (zh) 一种新型平开窗
CN204200002U (zh) 防水隔热窗
CN202706799U (zh) 立柱铝型材
AU2013100163A4 (en) Insulated Window
CN203081153U (zh) 推拉平开一体窗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CN205876041U (zh) 一种能提升铝合金框材保温防尘功能的窗户结构
KR102034569B1 (ko) 덧댐 창호
CN202299941U (zh) 一种三位一体集成卷窗的竖外框型材
CN216744733U (zh) 幕墙立面隐藏通风构造
CN202509968U (zh) 节能自动平移门全密封上门口装置
CN202850754U (zh) 一种中空外开门窗
KR200269630Y1 (ko) 강화도어용 방풍패드
KR20190036220A (ko) 덧창
KR20130098123A (ko) 바닥 은폐형 이중 안전창
CN102220824B (zh) 一种密封铝合金平开窗
CN218861860U (zh) 一种保温双层单元幕墙系统
CN212958289U (zh) 一种带有梯度结构的窄边窗框
CN205689091U (zh) 一种组装式防尘装饰条
CN202325028U (zh) 实木窗用的防雨水冲刷铝材
CN202325018U (zh) 一种三位一体集成卷窗的中梃型材
KR101163168B1 (ko) 창호의 이중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