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569B1 - 덧댐 창호 - Google Patents

덧댐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569B1
KR102034569B1 KR1020160019630A KR20160019630A KR102034569B1 KR 102034569 B1 KR102034569 B1 KR 102034569B1 KR 1020160019630 A KR1020160019630 A KR 1020160019630A KR 20160019630 A KR20160019630 A KR 20160019630A KR 102034569 B1 KR102034569 B1 KR 102034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ole
glass
spac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931A (ko
Inventor
강재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1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5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3Storm doors; Combination-screen-and-storm-door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1Elements for window or door openings, or for corner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덧댐 창호는 기존 창호의 유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덧창과, 상기 유리와 상기 덧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덧창을 상기 유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와, 상기 덧창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덧창을 상기 기존 창호의 창짝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덧댐 창호{A STRAPPED WINDOW}
본 발명은 덧댐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창호를 제거하지 않고 창호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덧댐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에 수려한 미관은 물론 채광, 조망, 환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외피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쾌적한 실내 환경에 대한 요구 역시 증대되어 채광, 조망, 환기 등의 확보를 위한 건물 외피에서의 창호의 활용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에너지 관점에서, 창호는 주된 열손실과 열취득 경로(건물 에너지 손실의 30~45% 점유)가 된다.
이전의 경우 건물의 에너지에 대한 기준이 엄격하지 않아 성능이 떨어지는 창호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최종에너지 소비량 중 건물부문 비중은 21.2%를 차지하며, 최근에는 냉방에너지 증가에 의한 전력수요가 급증하여 전국적인 정전대란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건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에 신축되는 건물에 대해서는 건물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노후화된 건물의 리모델링 시에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단열 창호 등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기존 건물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기존 건물에서 에너지 소비 중 많은 양을 차지하는 창호를 교체하는 것은 대규모의 공사를 필요로 하는 일이다. 이러한 대규모의 공사를 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506127호(2004. 04. 28)"와 같이 창호에 단열필름 또는 에어캡(일명 뽁뽁이) 등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단열필름은 겨울철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므로 건물의 에너지 관점에서 오히려 역효과를 내며, 에어캡의 경우 내구성이 약해 일회성으로 사용될 뿐 지속적인 관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열필름 또는 에어캡을 창호에 부착하는 경우 창호를 통한 조망 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창호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높은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덧댐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호를 통한 조망 확보를 해치지 않으면서 창호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덧댐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창호의 해체 및 재시공에 따른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기존 창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폐기물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덧댐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덧댐 창호는 기존 창호의 유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덧창과, 상기 유리와 상기 덧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덧창을 상기 유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와, 상기 덧창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덧창을 상기 기존 창호의 창짝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양단이 상기 유리와 상기 덧창에 각각 맞대어지고 상호 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덧창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유리와 이격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덧창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창짝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양면테이프의 측면에는 상기 유리와 상기 덧창 사이의 공기가 통기되도록 하는 통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덧창이 상기 유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쫄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리에 부착되어 상기 덧창을 고정 및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유리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탈착되어 상기 유리 및 상기 덧창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덧창은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덧댐 창호는 기존 창호의 창짝 상부 및 하부와 각각 결합하여 상기 창짝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결합하여 상기 기존창호의 유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덧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덧창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유리와 마주보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유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에 의해 상기 몸체부 상에 구비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기층부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이격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기층부의 공기가 통기되도록 하는 통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덧창이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일면이 상기 창짝의 외측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창짝과 창틀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외측부와, 상기 창짝과 상기 창틀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창짝의 내측면과 맞대어지는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는 상기 외측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덧창의 일측과 맞대어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이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덧창과 결합할 시 상기 브래킷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덧댐 창호에 의하면, 기존 창호의 열관류값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 창호의 단열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창호의 조망 확보를 해치지 않으면서 창호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창호를 폐기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어, 폐기물 처리량 감소로 인한 처리비용 및 시간 절감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가 설치된 모습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스페이서의 변형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덧창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고정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고정부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덧댐 창호가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가 설치된 모습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가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덧창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덧창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가 설치된 모습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20)는 덧창(100), 이격부재(200) 및 고정부재(300)를 구비하여 기존 창호(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존 창호(10)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중창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기존 창호(10)는 이중창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여러 가지 창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덧창(100)은 기존 창호(10)의 유리(12)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유리(12)의 실내측면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덧창(100)은 단열 성능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창의 본연의 기능인 채광이나 조망 등을 감소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덧창(100)은 이와 같은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재질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덧창(100)의 재질로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부재(200)는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200)는 양면이 상기 유리(12)의 일면과 상기 덧창(100)의 일면에 각각 맞대어지는 스페이서(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10)는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덧창(100)을 상기 유리(12)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덧창(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210)의 양면에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10)는 상기 스페이서(210)에 의해 채광이나 조망 등이 감소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크기로 최소 개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210)가 원기둥 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스페이서(210)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1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대류에 의한 열전도를 막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덧창(100)을 상기 기존 창호(10)의 창짝(13)에 고정하는 것으로 양면테이프(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양면테이프(310)는 상기 창짝(13)과 맞대어지는 상기 덧창(100)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덧창(100)이 상기 창짝(13)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양면테이프(310)를 사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고 빠르게 설치와 해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면테이프(310)의 측면에는 통기홀(3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기홀(330)은 상기 양면테이프(310)의 측면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가 외부로 통기되도록 하여 여름철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위치한 공기의 온도가 태양열에 의해 상승하는 방지함으로써 온도가 상승한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에 의해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양면테이프(310)가 상기 덧창(100)의 일면 테두리 전체에 구비되는 것을 보였으나, 상기 양면테이프(310)는 상기 덧창(100)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 상기 덧창(100)의 일면 테두리에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격부재(200)는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스페이서(2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스페이서의 변형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덧댐 창호(20)의 상기 스페이서(210)는 양단이 상기 창짝(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맞대어지고, 상기 덧창(100)의 중심을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지나도록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210)가 상기 덧창(100)의 중심을 지나지 않을 경우, 상기 덧창(100)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 지지력이 약한 쪽으로 치우쳐 상기 기존 창호(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10)가 지면의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스페이서(21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210)가 지면방향으로 처져 상기 덧창(100)이 상기 기존 창호(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덧창(100)의 중심을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지나도록 구비되는 것이 상기 덧창(100)을 지지하는 힘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210)가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한 개가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 스페이서(210)는 상기 덧창(100)의 크기 또는 두께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다수개가 구비될 경우에는 다수개의 상기 스페이서(210)가 지지하는 상기 덧창(100)의 면적이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덧창(10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1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덧창(100)의 중심부가 지지되어 상기 덧창(100)을 상기 유리(12)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덧창(1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210)의 폭을 최소한으로 하여 상기 스페이서(210)에 의해 채광이나 조망 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페이서(210)에 의해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대류에 의한 열전도를 막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덧창(1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덧창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20)의 덧창(100)은 다수개의 돌기(2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220)는 상기 덧창(100)과 동일 재질인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하여 뛰어난 단열 성능을 보유함과 동시에 채광이나 조망 등을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220)는 상기 유리(12)와 마주보는 상기 덧창(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220)의 돌출된 일면이 상기 유리(12)와 맞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220)는 상기 이격부재(200)의 역할을 하여 상기 덧창(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덧창(100)을 상기 유리(12)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대류에 의한 열전도를 막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돌기(220)가 원기둥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돌기(220)는 다각형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채광이나 조망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와 개수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3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고정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덧댐 창호(20)의 고정부재(300)는 상기 유리(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덧창(100)이 상기 유리(12)에 고정되도록 하는 쫄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쫄대(320)는 일면이 상기 유리(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유리(12)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쫄대(320)의 결합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덧창(100)의 상부와 하부가 상기 쫄대(3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쫄대(320)가 상기 유리(12)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덧창(100)을 상기 기존 창호(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덧창(100)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쫄대(320)가 상기 유리(12)의 양측에 부착될 경우, 상기 덧창(100)의 하부를 받치지 못해 향후 상기 덧창(100)이 상기 쫄대(32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리(12)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쫄대(320)를 구비하여 상기 덧창(100)을 상기 기존 창호(10)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덧창(1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쫄대(320)에는 상기 양면테이프(3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통기홀(33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300)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고정부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덧댐 창호가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덧댐 창호(20)의 고정부재(300)는 상기 유리(12)에 부착되어 상기 덧창(100)을 고정 및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40)는 상기 덧창(100)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고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유리(12)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340)는 상기 유리(12)에 부착되는 본체부(341)와, 상기 본체부(341)로부터 탈착되는 탈착부(3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342)는 피스 등에 의해 상기 본체부(341)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덧창(100)과 상기 유리(12) 사이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용이하고 상기 덧창(100)의 사용 빈도가 줄어드는 시기에는 상기 덧창(1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리(12) 및 상기 덧창(100)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체(340)가 상기 덧창(100)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 지지체(340)는 상기 덧창(100)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가 설치된 모습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가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20)는 브래킷(400)과 덧창(1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00)은 상기 기존 창호(10)의 창짝(13)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00)은 일부분이 상기 창짝(13)과 창틀(11)의 사이 공간 즉, 상기 창짝(13)과 상기 창틀(11) 사이 공간을 통해 스며드는 외기를 차단하기 위한 모헤어(미도시)가 설치되는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창짝(13)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창짝(13)과 상기 창틀(11) 사이 공간을 통해 스며드는 외기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400)에 모헤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400)은 끼워 맞춤방식을 통해 상기 창짝(13)에 결합하기 때문에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 후 상기 창짝(13)에 구멍 등의 설치 흔적이 남기지 않아 상기 창짝(13)의 본연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00)의 구성은 향후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브래킷(400)은 상기 덧창(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며, 상기 창짝(13)을 통한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400)은 이와 같은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재질인 강화플라스틱(reinforced plastic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강화플라스틱으로는 섬유보강 플라스틱 또는 탄소보강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덧창(100)은 상부와 하부 일부분이 상기 창짝(13)에 설치된 상기 브래킷(400)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덧창(100)과 상기 브래킷(400)이 맞대어지는 부분에 결합부재(500)를 결합시켜 상기 덧창(100)과 상기 브래킷(40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500)에 의해 상기 덧창(100)은 상기 브래킷(400)에 의해 상기 기존 창호(10)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덧창(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덧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덧댐 창호(20)의 상기 덧창(100)은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400)과 결합하는 결합부(120)와, 상기 유리(12)와 마주보는 상기 몸체부(1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10)를 상기 유리(12)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130)와, 상기 이격부(130)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 상에 구비되어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기층부(140)와, 상기 몸체부(110) 및 상기 이격부(13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기층부(140)의 공기가 통기되도록 하는 통기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부(120)에는 상기 결합부재(500)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격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돌출된 일면은 상기 유리(12)와 맞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130)에 의해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이 일정거리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덧창(1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130)의 폭은 최대한 좁게 해 상기 이격부(130)에 의해 채광이나 조망 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1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기층부(140)에 의해 상기 유리(12)와 상기 덧창(10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대류에 의한 열전도를 막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격부(130)가 격자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이격부(130)는 다양한 형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기부(160)는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이격부(130)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기층부(140)에 형성된 공기가 외부로 통기되도록 하여 여름철, 상기 공기층부(140)에 형성된 공기의 온도가 태양열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온도가 상승한 상기 공기층부(140)에 형성된 공기에 의해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덧창(1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덧창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덧창(100)은 절단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150)는 상기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덧창(100)을 제단 할 시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부(150)는 양단이 상기 결합부(120) 측 즉,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10) 상부와 하부에 반드시 상기 결합부(12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덧창(100)을 절단하여도 상기 브래킷(400)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브래킷(4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덧댐 창호의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브래킷(400)은 일면이 상기 창짝(13)의 외측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창짝(13)과 창틀(11)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외측부(410)와, 상기 창짝(13)과 상기 창틀(11)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창짝(13)의 내측면과 맞대어지는 내측부(420)와, 상기 내측부(420)와 상기 외측부(410)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내측부(420)와 상기 외측부(41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410), 상기 내측부(420) 및 상기 연결부(430)는 상기 창짝(13)과 빈틈없이 맞대어져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부(410)와 상기 내측부(420)의 폭은 상기 연결부(430)와 맞대어지는 상기 창짝(13)의 일면보다 소정 크기 작게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400)이 상기 창짝(13)에 끼워 맞추는 방식을 통해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게 상기 브래킷(400)을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으며, 해체 후에는 설치 전의 상기 창짝(13) 형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부(410)는 상기 외측부(41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덧창(100)의 일측 즉, 상기 덧창(100)의 결합부(120)와 맞대어지는 연장부(411)와, 상기 연장부(411)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400)이 결합부재(500)를 통해 상기 덧창(100)과 결합할 시 상기 브래킷(400)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412)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400)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덧창(100)의 길이가 길거나 짧을 경우 상기 조절부(412)를 통해 상기 브래킷(400)의 연장부(411)가 상기 덧창(100)의 결합부(120)와 맞대어지는 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덧창(100)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덧댐 창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기존 창호 20: 덧댐 창호
100: 덧창 200: 이격부재
300: 고정부재 400: 브래킷
500: 결합부재

Claims (14)

  1. 기존 창호의 유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덧창과,
    상기 유리와 상기 덧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덧창을 상기 유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와,
    상기 덧창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덧창을 상기 기존 창호의 창짝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리의 모서리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유리 및 상기 덧창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덧창을 고정 및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일단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유리의 일면과 상기 덧창의 일면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유리의 측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유리에 부착되어 일단의 두께만큼 상기 유리와 상기 덧창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덧창의 타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부의 타단과 맞대어지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탈착되어 상기 유리 및 상기 덧창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댐 창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19630A 2016-02-19 2016-02-19 덧댐 창호 KR10203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630A KR102034569B1 (ko) 2016-02-19 2016-02-19 덧댐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630A KR102034569B1 (ko) 2016-02-19 2016-02-19 덧댐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931A KR20170097931A (ko) 2017-08-29
KR102034569B1 true KR102034569B1 (ko) 2019-10-21

Family

ID=5976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630A KR102034569B1 (ko) 2016-02-19 2016-02-19 덧댐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569B1 (ko) * 2017-09-27 2019-10-25 대림산업 주식회사 덧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077A (ja) * 2001-11-28 2003-06-06 Yoshio Yamada 複層ガラス窓、ガラス窓の複層化方法、及び前記方法に使用する複層用板
JP2012140767A (ja) * 2010-12-28 2012-07-26 Asahi Glass Co Ltd 複層ガラス窓及び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
KR101265743B1 (ko) * 2011-11-17 2013-05-20 장성덕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유리창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136A (ko) * 2007-05-18 2007-07-03 임성연 고정브래킷
KR101273556B1 (ko) * 2011-08-12 2013-06-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탈착식 이중외피시스템
KR101264201B1 (ko) * 2011-09-08 2013-05-14 고만식 이중단열 창호장치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077A (ja) * 2001-11-28 2003-06-06 Yoshio Yamada 複層ガラス窓、ガラス窓の複層化方法、及び前記方法に使用する複層用板
JP2012140767A (ja) * 2010-12-28 2012-07-26 Asahi Glass Co Ltd 複層ガラス窓及び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
KR101265743B1 (ko) * 2011-11-17 2013-05-20 장성덕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유리창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931A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0120B1 (en) Double-skin and moveable- sunshade facade system
CN205680971U (zh) 一种防潮散热的电气柜
KR20180026732A (ko)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76408B1 (ko) 차양의 교체가 용이한 다중유리 블라인드 창짝
KR200456643Y1 (ko) 강화유리문의 방풍구조물
KR102034569B1 (ko) 덧댐 창호
KR101892991B1 (ko) 덧댐 창호, 창호시스템 및 덧댐 창호의 시공방법
US20180209204A1 (en) Tandem Windows for High Energy Efficiency
KR102148232B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덧댐 창호
KR102247552B1 (ko) 가스켓을 이용한 내풍압 단열 셔터
CN205297229U (zh) 新型隔热门窗
KR102036569B1 (ko) 덧창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101552020B1 (ko) 경량 단열창
KR20180092426A (ko) 덧댐 창호
CN105024294A (zh) 一种新型户外型景观式厢式变电站的厢体
CN220203119U (zh) 一种通风式幕墙
KR101163168B1 (ko) 창호의 이중창 구조
CN209179667U (zh) 被动房建筑节能外窗
US20150354263A1 (en) Thermal Break Glazing Insulation and Infiltration Reduction System
KR200472741Y1 (ko) 환기창
KR102397830B1 (ko) 성능 가변형 창호 일체형 시스템
CN202299941U (zh) 一种三位一体集成卷窗的竖外框型材
CN204511251U (zh) 一种内置金属卷帘一体化玻璃窗
CN217028621U (zh) 一种中空百叶窗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54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18

Effective date: 201906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