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256U -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256U
KR20110008256U KR2020100001699U KR20100001699U KR20110008256U KR 20110008256 U KR20110008256 U KR 20110008256U KR 2020100001699 U KR2020100001699 U KR 2020100001699U KR 20100001699 U KR20100001699 U KR 20100001699U KR 20110008256 U KR20110008256 U KR 201100082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vending machine
coupling
coupling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석
Original Assignee
정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석 filed Critical 정병석
Priority to KR2020100001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256U/ko
Publication of KR20110008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2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6Drums or barrels
    • B65D11/08Arrangements of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단면의 형상이 원호형태로 이루어져 둥근 면을 형성하고, 좌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1좌측결합부가 구비되며, 우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1우측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측벽; 제1측벽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좌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제1우측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좌측결합부가 구비되며, 우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제1좌측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우측결합부가 구비되는 제2측벽; 제1측벽과 제2측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을 차폐하는 상부캡; 및 제1측벽과 제2측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을 차폐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품이 안전하게 보관되고 배출될 수 있고, 다양한 품목의 상품이 동일한 자동판매기에서 취급될 수 있으며, 생산성이 우수하고, 수납된 물품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A STORAGE CASE FOR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물품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품이 안전하게 보관되고 배출될 수 있으며, 수납된 물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자동판매기는, 동전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넣는 등 일정 금액을 지불하게 되면 자동판매기 내부의 물품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가 쉽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무인판매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구매할 수 있는 물품에는 차표, 커피 및 음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물품에서부터, 최근 일반적인 식료품, 서적 등에 이르기까지 취급되는 물품이 다양해지고 있다.
다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다수의 자동판매기는 각각의 자동판매기에서 취급하는 품목이 한정되어 있으며, 예컨대 차표자동판매기, 음료수자동판매기와 같이 특정한 품목의 상품만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는, 자동판매기가 동일한 기계적 작동이 반복하면서 물품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만큼, 취급하는 물품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이어야 장치의 구조가 보다 간결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취급하는 물품이 다양하게 구비되기가 곤란하며, 다른 종류의 물품이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지극히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밖에 이루어질 수가 없는 실정이다.
현재 사용되는 모든 자동판매기가 동일 내지는 유사한 물품만을 취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판매기에서 다양한 품목의 상품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장치 또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자동판매기는, 그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이 크기 및 모양이 다르고 물품의 외형적인 성질 또한 다르므로,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물품별로 공급하는 수단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아예 다양한 물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수단 자체의 활용 범위가 넓도록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크기가 커지며 제조비용 증가와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자동판매기는 상품의 포장이 이루어진 물품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구입의 대상이 되는 내용물 자체만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곤란하며, 파손, 손상 등의 염려가 있으므로 포장이 된 상태로 상품이 공급되게 된다.
물품이 당초부터 포장된 상태로 판매되는 상품이라면, 그대로 자동판매기에 적용할 수 있으나, 별도의 포장이 필요한 경우라면 개별적인 포장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경우 상품마다 별개의 포장이 되어야 하는 등 불편함을 수반한다. 또한, 상품의 품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상품의 온전한 보존 및 공급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품이 안전하게 보관되고 배출될 수 있고, 다양한 품목의 상품이 동일한 자동판매기에서 취급될 수 있으며, 생산성이 우수하고, 수납된 물품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는 종단면의 형상이 원호형태로 이루어져 둥근 면을 형성하고, 좌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1좌측결합부가 구비되며, 우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1우측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측벽; 제1측벽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좌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제1우측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좌측결합부가 구비되며, 우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제1좌측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우측결합부가 구비되는 제2측벽; 제1측벽과 제2측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을 차폐하는 상부캡; 및 제1측벽과 제2측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을 차폐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케이스의 외형적인 형태가 제1측벽과 제2측벽에 의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서로 양분되는 형태로 나뉘도록 하여, 물품의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인출에 있어서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할 형태의 상품이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판매될 수 있다.
둘째, 제1측벽과 제2측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및 하측에 상부캡과 하부캡이 결합되도록 하여, 제1측벽과 제2측벽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더라도 케이스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제1측벽과 제2측벽 및 상부캡과 하부캡이 사실상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역시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제1측벽과 제2측벽의 단부 모서리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1측벽과 제2측벽의 안정된 결합 및 분리를 보장할 수 있다.
다섯째, 상부캡과 하부캡이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상품의 인출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보관용기로 사용될 수 있는 등 활용성이 높다.
여섯째,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 등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반원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일곱째, 케이스의 내부에 보관되는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케이스가 투명하게 이루어지며, 케이스 자체뿐 아니라 판매되는 상품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서 도시된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 2(a)에서 도시된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a)는 도 1에서 도시된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도시된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는 종단면의 형상이 원호형태로 이루어져 둥근 면을 형성하고, 좌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1좌측결합부(11)가 구비되며, 우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1우측결합부(12)가 구비되는 제1측벽(10); 상기 제1측벽(1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좌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우측결합부(12)에 결합되는 제2좌측결합부(21)가 구비되며, 우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좌측결합부(11)에 결합되는 제2우측결합부(22)가 구비되는 제2측벽(20);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을 차폐하는 상부캡(30); 및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을 차폐하는 하부캡(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좌측결합부(11)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P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우측결합부(22)의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P1)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G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우측결합부(12) 및 제2좌측결합부(21)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P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면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P2)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G2)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는, 내부에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판매되는 상품이 보관되며, 동전 등이 투입되는 경우에 자동판매기로부터 사용자에게 공급되어져 상품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애초부터 상품의 포장이 완료된 물품이 수납되어 판매될 수 있으며, 별도의 포장이 없는 상품 자체가 수납되어 판매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는,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판매되는 상품의 포장용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는 제1측벽(10), 제2측벽(20), 상부캡(30) 및 하부캡(40)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인 형상은 원통의 밀폐용기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벽(10)은 원통의 절반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며, 단면의 형상이 대체로 일정하게 원호를 이룬다. 상기 제1측벽(10)은 둥근 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이 상하로 놓인 상태에서 좌측 단부에 제1좌측결합부(11)가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 제1우측결합부(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측벽(10)에서 좌우측 단부 모서리부분이 상기 제1좌측결합부(11) 및 제1우측결합부(12)가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에서,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은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완전히 분리된 형태의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은 상품의 안정된 보관을 위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좌측결합부(11) 및 제1우측결합부(12)는 직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20)의 제2우측결합부(22) 및 제2좌측결합부(21)와 각각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은 후술하는 결합돌기(P1, P2) 및 결합홈(G1, G2)의 형성 없이 단순히 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의 결합에 의하여 전체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은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의 외부에서 상하 단부를 감싸며 나사결합되는데, 이에 의하여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은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안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의 결합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은,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의 결합에 수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자체적인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에는 결합돌기(P1, P2) 및 결합홈(G1, G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P1, P2)가 상기 결합홈(G1, G2)에 끼워짐으로 인하여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돌기(P1)는 상기 제1좌측결합부(11)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P1)는 상기 제1좌측결합부(11)의 단부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벽(10)의 내측면 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G1)은 상기 제2우측결합부(22)의 단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P1)가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P1) 및 제1결합홈(G1)은 각각 하나씩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보다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돌기(P2)는 상기 제1결합돌기(P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우측결합부(12) 또는 제2좌측결합부(21)의 단부에서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P2)가 상기 제1우측결합부(12)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결합홈(G2)은 상기 제2좌측결합부(21)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P2)가 상기 제2좌측결합부(21)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결합홈(G2)은 상기 제1우측결합부(12)에 형성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상기 제1측벽(10)에는 결합돌기(P1, P2)만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20)에는 결합홈(G1, G2)만이 형성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 모두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은 서로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라면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의 제조를 위한 개별적인 금형이 필요 없으며, 동일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즉 상기 제1측벽(10)에서 상기 제1좌측결합부(11)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P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우측결합부(12)에는 상기 제2결합홈(G2)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에서는, 물품케이스(1)의 외형적인 형태가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에 의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서로 양분되는 형태로 나뉘도록 하여, 상품의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인출에 있어서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포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품 또한 취급될 수 있는 등 다양할 형태의 상품이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판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이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더라도(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과 같은 결합수단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케이스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에서, 상기 제1우측결합부(12)와 상기 제2좌측결합부(21)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이음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좌측결합부(11)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P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우측결합부(22)의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P1)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G1)이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는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 즉 도 2(a)에 도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이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의 결합은 상기 이음부(5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음부(50)는 상기 제1우측결합부(12)와 상기 제2좌측결합부(21)를 연결하며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음부(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복적인 휨에도 손상되지 않도록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은 한쪽이 상기 이음부(50)에 의하여 결합되고, 다른 쪽은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분리된 부분인 상기 제1좌측결합부(11) 및 제2우측결합부(22)에 상기 제1결합돌기(P1)와 제1결합홈(G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돌기(P1)와 제1결합홈(G1)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케이스에서,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 각각은,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과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벽(10), 제2측벽(20), 상부캡(30) 및 하부캡(4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은 투명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은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 각각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은 상기 제1측벽(10) 등에 억지끼움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상품의 수납 및 인출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안정된 보관을 위하여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단에 상기 상부캡(30)이, 하단에 상기 하부캡(40)이 각각 나사결합된다.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은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의 단부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의 테두리 내주면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캡(30) 또는 하부캡(40)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물품케이스(1)는 원통 용기의 형상을 이루게 되며, 분리되는 상부캡(30) 등은 용기의 뚜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자동판매기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품을 보관하는 케이스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용 보관함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이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은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이 이루는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은 상하 단부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직경이 약간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이 결합되는 경우 외형상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캡(30) 등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단턱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걸림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자동판매기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에서는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는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이 형성하는 원통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는 각 구성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물품케이스(1)는 내부에 상품이 보관되어 외부에서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지나, 각 구성이 분리되어 형성되며 특히 언더컷(undercut)이 없도록 이루어지므로 금형을 통한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케이스(1)에서, 상기 상부캡(30)과 하부캡(40)이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과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상품의 인출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보관용기로 사용될 수 있는 등 활용성이 높다. 또한,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 등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반원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제조가 용이하며, 케이스의 내부에 보관되는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케이스가 투명하게 이루어지며, 케이스 및 판매되는 상품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1)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케이스(1)는, 상기 상부캡(30) 및 하부캡(40)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측벽(10) 및 제2측벽(20) 자체에 상하단을 차폐하는 구성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의 결합시 원통 형상의 물품케이스(1)는 상부 및 하부가 밀폐되며, 내부에 보관되는 상품이 수납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물품케이스(1)의 양 단부를 차폐하는 별도의 구성(상기 상부캡(30) 및 하부캡(40)과 같은 구성)이 필요치 않으며, 상기 제1측벽(10)과 제2측벽(20)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1 :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10 : 제1측벽
11 : 제1좌측결합부 12 : 제1우측결합부
20 : 제2측벽 21 : 제2좌측결합부
22 : 제2우측결합부 30 : 상부캡
40 : 하부캡 50 : 이음부
P1 : 제1결합돌기 G1 : 제1결합홈
P2 : 제2결합돌기 G2 : 제2결합홈

Claims (8)

  1. 종단면의 형상이 원호형태로 이루어져 둥근 면을 형성하고, 좌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1좌측결합부가 구비되며, 우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1우측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좌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우측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좌측결합부가 구비되며, 우측모서리에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좌측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우측결합부가 구비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을 차폐하는 상부캡; 및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을 차폐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결합부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우측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우측결합부 및 제2좌측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면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우측결합부와 상기 제2좌측결합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이음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결합부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우측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 각각은,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제2측벽, 상부캡 및 하부캡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은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KR2020100001699U 2010-02-17 2010-02-17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KR201100082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699U KR20110008256U (ko) 2010-02-17 2010-02-17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699U KR20110008256U (ko) 2010-02-17 2010-02-17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256U true KR20110008256U (ko) 2011-08-24

Family

ID=4559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699U KR20110008256U (ko) 2010-02-17 2010-02-17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25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272B1 (ko) 2018-01-31 2018-06-29 주식회사 이피이 온도 감응형 변색성을 갖는 고신율 탄성 도료를 적용한 접속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272B1 (ko) 2018-01-31 2018-06-29 주식회사 이피이 온도 감응형 변색성을 갖는 고신율 탄성 도료를 적용한 접속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84839B (zh) 具有偏置的水平肋部的轻量型的耐真空的容器
CN104271454B (zh) 具有改善的耐真空性的容器
CN101583537B (zh) 具有改进形状的饮料容器
JP6396504B2 (ja) ファセット容器
WO2006119421A2 (en) Bottle carrier
EP3152118B1 (en) Faceted container
KR20110008256U (ko) 자동판매기용 물품케이스
CA2917506A1 (en) Beverage crate with handle
KR200468481Y1 (ko) 인조네일 디스플레이 패키지
JP2007039109A (ja) 飲料用ボトル容器
KR20140130350A (ko)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CN203199333U (zh) 一种八件套连体包装盒
JP6222838B2 (ja) 炭酸飲料用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101520822B1 (ko) 음료용기 포장용 상자
WO2009021304A2 (en) Cylindrical container with twist type connector
KR200475049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JP2019189341A (ja) 飲料容器
CN203902964U (zh) 便于组合放置的饮用水瓶
KR20080004312U (ko) 제품용기 포장상자
CN208906841U (zh) 一种包装盒
WO2014061641A1 (ja) 樹脂製容器
KR20160002275U (ko) 와인병 수납겸용 의약품 포장상자
CN203228997U (zh) 一种瓦楞包装盒
KR101745783B1 (ko) 선물세트 포장상자용 트레이
KR100977968B1 (ko) 굴러내림이나 낙하가 용이한 사출성형되어진 자동판매기의 포장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