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350A -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350A
KR20140130350A KR1020130048965A KR20130048965A KR20140130350A KR 20140130350 A KR20140130350 A KR 20140130350A KR 1020130048965 A KR1020130048965 A KR 1020130048965A KR 20130048965 A KR20130048965 A KR 20130048965A KR 20140130350 A KR20140130350 A KR 20140130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smetic container
case
container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8976B1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이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훈 filed Critical 이병훈
Priority to KR1020130048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9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0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장품 용기들을 수납하여 포장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들을 세워서 끼울 수 있도록 상면에 끼움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용기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에 따르면, 용기 받침부에 화장품 용기들의 하부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태로 끼움홈을 형성하고, 끼움홈에 화장품 용기들을 모두 세워서 끼운 상태로 포장 및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종래 눕혀서 포장 및 운반한 것에 비하여 그 용적이 작아져 포장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화장품들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세워서 배열하는 구성으로 전시를 할 때나 사용을 할 때에 입체적 미감과 상품적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들을 모두 세워서 전시, 포장, 운반하여 별도의 화장품 진열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종국에 소비자가 포장 케이스를 단순 폐기물로 버리지 않고 자신의 화장품 진열함 또는 화장품 정리함 등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 보호를 유도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PACKING CASE FOR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장품 용기들을 세워서 포장 및 운반이 가능하고 화장품 진열대 및 정리함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 보호를 유도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다수 개의 품목, 예컨대 로션, 스킨, 크림 등을 1세트 단위로 하여 화장품 용기들을 포장 케이스에 수납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는 종이함 혹은 플라스틱 수지로 제작되어, 수납되는 화장품 용기의 보호와 안전한 운반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는 화장품 용기를 포장 및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한 후에는 생활 폐기물로 버려짐으로써 환경파괴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한편, 기존 화장품 정리함의 경우 칸막이로 배열된 범용제품이 별도로 판매되고 있고, 일반 여성의 화장대에는 다수의 화장품이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어 소비자는 별도의 비용으로 화장품 정리함 혹은 트레이(Tray)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는 화장품 용기들을 모두 눕혀서 수납 포장 및 배송하므로 화장품 내용물이 화장품 용기 밖으로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화장품을 눕힌 상태로 배열하므로 전시를 할 때 입체적인 미감이 떨어지므로 판매 매장에서는 전시용 아크릴 전시함을 별도로 제작하여 화장품을 진열 판매하게 된다. 이는 생산 측면에서 추가 낭비요소이며, 또한, 산업(생활) 폐기물이 추가로 늘어나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용기 받침부에 화장품 용기들의 하부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태로 끼움홈을 형성하고, 끼움홈에 화장품 용기들을 모두 세워서 끼운 상태로 포장 및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종래 눕혀서 포장 및 운반한 것에 비하여 그 용적이 작아져 포장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화장품들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세워서 배열하는 구성으로 전시를 할 때나 사용을 할 때에 입체적 미감과 상품적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들을 모두 세워서 전시, 포장, 운반하여 별도의 화장품 진열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종국에 소비자가 포장 케이스를 단순 폐기물로 버리지 않고 자신의 화장품 진열함 또는 화장품 정리함 등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 보호를 유도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는,
화장품 용기들을 수납하여 포장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들을 세워서 끼울 수 있도록 상면에 끼움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용기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홈은,
상기 화장품 용기의 하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홈은,
저면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화장품 용기를 편리하게 취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홈은,
내측면에 고무 패킹이 설치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화장품 용기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받침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는,
상기 용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 받침부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는 하부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부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화장품 용기들이 위치되는 상부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부와 결합했을 때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상판 저면이 상기 화장품 용기들 중에서 가장 높은 상기 화장품 용기의 뚜껑의 상단에 닿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는,
화장품 용기 진열대 및 정리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에 따르면, 용기 받침부에 화장품 용기들의 하부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태로 끼움홈을 형성하고, 끼움홈에 화장품 용기들을 모두 세워서 끼운 상태로 포장 및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종래 눕혀서 포장 및 운반한 것에 비하여 그 용적이 작아져 포장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화장품들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세워서 배열하는 구성으로 전시를 할 때나 사용을 할 때에 입체적 미감과 상품적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들을 모두 세워서 전시, 포장, 운반하여 별도의 화장품 진열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종국에 소비자가 포장 케이스를 단순 폐기물로 버리지 않고 자신의 화장품 진열함 또는 화장품 정리함 등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 보호를 유도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측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측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끼움홈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화장품 용기를 편리하게 취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끼움홈에 고무 패킹을 설치하여 화장품 용기를 밀착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를 화장품 용기 진열대 및 정리함으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측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는, 각종 화장품 용기(10)들을 수납하여 포장할 수 있는 용기 받침부(110)를 포함하며, 그 외에 하부 케이스부(120) 및 상부 케이스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용기 받침부(110)는 화장품 용기(10)들을 수납하여 포장하는 구성이다. 용기 받침부(110)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 케이스부(120)는 용기 받침부(110)의 하부 외측에 삽입되며, 용기 받침부(110)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스부(120)를 사각형의 용기 받침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케이스부(120)는 용기 받침부(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면체로 제작되면 충분하다. 또한, 하부 케이스부(120)는 후술할 상부 케이스부(1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하부 케이스부(120)의 상단 외측 가장자리면에 단차턱 형태로 결합홈(121)을 형성하여 후술할 상부 케이스부(130)의 하단 내측 가장자리면이 결합홈(121)과 맞물려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부(130)는 하부 케이스부(12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화장품 용기(10)들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스부(130)를 사각형의 하부 케이스부(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구된 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케이스부(130)는 하부 케이스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면체로 제작되면 충분하다. 또한, 상부 케이스부(130)는 하부 케이스부(120)와 결합했을 때 상부 케이스부(130)의 상판 저면이 화장품 용기(10)들 중에서 가장 높은 화장품 용기(11)의 뚜껑의 상단에 닿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측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끼움홈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화장품 용기를 편리하게 취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의 용기 받침부의 끼움홈에 고무 패킹을 설치하여 화장품 용기를 밀착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받침부(110)는 대소형의 화장품 용기(10) 3~5개를 세울 수 있는 정도의 사각형 면체 형태로 제작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 받침부(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면체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용기 받침부(11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받침부(110)는 화장품 용기(10)들을 모두 세워서 끼울 수 있도록 상면에 끼움홈(111)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받침부(110)의 상면에 끼움홈(111)을 5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되는 화장품 용기(10)들의 개수와 크기에 대응되도록 끼움홈(111)의 개수와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끼움홈(111)은 화장품 용기(10)들이 모두 세워져 끼워질 수 있도록 화장품 용기(10)들의 하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설된다. 예를 들어, 화장품 용기(10)가 사각기둥체, 즉 화장품 용기의 하부 단면이 사각형일 경우 끼움홈(111)을 사각형의 요홈 형태로 형성하고, 화장품 용기(10)가 원기둥체, 즉 화장품 용기(10)의 하부 단면이 원형일 경우 끼움홈(111)을 원형의 요홈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끼움홈(111)의 저면이 용기 받침부(110)의 저면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끼움홈(111)의 깊이를 용기 받침부(110)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111)의 저면에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111a)이 형성되어 끼움홈(111)에 끼워진 화장품 용기(10)를 편리하게 취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끼움홈(111)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111a)의 경사 각도를 너무 크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화장품 용기(10)를 끼움홈(111)에 세워서 포장하여 운반할 때 전방으로 기울어져서 끼움홈(111)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끼움홈(111)의 경사면(111a)은 경사 각도를 화장품 용기(10)를 편리하게 취출이 가능할 정도의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111)의 내측면, 바람직하게는 끼움홈(111)의 전방 내측면 상부에는 고무 패킹(113)이 부착되어 끼움홈(111)에 끼워진 화장품 용기(10)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함으로써, 화장품 용기(10)를 포장한 상태에서 운반 취급시 화장품 용기(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를 화장품 용기 진열함 또는 정리함으로 사용시, 끼움홈(111)에서 화장품 용기(10)의 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를 화장품 용기 진열대 및 정리함으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는 화장품 용기(10)들을 수납하여 포장하는 포장 케이스의 용도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 용기(10)들 모두 세워서 전시, 진열하는 화장품 진열대 혹은 화장품을 정리, 보관하는 화장품 정리함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는 용기 받침부(110)에 화장품 용기(10)들의 하부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태로 끼움홈(111)을 형성하고, 끼움홈(111)에 화장품 용기(10)들을 모두 세워서 끼운 상태로 수납 포장 및 배송하게 되므로 종래에 화장품 용기들을 눕혀서 포장한 것에 비하여 화장품 내용물이 화장품 용기 밖으로 누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종 화장품들을 세워서 포장하므로 화장품 포장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화장품과 별도로 사은품(미도시)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각종 화장품들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세워서 배열하므로 전시를 할 때나 사용을 할 때에 입체적인 미감이 뛰어나고 상품적 가치도 높일 수 있으며,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10)들을 모두 세워서 전시, 포장, 운반하여 별도의 화장품 진열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종국에 소비자가 포장 케이스를 단순 폐기물로 버리지 않고 자신의 화장품 진열함 또는 화장품 정리함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화장품 진열대 또는 화장품 정리함을 별도로 구매하는 2중 구매를 방지할 수 있고, 포장 케이스의 생활 폐기물로 인한 환경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110: 용기 받침부 111: 끼움홈
113: 고무 패킹 120: 하부 케이스부
130: 상부 케이스부

Claims (9)

  1. 화장품 용기(10)들을 수납하여 포장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10)들을 세워서 끼울 수 있도록 상면에 끼움홈(111)이 복수 개 형성되는 용기 받침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11)은,
    상기 화장품 용기(10)의 하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11)은,
    저면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111a)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11)에 끼워진 상기 화장품 용기(10)를 편리하게 취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11)은,
    내측면에 고무 패킹(113)이 설치되어 상기 끼움홈(111)에 끼워진 상기 화장품 용기(10)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받침부(11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는,
    상기 용기 받침부(110)의 하부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 받침부(110)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는 하부 케이스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는,
    상기 하부 케이스부(12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화장품 용기(10)들이 위치되는 상부 케이스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130)는,
    상기 하부 케이스부(120)와 결합했을 때 상기 상부 케이스부(130)의 상판 저면이 상기 화장품 용기(10)들 중에서 가장 높은 상기 화장품 용기의 뚜껑의 상단에 닿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는,
    화장품 용기 진열대 및 정리함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100).
KR1020130048965A 2013-04-30 2013-04-30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KR101458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965A KR101458976B1 (ko) 2013-04-30 2013-04-30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965A KR101458976B1 (ko) 2013-04-30 2013-04-30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350A true KR20140130350A (ko) 2014-11-10
KR101458976B1 KR101458976B1 (ko) 2014-11-12

Family

ID=5228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965A KR101458976B1 (ko) 2013-04-30 2013-04-30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094A (ko) * 2017-02-28 2018-09-05 임병문 제품 수용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267B1 (ko) 2020-03-12 2020-09-02 한유리 제품 탈락 방지용 종이패드 및 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KR102559763B1 (ko) 2021-03-08 2023-07-27 주식회사그린패키지솔루션 제품 포장 용기
KR102371782B1 (ko) 2021-07-30 2022-03-10 주식회사 아메바랩 제품 탈락 방지용 종이패드 및 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884Y2 (ja) * 1991-01-22 1997-08-20 紀伊産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内蔵収容体
KR0112957Y1 (ko) * 1994-11-09 1998-04-15 한동근 다종 화장품 포장지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094A (ko) * 2017-02-28 2018-09-05 임병문 제품 수용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976B1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845B1 (en) Product packaging arrangement having retainer
KR101458976B1 (ko)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US8783459B1 (en) Product suspension packaging
US20060261023A1 (en) Display and storage apparatus
US20020162771A1 (en) Interactive display packaging
US6386368B1 (en) Product packaging arrangement for shipping and display
US3451536A (en) Shipping and display package
WO2018200428A1 (en) Packing system and method of packing
KR20190009922A (ko) 진열 기능을 구비한 포장용 상자
JP2011255177A (ja) 付け爪用展示パッケージ
KR200469737Y1 (ko) 진열대 겸용 포장케이스
KR20040042018A (ko) 수납 겸용 포장상자 어셈블리
KR100978460B1 (ko)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US3881598A (en) Display package
KR101631824B1 (ko) 상품 포장박스
KR20120103210A (ko) 상품 경사 진열이 가능한 상품 진열함 겸용 포장상자
US20100101967A1 (en) Bulk reclosable package display
JP7300867B2 (ja) シート包装材およびそれを用いる包装体
KR101237236B1 (ko) 탈부착 덮개를 갖는 포장용 상자
KR20040073759A (ko) 포장 상자
JP3185554B2 (ja) 物品収納箱
CN201231880Y (zh) 三角立体包装盒
KR200185219Y1 (ko) 상품 진열용 상자
CN202144323U (zh) 多个产品包装展示箱
JP2009037904A (ja) 電池梱包体及び電池梱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