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058U - 일회용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058U
KR20110008058U KR2020100001420U KR20100001420U KR20110008058U KR 20110008058 U KR20110008058 U KR 20110008058U KR 2020100001420 U KR2020100001420 U KR 2020100001420U KR 20100001420 U KR20100001420 U KR 20100001420U KR 20110008058 U KR20110008058 U KR 20110008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isposable
coated paper
container
disposabl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수
Original Assignee
강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수 filed Critical 강승수
Priority to KR2020100001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058U/ko
Publication of KR20110008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0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6Butter or cheese dishes or covers, with or without cooling or heating devices; Protective covers for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을 담기 위해서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일회용식품용기의 음식물이 접촉되는 부분으로 여러 겹의 코팅지가 부착되어 수 회 이상 사용함으로써 쉽게 폐기되는 일회용식품용기의 폐기물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식품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담기기 위한 수용공간부가 구비된 일회용식품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이 접촉되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면에는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코팅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식품용기{DISPOSABLE FOOD VESSEL}
본 고안은 일회용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을 담기 위해서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일회용식품용기의 음식물이 접촉되는 부분으로 여러 겹의 코팅지가 부착되어 수 회 이상 사용함으로써 쉽게 폐기되는 일회용식품용기의 폐기물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식품용기는 각종 음식물을 담아 간편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식품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로서는 종래에는 발포합성수지재, 은박재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음식점 등에서는 햄버거, 김밥, 반찬 포장용기, 즉석라면 포장용기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중 비교적 단단하면서도 친환경적인 폴리프로필렌(PP)을 재질로 하는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일회용식품용기들은 그 가격이 저렴하고 어느 곳에서나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여름철 휴가기간 등에는 야외에서 사용량이 급격하게 늘어나게 되면서 산과 바다 등에 함부로 버려지게 되어 그 대부분이 자연분해되지 않는 산업폐기물로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환경 보호 차원에서 일회용식품용기들을 펄프 재질 등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와같은 경우에는 그 강도와 보존성이 저하되므로 소비자들은 공급되는 물품의 재료와는 무관하게 가격차가 크지 않으면서 견고한 재질을 갖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발생됨에 따라 아직까지도 제조업체에서는 불가피하게 발포성합성수지재 또는 은박재를 재질로 하는 일회용식품용기들을 많이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였다. 이 때문에, 불포화성 물질이나 발암물질이 내포되어 있는 재료로 제조된 식품용기는 일회성으로 사용되어 쉽게 자연에 방치되거나 버려질 경우 수 백년 동안 자연 분해되지 못하고 잔존하게 됨으로써 자연환경을 훼손시키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회용식품용기의 음식물이 접촉되는 부분에 여러 겹으로 적층된 코팅지가 구비되어 일 회 사용할 때마다 코팅지를 한 층씩 벗겨내어 불가피하게 사용하여야 하는 일회용식품용기를 최대한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식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식품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담기기 위한 수용공간부가 구비된 일회용식품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이 접촉되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면에는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코팅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식품용기는, 상기 복수개의 코팅지는 상기 코팅지를 낱장으로 벗겨내도록 상기 코팅지 각각의 가장자리에 박리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식품용기는 상기 일회용식품용기의 음식물이 접촉되는 부분에 여러 겹으로 적층된 코팅지가 구비되어 일 회 사용할 때마다 코팅지를 한 층씩 벗겨내어 불가피하게 사용하여야 하는 일회용식품용기를 최대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식품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식품용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식품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식품용기(1)는 음식물이 접촉되는 부분이 방수되도록 내부에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본체(10)의 상부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코팅지(20)가 부착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식품용기(1)는, 용기본체(10), 코팅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음식물이 담길 수 있도록 발포성 폴리스티렌, 친환경적인 펄프재, 폴리프로필렌(PP)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이 담길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11)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공간부(11)는 중앙으로 평평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1a)와, 상기 바닥부(11a)의 주변을 감싸도록 상부로 소정 연장된 측벽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는 상기 수용공간부(11)의 외측 상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평평면을 형성하는 손잡이부(1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는 야외의 공원 또는 유원지 등에서 작은 양의 음식물을 간단히 담아 사용할 수 있도록 납작한 그릇 형태로 형성되거나, 밥이나 국 등을 담을 수 있도록 비교적 내부 공간이 넓은 면을 형성하는 용기와 컵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나, 통상적으로 일회용의 식품용기는 비교적 단가가 저렴한 제품을 생산하여야 하는 제품의 성격상 금형 등이 단순하게 이루어지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단순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에는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용기뚜껑(도면 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코팅지(2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면 즉, 음식물이 접촉되는 상기 수용공간부(11)의 상부면이 방수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11)의 상부면에 겹겹이 적층되도록 복수개 구비된 것이다. 상기 코팅지(20)는 상기 수용공간부(11)에 담긴 음식물을 처리한 후에 낱장으로 박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11)의 상부면에 다양한 형태로 층층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하로 이웃하여 겹쳐지는 코팅지(20)들의 정전기에 의해 서로 부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용기본체(10)를 성형함과 동시에 그 상부에 융착 또는 점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인체에 무해하고 방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면 어떤 형태로든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지(20)가 하부층으로 수분이 침투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비닐재로 형성된 코팅지(20)를 적용하여 음식물에 접촉된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코팅지(20)를 벗겨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비닐재의 코팅지(20)는 성형이 간편하고 제품의 단가 면에서도 저렴하기 때문에 본 고안 일회용식품용기(1)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구성인 것이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코팅지(20)는 상기 코팅지(20)를 낱장으로 벗겨내도록 상기 코팅지(20) 각각의 가장자리에 박리손잡이(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코팅지(2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손잡이부(12)의 테두리 부분(12a)의 말단을 감싸는 형태로 그 하단부까지 연장되게 부착되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팅지(20)를 벗겨내어야 할 경우 상기 손잡이부(12)의 하단부에서 상기 코팅지(20)의 가장자리가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육안으로 확인하여 벗겨내기가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상기 코팅지(20)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손잡이부(12)의 테두리 부분(12a)의 하단부에서 하부로 쳐지는 상태로 돌출되는 박리손잡이(21)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코팅지(20) 각각에 구비된 상기 박리손잡이(21)는 상기 손잡이부(12)의 테두리 부분(12a)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서로 접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용기본체(10)의 수용공간부(11)에 담긴 음식물을 처리한 후에 상기 복수개의 코팅지(20) 각각에 구비된 박리손잡이(21)를 파지하여 낱장으로 코팅지(20)를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일회용식품용기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일회용식품용기 10 용기본체
11 수용공간부 11a 바닥부
12 손잡이부 12a 테두리 부분
20 코팅지 21 박리손잡이

Claims (2)

  1. 내부에 음식물이 담기기 위한 수용공간부가 구비된 일회용식품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이 접촉되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면에는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코팅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식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코팅지는 상기 코팅지를 낱장으로 벗겨내도록 상기 코팅지 각각의 가장자리에 박리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식품용기.
KR2020100001420U 2010-02-08 2010-02-08 일회용식품용기 KR201100080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20U KR20110008058U (ko) 2010-02-08 2010-02-08 일회용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20U KR20110008058U (ko) 2010-02-08 2010-02-08 일회용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058U true KR20110008058U (ko) 2011-08-17

Family

ID=4559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420U KR20110008058U (ko) 2010-02-08 2010-02-08 일회용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05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071A (ko) * 2016-01-25 2017-08-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다층의 필름이 구비되는 접시
US20220296014A1 (en) * 2021-03-18 2022-09-22 Peelable Dinnerware LLC Peelable dinnerwa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071A (ko) * 2016-01-25 2017-08-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다층의 필름이 구비되는 접시
US20220296014A1 (en) * 2021-03-18 2022-09-22 Peelable Dinnerware LLC Peelable dinnerwa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54454A1 (en) Kit for storing and serving pet food
HUE042716T2 (hu) Mikrohullámú és hagyományos sütõben alkalmazható, vákuumfóliával csomagolt, lezárt tartály egy élelmiszerterméket tartalmazó edénnyel és egy lezárt, hõformázható poliészterfólia-tetõvel
KR20110008058U (ko) 일회용식품용기
US20140027459A1 (en) Multi-Layered Container
JP5233060B1 (ja) 即席食品容器
KR101951990B1 (ko) 다층의 필름이 구비되는 접시
KR101366395B1 (ko) 컵라면용기의 덮개구조
KR20160018192A (ko) 포켓 구조를 가진 용기
JP3212187U (ja) 使い捨てカップ
KR20120006857U (ko) 컵라면 구멍있는 탈부착식 내장형 앞접시
JP3223781U (ja) 再使用可能な食器
CN210972252U (zh) 一种复合杯
KR100598483B1 (ko) 포크가 구비된 일회용 용기
JP3159738U (ja) 弁当容器
JP3146234U (ja) 食品容器
KR20100127160A (ko) 소스수용부가 형성된 음식물 용기 뚜껑
KR20230014222A (ko) 바닥이 둥근 일회용 용기
JP4694252B2 (ja) 容器
JP4344722B2 (ja) 残余液処理体付き食品容器及びその食品容器と食品の組み合わせ
JP3134181U (ja) 使い捨てカップセット
RU120949U1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акет-вкладыш
KR101420210B1 (ko) 일회용 식기재 장착용 부착물 및 이를 갖는 식품 용기 뚜껑
EP3393309B1 (en) Disposable kit and process for assembling such kit
JP2022159966A (ja) 多用途簡易容器
JP3178224U (ja) 食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