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665A -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 Google Patents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665A
KR20110007665A KR1020090065211A KR20090065211A KR20110007665A KR 20110007665 A KR20110007665 A KR 20110007665A KR 1020090065211 A KR1020090065211 A KR 1020090065211A KR 20090065211 A KR20090065211 A KR 20090065211A KR 20110007665 A KR20110007665 A KR 20110007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stretcher
leg
rot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662B1 (ko
Inventor
윤명오
정강화
이영주
윤준하
송혜미
신상도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6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7Stretcher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5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 A61G1/0256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having wheels which support exclusively if stretcher is in low position, e.g. on the folded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 A61G5/085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up and down,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것(Stretcher)에 관한 것으로서, 응급환자 등을 이송할 경우에 휠체어로 변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 부위를 상승시킬 수도 있는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은 메인 프레임 또는 시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 프레임 및 상기 레그 프레임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를 포함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들것(Stretcher), 상하 양방향, 접철, 회동 조절부, 레그 프레임

Description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Stretcher capable of folding up and down}
본 발명은 들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레그 프레임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를 두어 레그 프레임의 상하 회동운동이 가능한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에 관한 것이다.
응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소방대원이 신속하게 현장으로 이동하여 생사의 갈림길에 있는 환자를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한 들것(Stretcher) 또는 앰블런스 간이침대가 필요하다.
119 소방대원 또는 경찰관 등은 응급 구조신호를 받으면 들것을 들고 가 환자를 들것에 올려놓고 소방차에 싣고 병원으로 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휠체어로 변형될 수 있는 들것, 휴대용 접철식 들것 등 다양한 형태의 들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휠체어 형태의 들것, 휴대용 들것 등의 다양한 형태의 들것이 각각의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용도가 조금씩 다르고 응급사항을 제보 받고 출동 하는 소방대원은 현장상황을 정확히 알 수 없어 일반적으로 하나의 들것을 들고 가는데 들고간 들것이 환자 후송에 적합한 것이 아니면 다시 다른 들것을 가지고 올 수 밖에 없어 환자 후송에 지장을 준다.
한편, 소방대원은 휠체어로 변형될 수 있는 들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들고 갔지만, 앉힐 수 없는 환자일 경우에는 다시 다른 들것을 가지고 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들것이 필요하다.
또한, 건축기준법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크기는 1.5m이상이다. 따라서 많은 건물의 엘리베이터의 크기는 1.5m인데 1.5m를 초과하며 통상 들것의 크기는 1.8m이다.
이로 인하여 들것이 수평으로 들어가지 않는 엘리베이터가 많아 들것이 엘리베이터 안으로 들어가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휠체어 형태의 들것이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를 앉힌 상태에서 수송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심정지 상태의 환자, 심장질환 환자는 하체를 높은 곳을 향하도록 하여 후송해야 하는데 엘리베이터에 앉혀 싣고 내려와야 한다면 환자는 더 위험한 상태에 빠지게 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소방대원들은 휴대용 들것을 이용하여 계단으로 내려오는데 건물이 초고층화되면서 높은 곳에 환자가 있을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또한 위험할 수밖에 없다.
다음 표 1은 통계청에서 발표한 2005년 우리나라의 10대 사망원인을 비교한 표이다.
[표 1] 2005년 우리나라의 10대 사망원인
순위 사망원인 사망자수
(인구10만명당)
사망자수
(명)
사망비율
(%)
1 134.5 245,511 26.7
2 뇌졸중 64.3 65,479 12.7
3 심장질환 39.6 31,303 7.9
4 자살 26.1 19,279 4.9
5 당뇨병 24.2 12,706 4.8
6 간질환 17.3 11,781 3.4
7 운수사고 16.3 8,422 3.2
8 만성하기도질환 15.5 7,935 3.1
9 고혈압성질환 9.3 7,546 1.8
10 폐렴 8.6 4,528 1.7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에서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율은 자살, 당뇨병보다 높으며 전체적으로 사망원인 중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 표 2는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심정지 환자의 소생율을 비교한 표이다.
[표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심정지 환자의 소생율 비교
국가(도시) 소생율(%) 비고


한국(2006년~2007년)


서울 4.6

한국의 자료는 2006.5 ~ 2007.4까지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OOO 교수가 전국 800개 병원을 대상으로 119 구급대가 이송한 심정지 환자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임
부산 1.4
인천 4.3
경기 3.3
대구 1.7
TOTAL 2.4
스웨덴(2005년) TOTAL 14
일본(2007년)
오사카 12
TOTAL 10.2

미국(2006~2007년)

SEATLE 8.1
PORTLAND 6.5
PITTSBURG 3.3
TOTAL 8.4
캐나다 VANCOUVER 6.7
한국에서는 심정지 환자를 후송 후 소생가능성은 2.4%정도이고, 스웨덴의 경우 약 14%이고, 미국의 경우에는 약 8.4%이며 심지어 30%이상이라는 연구보고서도 있다. 한국과 선진국과의 들것이 다른 것이 아니라 단지 미국은 높은 건물보단 낮은 건물이 많고 좁은 엘리베이터 보단 넓은 엘리베이터가 많기 때문이다.
즉, 좁은 엘리베이터로 인하여 들것을 접어야 하는데 현재 사용되는 들것은 휠체어 형태로 아랫방향으로 접는 방식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하체를 상방향으로 들어 줘야 하는 심정지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하체를 하방향으로 하는 경우 하체로 피가 쏠리게 되어 심정지 환자에게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상하 양방향으로 접철이 가능한 들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고층 또는 초고층의 다세대 공동주택의 좁은 엘리베이터 구조로 인해 양방향 접철식 들것이 절실히 필요하며, 응급상황 발생시 소방대원 등이 신속하게 환자를 운송하기 위해서는 보다 간단한 구조의 들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휠체어 형태로 변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체를 위로 올려 받칠 수 있고 접철이 가능하며 구조가 간단한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하며 인체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 또는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 프레임; 및 상기 레그 프레임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를 포함하는 들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그 프레임이 상측으로 회동시 상기 시트 프레임도 같은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그 프레임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회동조절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조절 프레임을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레그 프레임이 하측으로 회동하여 휠체어가 되고, 상기 회동조절 프레임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시트 프레임과 레그 프레임이 상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 조절부는 상기 회동조절 프레임에 고정연결된 제1회동바, 상기 제1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회동바, 상기 제2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레그 프레임에 고정연결되는 제3회동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휠체어 형태로 변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체를 위로 올려 받칠 수도 있어 하체가 아래로 내려가면 위험한 환자도 안전하게 후송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로 변형하거나 하체를 위로 올려가도록 함으로써 좁은 엘리베이터에 탑승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어 경제적인 들것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것의 펼친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은 메인 프레임(100), 메인 프레임에 결합하며 인체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 프레임(300), 시트 프레임(300) 또는 메인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 프레임(400) 및 레그 프레임(400)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600)을 포함하며, 등받이 프레임(200), 회동조절 프레임(5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 등받이 프레임(200), 시트 프레임(300), 레그 프레임(400), 회동조절 프레임(500) 및 회동 조절부(600)는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프레임, 플라스틱 또는 목재 프레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텅빈 파이프 형태, 또는 솔리드 형태의 로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200)은 응급환자 발생시 환자의 등 또는 머리 부위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도면에는 사각의 프레임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사각형 프레임 안에 다른 파이프, 솔리드 로드나 평판 시트 등을 더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시트 프레임(300)은 응급환자의 둔부 또는 허리부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도면에는 사각의 프레임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사각형 프레임 안에 다른 파이프, 솔리드 로드나 평판 시트 등을 더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레그 프레임(400)은 응급환자의 다리 부위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도면에는 사각의 프레임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사각형 프레임 안에 다른 파이프, 솔리드 로드나 평판 시트 등을 더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동조절 프레임(500)은 본 발명의 들것이 휠체어로 변하거나 하체 부위를 올려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환자의 이송시 구급대원 등이 들것을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회동 조절부(600)는 레그 프레임(400)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도 1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그 프레임(400)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며, 들것을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등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면 되고 본 발명의 핵심과는 무관하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며,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들것을 끌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바퀴(152, 154, 156, 158)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들것을 휠체어로 변형시킨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것의 하체 부위를 위로 올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인체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 프레임(300), 시트 프레임(300) 또는 메인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 프레임(400) 및 레그 프레임(400)과 연결되어 레그 프레임(400)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600)를 포함함에 그 특징이 있으며, 도 2, 도 3 및 도 4는 일례로서, 회동조절 프레임(500)의 상하 회동운동을 통해 레그 프레임(400)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즉, 회동조절 프레임(500)이 회동 조절부(600)와 연결되어 레그 프레임(400)의 회동 운동을 조절하는 예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것의 회동 조절부(600)는 회동조절 프레임(500)과 고정연결된 제1회동바(600a), 제1회동바(600a)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동바(600b), 제2회동바(600b)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레그 프레임(400)과 고정연결되는 제3회동바(600c)로 구성된다.
먼저 휠체어로 변형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손잡이바(502)를 잡고 회동조절 프레임(500)을 회동조절 프레임 회동축(510)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회동조절 프레임(500)과 고정연결된 제1회동바(600a)도 같이 회전하게 되고, 제1회동바(601a)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회동바(600b)를 끌어당기게 된다.
한편, 제2회동바(600b)는 레그 프레임(400)과 고정연결된 제3회동바(600c)를 끌어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레그 프레임(400)이 하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회동조절 프레임(500)의 회동운동에 따라 레그 프레임(400)의 회동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 제1회동바(600a)와 제2회동바(600b)가 이루는 각도(α)와 제2회동바(600b)와 제3회동바(600c)가 이루는 각도(β)는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회동조절 프레임(500)을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제1회동바(600a)와 제2회동바(600b)가 이루는 각도(α)는 작아지게 되고, 제2회동바(600b)와 제3회동바(600c)가 이루는 각도(β)는 커지게 된다.
하체 부위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손잡이바(502)를 잡고 회동조절 프레임(500)을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회동조절 프레임(500)과 고정연결된 제1회동바(600a)도 같이 회전하게 되고, 제1회동바(601a)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회동바(600b)를 밀게 되고, 제1회동바(600a)와 연결된 제2회동바(600b)를 다시 밀게 되며, 제2회동바(600b)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레그 프레임(400)과는 고정연결된 제3회동바(600c)를 밀게 된다.
즉, 회동조절 프레임(500)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제1회동바(600a)와 제2회동바(600b)가 이루는 각도(α)는 커지게 되고, 제2회동바(600b)와 제3회동바(600c)가 이루는 각도(β)는 작아지게 되며, 최종적으로 레그 프레임(400)을 상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예는 레그 프레임(400)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일례에 불과하며 다른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제1회동바(600a), 제2회동바(600b) 및 제3회동바(600c)가 좌우 측면에 두개씩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중심 부근에 각각 한개씩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등받이 프레임(200)의 상하 회동운동은 등받이 프레임(200) 자체만을 회동시킬 수도 있고, 회동조절 프레임(500)의 회동운동에 따라 같이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일례로서 회동조절 프레임(500)의 회동운동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200)이 같이 회동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시트 프레임(300)은 시트 프레임 회동바(30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시트 프레임 회동바(302)의 회전에 따라 시트 프레임(300)도 같이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 시트 프레임 회동바(300)는 회동운동을 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시트 프레임은 고정된 상태, 즉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레그 프레임(400)만 회동운동을 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레그 프레임(400)이 시트 프레임(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레그 프레임(400)을 메인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레그 프레임(400)만을 회동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지지바(102), 제2지지바(104), 제3지지바(106) 및 제4지지바(108)는 메인프레임(100) 및 이에 연결된 등받이 프레임(200), 시트 프레임(300), 레그 프레임(400) 및 회동조절 프레임(500)을 지탱해준다.
아울러, 제1지지바(102), 제2지지바(104), 제3지지바(106) 및 제4지지바(108)가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부분은 회동가능하게 구성하여 들것이 구급차 등에 들어갈 때에는 접어질 수 있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102), 제2지지바(104), 제3지지바(106) 및 제4지지바(108)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들것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파이프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늄 파이프,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간격유지바(112)는 제1지지바(102)와 제2지지바(104)를 연결하여 제1지지바(102)와 제2지지바(104)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제2간격유지바(114)는 제3지지바(106)와 제4지지바(108)를 연결하여 제3지지바(106)와 제4지지바(108)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제3간격유지바(116)는 제1지지바(102)와 제4지지바(108)를 연결시키며, 제4간격유지바(118)는 제2지지바(104)와 제3지지바(106)를 연결시키며, 아울러 들것 전체의 구조를 안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것을 접철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환자를 싣고 와서 구급차에 실을 때에는 회동조절 프레임(500)에 형성된 바퀴(504)가 구급차 바닥에 닿아 원활하게 접철하여 구급차에 실을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접철 구조를 취하기 위해서는 제1지지바(102), 제2지지바(104), 제3지지바(106) 및 제4지지바(108)는 메인 프레임(10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지지바(102), 제2지지바(104), 제3지지바(106) 및 제4지지바(108)는 제1간격유지바(112), 제2간격유지바(114), 제3간격유지바(116) 및 제4간격유지바(118)과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각각의 연결구조 및 고정구조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조절 프레임 위치 고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회동조절 프레임 위치 고정 구조의 단면도이다.
회동조절 프레임(500)의 회동 위치, 즉 회동각 고정은 손잡이부(50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파이프 형태의 제1고정바(702), 제1고정바(704)보다 단면적이 작은 파이프 또는 로드로 형성되는 제2고정바(704) 및 제1고정바(702) 및 제2고정바(704)를 고정시켜주는 수평지지바(706)에 등에 의해 수행된다.
즉, 평상시에는 각도조절레버(708)는 제2고정바(704)에 형성된 홀(710)에 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레그 프레임(400)의 각도를 변경할 경우에는 각도조절레버(708)를 당겨 스프링(720)을 압축하면 각도조절레버(708)가 홀(710)에서 빠져 나오고 원하는 위치(각 도)에 이르러 각도조절레버(708) 놓으면 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해 홀(710)에 고정되게 된다.
도 8은 레그 프레임이 상방향으로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환자를 싣고 좁은 엘리베이터 등에 들어가는 경우, 특히 심장질환 환자 같은 경우에는 하체를 아래로 내리면 위험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고, 이런 경우에는 들것을 휠체어 형태로 변형하여 들어갈 수 없다.
본 발명은 레그 프레임(400)이 상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들것의 길이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회동조절 프레임(50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다시 한번 들것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좁은 엘리베이터에 들어갈 수 있으며, 특히 휠체어 형태로 변형이 불가능한 심장질환 환자 등을 운송하는 때에 매우 유익하다.
레프 프레임(400)의 선단에 형성된 바퀴(402)는 레그 프레임(400)이 상방향으로 회동시 엘리베이터 벽면을 원활히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해주며 상기 바퀴(402)는 레그 프레임에 존재하는 로드(404)에 형성될 수 있으며, 물론 상기 로드(404)가 존재하지 않고 레그 프레임(400)의 특정 부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은 휠체어 형태로 변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체를 위로 올려 받칠 수도 있어 하체가 아래로 내려가면 위험한 환자도 안전하게 후송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로 변형하거나 하체를 위로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좁은 엘리베이 터에 탑승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어 경제적인 들것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최근 질병관리본부가 지원에 연구과제보고서에 의하면 국내에서 구급차를 이용한 급성 심정지의 발생은 연간 19,477건(2006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하루 약 65건으로 추산된다.
이중 심장성 원인은 약 65%에 달하며, 자살 사망(12,174명, 2008년), 폐암 사망(12,587건, 2003년), 그리고 교통사고 사망(6,166건, 2006년)보다 훨씬 많은 수치이다.
소방방재청의 구급서비스 지표개발 보고서에 의하면 읍급환자 이송에 대한 요청이 도착하면 국내 구급서비스는 현재 약 7분 정도에 현장에 도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심정지 환자는 심정지 발생 후 1분마다 그 생존률이 10%씩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장에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 7분은 매우 늦은 시간이다.
국제소방장협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re Chief)의 권고에 의하면 심정지 같은 응급환자의 발생시 구급대원은 4분 이내에 90%가 도달하도록 그 기준을 요구하고 있는데, 국내 현실은 이에 턱없이 모자라는 약 5% 미만의 달성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4분 이내에 도달한다고 하더라도 문제는 여전한데, 우리나라 국민의 60%가 아파트 같은 고층건물에 거주하고 있고 엘리베이터가 좁아 휠체어 형태로만 변형되는 들것을 사용한다면 심정지 환자에게 매우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항 양방향 접철이 가능하기 때문에 심정지 환자 등의 응급환자의 이송시 그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것의 펼친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들것을 휠체어로 변형시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것의 다리 부위를 위로 올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것을 접철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것을 접철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조절 프레임 위치 고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회동조절 프레임 위치 고정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레그 프레임이 상방향으로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 프레임 102: 제1지지바
104 : 제2지지바 106 : 제3지지바
108 : 제4지지바 112 : 제1간격유지바
114 : 제2간격유지바 200 : 등받이 프레임
300 : 시트 프레임 302 : 시트 프레임 회동바
400 : 레그 프레임 500 : 회동조절 프레임
502 : 손잡이부 510 : 회동조절 프레임 회동축
600 : 회동 조절부 600a :제1회동바
600b : 제2회동바 600c : 제3회동바

Claims (6)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하며 인체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 또는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 프레임; 및
    상기 레그 프레임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
    를 포함하는 들것.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프레임이 상측으로 회동시 상기 시트 프레임도 같은 각도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그 프레임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회동조절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절 프레임을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레그 프레임이 하측으로 회동하여 휠체어가 되고, 상기 회동조절 프레임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시트 프레임과 레그 프레임이 상측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절부는 상기 회동조절 프레임에 고정연결된 제1회동바, 상기 제1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회동바, 상기 제2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레그 프레임에 고정연결되는 제3회동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KR1020090065211A 2009-07-17 2009-07-17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KR10108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11A KR101083662B1 (ko) 2009-07-17 2009-07-17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11A KR101083662B1 (ko) 2009-07-17 2009-07-17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65A true KR20110007665A (ko) 2011-01-25
KR101083662B1 KR101083662B1 (ko) 2011-11-16

Family

ID=4361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211A KR101083662B1 (ko) 2009-07-17 2009-07-17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6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82A (ko)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의자형 접철식 들것
KR20200012230A (ko) 2018-07-26 2020-02-05 박철은 신체 고정용 스트레쳐
KR102195663B1 (ko) 2020-08-27 2020-12-28 백기선 귀걸이 끈 없는 목걸이용 끈 조절 마스크
KR20230002465U (ko) 2022-06-17 2023-12-28 (주)헤리코리아 휴대용 구급 운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18B1 (ko) 2012-07-09 2013-10-08 주식회사 오텍 접철식 들것
KR102024931B1 (ko) * 2017-11-21 2019-09-24 황학선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KR102127412B1 (ko) 2018-12-20 2020-06-2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구급 침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98B1 (ko) * 2006-01-23 2007-05-28 오근제 하지 거상수단이 구비된 구급차용 스트레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82A (ko)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의자형 접철식 들것
KR20200012230A (ko) 2018-07-26 2020-02-05 박철은 신체 고정용 스트레쳐
KR102195663B1 (ko) 2020-08-27 2020-12-28 백기선 귀걸이 끈 없는 목걸이용 끈 조절 마스크
KR20230002465U (ko) 2022-06-17 2023-12-28 (주)헤리코리아 휴대용 구급 운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662B1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662B1 (ko)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US6430761B1 (en) Compact portable patient lift
US9579240B2 (en) Emergency lift and transport chair
Adams et al.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movement devices used to assist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in high-rise building evacuations
WO2017063235A1 (zh) 用于高楼逃生的滑行设备
US7996934B2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person from a wheelchair to a fixed seat
CN103919656A (zh) 一种护理装置
CN107049638B (zh) 一种可以老人自扶折叠式便于转移和急救的轮椅
CN105582618A (zh) 两用高层建筑重力滑降逃生装置
CN105662762A (zh) 一种护理装置
JP2013085638A (ja) 建物内避難設備
CN202665877U (zh) 躺入式入浴系统
CN102743267A (zh) 躺入式入浴系统
CN207330052U (zh) 上下楼梯辅助设备
CN215652101U (zh) 一种多功能下楼救护车担架床
CN108543237A (zh) 轮轨式逃生设备
CN211535207U (zh) 可快换的机载医疗救护单元
CN106080703A (zh) 新生儿火灾救援车
JP2005111092A (ja) 自立訓練用テーブル
KR101826259B1 (ko) 각도조절 가능한 좌판을 갖는 의자
JP4711358B1 (ja) 階段用担架
JP3202436U (ja) 移乗装置
CN206086800U (zh) 新生儿火灾救援车
CN211835038U (zh) 一种多功能紧急救护移动床及紧急治疗平台
CN108821065A (zh) 载人爬楼装置的升降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