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931B1 -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 Google Patents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931B1
KR102024931B1 KR1020170156009A KR20170156009A KR102024931B1 KR 102024931 B1 KR102024931 B1 KR 102024931B1 KR 1020170156009 A KR1020170156009 A KR 1020170156009A KR 20170156009 A KR20170156009 A KR 20170156009A KR 102024931 B1 KR102024931 B1 KR 10202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pair
frame
auxilia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211A (ko
Inventor
황학선
Original Assignee
황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학선 filed Critical 황학선
Priority to KR102017015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9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7Stretcher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31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only fixed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8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 가능한 가변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접철(절곡)되어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을 이송하기 위한 휠체어나 들것(stretcher), 또는 환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간이침대 등과 같은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형태가 변신 가능한 가변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VARIABLE STRUCTURE FOR TRANSFORMING INTO A PATIENT TRANSPORTATION AND RES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 가능한 가변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접철(절곡)되어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을 이송하기 위한 휠체어나 들것(stretcher), 또는 환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간이침대 등과 같은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형태가 변신 가능한 가변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들것(stretcher)이나 휠체어와 같은 이송용 구조물들은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혹은 자력으로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으로 사용되고, 간이침대는 환자 등이 잠시 누워 휴식이나 숙면을 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송용 구조물들은 그 기능과 사용 용도상의 차이로 인해 구조가 서로 달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구입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87-0000060호(공개일: 1987.02.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7429호(공개일: 2011.04.13.)등에서는 휠체어에서 침대, 혹은 침대에서 휠체어로 변신하는 휠체어 겸용 침대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휠체어 겸용 침대는 단순히 휠체어에서 침대, 혹은 침대에서 휠체어로 변신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휠체어와 침대 기능만을 제공할 뿐, 각종 재난사고와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인명사고 발생시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들것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3876호(등록일: 2017.05.30.)에서는 침대형 휠체어에 들것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들것을 분리할 수 있는 침대형 휠체어용 탈부착 들것을 제안하였으나, 별도로 들것 구조물을 제조하여 침대형 휠체어에 탈부착시켜야 함에 따라 제작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KR 10-1987-0000060 A, 1987. 02. 16. KR 10-2011-0037429 A, 2011. 04. 13. KR 10-1743876 B1, 2017. 05. 30.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접철(절곡)되어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을 이송하기 위한 휠체어나 들것(stretcher), 또는 환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간이침대 등과 같은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형태가 변신 가능한 가변형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메인 고정부(11);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일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일측부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1 가변부(12); 및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타측부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2 가변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고정부(11)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과,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 사이에 연결된 지지판(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부(12)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프레임(121)과, 상기 가변 프레임(121) 사이에 각각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대(122, 123)와, 일측부가 상기 가변 프레임(121)의 일측에 체결 고정된 당김 부재(124)와, 상기 가변 프레임(121)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손잡이 부재(125)와, 상기 가변 프레임(12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26)과, 상기 가변 프레임(121)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구름 운동하는 한 쌍의 캐스터(127)와, 상기 가변 프레임(121)에 결합된 안전벨트(128)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변부(13)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프레임(131)과, 상기 가변 프레임(131) 사이에 각각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대(132, 133)와, 상기 가변 프레임(131)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손잡이 부재(134)와, 상기 가변 프레임(13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35)과, 상기 가변 프레임(131)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구름 운동하는 한 쌍의 캐스터(136)와, 상기 가변 프레임(131)에 결합된 안전벨트(137)와, 상기 가변 프레임(131)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 프레임(121)은 타측 양단부가 한 쌍의 결합구(129)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구(129)와 상기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5)를 연결하는 축봉(114)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을 축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하여 접철되고, 상기 한 쌍의 캐스터(127)는 상기 한 쌍의 결합구(129)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31)은 일측 양단부가 한 쌍의 결합구(139)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구(139)와 상기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7)를 연결하는 축봉(116)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타측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접철되고, 상기 한 쌍의 캐스터(136)는 상기 한 쌍의 결합구(139)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가변부(12)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가변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 보조 받침대(14); 상기 제2 가변부(13)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가변부(13)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 보조 받침대(15); 상기 축봉(11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축봉(116)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중앙 받침대(16); 및 상기 가변 프레임(1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대해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보조 캐스터(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는 가변형 구조체를 간이침대로 변신하여 사용할 때 상기 제1 가변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상기 제1 고정대(122)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141)과, 상기 보조 프레임(14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4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이나 간이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상기 제1 가변부(12)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제1 고정대(122)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가변부(12)의 가변 프레임(121)에 대해 경사 배치되어 상기 제1 가변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제2 보조 받침대(15)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 또는 간이침대로 사용할 때 상기 제2 가변부(13)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상기 제2 고정대(133)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151)과, 상기 보조 프레임(15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52)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이나 간이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상기 제2 가변부(13)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제2 고정대(133)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가변부(13)의 가변 프레임(131)에 대해 경사 배치되어 상기 제2 가변부(13)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중앙 받침대(16)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사용할 때, 상기 메인 고정부(11)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부가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축봉(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지지면을 확보하기 위해 원판형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보관되고, 상기 가변형 구조체(10)가 간이침대로 사용시에는 상기 축봉(116)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축봉(116)과 수직하도록 수직 배치되어 상기 메인 고정부(1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캐스터(17)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변신시켜 사용하는 경우 간이침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부가 상기 제1 가변부(12)의 가변 프레임(121)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가변 프레임(12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한 상태에서 구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사용할 때에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 가변부(13)의 가변 프레임(131)의 일측부에 구비된 고정고리(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변신시켜 사용할 때에는 휠체어의 후측부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어 약물통을 걸 수 있도록 걸이대로 사용되는 보조 봉대(18); 및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변신시켜 사용할 때, 환자의 발을 받치는 것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상기 축봉(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 프레임(191)과, 상기 발판 프레임(19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92)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상기 제2 가변부(13)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축봉(116)을 축으로 회동하여 환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전개되는 발판(1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메인 고정부(11)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 배치되도록 상기 축봉(114, 116)을 축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변부(12, 13)를 접철시켜 이들을 서로 삼각형 구조로 배치하고,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는 상기 제2 가변부(13)의 지지판(135) 중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의 하부에 체결된 지지판과 상기 제1 고정대(132) 사이로 진입되어 환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 받침판으로 기능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는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와 나란하도록 전방으로 회동시켜 환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로 기능하도록 하며, 상기 발판(19)은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와 나란하도록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전개시켜 환자의 발을 받치도록 하고, 상기 보조 봉대(18)는 분할된 일부가 손잡이로 가능하는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의 종단부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안전대로 기능하도록 하고, 분할된 나머지 일부는 휠체어의 후측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상기 한 쌍의 보조 캐스터(17)를 교차하도록 결합되어 휠체어의 후측부에 다양한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짐칸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는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시켜 들것, 썬베드, 간이침대 또는 휠체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눈썰매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낚시대를 받치는 낚시용 의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구조물로 변신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되는 가변형 구조체를 도시한 실물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구조체가 들것으로 변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구조체가 썬베드로 변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구조체가 간이침대로 변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구조체가 휠체어로 변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가 휠체어로 변신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구조체가 휠체어로 변신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되는 가변형 구조체를 도시한 실물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구조체가 변신된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들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10)는 각 구성들의 가변을 통해 외형을 변형시켜 환자 이송용 및 휴식용 구조물, 즉, 들것(도 2참조), 썬베드(도 3참조), 간이침대(도 4참조) 및 휠체어(도 5참조)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기본형 구조물로서, 메인 고정부(11)와, 메인 고정부(11)의 일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메인 고정부(11)의 일측부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1 가변부(12)와, 메인 고정부(11)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메인 고정부(11)의 타측부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2 가변부(13)를 포함하여 환자 이송용 구조물 중 들것으로 활용될 수 있다.
메인 고정부(11)는 도 1과 같이, 제1 및 제2 가변부(12, 13)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과,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 사이에 연결되고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113)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고정부(11)는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은 금속 파이프 또는 금속 봉으로 이루어져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가변부(12, 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지지판(113)은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부(도 1상에서 좌우측)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에 용접 또는 볼트를 통해 고정 체결된다. 그리고, 가변형 구조체(10)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들것, 썬베드 또는 간이침대로 변신되는 경우 등 또는 엉덩이를 받치는 받침판으로 기능하고, 도 5와 같이, 휠체어로 변신되는 경우에는 엉덩이를 받치는 받침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짐 적재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판(113)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의 홀이 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변부(12)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 양단부가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프레임(121)과, 가변 프레임(121) 사이에 각각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대(122, 123)와, 일측부가 가변 프레임(121)의 일측에 체결 고정된 당김 부재(124)와, 가변 프레임(121)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손잡이 부재(125)와, 가변 프레임(12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26)과, 가변 프레임(121)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구름 운동하는 한 쌍의 캐스터(127)와, 가변 프레임(121)에 결합된 안전벨트(128)를 포함한다.
가변 프레임(121)은 도 1과 같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과 마찬가지로 금속 파이프 또는 금속 봉으로 이루어지되,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부 양단부가 한 쌍의 결합구(129)를 통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가변 프레임(121)은 각각 한 쌍의 결합구(129, 115)를 연결하는 축봉(114)을 통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을 축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하여 접철(절곡)된다.
제1 및 제2 고정대(122, 123)는 가변 프레임(121)과 동일 재질, 예를 들면, 금속 파이프 또는 금속 봉으로 이루어지고, 가변 프레임(121)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되, 양측부가 각각 가변 프레임(121)에 용접 체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당김부재(124)는 도 1과 같이, 가변 프레임(121)의 일측에 고정된 금속 체인 또는 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당김부재(124)는 가변형 구조체(10)를 짐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이송 캐리어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구조체(10)를 반대로 뒤집은 상태, 즉 캐스터(127)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가변형 구조체(10)를 잡아당겨 그 상부에 실은 짐을 편리하게 이송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 부재(125)는 가변형 구조체(10)를 도 2와 같이, 들것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때 가변 프레임(121)의 일측부를 손으로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가변 프레임(121)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 부재(125)는 그립감을 좋게 하는 한편, 손을 보호하기 위해 열 전도성이 낮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126)은 도 1과 같이, 지지판(113)과 마찬가지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캐스터(127)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가변형 구조체(10)를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변 프레임(121)의 하부를 지면에 지지하고 구름 운동한다. 이러한 한 쌍의 캐스터(127)는 한 쌍의 결합구(129)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가변형 구조체(10)의 형상 변형에 대응하여 다양한 각도로 회동시켜 접철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변형 구조체(10)가 들것이나 간이침대로 변신하는 경우 이들을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보다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캐스터(127)에는 한 쌍의 캐스터(127)를 멈추기 위한 고정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안전벨트(128)는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 간이침대 또는 휠체어로 변신시켜 환자를 실어 이송할 때 환자가 이들 구조물로부터 낙마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벨트로서, 차량이나 비행기 등에 설치되어 있는 공지된 안전벨트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5와 같이, 제2 가변부(13)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프레임(131)과, 가변 프레임(131) 사이에 각각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대(132, 133)와, 가변 프레임(131)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손잡이 부재(134)와, 가변 프레임(13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35)과, 가변 프레임(131)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구름 운동하는 한 쌍의 캐스터(136)와, 가변 프레임(131)에 결합된 안전벨트(137)와, 가변 프레임(131)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를 포함한다.
가변 프레임(131)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과 마찬가지로 금속 파이프 또는 금속 봉으로 이루어지되,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한 쌍의 결합구(139)를 통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의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가변 프레임(131)은 각각 한 쌍의 결합구(139, 117)를 연결하는 축봉(116)을 통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의 타측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접철된다.
제1 및 제2 고정대(132, 133)는 가변 프레임(131)과 동일 재질, 예를 들면, 금속 파이프 또는 금속 봉으로 이루어지고, 가변 프레임(131)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되, 양측부가 각각 가변 프레임(131)에 용접 체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손잡이 부재(134)는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때 가변 프레임(131)의 타측부를 손으로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가변 프레임(131)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 부재(134)는 손으로 파지시 그립감을 좋게 하는 한편, 손을 보호하기 위해 열 전도성이 낮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135)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를 사이에 두고, 이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가변 프레임(131)를 축으로 각각 회동하는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를 기준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지지판(135)은 메인 지지판(113)과 마찬가지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가변형 구조체(10)가 변신되는 형상에 따라 등받이 또는 발판 등으로 사용되기 위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캐스터(136)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가변형 구조체(10)를 보다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변 프레임(131)의 일측부 하부를 지면에 지지한다. 이러한 한 쌍의 캐스터(136)는 결합구(139)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가변형 구조체(10)의 형상 변형에 대응하여 다양한 각도로 회동시켜 접철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변형 구조체(10)가 들것이나 간이침대로 변신하는 경우 이들을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보다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캐스터(136)에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고정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안전벨트(137)는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 간이침대 또는 휠체어로 변신시켜 환자를 실어 이송할 때 환자가 이들 구조물로부터 낙마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벨트로서, 차량이나 비행기 등에 설치되어 있는 공지된 안전벨트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는 각각 일측부가 가변 프레임(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3과 같이, 가변형 구조체(10)를 썬베드 또는 도 4와 같이, 간이침대로 변신시켜 사용할 때 제2 가변부(13)의 가변 프레임(13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10)는 제1 및 제2 가변부(12, 13)로부터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및 제2 가변부(12, 13)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 및 제2 보조 받침대(14, 15)와, 메인 고정부(11)의 축봉(11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축봉(116)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중앙 받침대(16)와, 제1 가변부(12)의 가변 프레임(1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대해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보조 캐스터(17)를 더 포함한다.
제1 보조 받침대(14)는 도 3과 같이,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변신하여 사용할 때 제1 가변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가변부(12)의 제1 고정대(1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고정대(122)를 축으로 접철된다.
이러한 제1 보조 받침대(14)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제1 고정대(122)를 축으로 회동(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141)과, 보조 프레임(14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42)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판(142)은 다른 지지판(126, 135)과 마찬가지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조 받침대(14)는 비사용시, 즉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이나 간이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제1 가변부(12)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도 3과 같이, 제1 고정대(122)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1 가변부(12)의 가변 프레임(121)에 대해 경사 배치되어 제1 가변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제2 보조 받침대(15)는 도 3과 같이, 제1 보조 받침대(14)와 대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도 2참조) 또는 간이침대(도 3참조)로 사용할 때 제2 가변부(13)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 가변부(13)의 제2 고정대(13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고정대(133)를 축으로 접철된다.
이러한 제2 보조 받침대(15)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제2 고정대(133)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151)과, 보조 프레임(15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52)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판(152)은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조 받침대(15)는 비사용시, 즉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이나 간이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제2 가변부(13)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도 3과 같이, 제2 고정대(133)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2 가변부(13)의 가변 프레임(131)에 대해 경사 배치되어 제2 가변부(13)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중앙 받침대(16)는 도 3과 같이,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사용할 때, 가변형 구조체(10)의 중심부, 즉 메인 고정부(11)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부가 메인 고정부(11)의 축봉(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넓은 지지면을 확보하기 위해 원판형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안테나 구조와 같이,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앙 받침대(16) 또한 제1 및 제2 보조 받침대(14, 15)와 마찬가지로, 도 2 및 도 3과 같이, 비사용시, 즉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메인 고정부(11)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보관되고, 가변형 구조체(10)가 간이침대로 사용시에는 도 3과 같이, 축봉(116)을 축으로 회전하여 축봉(116)과 수직하도록 수직 배치되어 메인 고정부(1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한 쌍의 보조 캐스터(17)는 도 3과 같이,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변신시켜 사용하는 경우 간이침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부가 제1 가변부(12)의 가변 프레임(121)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바퀴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가변 프레임(12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한 상태에서 구름 운동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10)는 보조 봉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봉대(18)는 비사용할 때에는 가변형 구조체(10)의 길이방향으로 제2 가변부(13)의 가변 프레임(131)의 일측부에 구비된 고정고리(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가변형 구조체(10)를 도 4와 같이, 휠체어로 변신시켜 사용할 때에는 휠체어의 후측부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어 각종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걸이대에 걸어서 사용하는 약물통(링거)을 간편하게 걸 수 있도록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10)는 발판(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판(19)은 도 5와 같이,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변신시켜 사용할 때, 환자의 발을 받치는 것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축봉(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 프레임(191)과, 발판 프레임(19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92)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판(192)은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판(19)은 비사용시, 즉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제2 가변부(13)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도 5와 같이, 축봉(116)을 축으로 회동(회전)하여 환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전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가 휠체어로 변신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변신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가 휠체어로 변신된 구조물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들것 구조물을 상하가 바뀌도록 뒤집은 후, 메인 고정부(11)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 배치되도록 축봉(114, 116)을 축으로 제1 및 제2 가변부(12, 13)를 접철시켜 이들을 서로 삼각형 구조로 배치한다.
제1 보조 받침대(14)는 도 7과 같이, 제2 가변부(13)의 지지판(135) 중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의 하부에 체결된 지지판과 제1 고정대(132) 사이로 진입되어 일부가 돌출된다. 이때, 제1 보조 받침대(14)의 하부는 제1 고정대(132)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 보조 받침대(14)는 환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 받침판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는 제1 보조 받침대(14)와 나란하도록 전방으로 회동시켜 환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로 기능한다. 발판(119)은 제1 보조 받침대(14)와 나란하도록 제1 보조 받침대(14)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전개된다.
그리고, 보조 봉대(18)는 도 7과 같이, 분할된 일부가 손잡이로 가능하는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의 종단부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안전대로 기능하고, 분할된 나머지 일부는 휠체어의 후측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한 쌍의 보조 캐스터(17)를 교차하도록 결합되어 휠체어의 후측부에 다양한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짐칸으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구조체(10)는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시켜 들것, 썬베드, 간이침대 또는 휠체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눈썰매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낚시대를 받치는 낚시용 의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구조물로 변신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가변형 구조체 11 : 메인 고정부
12 : 제1 가변부 13 : 제2 가변부
14, 15 : 제1 및 제2 보조 받침대 16 : 중앙 받침대
17 : 한 쌍의 보조 캐스터 18 : 보조 봉대
19 : 발판 111, 112 : 한 쌍의 메인 프레임
113 : 지지판 114, 116 : 축봉
115, 117 : 메인 결합구 121 : 가변 프레임
122, 123 : 제1 및 제2 고정대 124 : 당김 부재
125 : 손잡이 부재 126 : 지지판
127 : 한 쌍의 캐스터 128 : 안전벨트
129 : 결합구 131 : 가변 프레임
132, 133 : 제1 및 제2 고정대 134 : 손잡이 부재
135 : 지지판 136 : 한 쌍의 캐스터
137 : 안전벨트 138 : 한 쌍의 보조 지지대
139 : 결합구 141 : 보조 프레임
142 : 지지판 151 : 보조 프레임
152 : 지지판 191 : 발판 프레임
192 : 지지판

Claims (7)

  1. 메인 고정부(11);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일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일측부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1 가변부(12); 및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타측부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2 가변부(13)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고정부(11)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과,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 사이에 연결된 지지판(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부(12)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프레임(121)과, 상기 가변 프레임(121) 사이에 각각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대(122, 123)와, 일측부가 상기 가변 프레임(121)의 일측에 체결 고정된 당김 부재(124)와, 상기 가변 프레임(121)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손잡이 부재(125)와, 상기 가변 프레임(12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26)과, 상기 가변 프레임(121)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구름 운동하는 한 쌍의 캐스터(127)와, 상기 가변 프레임(121)에 결합된 안전벨트(128)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변부(13)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프레임(131)과, 상기 가변 프레임(131) 사이에 각각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대(132, 133)와, 상기 가변 프레임(131)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손잡이 부재(134)와, 상기 가변 프레임(13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35)과, 상기 가변 프레임(131)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구름 운동하는 한 쌍의 캐스터(136)와, 상기 가변 프레임(131)에 결합된 안전벨트(137)와, 상기 가변 프레임(131)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121)은 타측 양단부가 한 쌍의 결합구(129)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구(129)와 상기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5)를 연결하는 축봉(114)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을 축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하여 접철되고,
    상기 한 쌍의 캐스터(127)는 상기 한 쌍의 결합구(129)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31)은 일측 양단부가 한 쌍의 결합구(139)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구(139)와 상기 한 쌍의 메인 결합구(117)를 연결하는 축봉(116)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1, 112)의 타측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접철되고,
    상기 한 쌍의 캐스터(136)는 상기 한 쌍의 결합구(139)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부(12)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가변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 보조 받침대(14);
    상기 제2 가변부(13)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가변부(13)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 보조 받침대(15);
    상기 축봉(11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축봉(116)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중앙 받침대(16); 및
    상기 가변 프레임(1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대해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보조 캐스터(1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는 가변형 구조체를 간이침대로 변신하여 사용할 때 상기 제1 가변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상기 제1 고정대(122)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141)과, 상기 보조 프레임(14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4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이나 간이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상기 제1 가변부(12)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제1 고정대(122)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가변부(12)의 가변 프레임(121)에 대해 경사 배치되어 상기 제1 가변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제2 보조 받침대(15)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 또는 간이침대로 사용할 때 상기 제2 가변부(13)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부가 상기 제2 고정대(133)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151)과, 상기 보조 프레임(15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52)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들것이나 간이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상기 제2 가변부(13)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제2 고정대(133)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가변부(13)의 가변 프레임(131)에 대해 경사 배치되어 상기 제2 가변부(13)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중앙 받침대(16)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사용할 때, 상기 메인 고정부(11)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부가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축봉(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지지면을 확보하기 위해 원판형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상기 메인 고정부(11)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보관되고, 상기 가변형 구조체(10)가 간이침대로 사용시에는 상기 축봉(116)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축봉(116)과 수직하도록 수직 배치되어 상기 메인 고정부(1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캐스터(17)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간이침대로 변신시켜 사용하는 경우 간이침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부가 상기 제1 가변부(12)의 가변 프레임(121)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가변 프레임(12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한 상태에서 구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비사용할 때에는 상기 가변형 구조체(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 가변부(13)의 가변 프레임(131)의 일측부에 구비된 고정고리(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변신시켜 사용할 때에는 휠체어의 후측부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어 약물통을 걸 수 있도록 걸이대로 사용되는 보조 봉대(18); 및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변신시켜 사용할 때, 환자의 발을 받치는 것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상기 축봉(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 프레임(191)과, 상기 발판 프레임(191)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192)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상기 제2 가변부(13)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축봉(116)을 축으로 회동하여 환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전개되는 발판(19);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구조체(10)를 휠체어로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메인 고정부(11)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 배치되도록 상기 축봉(114, 116)을 축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변부(12, 13)를 접철시켜 이들을 서로 삼각형 구조로 배치하고,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는 상기 제2 가변부(13)의 지지판(135) 중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의 하부에 체결된 지지판과 상기 제1 고정대(132) 사이로 진입되어 환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 받침판으로 기능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는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와 나란하도록 전방으로 회동시켜 환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로 기능하도록 하며,
    상기 발판(19)은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와 나란하도록 상기 제1 보조 받침대(14)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전개시켜 환자의 발을 받치도록 하고,
    상기 보조 봉대(18)는 분할된 일부가 손잡이로 가능하는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대(138)의 종단부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안전대로 기능하도록 하고, 분할된 나머지 일부는 휠체어의 후측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상기 한 쌍의 보조 캐스터(17)를 교차하도록 결합되어 휠체어의 후측부에 다양한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짐칸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KR1020170156009A 2017-11-21 2017-11-21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KR10202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009A KR102024931B1 (ko) 2017-11-21 2017-11-21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009A KR102024931B1 (ko) 2017-11-21 2017-11-21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211A KR20190058211A (ko) 2019-05-29
KR102024931B1 true KR102024931B1 (ko) 2019-09-24

Family

ID=6667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009A KR102024931B1 (ko) 2017-11-21 2017-11-21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262A (ko) 2020-06-10 2021-12-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용 계단 운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444A (ja) 1999-08-18 2001-02-27 Mutsumi Giken Kk 椅子兼用ベッド
JP2009525132A (ja) 2006-02-01 2009-07-09 ファーノ−ワシント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急患用簡易ベッド兼用椅子
KR101083662B1 (ko) * 2009-07-17 2011-11-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KR101419672B1 (ko) 2014-03-03 2014-07-15 안기환 다용도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060B1 (ko) 1984-10-25 1987-02-09 주식회사 코오롱 난연성 플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20110037429A (ko) 2009-10-06 2011-04-13 백상주 휠체어 변신 침대
KR101743876B1 (ko) 2016-06-27 2017-06-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침대형 휠체어용 탈부착 들것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444A (ja) 1999-08-18 2001-02-27 Mutsumi Giken Kk 椅子兼用ベッド
JP2009525132A (ja) 2006-02-01 2009-07-09 ファーノ−ワシント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急患用簡易ベッド兼用椅子
KR101083662B1 (ko) * 2009-07-17 2011-11-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KR101419672B1 (ko) 2014-03-03 2014-07-15 안기환 다용도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262A (ko) 2020-06-10 2021-12-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용 계단 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211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5806B2 (en) Multiple use ambulatory device
US9839567B2 (en) Mobility device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US6430761B1 (en) Compact portable patient lift
US8336133B2 (en) Multi-functional patient transfer device
US8646804B2 (en) Apparatus for a convertible wheeled patient aid
CA2828666C (en) Transport chair allowing transport of multiple passengers
US20060016466A1 (en) Walker including supports for carrying oxygen bottles
US8419046B2 (en) Field litter carrier
US20070080519A1 (en) Adult stroller
US7547027B2 (en) Armrest rolling walker with removable utility tray
GB2244010A (en) Portable aid for assisting a person in rising from a sitting position to a standing position
US20150048598A1 (en) Walker Device with Air Tank Holder
KR102024931B1 (ko)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TWI631939B (zh) A shifting auxiliary chair that can quickly disassemble and adjust the width
US20170095381A1 (en) Modular wheelchair system
US4361916A (en) Pediatric table-chair
US5560635A (en) Folding wheelchair
JP2006102403A (ja) 移乗補助装置
CN215689201U (zh) 一种多用途防跌倒轮椅
US9010779B1 (en) Apparatus for lifting, stabilizing, and mobilizing an elderly or disabled person
CN210186169U (zh) 一种多功能输液架
RU117806U1 (ru) Тележка-каталка со съемными носилками
US292048A (en) Apparatus foe holding and moving invalids
US11351081B1 (en) Back stretcher bed assembly
CN212186925U (zh) 一种改进型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