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497A -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497A
KR20110007497A KR1020090065046A KR20090065046A KR20110007497A KR 20110007497 A KR20110007497 A KR 20110007497A KR 1020090065046 A KR1020090065046 A KR 1020090065046A KR 20090065046 A KR20090065046 A KR 20090065046A KR 20110007497 A KR20110007497 A KR 20110007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upper transparent
touch screen
transparent electrode
she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식
Original Assignee
(주)삼원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에스티 filed Critical (주)삼원에스티
Priority to KR102009006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497A/ko
Publication of KR20110007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제공되는 하부 시트부재, 하부 시트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투명필름 및 하부 시트부재와 함께 신체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부 투명필름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상부 시트부재, 상부 시트부재와 하부 시트부재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개재되는 절연 부재, 및 전기적으로 감지된 신체 접촉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FPCB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부 투명필름에 상부 투명전극 패턴과 FPCB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포함하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은 연결전극 패턴과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일부가 절연부재의 내측 경계보다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시트부재, 상부 투명필름, 상부 연결전극 패턴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TOUCH SCREEN PANEL AND MENUFACTH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상부 투명필름에 배치된 투명전극 패턴의 전기적인 연결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감압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드 및 이를 채용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감압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드 중 상부 ITO시트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드는 하부 ITO시트(10) 및 상부 ITO시트(20)를 포함한다. 개인휴대단말기의 LCD(D) 상에 터치스크린 패드가 장착되며, 터치스크린 패드의 저면에는 광학 접착 필름 또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50)이 부착되어 받침판(60)과 일체로 접착될 수 있다. 받침판과 함께 LCD(D) 상에서 일체로 제공되며, OCA 필름(50)에 의해서 받침판(60)과 하부 ITO시트(10)는 광학적으로도 우수하게 부착될 수 있다.
감압 방식으로 작동하기 위해서 하부 ITO시트(10)는 하부 투명필름(11) 및 그 상면에 2차원적으로 형성되는 하부 ITO 전극(12)을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상부 ITO시트(20)도 상부 투명필름(21) 및 그 저면에 하부 ITO 전극(12)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부 ITO 전극(22)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및 상부 ITO 전극(12, 22)은 상호 작용하여 발생한 신체 접촉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각각 연결전극과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부 ITO시트(2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부 ITO 전극(22)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상부 ITO 전극(22)의 단부와 연결되는 상부 연결전극(23)에 의해서 FPCB(40)와 같은 연결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ITO 전극(22)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이 투명한 도전성 세라믹을 사용하며, 상부 연결전극(23)은 은(Ag)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전극(23)은 상부 투명필름(21)에 상부 ITO 전극(22)이 패터닝된 상태에서, 은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투명필름(21)은 투명 재질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아크릴(acryloy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얇은 시트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120℃ 내지 150℃ 정도의 고온에서 이루어지는 은의 증착 과정에서, 상부 투명필름(21)이 쭈그러드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패드의 상부 투명필름(21)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보다 강도가 좋은 하드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터치 스크린 패드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두께를 증가시켜 바람직하지 못하다. 두께가 증가되면, 개인휴대단말기의 LCD(D)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세기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ITO시트(20)와 하부 ITO시트(10) 사이에는 스페이서(30)가 개재되며, 스페이서(30)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상하의 ITO 전극이 서로 떨어져 있다가 소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눌려진 부분의 ITO 전극이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스페이서(30)는 하부 ITO시트(10) 및 상부 ITO시트(20)의 사이에 개재되는 볼 형태의 것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ITO시트(10) 및 상부 ITO시트(20)를 접합하고, 그 안쪽으로 형성되는 하부 및 상부 ITO 전극(12, 22)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스페이서(30)의 일부가 하부 및 상부 ITO 전극(12, 22)과 직접 닿게 형성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시된 감압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드를 가압하게 되면, 터치스크린 패드의 상부에 배치된 투명 상부필름(21)이 하부로 굴절되는데, 이때, 스페이서(30) 직접 닿아 있는 상부 ITO 전극(22) 주변(A부분)의 상부 ITO 전극(22)이 깨지거나 금이 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에 터치스크린 패드의 전기적인 단락으로 터치스크린 패드의 감도가 크게 저하되거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얇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투명필름 상의 ITO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전극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증착 과정으로 상기 합성수지가 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호 전기적으로 반응하는 하부 및 상부 시트의 마주보는 양 면에 형성된 ITO전극 중 상부 시트에 형성된 ITO전극이 상부 시트의 가압 시에 굴절되어 깨지거나 금이 가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절연 부재와 직접 닿아 있는 상부 ITO전극 주변의 전극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제공되는 하부 시트부재, 하부 시트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투명필름 및 하부 시트부재와 함께 신체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부 투명필름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상부 시트부재, 상부 시트부재와 하부 시트부재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개재되는 절연 부재, 및 전기적으로 감지된 신체 접촉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FPCB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부 투명필름에 상부 투명전극 패턴과 FPCB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포함하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은 상부 연결전극 패턴과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일부가 절연부 재의 내측 경계보다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패드의 상부 시트부재를 가압하여, 상부 투명필름 및 그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 패턴이 굴절되더라도, 상부 연결전극 패턴이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아래에서 지지하여, 비교적 취성(brittle)이 강한 ITO 및 IZO와 같은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심지어, 상부 투명전극 패턴이 파손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경우에도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지지하는 상부 연결전극 패턴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연결전극 패턴이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지지할 수도 있으며, 상호 위치가 뒤바뀌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부 투명전극 패턴이 파손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경우에도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상면에 배치된 상부 연결전극 패턴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연결전극 패턴과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는 절연부재의 내측 경계 안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부 투명전극 패턴은 절연 부재의 내측 경계 안쪽에 위치하여, 상부 투명필름이 가압에 의해서 하부로 굴절될 경우에도, 절연 부재에 의해서 상부 연결전극 패턴만이 주로 굴절되고,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굴절은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혹시 상부 투명전극 패턴이 파손되더라도 상 부 연결전극 패턴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연결전극 패턴과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는 절연부재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부 투명전극 패턴이 절연 부재의 내측 및 외측 경계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투명필름이 가압에 의해서 하부로 굴절될 경우에, 절연 부재에 의해서 상부 투명전극 패턴이 굴절되더라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연결전극 패턴이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아래에서 지지하여,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혹시 상부 투명전극 패턴이 파손되더라도 상부 연결전극 패턴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연결전극 패턴은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40℃ 내지 70℃의 저온에서 증착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얇은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상부 투명필름이 증착 과정에서도 쭈그러드는 현상과 같은 열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증착 외에도 도전성 수지를 실버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열로 인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시트부재의 상부 연결전극 패턴뿐만 아니라, 상부 투명필름의 하부, 즉,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제공되는 하부 투명필름 및 하부 투명필름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부 투명전극 패턴과 상호 작용하여 신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하부 투명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하부 시트부재의 하부 연결전극 패턴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온의 알루미늄 증착이나, 도전성 수지를 실버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제공되는 하부 시트부재, 하부 시트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투명필름 및 하부 시트부재와 함께 신체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부 투명필름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상부 시트부재, 상부 시트부재와 하부 시트부재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개재되는 절연 부재, 및 전기적으로 감지된 신체 접촉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FPCB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은, 상부 투명필름에 상부 투명전극 패턴, 및 상부 투명전극 패턴과 상기 FPCB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연결전극 패턴과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일부가 절연부재의 내측 경계보다 안쪽에 배치되도록 절연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부 투명필름에 상부 투명전극, 및 상부 투명전극과 상기 FPCB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부 투명필름의 저면에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먼저 형성하고,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상부 투명필름의 저면에 먼저 형성하고,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은 얇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투명필름 상의 ITO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전극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증착 과정으로 상기 합성수지가 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전기적으로 반응하는 하부 및 상부 시트의 마주보는 양 면에 형 성된 ITO전극 중 상부 시트에 형성된 ITO전극이 상부 시트의 가압 시에 굴절되어 깨지거나 금이 가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절연 부재와 직접 닿아 있는 상부 ITO전극 주변의 전극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이 열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저온 또는 실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투명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전체적인 터치스크린 패드를 얇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드의 적층 구조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드의 가압 시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서 터치스크린 패드는 상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의 면적 및 외형,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용 터치스크린 패드(100)는 LCD 또는 OLED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위치하며, 하부 시트부재(110), 상부 시트부재(120) 및 절연 부재(130)를 포함한다.
하부 시트부재(110)는 투명한 하부 투명필름(111) 및 하부 투명필름(111)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투명전극(112)을 포함한다. 하부 투명필름(111)은 PET, PC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소재의 합지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감압방식으로 작동하기 위해서 하부 투명필름(110)의 상면에는 ITO, IZO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하부 투명전극(112)이 제공된다. 하부 투명전극은 종래의 감압방식 터치스크린에서 ITO 전극의 패턴 또는 형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체될 수 있는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부 시트부재(120)도 상부 투명필름(121) 및 상부 투명필름(121)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122)을 포함하며, 역시 PET나 PC재질의 투명필름에 ITO나 IZO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투명전극의 경우 패턴 없이 하나의 층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상부 시트부재(120)와 하부 시트부재(110)의 사이로 절연 부재(130)가 제공된다. 절연 부재(130)는 상부 및 하부 시트부재에서 투명 전극은 평소에 서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하의 투명 전극이 일정 레벨 또는 크기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만 국부적으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절연 부재는 하부 시트부재(110) 및 상부 시트부재(120) 사이에 흩어져 있는 볼 형태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전극이 상호 전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대응되는 투명전극이 서로 접촉해서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단순히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만으로도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 부재(130)는 하부 시트부재(110) 또는 상부 시트부재(120)를 접합하고, 그 안쪽으로 형성되는 하부 투명전극(112) 및 상부 투명전극(122)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및 상부 투명전극(112, 122)은 상호 작용하여 발생한 신체 접촉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시트부재(12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부 투명전극(122)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상부 투명전극(122)의 단부와 연결되는 상부 연결전극(123)를 통해서 FPCB와 같은 연결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연결전극(123)과 상부 투명전극(122)의 연결부위(S)는 절연부재(130)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 투명전극(122)의 일부가 절연 부재(130)의 내측 경계(131) 및 외측 경계(132)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상부 연결전극(123)은 상부 투명필름(121)으로부터 상부 투명전극(122)까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투명전극(122)의 저면을 따라서 절연 부재(130)의 내측 경계(131)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패드(100)의 상부 시트부재(120)를 가압하여, 상부 투명필름(121) 및 그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122)이 굴절되더라도, 상부 연결전극(123)이 상부 투명전극(122)을 아래에서 지지하여, 비교적 취성(brittle)이 강한 ITO 및 IZO와 같은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투명전극(122)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심지어, 상부 투명전극(122) 이 파손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경우에도 상부 투명전극(122)을 지지하는 상부 연결전극(123)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부 연결전극을 상부 투명필름의 저면에 먼저 형성하고, 상부 투명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부 투명전극과 상부 연결전극이 상호 포개지는 연결부분에서, 상부 투명전극이 상부 연결전극의 저면에 위치한다. 이때에도, 상부 연결전극에 의해서 상부 투명전극의 파손이 최소화되며, 혹 상부 투명전극이 파손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경우에도 상부 투명전극의 상면에 배치된 상부 연결전극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 투명전극(122)의 일부가 절연 부재(130)가 형성되는 영역 내측까지 연장되더라도, 상부 투명필름(121)이 가압에 의해서 하부로 굴절될 경우에, 절연 부재(130)에 의해서 상부 투명전극(122)이 절연 부재(130)와 인접한 부분에서 굴절이 크게 일어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연결전극(123)이 상부 투명전극(122)을 아래에서 지지하여, 상부 투명전극(122)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연결전극과 상부 투명전극의 연결부위가 절연부재의 내측 경계 안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부 투명전극은 절연 부재의 내측 경계 안쪽에 위치하여, 상부 투명필름이 가 압에 의해서 하부로 굴절될 경우에도, 절연 부재에 의해서 상부 연결전극만이 주로 굴절되고, 상부 투명전극의 굴절은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상부 투명전극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혹시 상부 투명전극이 파손되더라도 상부 연결전극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연결전극(123)은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 연결전극(123)은 40℃ 내지 70℃의 저온에서 증착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을 이용한다. 이에, 얇은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상부 투명필름(121)이 증착 과정에서 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부 연결전극(123)은 증착 외에도 도전성 수지를 실버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하여, 열로 인한 변형을 배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연결전극(123)을 형성하는 과정이 열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저온 또는 실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투명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전체적인 터치스크린 패드를 얇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시트부재(120)의 상부 연결전극(123)뿐만 아니라, 상부 투명필름(121) 하부,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제공되는 하부 투명필름(111) 및 하부 투명필름(111)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부 투명전극(122)과 상호 작용하여 신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하부 투명전극(112)을 포함하는 하부 시트부재(110)의 하부 연결전극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온의 알루미늄 증착이나, 도전성 수지를 실버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드의 적층 구조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드의 가압 시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터치스크린 패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패드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터치스크린 패드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상부 연결전극과 상부 투명전극의 배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개인휴대단말기용 터치스크린 패드(200)는 LCD 또는 OLED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위치하며, 하부 시트부재(210), 상부 시트부재(220) 및 절연 부재(230)를 포함한다.
하부 시트부재(210)는 투명한 하부 투명필름(211) 및 하부 투명필름(211)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투명전극(212)을 포함한다. 하부 투명필름(211)은 PET, PC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소재의 합지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하부 투명필름(210)의 상면에는 ITO, IZO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하부 투명전극(212)이 제공된다.
유사하게 상부 시트부재(220)도 상부 투명필름(221) 및 상부 투명필름(221)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222)을 포함하며, 역시 PET나 PC재질의 투명필름에 ITO나 IZO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시트부재(220)와 하부 시트부재(210)의 사이로 절연 부재(230)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 부재(230)는 하부 시트부재(210) 또는 상부 시트부재(220)를 접합하고, 그 안쪽으로 형성되는 하부 투명전극(212) 및 상부 투명전극(222)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및 상부 투명전극(212, 122)은 상호 작용하여 발생한 신체 접촉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시트부재(22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부 투명전극(222)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상부 투명전극(222)의 단부와 연결되는 상부 연결전극(223)를 통해서 FPCB와 같은 연결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연결전극(223)과 상부 투명전극(222)의 연결부위(S)는 절연부재(230)의 내측 경계(231) 안쪽에 형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패드(200)의 상부 시트부재(220)를 가압하여, 상부 투명필름(221) 및 그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222)이 굴절되더라도, 상부 연결전극(223)이 상부 투명전극(222)을 아래에서 지지하여, 비교적 취성(brittle)이 강한 ITO 및 IZO와 같은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투명전극(222)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심지어, 상부 투명전극(222) 이 파손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되 는 경우에도 상부 투명전극(222)을 지지하는 상부 연결전극(223)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 투명전극(222)이 절연부재(230)의 내측 경계(231) 안쪽에 형성되어, 상부 투명필름(221)이 가압에 의해서 하부로 굴절될 경우에도, 절연 부재(230)에 의해서 상부 연결전극(223)만이 주로 굴절되고, 상부 투명전극(222)의 굴절은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상부 투명전극(222)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혹시 상부 투명전극(222)이 파손되더라도 상부 연결전극(223)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연결전극(223)은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 연결전극(223)은 40℃ 내지 70℃의 저온에서 증착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을 이용한다. 이에, 얇은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상부 투명필름(221)이 증착 과정에서 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부 연결전극(223)은 증착 외에도 도전성 수지를 실버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하여, 열로 인한 변형을 배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연결전극(223)을 형성하는 과정이 열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저온 또는 실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투명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전체적인 터치스크린 패드를 얇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시트부재(220)의 상부 연결전극(223)뿐만 아니라, 상부 투명필름(221) 하부,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제공되는 하부 투명필름(211) 및 하부 투명필 름(211)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부 투명전극(222)과 상호 작용하여 신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하부 투명전극(212)을 포함하는 하부 시트부재(210)의 하부 연결전극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온의 알루미늄 증착이나, 도전성 수지를 실버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감압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드 및 이를 채용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감압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드 중 상부 ITO시트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드의 적층 구조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드의 가압 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드의 적층 구조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드의 가압 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터치스크린 패널 110:하부 시트부재
111:하부 투명필름 112:하부 투명전극
120:상부 시트부재 121:상부 투명필름
122:상부 투명전극 123:상부 연결전극

Claims (12)

  1.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제공되는 하부 시트부재, 상기 하부 시트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투명필름 및 상기 하부 시트부재와 함께 상기 신체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상부 투명필름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상부 시트부재, 상기 상부 시트부재와 상기 하부 시트부재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개재되는 절연 부재, 및 전기적으로 감지된 상기 신체 접촉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상기 상부 투명필름에 상기 상부 투명전극 패턴과 상기 외부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은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과 상기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절연부재의 내측 경계보다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과 상기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는 상기 절연부재의 내측 경계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과 상기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는 상기 절 연부재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은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은 알루미늄을 저온에서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은 도전성 수지를 실버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7.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제공되는 하부 시트부재, 상기 하부 시트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투명필름 및 상기 하부 시트부재와 함께 상기 신체 접촉을 감지하도록 상기 상부 투명필름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상부 시트부재, 상기 상부 시트부재와 상기 하부 시트부재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개재되는 절연 부재, 및 전기적으로 감지된 상기 신체 접촉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 서,
    상기 상부 투명필름에 상기 상부 투명전극 패턴, 및 상기 상부 투명전극 패턴과 상기 외부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전극 패턴과 상기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절연부재의 내측 경계보다 안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 패턴과 상기 상부 투명전극 패턴의 연결부위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절연부재의 내측 경계 안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40℃ 내지 70℃의 저온에서 증착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전극 패턴을 도전성 수지를 실버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90065046A 2009-07-16 2009-07-16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7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046A KR20110007497A (ko) 2009-07-16 2009-07-16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046A KR20110007497A (ko) 2009-07-16 2009-07-16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97A true KR20110007497A (ko) 2011-01-24

Family

ID=4361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046A KR20110007497A (ko) 2009-07-16 2009-07-16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49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353B1 (ko) * 2011-01-31 2012-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경계부 좌표 위치 획득이 가능한 터치 윈도우
KR20150028471A (ko) * 2013-09-06 2015-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50030010A (ko) * 2013-09-11 2015-03-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50046668A (ko) * 2013-10-22 2015-04-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7943A (ko) * 2014-01-23 2015-07-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353B1 (ko) * 2011-01-31 2012-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경계부 좌표 위치 획득이 가능한 터치 윈도우
CN102622149A (zh) * 2011-01-31 2012-08-01 Lg伊诺特有限公司 获得可视区域边界部分上的坐标位置的触摸窗及其方法
US8941604B2 (en) 2011-01-31 2015-01-27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obtaining coordinate position on boundary portion of view area and method thereof
CN102622149B (zh) * 2011-01-31 2015-05-20 Lg伊诺特有限公司 获得可视区域边界部分上的坐标位置的触摸窗及其方法
KR20150028471A (ko) * 2013-09-06 2015-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50030010A (ko) * 2013-09-11 2015-03-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50046668A (ko) * 2013-10-22 2015-04-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7943A (ko) * 2014-01-23 2015-07-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4305B2 (en) Touch window
US9772727B2 (en) Touch panel
KR101975535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US9433089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057501A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machine
US9626019B2 (en) Touch panel
US20160259447A1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TWI514217B (zh) 觸控面板
TWI537788B (zh) 觸控面板及其蓋板結構、圖案區感測結構
KR20110007497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50114816A1 (en) Touch panel
CN102279660B (zh) 一种触控面板制造方法
US9542018B2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US9946411B2 (en) Touch panel having double routing scheme
CN108595052B (zh) 背框具有触控按键的触控装置
KR102238815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134010A (ko) 터치윈도우
KR102175649B1 (ko) 터치윈도우
TWI678647B (zh) 觸控面板
KR102237956B1 (ko) 터치 윈도우
CN101702108A (zh) 触控基板
KR20160034053A (ko) 터치 윈도우
CN102279676B (zh) 一种触控面板的制造方法
KR102187648B1 (ko) 터치 패널
CN102279673A (zh) 触控面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