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431A - 자동 모래 소화 설비 - Google Patents

자동 모래 소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431A
KR20110007431A KR1020090064949A KR20090064949A KR20110007431A KR 20110007431 A KR20110007431 A KR 20110007431A KR 1020090064949 A KR1020090064949 A KR 1020090064949A KR 20090064949 A KR20090064949 A KR 20090064949A KR 20110007431 A KR20110007431 A KR 20110007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fire
hopper
sand
transf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974B1 (ko
Inventor
김상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64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9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모래 소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물 저장탱크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하기 위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화재 감지시 저장탱크의 내부로 소화용 건조 모래를 투입시키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는 위험물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에서 상기 위험물의 화재를 감시하는 화재 감지수단과, 상기 저장탱크의 상측에서 건조 모래를 적재 및 낙하시키는 호퍼 및 상기 저장탱크, 상기 화재 감지수단 및 상기 호퍼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위험물, 소화 설비, 호퍼, 모래, 화재

Description

자동 모래 소화 설비{Facility for extinguishing fire automatically using sand}
본 발명은 자동 모래 소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물 저장탱크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하기 위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화재 감지시 저장탱크의 내부로 소화용 건조 모래를 투입시키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험물이라 하면 폭발물, 독극물, 인화물, 방사선 물질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지만, 위험물안전관리법상에서의 위험물은 화재 위험이 큰 것으로서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등에서 정한 인화성 또는 발화성 물품을 가리킨다. 이들 물품에는 그 자체가 인화 또는 발화하는 것과, 인화 또는 발화를 촉진시키는 것이 있다.
현행 위험물안전관리법상에서도 위험물의 대표적인 공통 특성을 묶어 제1류에서 제6류까지 분류하고 있으며, 위험물을 보관 또는 저장하는 시설의 경우도 위험물의 종류와 대상규모 등에 따라서 그 설치에 엄격한 제한을 두고 있다.
위험물 중에서 가연성고체인 제2류 위험물과,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인 제3류 위험물은 저장탱크에 주로 보관되는데, 자연발화 등을 이유로 저장탱크 내부에서 예기치 않은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진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제2류 위험물 또는 제3류 위험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화재가 D급 화재, 즉 금속화재이기 때문에 화재 진압시 물(H2O)이나 이산화탄소(CO2) 등의 소화용 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금속분과의 화학 반응에 의하여 수소가스(H2) 등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수소가스는 화재 규모를 확대시키거나 또는 폭발 사고를 야기시켜 화재 진압을 곤란하게 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금속화재의 진압시 수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구하기 쉽고 가격이 저렴한 건조 모래가 많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금속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모래 보관함 등에 들어있는 건조 모래를 삽 등의 수작업 도구를 사용하여 저장탱크 내부로 퍼 붓거나 또는 건조 모래가 담긴 주머니 또는 봉투를 저장탱크의 내부로 투척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화재 진압 방식은 작업자가 화재 발생 지점인 저장탱크에 근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또한, 화재 진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이 어렵고, 화재 진압이 완료될 때까지 장시간 소요되어 대형 화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금속화재를 진압하는데 인력이 투입되기 때문에 처리비용 및 관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이를 복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 간이 길어져 위험물을 필요로 하는 공정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험물 저장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금속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화재 감지시 저장탱크의 상측에 마련된 호퍼로부터 저장탱크의 내부로 소화용 건조 모래를 투입시켜 자동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는 위험물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에서 상기 위험물의 화재를 감시하는 화재 감지수단과, 상기 저장탱크의 상측에서 건조 모래를 적재 및 낙하시키는 호퍼 및 상기 저장탱크, 상기 화재 감지수단 및 상기 호퍼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화재 감지수단을 복수개 수직으로 설치하여 위험물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금속화재의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의 상측에 건조 모래가 담기는 호퍼를 마련하고, 금속화재 감지시 저장탱크의 내측으로 건조 모래를 투입시킴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때, 공장 내·외부의 설치상 제약으로 인해 호퍼를 저장탱크의 수직선상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이송라인을 호퍼와 저장탱크 사이 에 구비함으로써 건조 모래를 저장탱크의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저장탱크가 다수개 설치된 경우에는 이송라인을 분기형 또는 회전형으로 설치하여 다수개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진압을 1개의 호퍼를 통해서 담당하게 할 수 있어 화재 진압 설비의 설치 및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금속화재를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화재의 진압 및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100)는 위험물(dangerous article; D)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storage tank; 110)와, 저장탱크(110)의 내측에서 위험물(D)의 화재를 감시하는 화재 감지수단(120)과, 저장탱크(110)의 상측에서 위험물(D)에서의 화재 발생시 위험물(D)의 최상단면을 대기와 차단시키는 건조 모래(dry sand; S)를 적재 및 낙하시키는 호퍼(hopper; 130)와, 저장탱크(110), 화재 감지수단(120) 및 호퍼(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1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100)에 위험물(D)을 호퍼(130)와 저장탱크(110) 사이에서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라인(transfer line; 200)을 더 포함한다.
저장탱크(110)는 상하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저장탱크(110)의 하부에는 지면을 향해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내부 직경 및 외부 직경이 작아지는, 즉 테이퍼(taper)진 경사부(111)가 형성되고, 경사부(111)의 하단에는 저장탱크(110)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하는 저장탱크 도어(113) 및 도어 구동수단(114)이 결합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저장탱크 도어(113)는 배출구(112)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도어 구동수단(114)은 배출구(112)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된다.
저장탱크 도어(113)는 슬라이딩(sliding) 방식, 회전 피더(rotating feeder) 방식, 푸시-풀(push-pull)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푸시-풀 방식을 사용하여 저장탱크(110)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하였다.
한편, 배출구(112)의 하측에는 저장탱크(110)로부터 낙하되는 위험물(D)이 이송대차(310)나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제2이송라인(400)에 용이하게 실리거나 담기도록 유도하는 경사 통로관(chute; 115)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 통로 관(115)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 회전(R1)이 가능하여 이송대차(310) 또는 제2이송라인(400)에 위험물(D)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경사 통로관(115)을 수평 회전(R1)시키기 위한 구동력 제공수단(미도시)은 배출구(112)의 외측면 일측에 결합된다.
제2류 위험물 및 제3류 위험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10)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는 불연 재료로 만든 방수성의 피복(119)이 부착된다. 또한, 미도시되었지만 저장탱크(110)가 옥외에 설치될 경우에는 저장탱크(110)의 외측면에 녹 방지제가 도장되며, 몸체의 일측에 피뢰침 등의 접지수단이 연결된다.
또한, 저장탱크(110)의 개방된 상단에 저장탱크 덮개(미도시)를 설치하여 저장탱크(110) 내부의 습도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저장탱크(110) 내에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화재 감지수단(120)은 일단이 제어부(1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저장탱크(110)의 측면 및 비개방된 상부면을 관통하여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재 감지수단(120)이 다수개 사용되어 저장탱크(110)의 내측면 일측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크기의 이격 거리(H1)를 갖도록 설치되고, 비개방된 상부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저장탱크(110)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 감지수단(120)은 화재 발생시 저장탱크(110)의 온도와 위험물(D)의 상측에서 발생하는 화염 등을 감지하고, 저장탱크(110)의 비개방된 상부면 내측에 설치된 화재 감지수 단(120)은 위험물(D)에서 발생된 연기 또는 빛 등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탱크(110)의 내측면 일측에서 다수의 화재 감지수단(120)을 수직 방향을 따라 설치하였지만, 저장탱크(1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화재 감지수단(120)의 설치 개수를 증가하여 보다 촘촘하게, 즉 화재 감지수단(120) 간의 이격 거리(H1)를 작게 줄임으로써 금속화재가 발생되는 위험물(D)의 상부 표면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감지수단(120)으로는 저장탱크(110)의 내부 온도 변화폭을 측정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측정 방식과, 화재 발생시 연기가 빛을 차단하면 이에 광센서가 반응하는 광학 방식 또는 약한 방사선이 기체를 이온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이온화 방식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제2류 위험물 또는 제3류 위험물은 고체 상태, 특히 분말이나 덩어리진 형태로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탱크(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는 소화용 물질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2류 위험물 및 제3류 위험물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동시에 가격이 저렴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건조 모래(S)를 사용하였다.
저장탱크(110)의 상측에는 건조 모래(S)가 적재되는 호퍼(130)가 구비된다.
호퍼(130)는 개방된 상단을 통해 내부로 건조 모래(S)가 장입되고, 호퍼(130)의 하부에는 개방된 하단을 개폐할 수 있는 호퍼 도어(132) 및 호퍼도어 구 동부(134)가 설치된다. 호퍼도어 구동부(134)는 제어부(140)의 구동 명령을 받아 호퍼 도어(132)을 구동시켜 호퍼(130) 내부에 적재된 건조 모래(S)를 하측으로 낙하시킨다.
미도시되었지만, 금속화재 진압시 건조 모래(S)에 수분이 포함되지 않도록 호퍼(130)의 하단 일측에 모래 건조수단을 설치하여 건조 모래(S)로부터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호퍼(130)의 내부를 일정한 습도와 온도로 유지시키는 습도-온도 조절수단을 호퍼(130)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단들을 통해 화재 진압시 호퍼(130)로부터 빠져 나오는 건조 모래(S)에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위험물(D)과의 화학 반응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소가스의 발생 및 폭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탱크(110)에서 저장탱크 도어(113)의 개폐를 위해 도어 구동수단(114)을 제어하고, 경사 통로관(115)의 회전(R1)을 제어한다. 또한, 화재 감지수단(120)에서 측정된 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화재 감지수단(120)의 신호를 통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면 호퍼(130)의 하단을 개방하기 위하여 호퍼도어 구동부(134)에 구동 명령을 보내어 호퍼 도어(132)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140)는 저장탱크(110)의 설치 장소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 예를 들어 통제실 등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원격으로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무선통신 수단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램프의 점등이나 경보음 등을 통해 알려주는 경보장치(미도시) 또는 모니터링 장치(미도시) 등을 제어부(140)에 연결하여 작업자에게 화재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100)는 저장탱크(110)의 바로 위 영역, 즉 수직선(V)의 연장선상에서 호퍼(130)가 설치된 경우이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100')는 저장탱크(110)의 수직선(V)의 연장선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벗어나 호퍼(130)가 설치된 경우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100)에서는 호퍼(130)에서 낙하된 건조 모래(S)가 호퍼(130)의 직하에 놓이는 저장탱크(110)의 내부로 바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호퍼(130)와 저장탱크(110) 사이의 이격 거리(H2)가 크게 형성되어 건조 모래(S)가 낙하하는 과정에서 바람 등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퍼(130)의 하측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낙하 유도천(136)을 부착시킬 수 있다. 낙하 유도천(136)은 유연한 재질(flexible material)로 이루어지고,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위험물(D)을 장입시키는 과정에서는 상부로 접을 수 있어서 장입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또한, 낙하 유도천(136)은 화재 발생시 저장탱크(110)의 개방된 상단에 근접하기 때문에 열에 강한 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100')에서는 호퍼(130)에서 낙하된 건조 모래(S)가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방식의 이송라인(200)에 의해 수평 이송되어 저장탱크(110)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송라인(200)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220a, 220b)와, 한 쌍의 회전롤러(220a, 220b)에 감겨져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210) 및 일측의 회전롤러(220b)의 회전축상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러 구동수단(230)을 포함한다. 이송라인(200)에는 건조 모래(S)가 수평 이송되는 과정에서 대기 중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210)의 양측면 및 상단면을 덮을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용 덮개(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라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위험물(D)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수, 즉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저장탱크(110)는 수평 단면상에서 직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단면상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a)는 다수의 저장탱크(110)가 일렬의 직선형으로 배치된 경우이며, 도 3(b)는 다수의 저장탱크(110)가 복렬의 직선형,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열의 직선형에서 다수의 저장탱크(110)가 지그재그(zigzag)로 배치된 경우이다.
다수의 저장탱크(110)를 직선형으로 배치시, 이송라인(200)은 저장탱크(110)의 정렬 방향(x방향)을 따라서 저장탱크(110)의 상측에 인접하는 직선 이송라인(220)과, 직선 이송라인(220)에서 각각 분기되어 저장탱크(110)의 상부에서 수평 회전(R2)되는 다수의 분기 이송라인(240)을 포함한다.
분기 이송라인(240)은 직선 이송라인(220)의 측면에 인접 위치되고, 분기 이송라인(240)의 일단에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분기 이송라인(240)을 회전시키는 분기 이송라인 회전수단(250)이 구비된다. 분기 이송라인(240)은 직선 이송라인(220)과 같이 벨트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직선 이송라인(220)에서 저장탱크(110)로 갈수록 지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플레이트(plate)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저장탱크(110) 중에서 하나의 저장탱크(110')에 건조 모래(S)를 투입하기 위해 분기 이송라인(240)이 직선 이송라인(220)에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R2)하는 경우에는 직선 이송라인(220) 상에서 건조 모래(S)의 수평 이송이 차단된다. 이를 위해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면에서 상하 구동되어 수평 이송되는 건조 모래(S)를 특정 분기 이송라인(240)으로 유도하는 차단 플레이트(260)가 다수개 설치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다수의 저장탱크(110', 110")에 금속화재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는 다수의 저장탱크(110', 110")에 소화용 건조 모래(S)를 동시에 투입시키지 않고, 순차적으로 투입시킨다. 즉, 하나의 저장탱크(110')에 건조 모래(S)를 투입시킨 후 다음 저장탱크(110")에 건조 모래(S)가 투입된다.
다수의 저장탱크(110)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이송라인(200)은 방사형의 정렬 중심에 일단이 회전 중심(P)으로 위치되고, 타단이 저장탱크(110)의 상부를 지나도록 회전(R3)되는 회전 이송라인을 이룬다.
위와 같은 회전 이송라인의 회전 중심(P)이 되는 일단의 상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이격된 호퍼(130)가 위치되며, 일단의 하부에는 회전 이송라인을 회전(R3)시키기 위한 회전 이송라인 구동수단(280)이 구비된다.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저장탱크(110)에서 금속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한 저장탱크(110')의 상부로 타단이 위치되도록 이송라인(200)이 회전(R3)되고, 이송라인(200)의 일단에 위치한 호퍼(130)에서 건조 모래(S)가 낙하되어 컨베이어 벨트(210)를 타고 수평 이송되어 저장탱크(110') 내부로 투입된다.
한편, 다수의 저장탱크(110', 110")에서 동시에 금속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건조 모래(S)를 동시에 투입하지 못하고, 하나의 저장탱크(110')에 건조 모래(S)를 투입하여 화재를 진압한 후 나머지 다른 저장탱크(110")에 건조 모래(S)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한다. 또는, 일정한 시간을 간격으로 또는 건조 모래(S)의 투입량을 기준으로 하나의 저장탱크(110')에 건조 모래(S)를 일부 투입하고, 이송라인(200)이 회전(R3)하여 다른 저장탱크(110")에 건조 모래(S)를 일부 투입하고, 다시 이송라인(200)이 회전(R3)하여 일부 건조 모래(S)가 투입된 저장탱크(110')에 건조 모래(S)가 다시 투입되는 반복적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이송라인의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위험물(D)은 경사 통로관(115)을 통해 이송대차(310) 또는 제2이송라인(400)으로 배출되며, 이송대차(310) 또는 제2이송라인(400)을 통해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위험물(D)의 일부가 덩어리진 고체 형상이며, 금속화재의 발생에 의해 건조 모래(S)가 저장탱크(110) 내부에 투입되어 화재 진압이 이루어진 경우에 위험물(D)과 건조 모래(S)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제2이송라인(400)에 진동부(470)가 구비된 다.
진동부(470)는 미세한 관통구멍이 다수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440)에서 수평 이송(x1방향)되는 위험물(D)과 건조 모래(S)를 진동으로 털어내 분리시킨다. 즉, 입자 크기가 작은 건조 모래(S)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440)의 하측으로 낙하되어 분리용 제1이송대차(312)에 수납되고, 덩어리 형상으로서 입자 크기가 큰 위험물(D)은 계속적으로 컨베이어 벨트(440)의 단부까지 수평 이송되고 낙하되어 분리용 제2이송대차(314)에 수납된다. 위와 같은 간단한 분리 수단을 통해 금속화재의 진압 및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는 위험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화재 감지수단을 복수개 수직으로 설치하여 위험물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금속화재의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의 상측에 건조 모래가 담기는 호퍼를 마련하고, 금속화재 감지시 저장탱크의 내측으로 건조 모래를 투입시킴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때, 공장 내·외부의 설치상 제약으로 인해 호퍼를 저장탱크의 수직선상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이송라인을 호퍼와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건조 모래를 저장탱크의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저장탱크가 다수개 설치된 경우에는 이송라인을 분기형 또는 회전형으로 설치하여 다수개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진압을 1개의 호퍼를 통해서 담당하게 할 수 있어 화재 진압 설비의 설치 및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금속화재를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화재의 진압 및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래 소화 설비의 내부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라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이송라인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100' : 자동 모래 소화 설비 110 : 저장탱크
112 : 배출구 115 : 경사 통로관
120 : 화재 감지수단 130 : 호퍼
140 : 제어부 200 : 이송라인
310 : 이송대차 400 : 제2이송라인
470 : 진동부
D : 위험물 S : 건조 모래

Claims (12)

  1. 위험물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에서 상기 위험물의 화재를 감시하는 화재 감지수단과;
    상기 저장탱크의 상측에서 건조 모래를 적재 및 낙하시키는 호퍼; 및
    상기 저장탱크, 상기 화재 감지수단 및 상기 호퍼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와 상기 호퍼 사이에는 상기 호퍼로부터 낙하된 건조 모래를 상기 저장탱크의 개방된 상부로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이 형성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벨트 컨베이어 방식이 사용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는 직선형 또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가 직선형으로 배치시,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저장탱크의 정렬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의 상측에 인접하는 직선 이송라인과, 상기 직선 이송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서 수평 회전되는 분기 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가 방사형으로 배치시,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방사형의 정렬 중심에 일단이 회전 중심으로서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를 지나가도록 회전되는 회전 이송라인으로 형성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이송라인의 회전 중심이 되는 일단의 상부에는 수직으로 이격되어 상기 호퍼가 구비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수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개가 수직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비개방된 상부면 내측에 다수개 이격 설치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재 감지수단은 온도측정 방식, 광학 방식 또는 이온화 방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이 적용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하단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되는 도어 구동수단 및 저장탱크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탱크 도어의 하측으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되는 경사 통로관이 결합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통로관의 하측에는 이송대차 또는 제2이송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이송라인은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이송수단으로서 위험물과 건조 모래를 진동으로 털어내 분리시키는 진동부가 구비되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에서 위험물에 화재 발생시 상기 화재 감지수단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호퍼에 적재된 건조 모래를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으로 낙하시키고, 화재 진압이 완료된 후 상기 저장탱크의 하측의 상기 이송대차 또는 상기 제2이송라인으로 상기 위험물 및 상기 건조 모래를 배출시키는 자동 모래 소화 설비.
KR1020090064949A 2009-07-16 2009-07-16 자동 모래 소화 설비 KR101053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949A KR101053974B1 (ko) 2009-07-16 2009-07-16 자동 모래 소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949A KR101053974B1 (ko) 2009-07-16 2009-07-16 자동 모래 소화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31A true KR20110007431A (ko) 2011-01-24
KR101053974B1 KR101053974B1 (ko) 2011-08-04

Family

ID=4361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949A KR101053974B1 (ko) 2009-07-16 2009-07-16 자동 모래 소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97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2000A (zh) * 2013-12-19 2015-06-24 肖作鹏 一种自动灭火沙箱
CN106540393A (zh) * 2017-02-06 2017-03-29 林素霞 不锈钢消防沙箱
CN106621142A (zh) * 2017-01-05 2017-05-10 刘养青 一种消防用抛沙灭火装置
CN106669079A (zh) * 2017-01-16 2017-05-17 叶浩奔 一种消防用抛沙灭火装置
CN106964093A (zh) * 2017-05-16 2017-07-21 张建伟 一种自动启爆流沙灭火装置
CN109675237A (zh) * 2019-02-13 2019-04-26 罗舒 用四象限探测器自动跟踪火源的智能消防沙喷射灭火装置
KR20200141273A (ko) 2019-06-10 2020-12-18 이종관 금속화재 및 금수성물질용 모래 소화장치
KR20210061891A (ko) 2019-11-20 2021-05-28 이종관 금속화재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73B1 (ko) * 2011-03-14 2014-02-13 박병훈 재난방지용 흙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5625B2 (en) * 2002-01-31 2007-01-23 Julius Long Fire extingushing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2000A (zh) * 2013-12-19 2015-06-24 肖作鹏 一种自动灭火沙箱
CN106621142A (zh) * 2017-01-05 2017-05-10 刘养青 一种消防用抛沙灭火装置
CN106669079A (zh) * 2017-01-16 2017-05-17 叶浩奔 一种消防用抛沙灭火装置
CN106540393A (zh) * 2017-02-06 2017-03-29 林素霞 不锈钢消防沙箱
CN106964093A (zh) * 2017-05-16 2017-07-21 张建伟 一种自动启爆流沙灭火装置
CN109675237A (zh) * 2019-02-13 2019-04-26 罗舒 用四象限探测器自动跟踪火源的智能消防沙喷射灭火装置
KR20200141273A (ko) 2019-06-10 2020-12-18 이종관 금속화재 및 금수성물질용 모래 소화장치
KR20210061891A (ko) 2019-11-20 2021-05-28 이종관 금속화재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974B1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974B1 (ko) 자동 모래 소화 설비
JP5160223B2 (ja) 硫化鉄鉱や石炭塵用の乾式コンベヤプラント
CA2049232A1 (en) Shredder/compactor auger system
KR101585677B1 (ko) 컨베이어의 비정상 적재물 처리장치
JP6020104B2 (ja) 粗大ごみ処理施設の防火装置
Eckhoff et al. Dust explosion experiments in a vented 236 m3 silo cell
Abbott Prevention of Fires and Explosions in Dryers: A User Guide
CN210594342U (zh) 一种可称重的螺杆式粉体定量输送设备
US3173389A (en) Incinerators
JP2023129349A (ja) ブロック積み重ね装置
CN107458889A (zh) 一种干料散装机
Britton Static hazards using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or powder handling
CN203294594U (zh) 一种中心惰化管式储煤筒仓安全保护装置
JP6148910B2 (ja) 破砕処理施設における延焼防止方法。
CN103662490B (zh) 一种储煤筒仓进料装置
CN220524122U (zh) 回转窑固废进料系统及危险废物处理设备
KR101388190B1 (ko) 이송물 운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7312427U (zh) 一种适用于易燃物料运输的新型斗式提升机
JPH06226137A (ja) 回転破砕機の防爆装置
JP3707855B2 (ja) 廃棄物供給装置
CN117006467A (zh) 回转窑固废进料系统、危险废物处理设备及防火灭火方法
JP2012017195A (ja) ごみ貯留設備
Palmer et al. Fire Research Station
CN210935355U (zh) 基于红外热成像仪测温的破碎机
CN106402903A (zh) 危废物焚烧分类连续密闭进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