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409U - 수문 권양기 - Google Patents

수문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409U
KR20110007409U KR2020100000582U KR20100000582U KR20110007409U KR 20110007409 U KR20110007409 U KR 20110007409U KR 2020100000582 U KR2020100000582 U KR 2020100000582U KR 20100000582 U KR20100000582 U KR 20100000582U KR 20110007409 U KR20110007409 U KR 201100074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r
rotational force
driven shaft
shaft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143Y1 (ko
Inventor
김재광
윤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기공
Priority to KR2020100000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4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3Lifting jacks with pinion and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수문 권양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수문 권양기는 기어박스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연결축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보조기어박스 내의 피동축으로 전달하고, 상기 피동축에 구비되는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래크바를 상하로 승강시켜 수문을 여닫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래크바는 하강시 상기 스프로킷의 강제 압축에 의한 휨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횡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에이치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크바의 일측에는 상하 승강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래크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문 권양기에 의하면, 수문의 개폐를 위해 상하로 승강되는 래크바의 자체 강성을 보강하여 스프로킷의 강제 압축에 의한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래크바의 승강을 지지하여 안정적인 승강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문 권양기{FLOODGATE WINCH}
본 고안은 수문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문의 닫힘시 권양기로부터 가해지는 강제 압축에 의한 래크바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문을 적은 힘으로도 쉽게 열 수 있는 수문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저수지, 해안가, 농업용 수로 등에 설치되어 담수, 유량 조절, 역류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문은 중량이 무거운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수문을 여닫기 위해 수문을 승강시키는 수문 권양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문 권양기는 그 작동 방법 및 구조에 따라 스핀들식과 핀잭식으로 구분되고, 스핀들식 수문 권양기는 고정 설치된 회전축에 연결된 원형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문을 여닫도록 승강시킨다.
또한, 핀잭식 수문 권양기는 스핀들식 수문 권양기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박스를 이용하여 토크를 증가시키고, 기어 박스의 회전축에 래크바를 승강시키는 스프로킷을 설치하여 수문을 여닫도록 승강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문 권양기는, 수문의 닫힘시 권양기의 스프로킷을 회전시키고 스프로킷으로 래크바가 하강되도록 강제로 눌러 물을 지수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로킷의 강제 압축에 따라 래크바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래크바가 활처럼 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문 권양기는 수문의 열림시 큰 힘을 필요로 함에 따라 감속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감속기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농어촌의 수문 관리자가 노령화되어 수문을 열기 위해 많은 힘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수문의 열림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목적은 수문의 닫힘시 권양기의 작동에 따른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하강되는 래크바를 탄성 지지하여 스프로킷의 강제 압축에 의한 래크바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문의 열림시 스프로킷의 회전을 도와 수문을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열 수 있도록 한 수문 권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기어박스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연결축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보조기어박스 내의 피동축으로 전달하고, 상기 피동축에 구비되는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래크바를 상하로 승강시켜 수문을 여닫는 수문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래크바는 하강시 상기 스프로킷의 강제 압축에 의한 휨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횡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에이치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크바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에이치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크바의 일측에는 상하 승강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래크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래크바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래크바의 양단에 접촉되어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름 회전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보조기어박스에 각각 형성되는 안내장공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축, 및 상기 안내축의 양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또는 완충용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문의 열림시 상기 래크바가 수월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피동축의 회전을 도와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은 양단이 상기 보조기어박스와 피동축에 각각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피동축이 상기 수문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팽창되고, 상기 피동축이 상기 수문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탄성에 의해 수축되도록 구비되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은 상기 보조기어박스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에 연결되는 래크, 및
상기 래크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피동축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은 상기 보조기어박스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래크, 및
상기 래크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피동축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문 권양기에 따르면, 수문의 개폐를 위해 상하로 승강되는 래크바의 자체 강성을 보강하여 스프로킷의 강제 압축에 의한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래크바의 승강을 지지하여 안정적인 승강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의 열림시 회전력 발생수단으로 래크바를 수월하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피동축 및 스프로킷의 회전을 돕는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수문을 기존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 쉽고 빠른 시간 내에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문 권양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문 권양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문 권양기의 래크바 이탈방지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문 권양기의 회전력 발생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에 구비된 회전력 발생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에 구비된 회전력 발생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문 권양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문 권양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문 권양기의 래크바 이탈방지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문 권양기의 회전력 발생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에 구비된 회전력 발생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에 구비된 회전력 발생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의 상면 중앙에 구비되는 기어박스(20)와, 기어박스(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받침부(10)에 구비되고 수문(70)과 연결되는 래크바(40)가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기어박스(30)로 구성된다.
기어박스(20)에는 수문(70)을 여닫기 위해 래크바(4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모터(22)는 기어박스(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축(24)과 체인 또는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24)은 기어박스(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결축(26)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구동축(24)과 연결축(26)은 이들의 축상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의 맞물림을 통해 연결된다. 이에 구동축(24)의 회전력은 연결축(26)으로 전달 가능하다.
아울러 기어박스(20)에는 구동모터(22)의 고장시 구동축(24)에 회전력을 수동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핸들(28)이 구비되어 있다. 핸들(28)은 기어박스(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축(29)과 웜기어(미도시)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핸들(29)상에는 웜기어의 웜휠이 구비되고, 핸들축(29)상에는 웜이 구비된다. 핸들축(29)과 구동축(24)은 이들의 축상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의 맞물림으로 연결된다. 이에 핸들(28)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력은 핸들축(29)을 통해 구동축(24)으로 전달 가능하다.
보조기어박스(30)의 내부에는 연결축(26)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동축(32)이 구비되어 있다. 연결축(26)과 피동축(32)은 이들의 축상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의 맞물림으로 연결된다. 이에 연결축(26)의 회전력은 피동축(32)으로 전달 가능하다. 피동축(32)에는 래크바(4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스프로킷(34)이 설치되어 있다.
래크바(4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하단이 수문(70)과 연결되고 보조기어박스(30)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승강 가능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래크바(40)의 전면에는 스프로킷(34)의 회전시 걸림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걸림봉(4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래크바(40)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에이치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수문(70)의 닫힘시 스프로킷(34)의 회전에 따라 작용하는 강제 압축에 의한 래크바(40)의 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래크바(40)가 에이치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체 강성이 보강되어 스프로킷(34)에 의한 강제 압축시 작용하는 힘에 의한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기어박스(30)의 내부에는 래크바(40)의 일측에 배치되어 래크바(40)의 승강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래크바 이탈방지수단(50)이 구비되어 있다. 래크바 이탈방지수단(50)은 래크바(40)의 양단에 접촉되어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름 회전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52)와, 안내롤러(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이 보조기어박스(30)에 각각 형성되는 안내장공(3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54)과, 지지축(54)의 양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6)로 구성된다.
즉, 래크바 이탈방지수단(50)은 수문(70)의 열림과 닫힘시 상하로 승강되는 래크바(40)를 안내롤러(52)에 의해 안내하면서 지지축(54)을 통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래크바(40)를 지지시 지지축(54)으로 작용하는 힘을 탄성부재(56)에 의해 완충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여기서 래크바(40)의 일측은 걸림봉(42)이 설치되는 전면의 반대면이다.
안내롤러(52)는 에이치빔 형상을 갖는 래크바(40)의 일측 양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지지축(54)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54)은 그 양단이 보조기어박스(30)의 양단에 형성되는 안내장공(36)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축(54)은 안내롤러(52)에 의해 안내되는 래크바(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안내롤러(52)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안내장공(36)은 보조기어박스(30)의 양측면에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지지축(54)은 래크바(40)의 상하 승강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안내장공(3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탄성부재(56)는 지지축(54)의 양단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보조기어박스(30)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탄성부재(56)는 코일스프링, 완충용 고무, 실린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6)는 안내롤러(52)가 상하로 승강되는 래크바(40)의 일측 양단에 항상 접촉될 수 있도록 지지축(54)을 탄성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보조기어박스(30)의 내부에는 수문(70)의 닫힘시 스프로킷(34)의 회전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수문(70)의 열림시 피동축(32)의 회전을 도울 수 있게 수축되어 래크바(40)가 수월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60)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력 발생수단(60)은 양단이 보조기어박스(30)와 피동축(32)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태엽스프링(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력 발생수단(60)은 탄성에 의해 수축되고 피동축(32)이 수문(70)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팽창되어 탄성력을 비축한 상태에서, 피동축(32)이 수문(70)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탄성에 의해 수축되면서 피동축(32)을 회전을 도와 래크바(40)가 수월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문(70)의 열림시 회전력 발생수단(60)을 통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스프로킷(34)에 제공하여 작은 힘으로 수문(70)을 여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박스(20)의 구동모터(22)는 발생되는 구동력을 구동축(24)으로 전달하게 된다. 구동축(24)은 구동모터(2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이를 연결축(26)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22)의 고장에 따라 구동축(24)에 의한 구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핸들(28)의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켜 구동축(24) 및 연결축(26)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22)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축(24) 및 연결축(26)이 회전되면, 연결축(26)과 연결되어 보조기어박스(30) 내에 구비되는 피동축(32)이 회전하게 되고, 피동축(32)이 회전됨 따라 스프로킷(34)이 회전되면서 래크바(40)를 상하로 승강시켜 수문(70)을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문(70)의 개폐과정에서, 수문(70)의 닫힘시 스프로킷(34)의 회전에 의해 하강되는 래크바(40)에는 스프로킷(34)의 강제 압축에 의해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작용하는 힘에 의해 휨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휨 변형은 래크바(40)의 형상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래크바(40)가 스프로킷(34)의 강제 압축에 의한 휨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에이치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체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래크바(40)의 일측에는 수문(70)의 개폐시 스프로킷(34)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래크바(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래크바 이탈방지수단(50)이 구비됨에 따라 래크바(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래크바 이탈방지수단(50)은 수문(70)의 열림과 닫힘시 상하로 승강되는 래크바(40)를 안내롤러(52)에 의해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축(54)으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래크바(40)를 지지시 지지축(54)으로 작용하는 힘을 탄성부재(56)에 의해 완충하여 안내롤러(52)가 항상 래크바(40)와 접촉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래크바(40)의 이탈을 방지와 함께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기어박스(30)에는 수문(70)의 열림시 스프로킷(34)의 회전을 도울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60)이 구비되어 작은 힘으로도 래크바(40)를 상승시켜 수문(70)을 열 수 있게 된다.
즉, 회전력 발생수단(60)은 탄성에 의해 수축되고 피동축(32)이 수문(70)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팽창되어 탄성력을 비축한 상태에서, 피동축(32)이 수문(70)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탄성에 의해 수축되면서 피동축(32)의 회전을 도와 래크바(40)가 수월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수문(70)을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열 수 있다.
상기한 회전력 발생수단(60)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태엽스프링(62)은 수문(70)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피동축(32)에 수축된 상태로 권취되게 된다. 이후 수문(70)의 닫힘에 따른 피동축(32)의 회전시 권취된 수축상태가 풀리면서 팽창하게 되어 탄성력을 비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문(70)의 열림시 태엽스프링(62)의 비축된 탄성력에 의해 피동축(32)의 회전을 도와 래크바(40)의 수월한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하게 되므로, 수문 관리자는 작은 힘으로도 수문(70)을 쉽게 열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력 발생수단(60)의 도움을 통해 수문(70)을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열면서, 수문(70)을 빠른 시간 내에 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70)의 열림시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60)이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른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력 발생수단(60)은 보조기어박스(30)에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코일스프링(63)과, 코일스프링(63)의 일측에 연결되는 래크(64)와, 래크(64)와 맞물릴 수 있도록 피동축(32)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니언(65)으로 구성된다.
즉, 회전력 발생수단(60)은 수문(70)의 닫힘에 따른 피동축(32)의 회전시 서로 맞물린 래크(64)와 피니언(65)의 회전에 의해 코일스프링(63)이 신장되어 탄성력이 비축되고 래크(64)가 수문(70)의 닫힘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수문(70)의 열림에 의한 피동축(32)의 회전시 코일스프링(63)의 비축된 탄성력으로 래크(64)를 수문(70)의 열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동축(32)을 회전시켜 래크바(40)의 상승에 도움을 주는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는,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수문(70)의 열림시 회전력 발생수단(60)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피동축(32)의 회전을 도와 래크바(40)를 수월하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수문(70)을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열면서, 수문(70)을 빠른 시간 내에 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70)의 열림시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60)이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른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력 발생수단(60)은 보조기어박스(30)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66)와, 유압실린더(66)의 피스톤로드(67)에 연결되는 래크(68)와, 래크(68)와 맞물릴 수 있도록 피동축(32)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니언(69)으로 구성된다.
즉, 회전력 발생수단(60)은 수문(70)의 닫힘에 따른 피동축(32)의 회전시 서로 맞물린 래크(68)와 피니언(69)의 회전과 유압실린더(66)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로드(67)가 수문의 닫힘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문(70)의 열림시 유압실린더(66)의 작동에 의해 당겨지는 피스톤로드(67)의 인장력으로 피동축(32)의 회전을 도와 래크바(40)의 상승에 도움을 주는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수문(70)의 개폐시 래크(68)를 수문의 닫힘방향 노출시키거나 수문의 열림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유압실린더(66) 대신에 에어실린더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는,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수문(70)의 열림시 회전력 발생수단(60)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피동축(32)의 회전을 도와 래크바(40)를 수월하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수문(70)을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열면서, 수문(70)을 빠른 시간 내에 열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각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20: 기어박스 22: 구동모터
24: 구동축 26: 연결축
28: 핸들 29: 핸들축
30: 보조기어박스 32: 피동축
34: 스프로킷 36: 안내장공
40: 래크바 50: 래크바 이탈방지수단
52: 안내롤러 54: 지지축
56: 탄성부재 60: 회전력 발생수단
62: 태엽스프링 64: 래크
65: 피니언 66: 유압실린더
68: 래크 69: 피니언

Claims (6)

  1. 기어박스(2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구동축(24)의 회전력을 연결축(26)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보조기어박스(30) 내의 피동축(32)으로 전달하고, 상기 피동축(32)에 구비되는 스프로킷(34)의 회전에 의해 래크바(40)를 상하로 승강시켜 수문을 여닫는 수문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래크바(40)는 하강시 상기 스프로킷의 강제 압축에 의한 휨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횡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에이치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크바(40)의 일측에는 상하 승강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래크바 이탈방지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래크바 이탈방지수단(50)은 상기 래크바(40)의 양단에 접촉되어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름 회전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52)와, 상기 안내롤러(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보조기어박스(30)에 각각 형성되는 안내장공(3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54), 및 상기 지지축(54)의 양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6)는 코일스프링 또는 완충용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70)의 열림시 상기 래크바(40)가 수월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피동축(32)의 회전을 도와 상기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60)은 양단이 상기 보조기어박스(30)와 피동축(32)에 각각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피동축(32)이 상기 수문(70)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팽창되고, 상기 피동축(32)이 상기 수문(70)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탄성에 의해 수축되도록 구비되는 태엽스프링(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60)은 상기 보조기어박스(30)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63)과,
    상기 코일스프링(63)의 일측에 연결되는 래크(64), 및
    상기 래크(64)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피동축(32)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니언(6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60)은 상기 보조기어박스(30)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66)와,
    상기 유압실린더(66)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래크(68), 및
    상기 래크(68)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피동축(32)의 외주에 형성되는 피니언(6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
KR2020100000582U 2010-01-19 2010-01-19 수문 권양기 KR200464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582U KR200464143Y1 (ko) 2010-01-19 2010-01-19 수문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582U KR200464143Y1 (ko) 2010-01-19 2010-01-19 수문 권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09U true KR20110007409U (ko) 2011-07-27
KR200464143Y1 KR200464143Y1 (ko) 2012-12-14

Family

ID=4559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582U KR200464143Y1 (ko) 2010-01-19 2010-01-19 수문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5098A (zh) * 2012-04-27 2012-08-15 贾永明 液力驱动卷扬式启闭机
CN103015376A (zh) * 2012-12-19 2013-04-03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直联式启闭机
CN116446350A (zh) * 2023-04-19 2023-07-18 浙江江南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平面定轮闸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50B1 (ko) 2017-04-20 2019-07-01 한국수자원공사 탄성체를 적용한 수문 권양기 회전축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624B1 (ko) 2001-01-09 2003-09-19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수문장치
KR100733290B1 (ko) 2005-11-22 2007-06-29 윤길중 수문 개폐장치
KR100685863B1 (ko) 2006-05-03 2007-02-22 오재욱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수문 권양장치
KR100926525B1 (ko) 2009-08-11 2009-11-12 금전기업 주식회사 수문용 권양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5098A (zh) * 2012-04-27 2012-08-15 贾永明 液力驱动卷扬式启闭机
CN103015376A (zh) * 2012-12-19 2013-04-03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直联式启闭机
CN116446350A (zh) * 2023-04-19 2023-07-18 浙江江南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平面定轮闸门
CN116446350B (zh) * 2023-04-19 2024-05-31 浙江江南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平面定轮闸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143Y1 (ko) 201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143Y1 (ko) 수문 권양기
CN110258486B (zh) 一种河道闸口漂浮垃圾环保清理装置
CN108439177B (zh) 一种管桩吊具
KR101358299B1 (ko) 수문용 체인식 개폐장치
KR101065780B1 (ko) 권양기를 이용한 수문
KR20210127324A (ko) 통발어구 인양기
KR20050118116A (ko) 권양기 수문의 구성방법
KR20110097538A (ko) 미닫이식 개폐수문
CN215165583U (zh) 一种水利工程用拔桩设备
CN108100865B (zh) 一种路面夯实设备吊装机构
KR200426008Y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CN218320199U (zh) 一种π形预制箱涵的翻转工具
KR101831394B1 (ko) 와이어 로프 인양용 수문
KR101068406B1 (ko) 수문 권양기용 제동장치
CN215052745U (zh) 一种水利水电闸门启闭装置
CN108104873A (zh) 一种卷扬式的防淹门
KR100891175B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102053939B1 (ko) 체인 스토퍼
CN104534247B (zh) 一种电动支撑腿
KR101464923B1 (ko) 펜터그래프형 권양수단을 구비한 수문장치
CN203612789U (zh) 竖井提升罐笼用无制动器自动罐帘门
CN207108337U (zh) 一种检错卷扬机
KR101646220B1 (ko) 수문 개폐용 윈치
CN117466129B (zh) 一种耐火材料加工设备的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