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225A -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어레인지먼트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어레인지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225A
KR20110007225A KR1020107026445A KR20107026445A KR20110007225A KR 20110007225 A KR20110007225 A KR 20110007225A KR 1020107026445 A KR1020107026445 A KR 1020107026445A KR 20107026445 A KR20107026445 A KR 20107026445A KR 20110007225 A KR20110007225 A KR 20110007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hreshold value
operating
discharge lamp
electronic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크룸멜
안드레아스 미트체
Original Assignee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filed Critical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Publication of KR2011000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 공급 전압(UZW)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입력 접속부를 가진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를 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출력 접속부를 가진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제 1(T1) 및 제 2 전자 스위치(T2)를 가진 인버터 ― 상기 스위치들은 제 1 및 제 2 입력 접속부 사이에 직렬로 결합되고, 상기 인버터의 중간 포인트(M)는 제 1(T1) 및 제 2 스위치(T2) 사이에 형성됨 ―; 램프 쵸크(L1) 및 공진 캐패시터(C2)를 포함하는 점화 디바이스; 인버터의 중간 포인트(M) 및 제 2 입력 접속부 사이에 결합된 일차 인덕터(P1), 제 3 전자 스위치(T3) 및 전류 측정 저항기(R1)의 직렬 접속부, 및 일차 권선(P1)에 결합된 제 1(SI1) 및 제 2(SI2) 이차 인덕터를 포함하는 예열 디바이스 ― 상기 제 1(SI1) 이차 인덕터는 제 1 출력 접속부에 결합되고 제 2 이차 인덕터(SI2)는 제 2 출력 접속부에 결합됨 ―; 전류 측정 저항기(R1)에 결합된 제어 디바이스(MC) ― 상이한 타입들의 방전 램프들과 연관된 동작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세트들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 내에 저장되고, 상기 동작 파라미터들 중 하나의 세트는 현재 동작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고, 제어 디바이스(MC)는 현재 동작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 적어도 제 1(T1), 제 2(T2) 및 제 3(T3) 전자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됨 ― 를 포함하고,
예열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E1)의 전기 저항의 역수와 상관하는 전압 강하의 제 1 값(Res1new)은 제 1 시간(t1)에서 전류 측정 저항기(R1)에 의해 결정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E1)의 전기 저항의 역수와 상관하는 전압 강하의 제 2 값(Res2new)은 제 2 시간(t2)에서 전류 측정 저항기(R1)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 2 시간(t2)은 제 1 시간(t1) 이후이고;
a) 제 1 값(Res1new) 및 제 2 값(Res2new) 사이의 차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140); b) b1) 상기 차가 제 1 임계값(S1)보다 크면(단계들 150 내지 230): 램프 타입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단계; b2) 만약 상기 차가 제 1 임계값(S1)보다 크지 않으면: c1) 만약 상기 차가 제 2 임계값(S2)보다 크면, 여기서 제 2 임계값(S2)은 제 1 임계값(S1)보다 작음(단계 240): d1) 만약 제 2 값이 제 3 임계값(S3)보다 크면(단계 270): 코일 단락 회로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280): d2) 만약 제 2 값이 제 3 임계값(S3)보다 크지 않으면: 동작 파라미터들 중 현재 세트를 사용하여 램프를 동작시키는 단계(단계 290)들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를 동작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어레인지먼트{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T LEAST ONE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DC 공급 전압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입력 접속부를 가진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제 1 및 제 2 출력 접속부를 가진 출력부;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 접속부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전자 스위치를 가진 인버터 ― 상기 인버터의 중간포인트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사이에 형성됨 ―; 램프 인덕터 및 공진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점화 디바이스; 인버터의 중간포인트 및 제 2 입력 접속부 사이에 결합된 일차 인덕터, 제 3 전자 스위치 및 전류 측정 저항기의 직렬 접속부, 및 일차 권선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이차 인덕터를 포함하는 예열 디바이스 ― 상기 제 1 이차 인덕터는 제 1 출력 접속부에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차 인덕터는 제 2 출력 접속부에 결함됨 ―; 및 전류 측정 저항기에 결합되고 상이한 타입들의 방전 램프들에 할당된 적어도 두 세트의 동작 파라미터들이 저장되는 제어 디바이스 ― 한 세트의 상기 동작 파라미터들은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에 따라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 전자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됨 ― 을 가지며, 예열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의 전기 저항의 역수에 상관되는 전압 강하의 제 1 값은 제 1 순간에 전류 측정 저항기 양단에서 결정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의 전기 저항의 역수(reciprocal)와 상관되는 전압 강하의 제 2 값은 제 2 순간에 전류 측정 저항기 양단에서 결정되고, 제 2 순간은 제 1 순간 이후인, 회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DE 103 45 610 A1에 개시되고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다. 상기 도면은 하프 브리지 인버터 방식으로 배열된 두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T1, T2)을 가진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한다. 두 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은 마이크로제어기(MC)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비교적 큰 캐패시턴스를 가진 중간 회로 캐패시터(C1)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T1, T2)의 DC 입력 전압과 병렬로 배열된다. 중간 회로 캐패시터(C1)는 DC 전압원으로서 사용하고 하프 브리지 인버터에 대한 소위 중간 회로 전압(UZW)을 제공한다. 중간 회로 전압(UZW)은 일반적으로 대략 400V이고 시스템 전압 정류기(도시되지 않음) 및 부스트(boost) 컨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AC 전압 상에서 생성된다. 중간 회로 캐패시터(C1)는 부스트 컨버터의 전압 출력부와 병렬로 배열된다. 하프 브리지 인버터의 출력부(M)에는 직렬 공진 회로로서 설계되고 본래 램프 인덕터(L1) 및 점화 캐패시터(C2)로 이루어진 로드 회로가 접속된다. 점화 캐패시터(C2)와 병렬로 형광 램프(LP) 및 캐패시터(C3)의 방전 경로가 접속되고, 상기 캐패시터(C3)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의 정상 상태에서 램프의 동작 동안 하프 브리지 인버터의 공급 전압의 절반이도록 충전된다. 형광 램프(LP)의 램프 전극들(E1, E2)은 각각 두 개의 전기 접속부들을 가진 전극 코일들로서 설계된다. 각각의 경우 전극 코일들(E1, E2)과 병렬로 전극 코일들(E1, E2)의 유도성 가열을 서빙하는 트랜스포머의 이차 권선(SI1, SI2)이 접속된다. 이 트랜스포머의 일차 권선(P1)은 추가의 전계 효과트랜지스터(T3)의 스위칭 경로 ― 마이크로제어기(MC)가 마찬가지로 제어 신호들을 상기 추가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3)의 제어 전극에 인가함 ― 와 직렬로 접속되고, 그리고, 측정 저항기(R1) 양단 전압 강하 동안 상기 측정 저항기(R1)는 방전 램프(LP)의 코일(E1, E2)의 전기 저항의 역수와 상관되는 전압(Res)이다. 컴포넌트들(P1, T3 및 R1)의 직렬 접속부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의 출력부(M)에 접속된다. 일차 권선(P1)의 제 1 접속부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의 출력부 또는 중앙 탭(M) 및 램프 인덕터(L1)에 접속되는 반면, 일차 권선(P1)의 제 2 접속부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3)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1)을 통하여 DC 순방향으로 중간 회로 캐패시터(C1)의 고전위인 접속부(+)에 접속된다. 측정 저항기(R1)의 제 1 접속부는 프레임(frame) 전위(-)에 접속되는 반면, 측정 저항기의 제 2 접속부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3), 및 저역 통과 필터(R2, C4)를 통하여 마이크로제어기(MC)의 전압 입력부(A)에 접속된다.
하프 브리지 인버터의 공급 전압 절반까지 충전된 커플링 캐패시터(C3), 및 대안적으로 하프 브리지 인버터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T1, T2)에 의해, 고주파수 AC 전압은 알려진 방식으로 로드 회로(L1, C2, LP)에 인가되고, 상기 고주파수 AC 전압의 주파수는 트랜지스터들(T1, T2)의 스위칭 주기에 의해 결정되고, 그리고 대략 50 kHz 내지 대략 150 kHz의 범위이다. 형광 램프(LB) 내 가스 방전의 점화 이전, 가열 전류는 유도성 방식으로 트랜스포머(P1, SI1, SI2)에 의해 램프 전극들(E1, E2)에 인가된다. 이를 위해, 트랜지스터(T3)는 트랜지스터(T1)와 동기하는 방식으로 마이크로제어기(MC)에 의해 스위칭 온 및 오프된다. 트랜지스터들(T1, T3)의 스위칭-온 지속 기간 동안, 전류는 일차 권선(P1) 및 측정 저항기(R1)를 통하여 흐른다. 트랜지스터들(T1, T3)의 스위칭 오프 지속 기간 동안, 측정 저항기(R1)를 통과하는 전류 흐름은 중단된다. 일차 권선(P1)의 자기장 내에 저장된 에너지는 트랜지스터들(T1, T3)의 스위칭-오프 지속 기간 및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온 지속 기간 동안 다이오드(D1)를 중간 회로 캐패시터(C1)에 공급된다. 대안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들(T1, T2) 및 트랜지스터(T1)과 동기하여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T3)로 인해, 고주파수 전류는 일차 권선(P1)을 통하여 흐르고 이차 권선(SI1, SI2)의 전극 코일들(E1, E2)에 대한 대응하는 가열 전류들을 유도한다. 트랜지스터(T3)의 다수의 스위칭 주기들의 시간 간격에 걸쳐 측정 저항기(R1) 양단의 전압 강하는 저역 통과 필터(R2, C4)의 도움으로 평균되고 마이크로제어기(MC)의 전압 입력부(A)에 공급된다. 마이크로제어기(MC)의 접속부(A)에서의 입력 전압은 아날로그-대-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전환되고 마이크로제어기(MC)에서 평가된다.
마이크로제어기(MC)는 가열 단계의 시작 후 대략 30 ms 후의 제 1 시간 동안, 및 가열 단계의 시작 후 대략 600 ms의 제 2 시간 동안 캐패시터(C4) 양단의 전압 강하를 검출한다. 만약 두 개의 전압 값들 사이의 차의 절대 값이 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가열 단계의 종료시 전압 값은 마이크로제어기(MC)에 저장되고 램프 타입 인식을 위한 기준 값과 비교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전압 값은 코일 저항의 역수와 상관된다. 만약 두 개의 전압 값들 사이 차의 절대 값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램프는 현재 데이터 세트로 계속 동작된다, 즉 램프-타입 인식은 수행되지 않는다. 램프-타입 인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는 지명된 공개물에 따라 전극 코일들(E1, E2)이 최근 램프 동작으로 인해 가열 단계의 시작에서 아직 완전히 냉각되지 않았을 때, 또는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형광 램프(LP)의 전극 코일들(E1 및 E2) 대신 오움 더미(dummy) 저항으로 동작될 때의 경우이다.
이미 팔리고 있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에서 출원자에 의해 사용된 추가 종래 기술에 따라, 도 2에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측정된 코일 저항들의 추가 평가는 DE 103 45 610 A1에 따른 종래 기술을 기초로 이루어진다. 이런 절차의 목적은 전자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의 경우 루미네어들(luminaire)의 올바르지 않은 배선의 예들로 인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일 단락 회로들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런 접근의 목적은 동작 동안 코일 흑화(darkening) 또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대한 손상의 발생 순간들을 회피하는 것이다.
알려진 방법은 단계(100)에서 시작한다. 추후, 중간 회로 전압(UZW)이 원하는 값(UZWsoll)에 도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사가 단계(110)에서 이루어진다. 만약 이것이 원하는 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이면, 중간 회로 전압(UZW)은 단계(120)에서 증가된다. 단계(110)에서 중간 회로 전압(UZW)이 원하는 값(UZWsoll)에 도달된 것이 결정되면, 형광 램프(LP)의 코일의 코일 저항과 상관되는 측정 저항기(R1)에서의 전압 강하의 제 1 값(Res1new)은 단계(130)에서 제 1 순간(t1)에서 결정되고, 그리고 이 전압 강하의 제 2 값(Res2new)은 제 2 순간(t2)에서 결정된다. 단계(140)에서, 차(Res1new - Res2new)는 제 1 임계값(S1)과 비교된다. 만약 상기 차가 임계값보다 크면, 램프-타입 인식에 대한 알고리즘이 수행된다. 상기 알고리즘은 단계들(150 내지 230)을 포함한다. 이런 프로세스에서, 절대 값
Figure pct00001
은 우선 단계(150)에서 임계값(X1)과 비교되고, Res2new는 측정 저항기(R1) 양단의 전압 강하의 현재 측정된 값을 구성하고, 그리고 Res2old는 이전 측정 값을 구성한다. 만약 절대 값
Figure pct00002
이 임계값(X1)보다 작으면, 램프는 단계(160)에서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로 동작된다. 새로운 값(Res2new)는 이전 값(Res2old)과 아주 약간만 상이하고, 따라서 동일한 램프가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접속된 것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 결과적으로, 상기 램프는 단계(160)에서 현재 데이터 세트의 도움으로 변화없이 동작될 수 있다. 만약 대조하여 값
Figure pct00003
이 임계값(X1)보다 크면, 단계(170)에서 상기 값
Figure pct00004
이 임계값(X1) 및 임계값(X2) 사이에 놓이는지가 결정되고, X2는 X1보다 크다. 만약 이것이 맞다면, 동일한 램프가 계속 지칭되지만 단지 약간 노화되었다는 것이 가정된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값(Res2new)는 단계(180)에서 이전 값(Res2old) 상에 겹쳐써진다. 그 후, 램프는 단계(190)에서 현재 데이터 세트의 도움으로 계속 동작된다.
대조하여, 단계(170)에서 상기 값
Figure pct00005
이 X1 및 X2 사이에 놓이지 않는 것이 결정되면, Res2new의 값은 이런 Res2new가 할당되는 램프 타입을 테이블로부터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테이블에서 조사된다. 만약 단계(200)에서 대응하는 램프 데이터 세트가 이런 경우에서 인식되면, 램프는 단계(210)에서 검출된 램프 데이터 세트(i)의 도움으로 동작된다. Res2new는 단계(220)에서 Res2old 상에 겹쳐써진다. 만약 Res2new에 대한 램프 데이터 세트가 단계(200)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램프는 단계(230)에서 디폴트 데이터 세트로 동작된다.
단계(140)에서 Res1new 및 Res2new 사이의 차가 임계값(S1)보다 작은 것이 결정되면, 단계(240)에서 상기 차(Res1new - Res2new)가 임계 값(S1)보다 작은 제 2 임계값(S2) 아래에 놓이는지가 검사된다. 만약 이것이 아래에 놓이는 경우이면, 더미 코일이 단계(250)에서 가정되거나, 코일 단락 회로가 가정된다. 만약 더미 코일이 배제될 수 있다면(램프가 사용되는 경우이면), 코일 단락 회로는 존재하고 회로 어레인지먼트 스위칭 오프된다. 단계(240)에서 Res1new 및 Res2new 사이의 차가 임계값(S2)보다 크다는 것이 결정되면, 램프는 단계(260)에서 현재 데이터 세트로 계속 동작된다.
다수의 루미네어들이 단일 회로 어레인지먼트에서 동시에 동작될 때 개략된 절차의 경우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대한 손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지금 결정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어레인지먼트 내 다수의 루미네어들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처음에 언급된 방법 또는 처음에 언급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가진 방법뿐 아니라, 청구항 제 7 항의 특징들을 가진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비록 종래 기술에 따른 절차가 단락 라인들의 경우에서 코일 단락 회로들을 인식할 수 있지만, 하나의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도움으로 다수의 루미네어들의 동작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긴 라인들의 경우에서 상기 코일 단락 회로 인식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절차의 경우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에 대한 손상이 발생한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긴 라인들의 경우 코일 단락 회로들은 단락 라인들이 제공되면 측정 저항기 양단의 전압의 제 1 측정 값 및 측정 저항기 양단의 전압 강하의 제 2 측정 값 사이의 차가 코일 단락 회로의 경우에서보다 크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램프의 코일들이 이전 동작으로 인해 아직 완전히 냉각되지 않은 램프의 경우에서 임계값(S2)이 긴 라인들을 제공하는 코일 단락 회로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단계(240)에서 지금 상승되었다면, 이것은 코일 단락 회로의 잘못된 검출, 및 잘못되고, 그러므로 원하지 않게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스위칭 오프를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의 개선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차(Res1new - Res2new)가 임계값(S2)보다 큰 것을 결정한 후 경우들의 추가 구별을 위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스위칭 온 된 램프가 동작되지 않을 것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단계(240)에서 차(Res1new - Res2new)가 임계값(S2)보다 큰 것이 결정될 때 경우들의 추가 구별이 이루어지는 것을 제공한다: 만약 Res2new가 제 3 임계값보다 크면 ― 여기서 제 3 임계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제 2 임계값보다 큼 ―, 코일 단락 회로가 결정된다. 그러나, Res2new가 제 3 임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램프는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의 도움으로 계속 동작될 것이다. 이런 조치는 스위칭 온이 재개된 경우, 값(Res2new)이 보다 긴 라인들이 제공되면 단락 회로의 경우에서의 값(Res2new)에 비해 작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이런 절차에 의해, 비교적 긴 라인들의 경우 코일 단락 회로들은 신뢰성 있게 검출되는 반면 다시 스위칭 온된 램프들은 현재 데이터 세트의 도움으로 추가로 동작된다. 이것은 두 개의-램프 및 다중램프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회로 어레인지먼트, 즉 단일 안정기의 도움으로 동작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를 유발하는 비교적 긴 라인들이 지금 코일 단락 회로들에 대해 신뢰성 있게 모니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에 대한 손상이 신뢰성 있게 배제되는 것이 뒤따른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 추가 단계들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만약 차(Res1new - Res2new)가 제 2 임계값보다 작으면, 다음 단계들은 수행된다: 만약 제 2 측정 값이 제 4 및 제 5 임계값 사이이면 ― 여기서 제 5 임계값은 제 4 임계값보다 작음 ―, 램프-타입 인식은 디스에이블(disable) 된다. 만약 제 2 측정 값이 제 4 임계값보다 크면, 코일 단락 회로는 결정된다. 만약 제 2 측정 값이 제 4 임계값보다 작으면, 더미 코일이 결정된다.
단계들(150 내지 230)과 관련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램프-타입 인식의 디스에이블은 램프 제조자가 규정된 파라미터들의 세트의 도움으로 사용시 램프의 동작을 보장하게 한다. 따라서, 램프 제조자는 예를 들어 50 W에 대한 루미네어를 설계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시 심지어 80 와트 램프가 단순히 50 와트 램프로서 동작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특히 루미네어의 성능-관련 엘리먼트들이 보다 약한 디멘션(dimension)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램프-타입 인식이 디스에이블 되면 램프-타입 인식이 코일 단락 회로를 결정할 때 인에이블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런 조치는 예를 들어 거의 영의 저항을 갖는 더미 코일을 사용함으로써 리인에이블먼트(reenablement)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기 위하여, 코일 단락 회로의 결정 후 셧다운(shutdown)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스위칭 오프하는 것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셧다운의 발생과 관련한 정보를 생성하여, 결함 위치 결정을 돕는 것이 유리하다.
게다가, 이는 제 1 및/또는 제 2 임계값이 팩터(factor) a 및 제 2 값(Res2new)의 곱에 의해 형성될 때 유리하고, 여기서 0 < a < 2이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임계값은 측정된 전압 값(Res2new)에 좌우된다. 이것은 만약 이런 시점에서 절대 값들이 이용되는 것보다 실제로 보다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임계값(S1)은 예를 들어 Res2new(팩터 a=1)일 수 있지만, 임계값(S2)은 예를 들어 Res2new/16일 수 있다.
제 3 임계값(S3)은 바람직하게 팩터 b와 제 4 임계값(S4)의 곱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0 < b < 1이고, 제 4 임계값(S4)은 최소 저항의 코일에 의해 유발된 제 2 값(Res2new)보다 크고, 그리고 제 5 임계값(S5)은 제 4 임계값보다 작다.
추가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로부터 뒤따른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방법을 참조하여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의 장점들은 응용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대해 대응하여 유효하다.
본 발명의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코일 저항의 역수와 상관되고 상이한 상황들에서 전류 측정 저항기(R1) 양단에서 강하하는 전압(Res)의 시간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종래 기술과의 차이들만이 하기에서 고찰된다. 그러므로 도 2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설계들은 도 2의 흐름도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 포함하는 도 3의 흐름도에 대응하는 범위까지 유효하고, 그러므로 다시 반복되지 않는다.
도 3에 따라, 단계(240)에서 차(Res1new - Res2new)가 제 2 임계값(S2)보다 크다는 것이 결정되었을 때 ― 여기서 제 2 임계값은 제 1 임계값(S1)보다 작고, 추가 경우의 구별이 단계(270)에서 이루어짐 ―: 상기 프로세스에서 값(Res2new)가 제 3 임계값(S3)보다 크다는 것이 결정되면, 단계(280)에서 코일 단락 회로가 결정되거나, 또는 램프-타입 인식의 디스에이블이 단계들(150 내지 230)에 따라 이전에 발생하였을 때, 상기 인식은 인에이블된다. 단계(270)에서 Res2new가 제 3 임계값(S3)보다 크지 않다는 것이 결정되면, 단계(290)에서 램프는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의 도움으로 동작된다.
단계(240)에서 차(Res1new - Res2new)가 제 2 임계값(S2)보다 작은 것이 결정되면, 추가 경우의 구별은 단계(300)에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서 값(Res2new)이 제 4 임계값(S4)보다 큰지 검사된다. 만약 이것이 맞는 것으로 대답되면, 코일 단락 회로는 단계(310)에서 결정되거나, 만약 램프-타입 인식이 단계들(150 내지 230)에 따라 디스에이블 되었다면, 상기 인식은 인에이블된다. 그러나 단계(300)에서 값(Res2new)이 제 4 임계값(S4)보다 작다는 것이 결정되면, 추가 경우의 구별은 단계(310)에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서 Res2new가 제 5 임계값(S5)보다 큰지가 검사되고, 여기서 제 5 임계값은 제 4 임계값(S4)보다 작다. 만약 이것이 Res2new가 제 5 임계값(S5)보다 큰 경우이면, 단계들(150 내지 230)에 따른 램프-타입 인식은 단계(320)에서 디스에이블된다. 그러나 만약 이것이 Res2new가 제 5 임계값(S5)보다 큰 경우가 아니면, 더미 코일은 단계(330)에서 채택된다.
임계값들에 대한 다음 값들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선택된다: 최소 저항의 코일, X1 = 6.33 및 X2 = 12.5에 의해 유발된 S1 = Res2new, S2 = 1/16 Res2new, S3 > S4/4, S4 > S5, S4 > Res2new.
본 발명의 방법의 알고리즘은 도 1의 마이크로제어기(MC)에서 실행된다. 이것은 특히 요구된 저장 및 비교 디바이스들을 가진다.
추가 이해를 위해, 도 4는 상이한 상황들에 대해 전류 측정 저항기(R1)에 대한 코일 저항의 역수와 상관되는 전압 강하(Res)의 시간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곡선 a)는 더미 코일의 경우에서의 시간 프로파일을 재현하고, 곡선 b)는 단락 라인들이 제공되면 코일 단락 회로의 경우에서의 시간 프로파일을 재생하고, 곡선 c)는 비교적 긴 라인들이 제공되면 코일 단락 회로의 경우에 관련되고, 곡선 d)는 원래 코일들의 경우를 지칭하고, 그리고 곡선 e)는 다시 스위칭 온, 즉 코일들이 이전 동작으로부터 아직 냉각되지 않은 것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단락(곡선 b)이 제공되고 비교적 긴 라인들(곡선 c)이 제공되면 코일 단락 회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냉각된 상태(곡선 d)에서의 스위칭 온 동안 및 또한 아직 냉각되지 않은 상태(곡선 e)에서 스위칭 온 동안 형광 램프의 동작을 허용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시 더미 코일(곡선 a)는 계속 신뢰성 있게 검출된다.

Claims (7)

  1. 회로 어레인지먼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DC 공급 전압(UZW)을 접속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입력 접속부를 가진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를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및 제 2 출력 접속부를 가진 출력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입력 접속부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적어도 제 1 전자 스위치(T1) 및 제 2 전자 스위치(T2)를 가진 인버터 ― 상기 인버터의 중간포인트(M)는 상기 제 1 전자 스위치(T1) 및 상기 제 2 전자 스위치(T2) 사이에 형성됨 ―;
    램프 인덕터(L1) 및 공진 캐패시터(C2)를 포함하는 점화 디바이스;
    상기 인버터의 상기 중간포인트(M) 및 상기 제 2 입력 접속부 사이에 결합된 일차 인덕터(P1), 제 3 전자 스위치(T3) 및 전류 측정 저항기(R1)의 직렬 접속부, 및 상기 일차 권선(P1)에 결합된 제 1 이차 인덕터(SI1) 및 제 2 이차 인덕터(SI2)를 포함하는 예열 디바이스 ― 상기 제 1 이차 인덕터(SI1)는 상기 제 1 출력 접속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이차 인덕터(SI2)는 상기 제 2 출력 접속부에 결함됨 ―; 및
    상이한 타입들의 방전 램프들에 할당된 적어도 두 세트의 동작 파라미터들 이 저장되는 상기 전류 측정 저항기(R1)에 결합된 제어 디바이스(MC) ― 한 세트의 동작 파라미터들은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MC)는 상기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에 따라 적어도 상기 제 1 전자 스위치(T1), 상기 제 2 전자 스위치(T2) 및 상기 제 3 전자 스위치(T3)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됨 ―
    을 가지며,
    예열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E1)의 전기 저항의 역수(reciprocal)와 상관되는 전압 강하의 제 1 값(Res1new)은 제 1 순간(t1)에서 상기 전류 측정 저항기(R1) 양단에서 결정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E1)의 상기 전기 저항의 역수와 상관되는 전압 강하의 제 2 값(Res2new)은 제 2 순간(t2)에서 상기 전류 측정 저항기(R1) 양단에서 결정되고, 상기 제 2 순간(T2)은 상기 제 1 순간(t1) 이후이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제 1 값(Res1new) 및 상기 제 2 값(Res2new) 사이의 차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140);
    b) b1) 만약 상기 차가 제 1 임계값(S1)보다 크면:
    램프-타입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단계 150 내지 230);
    b2) 만약 상기 차가 제 1 임계값(S1)보다 크지 않으면:
    c1) 만약 상기 차가 제 2 임계값(S2)보다 크면(단계 240) ― 상기 제 2 임계값(S2)은 상기 제 1 임계값(S1)보다 작음 ―:
    d1) 만약 상기 제 2 값이 제 3 임계값(S3)보다 크면(단계 270):
    코일 단락 회로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280);
    d2) 만약 상기 제 2 값이 상기 제 3 임계값(S3)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로 상기 램프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c2) 만약 상기 차가 상기 제 2 임계값(S2)보다 작으면:
    d1) 만약 상기 제 2 측정 값이 제 4 임계값(S4) 및 제 5 임계값(S5) 사이이면 ― 상기 제 5 임계값(S5)은 상기 제 4 임계값(S4)보다 작음 ―:
    상기 램프-타입 인식을 디스에이블(disable) 하는 단계(단계 320);
    d2) 만약 상기 제 2 측정 값이 상기 제 4 임계값(S4)보다 크면:
    코일 단락 회로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310)
    d3) 만약 상기 제 2 측정 값이 상기 제 5 임계값(S5)보다 작으면:
    더미 코일을 결정하는 단계(단계 330)
    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타입 인식은 디스에이블된 상기 램프-타입 인식이 주어지는 경우 코일 단락 회로를 결정할 때 인에이블(enable) 되는(단계들 280, 310),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일 단락 회로의 결정 후 셧다운(shutdown)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값(S1) 및/또는 상기 제 2 임계값(S2)은 팩터 a 및 상기 제 2 값의 곱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0 < a < 2인,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임계값(S3)은 팩터 b와 상기 제 4 임계값(S4)의 곱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0 < b < 1이고, 상기 제 4 임계값(S4)은 최소 저항의 코일에 의해 유발된 상기 제 2 값(Res2new)보다 크고, 그리고 상기 제 5 임계값(S5)은 상기 제 4 임계값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로서,
    DC 공급 전압(UZW)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입력 접속부를 가진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를 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제 1 및 제 2 출력 접속부를 가진 출력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입력 접속부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적어도 제 1 전자 스위치(T1) 및 제 2 전자 스위치(T2)를 가진 인버터 ― 상기 인버터의 중간포인트는 상기 제 1 전자 스위치(T1) 및 상기 제 2 전자 스위치(T2) 사이에 형성됨 ―;
    램프 인덕터(L1) 및 공진 캐패시터(C2)를 포함하는 점화 디바이스;
    상기 인버터의 중간포인트(M) 및 상기 제 2 입력 접속부 사이에 결합된 일차 인덕터(P1), 제 3 전자 스위치(T3) 및 전류 측정 저항기(R1)의 직렬 접속부, 및 상기 일차 권선(P1)에 결합된 제 1 이차 인덕터(SI1) 및 제 2 이차 인덕터(SI2)를 포함하는 예열 디바이스 ― 상기 제 1 이차 인덕터(SI1)는 상기 제 1 출력 접속부에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차 인덕터(SI2)는 상기 제 2 출력 접속부에 결합됨 ―; 및
    상이한 타입들의 방전 램프들에 할당된 적어도 두 세트의 동작 파라미터들이 저장된 상기 전류 측정 저항기(R1)에 결합된 제어 디바이스(MC) ― 한 세트의 동작 파라미터들은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MC)는 상기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에 따라 적어도 상기 제 1 전자 스위치(T1), 상기 제 2 전자 스위치(T2) 및 상기 제 3 전자 스위치(T3)를 작동시키기 위해 설계됨 ―;
    을 가지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MC)는 예열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E1)의 전기 저항과 상관되는 전압 강하의 제 1 값(Res1new)을 제 1 순간(t1)에서 상기 전류 측정 저항기(R1)를 통해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LP)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E1)의 전기 저항과 상관되는 전압 강하의 제 2 값(Res2new)을 제 2 순간(t2)에서 상기 전류 측정 저항기(R1)를 통해 결정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2 순간(t2)은 상기 제 1 순간(t1) 이후이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MC)는:
    a) 상기 제 1 값(Res1new) 및 상기 제 2 값(Res2new) 사이의 차를 결정하고(단계 140);
    b) b1) 만약 상기 차가 제 1 임계값(S1)보다 크면(단계들 150 내지 230):
    램프-타입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b2) 만약 상기 차가 상기 제 1 임계값(S1)보다 크지 않으면:
    c1) 만약 상기 차가 제 2 임계값(S2)보다 크면(단계 240) ― 상기 제 2 임계값(S2)은 상기 제 1 임계값(S1)보다 작음 ―:
    d1) 만약 상기 제 2 값이 제 3 임계값보다 크면(단계 270):
    코일 단락 회로를 결정하고(단계 280);
    d2) 만약 상기 제 2 값이 상기 제 3 임계값(S3)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동작 파라미터들의 현재 세트로 상기 램프를 동작시키는 (단계 290)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KR1020107026445A 2008-04-25 2008-04-25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어레인지먼트 KR201100072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8/055074 WO2009129860A1 (de) 2008-04-25 2008-04-25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betreiben mindestens einer entladungslam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25A true KR20110007225A (ko) 2011-01-21

Family

ID=4081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445A KR20110007225A (ko) 2008-04-25 2008-04-25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어레인지먼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96941B2 (ko)
EP (1) EP2274960B1 (ko)
KR (1) KR20110007225A (ko)
CN (1) CN102017809B (ko)
WO (1) WO2009129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133A (ko) 2021-02-26 2022-09-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사물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4960B1 (de) * 2008-04-25 2013-02-27 OSRAM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betreiben mindestens einer entladungslampe
EP3223588B1 (fr) * 2016-03-21 2020-04-08 Valeo Iluminacion Gestion de l'information bin dans un module lumineux pour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s sources lumineuses à élément semi-conducteu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0441A1 (de) * 1998-10-27 2000-05-11 Trilux Lenz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schaltgerät zum Betrieb einer mit einer Leuchtstofflampe versehenen Leuchte
DE10345610A1 (de) 2003-09-29 2005-05-12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m Betreiben mindestens einer Niederdruckentladungslampe
DE102005006716A1 (de) 2004-02-04 2006-02-23 Revolux Gmbh Digitales EVG zum dimmbaren Betrieb von Leuchtstofflampen
DE102005013564A1 (de) * 2005-03-23 2006-09-28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mindestens einer Lampe
DE102005046482A1 (de) 2005-09-28 2007-03-2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elektronischen Vorschaltgeräts
EP2274960B1 (de) * 2008-04-25 2013-02-27 OSRAM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betreiben mindestens einer entladungslam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133A (ko) 2021-02-26 2022-09-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사물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7809A (zh) 2011-04-13
EP2274960B1 (de) 2013-02-27
CN102017809B (zh) 2013-11-06
WO2009129860A1 (de) 2009-10-29
US8796941B2 (en) 2014-08-05
EP2274960A1 (de) 2011-01-19
US20110037393A1 (en)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2002B2 (ja) 低圧放電ランプの点灯方法
US6366031B2 (en) Electronic ballast for at least one low-pressure discharge lamp
US7109665B2 (en) Three-way dimming CFL ballast
EP2352364B1 (en) Illumination lighting device,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vehicle headlamp lighting device using same
US9462666B2 (en) Electrodeless fluorescent ballast driving circuit and resonance circuit with added filtration and protection
US6433490B2 (en) Electronic ballast for at least one low-pressure discharge lamp
US8742690B2 (en) Method, opera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WO2008014632A1 (en) Ballast and ballas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xample anti-arcing control for electronic ballast
CN104918394A (zh) 镇流器、电弧保护装置及方法
KR20110007225A (ko)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어레인지먼트
JP4437057B2 (ja) 少なくとも1つの低圧放電ランプの作動方法、及び、少なくとも1つの低圧放電ランプ用の作動装置
JP2005538504A (ja) ガス放電ランプを流れる電流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8134301B2 (en) Step-up driver with minimal switching frequency
JP2005536845A (ja) 高圧放電アークランプ給電用電子回路
CN101982017B (zh) 用于发光器件的操作装置的接头占用情况的识别
JP2005158365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4321254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4280116B2 (ja) 電流検出回路
JP4088926B2 (ja) 放電灯点灯装置
US8450934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low-pressure discharge lamp
FI124725B (fi) Kytkentäjärjestely purkauslampun käyttämiseksi
JP4475073B2 (ja)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JP2004303688A (ja) 放電灯点灯装置
AU2006269164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electric lamp
JP2004193075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