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143U -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143U
KR20110007143U KR2020100000237U KR20100000237U KR20110007143U KR 20110007143 U KR20110007143 U KR 20110007143U KR 2020100000237 U KR2020100000237 U KR 2020100000237U KR 20100000237 U KR20100000237 U KR 20100000237U KR 20110007143 U KR20110007143 U KR 201100071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driver
smart key
vehicl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하
Original Assignee
김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하 filed Critical 김선하
Priority to KR2020100000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143U/ko
Publication of KR20110007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1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by limiting or cutting the electrical supply to the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아도 주차시 엔진 시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또는 운전자정보를 포함하는 개별인식코드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키와, 자동차에 설치되어 스마트키로의 저주파를 송,수신하여 개별인식코드를 식별하여 시동버턴의 선택에 의하여 스타트모터를 작동시켜 엔진시동을 걸기 위한 스마트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제어부는 스마트키와의 저주파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송,수신된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ECU를 통하여 비교판단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의 정보를 토대로 시동버턴의 선택으로 엔진 시동을 걸어주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시동장치에 있어서;
자동차가 주차된 상태이면서 차속이 제로이고 운전석에 운전자가 없는 조건을 설정된 시간 동안 만족할 경우에는 작동부로 하여금 엔진시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STARTING DEVICE FOR VEHICLE}
본 고안은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하차 후 일정시간이 경과 하면 자동으로 엔진 시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엔진 자동 정지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은 자가시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시동을 걸 때는 외력에 의해 크랭크 축을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 크랭크 축의 회전은 일정이상의 속도를 내지 않으면 시동할 수가 없어서 짧은 시간 안에 큰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동모터를 사용한다.
자동차의 시동장치는 배터리 공급전압을 시동모터에 인가하기 위해 모든 전원이 차단되는 이그니션 스위치의 키실린더에 자동차용 키를 삽입하여 키실린더를 회전시킴으로써 OFF 모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ACC 모드로 스위칭시킨 다음, ACC 모드에서 특정부하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ON 모드로 스위칭시킨 후 일순간 모든 전원이 차단되어 시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한 후 반발력에 의해 온 상태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서 시동이 이루어진다.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 키실린더와 키 대용으로 버턴(스마트 키)을 이용하여 엔진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버턴타입 시동장치가 도 4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버턴(스마트 키) 시동 시스템(1)은 해당 자동차 또는 운전자 정보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송신을 수행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키(3)와, 상기 키(3)의 송신정보와 ECU(4)의 저장정보를 비교하여 도어(5)와 트렁크(6) 및 스타트모터(7)를 차단 및 해제하도록 하는 스마트제어부(8)로 구성한다.
상기 스마트제어부(8)는 도어(5) 또는 트렁크(6) 및 계기반에 구비되는 시동버턴(9)의 선택에 의하여 개,폐 작동 및 스타트모터(7)를 기동시켜 도어 개,폐는 물론 시동을 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버턴(스마트 키) 시동 시스템은 버턴을 눌러 엔진 시동을 걸어 주행을 수행하고, 차량 운행을 정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자동차를 주차한 후 운전자가 하차하기 전 항상 버턴을 눌러 엔진을 정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스마트키를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버턴을 눌러 엔진을 정지시키지 않고 그대로 자동차를 떠나기 때문에 도어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엔진은 정지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회전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 경우에는 신속하게 엔진을 정지시키지 않고 장시간 아이들링 상태로 방치할 경우에는 엔진 과열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엔진 공회전으로 인하여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 발생으로 환경을 오염시키고 연료를 낭비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자동차의 경우 엔진시동 정지를 주차와 함께 수행할 수 있으나, 터보차저를 장착한 자동차나 디젤을 연료로 하면서 터보차저를 장착한 자동차의 경우에는 터보차저를 보호하기 위하여 주,정차 후 일정시간 동안 엔진 공회전을 수행한 후 엔진시동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맞추기 위한 주차 후 운전자가 항상 소정의 시간 동안 자동차에 내부에 남아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자동차 또는 운전자정보를 포함하는 개별인식코드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키와, 자동차에 설치되어 스마트키로의 저주파를 송,수신하여 개별인식코드를 식별하여 시동버턴의 선택에 의하여 스타트모터를 작동시켜 엔진시동을 걸기 위한 스마트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제어부는 스마트키와의 저주파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송,수신된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ECU를 통하여 비교판단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의 정보를 토대로 시동버턴의 선택으로 엔진 시동을 걸어주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시동장치에 있어서;
자동차가 주차된 상태이면서 차속이 제로이고 운전석에 운전자가 없는 조건을 설정된 시간 동안 만족할 경우에는 작동부로 하여금 엔진시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아도 주차시 엔진 시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가 주차한 후 운전자가 운전석을 벗어난 경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엔진시동을 정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엔진정지를 수행하여 불필요하게 연료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많은 공회전으로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면서 운전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를 도시한 간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의 제어부 구성도.
도 4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엔진 시동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를 도시한 간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의 제어부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스마트키 시동장치(100)는 자동차 또는 운전자정보를 포함하는 개별인식코드를 저주파(Low Frequency)신호로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101)와 도어(102) 및 트렁크(103) 개폐를 위한 개폐버턴(104)을 가지는 스마트키(105)가 구비된다.
자동차(106)에 설치되어 스마트키(105)로의 저주파를 송,수신하여 개별인식코드를 식별하여 도어(102) 또는 트렁크(103) 개,폐 제어와 시동버턴(107)의 선택에 의하여 ECU(108)와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스타트모터(109)를 작동시켜 엔진시동을 걸기 위한 스마트제어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제어부(110)에는 스마트키(102)와의 저주파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111)를 구비하고, 송,수신된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ECU(107)를 통하여 비교판단하는 비교부(112)와 비교부(112)의 정보를 토대로 도어(104), 트렁크(105)에 구비되는 터치패드 또는 계기반에 구비되는 시동버턴(107)의 선택을 통하여 도어(102)와 트렁크(103)의 개,폐는 물론 스타트모터(109)를 작동시켜 시동을 걸어주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동부(113)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어부(110)에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엔진시동을 정지시키 위한 엔진 자동정지수단(115)을 더 구비하여 불필요한 연료의 낭비와 유해가스 발생을 방지하면서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 자동정지수단(115)은 변속기가 주차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파킹센서(116)와, 차속을 감지하는 스피드센서(117)와, 운전석의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운적석착좌감지센서(118)를 통하여 정보를 인가받는 정지모듈(120)을 구비한다.
상기 정지모듈(120)은 파킹센서(116)와 스피드센서(117) 및 운전석착좌감지센서(118)를 통하여 자동차(106)가 주차된 상태이면서 차속이 제로(0)이고 운전석에 운전자가 없는 조건을 설정된 시간 동안 만족할 경우에는 작동부(113)로 하여금 엔진시동을 정지하도록 한다.
상기 파킹센서(116)와 스피드센서(117) 및 운전석착좌감지센서(118)를 통하여 엔진정지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엔진 정지 작동까지 너무 많은 시간을 설정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예열지속과 함께 무한 대기상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터보차저의 터보 보호를 위한 공회전을 감안하여 30초에서 3분 정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설정시간은 타이머(121)를 통하여 운전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엔진 자동정지수단(115)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엔진시동은 일반적인 스마트키 시동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키(105)를 소지한 상태에서 운전석에 착석하여 시동버턴(107)을 누르면 시동 조건에 부합될 경우 스마트제어부(110)에서 스타트모터(109)를 작동시켜 엔진시동을 걸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경우에는 엔진 자동정지수단(115)을 구성하는 파킹센서(116)와 스피드센서(117) 및 운전석착좌감지센서(118)의 감지 값을 통하여 엔진 자동 정지에 적합한 조건을 만족할 수 없게 되므로 주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정차 상태에서는 파킹센서(116)와 스피드센서(117)의 값은 엔진 자동정지에 필요한 조건을 만족하게 되나 운전석착좌감지센서(118)에 의하여 운전자가 자동차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역시 자동정지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주유를 위하여 정지하고 있는 상태 등에 해당 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의지에 의하여 시동버턴(107)을 눌러 인위적으로 엔진을 정지시키는 동작은 가능하게 된다.
운전을 종료하기 위하여 주차구역에 자동차를 주차시키고 운전자가 자동차로부터 벗어날 경우에는, 파킹센서(116)와 스피드센서(117) 및 운전석착좌감지센서(118)의 감지 정보가 정지모듈(120)로 인가될 때 주차된 상태이면서 차속이 제로(0)이고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좌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정지모듈(120)은 설정된 시간만큼 카운트를 수행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경우에는 스마트제어부(110)의 작동부(113)로 하여금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운행을 정지하고 주차한 후 운전자가 자동차를 벗어나면서 시동버턴을 누르지 않아도 설정된 시간 후에는 엔진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터보차저 장착 차량의 터보 손상을 보호하여 차량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스마트키 시동장치
105; 스마트키
110; 스마트제어부
113; 작동부
115; 엔진 자동정지수단
116; 파킹센서
117; 스피드센서
118; 운전석착좌감지센서
120; 정지모듈

Claims (1)

  1. 자동차 또는 운전자정보를 포함하는 개별인식코드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키(105)와;
    자동차(106)에 설치되어 스마트키(105)로의 저주파를 송,수신하여 개별인식코드를 식별하여 도어(102) 또는 트렁크(103) 개,폐 제어와 시동버턴(107)의 선택에 의하여 ECU(108)와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스타트모터(109)를 작동시켜 엔진시동을 걸기 위한 스마트제어부(110)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제어부(110)는 스마트키(102)와의 저주파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111)와, 송,수신된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ECU(107)를 통하여 비교판단하는 비교부(112)와, 비교부(112)의 정보를 토대로 도어와 트렁크의 개폐 및 시동버턴(107)의 선택으로 엔진 시동을 걸어주는 작동부(113)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시동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에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엔진시동을 정지시키 위한 엔진 자동정지수단(11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엔진 자동정지수단(115)은 변속기가 주차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파킹센서(116)와, 차속을 감지하는 스피드센서(117)와, 운전석의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운적석착좌감지센서(118)를 통하여 정보를 인가받는 정지모듈(120)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모듈(120)은 파킹센서(116)와 스피드센서(117) 및 운전석착좌감지센서(118)를 통하여 자동차(106)가 주차된 상태이면서 차속이 제로(0)이고 운전석에 운전자가 없는 조건을 설정된 시간 동안 만족할 경우에는 작동부(113)로 하여금 엔진시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KR2020100000237U 2010-01-11 2010-01-11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KR201100071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37U KR20110007143U (ko) 2010-01-11 2010-01-11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37U KR20110007143U (ko) 2010-01-11 2010-01-11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143U true KR20110007143U (ko) 2011-07-19

Family

ID=4559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237U KR20110007143U (ko) 2010-01-11 2010-01-11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14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4666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自動停止制御装置
CN101868390B (zh) 用于运行混合动力车辆的方法和装置
US20070102930A1 (en) Starting control apparatus
US7683503B2 (en) Dead battery preventing device for preventing engine start failure of vehicle having economy running function and dead battery prevention method
US8788183B2 (en) Engine idle 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gear
US20130066525A1 (en) Vehicle shut-down functionality for peps-equipped vehicles
US20110202201A1 (en) Remote starting device and remote starting method
US9302583B2 (en) Motor vehicle, and method relating to the turning off of a drive device in a motor vehicle
US20090251284A1 (en) Remote start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N105026224A (zh) 具有远程启动和自动再关闭的机动车
JP200718703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200370527A1 (en) Electrically cranked engine systems
US7483784B2 (en) Engine starting system
US2012025357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hybrid automotive vehicle and vehicle adapted to such a method
US20020112688A1 (en) Neutral safety switch
JP3875706B2 (ja)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US7423353B2 (en) Vehicle anti-theft system
RU2674317C2 (ru) Способы выбора рабоч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чи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30020325A (ko) 사용자에 의해 장치의 작동 조건을 관리하는 보안 방법 및그를 위한 장비
JP4222182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110007143U (ko) 엔진 자동정지수단을 가지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KR20180133684A (ko) 오토바이 도난을 원천 차단하는 스마트키 원격 시동 예열 시스템
JP4694396B2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US7449988B2 (en) Burglarproof device for vehicle
CA2712524A1 (en) Vehicle shutoff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