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134U - 전산인식용 답안지 - Google Patents

전산인식용 답안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134U
KR20110007134U KR2020100000223U KR20100000223U KR20110007134U KR 20110007134 U KR20110007134 U KR 20110007134U KR 2020100000223 U KR2020100000223 U KR 2020100000223U KR 20100000223 U KR20100000223 U KR 20100000223U KR 20110007134 U KR20110007134 U KR 201100071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marking
unit
display unit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현
Original Assignee
하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정현 filed Critical 하정현
Priority to KR2020100000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134U/ko
Publication of KR20110007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1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32Apparatus for automatic testing and analysing marked record carriers, used for examinations of the multiple choice answer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기재의 정확성과 채점의 신속성이 향상되도록, 본 고안은 이름, 수험번호 및 시험과목을 포함하는 구분 사향을 마킹하는 구분마킹부를 포함하는 구분표시부; 문제 번호에 대응되는 번호를 표시하는 번호표시부와, 상기 번호표시부의 측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다수 개가 나열되는 선택마킹부와, 상기 선택마킹부에 대응되는 답안을 수기가능한 빈 칸으로 인쇄된 수기입력부로 이루어져 수험자가 답안을 우선적으로 수기하여 일괄적으로 마킹가능한 선택답안부를 포함하는 답안표시부; 및 상기 구분마킹부를 포함하는 마킹부의 마킹 시점을 판독기를 통해 인식하도록 인쇄된 판독마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산인식용 답안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산인식용 답안지{Answer sheet for recognizing data processing}
본 고안은 전산인식용 답안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의 정확성과 채점의 신속성을 향상시키는 전산인식용 답안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마크 판독기(Optical Mark Recognition)는 사용자가 컴퓨터용 사인펜 등의 필기구를 이용하여 OMR카드 또는 OMR쉬트에 형성된 다수의 마킹부에 마킹을 하고, 여기에 광을 조사하여 투과 혹은 반사된 광량 값을 수광소자로 검출하여 표기된 부분을 판독하는 장치로써, 채점이 신속하고 정확하여 시험답안지 혹은 통계분석자료 입력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마크 판독기 등의 전산인식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전산인식용 답안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산인식용 답안지(100)는 구분표시부(10), 답안표시부(20) 및 판독마크부(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분표시부(10)는 시험명, 이름을 기재하고 시험감독관의 확인을 기재하는 공란으로 구비되는 구분기재부(11)와, 학년, 학급, 번호 및 시험과목 등의 구분 사항을 마킹하는 구분마킹부(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답안표시부(20)는 선택답안부(21), 서술답안부(22) 및 총점마킹부(23)를 포함하는데, 상기 선택답안부(21)는 문제지의 번호에 대응되는 번호를 표시하는 번호표시부(211)와, 상기 번호표시부(211)에 대응되게 나열되어 식별가능한 다수 개의 식별번호로 이루어진 선택마킹부(212)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서술답안부(22)는 서술형 답안을 직접 기재하는 답안기재부(221)와, 채점자가 상기 답안기재부(221)에 각각 대응되는 점수를 직접 기재하는 채점기재부(2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총점마킹부(23)를 통하여 채점자가 상기 채점기재부(222)로부터 합산된 총점을 마킹한다.
따라서, 종래의 전산인식용 답안지(100)는 상기 구분표시부(10)를 통하여 수험자의 개별정보 등의 구분 사항을 수기 및 마킹하고 상기 답안표시부(20)를 통하여 수험자가 선택형 답안을 마킹하거나 서술형 답안을 수기한다.
이후, 채점자가 서술형 답안을 각각 채점 수기하여 총점을 마킹한 후 상기 판독마크부(30)를 통하여 판독기(미도시)로 판독하여 시험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시험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산인식용 답안지는 수험자가 선택한 답안을 한 번 마킹하면 수정이 불가능함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선택답안부(21)는 번호표시부(211) 및 선택마킹부(212)가 연속적으로 나열되어 인쇄되므로 수험자가 상당한 주의력을 요하지 않으면 다른 문제의 선택마킹부(212)를 마킹하여 마킹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오기재를 할 우려가 빈번하였다.
더욱이, 종래의 전산인식용 답안지는 서술형 답안을 채점할 경우에 총점마킹부(23)를 이용하여 채점자가 각각의 채점기재부(222)로부터 점수를 직접 합산하여 마킹해야 하므로 점수 합산의 오류, 채점 시간의 지연 등으로 채점의 신속성과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답안을 우선적으로 수기할 수 있는 빈 칸을 확인이 용이한 위치에 마련함과 더불어 서술형 답안의 채점이 답안별로 해당 점수를 마킹한 것을 판독기로 합산 처리함으로써 수험자의 오기재를 방지하며 채점 방식의 개선에 의하여 시험 시행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키는 전산인식용 답안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이름, 수험번호 및 시험과목을 포함하는 구분 사향을 마킹하는 구분마킹부를 포함하는 구분표시부; 문제 번호에 대응되는 번호를 표시하는 번호표시부와, 상기 번호표시부의 측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다수 개가 나열되는 선택마킹부와, 상기 선택마킹부에 대응되는 답안을 수기가능한 빈 칸으로 인쇄된 수기입력부로 이루어져 수험자가 답안을 우선적으로 수기하여 일괄적으로 마킹가능한 선택답안부를 포함하는 답안표시부; 및 상기 구분마킹부를 포함하는 마킹부의 마킹 시점을 판독기를 통해 인식하도록 인쇄된 판독마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산인식용 답안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기입력부는 상기 번호표시부와 상기 선택마킹부의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답안표시부에는 상기 번호표시부의 나열에 따라 소정 기준으로 삽입되는 빈 칸으로 구비되어 상기 선택답안부를 분할하는 분할공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답안표시부는 서술형으로 기재된 답안 각각의 채점 점수가 상기 판독기로 일시에 인식되는 서술답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술답안부는, 서술형 답안을 기재하는 답안기재부와, 상기 답안기재부의 하측에 식별가능한 다수 개로 구비되어 채점자가 마킹하는 채점마킹부와, 상기 채점마킹부의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판독기로 인식되도록 인쇄된 채점마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번호표시부와 선택마킹부의 사이에 수험자가 답안을 직접 기재할 수 있는 수기입력부가 구비됨으로써, 수험자가 문제를 풀면서 우선적으로 답안을 수기하면 답안 마킹시 수험자가 풀지 않은 문제를 쉽게 체크하면서 일괄적으로 신속하게 마킹할 수 있는 마킹 가이드가 제공되므로 오기재를 방지하여 기재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서술형으로 기재된 각각의 답안에 대한 채점 점수가 판독기로 일시에 인식되어 합산가능한 서술답안부가 구비됨으로써, 기존의 채점 방식보다 정확하고 신속하여 각종 시험을 더욱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다.
셋째, 답안표시부에는 선택답안부를 분할하는 빈 칸의 분할공란부가 구비됨으로써, 수험자가 번호표시부의 위치 확인을 더욱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수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산인식용 답안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인식용 답안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인식용 답안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산인식용 답안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인식용 답안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인식용 답안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인식용 답안지(1)는 지면상에 구분표시부(10), 답안표시부(200) 및 판독마크부(30)가 인쇄되어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구분표시부(10)는 구분기재부(11)와 구분마킹부(1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구분기재부(11)는 수험자가 시험명, 이름 등을 직접 기재하고 감독자가 확인을 위하여 직접 기재하는 공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분마킹부(12)는 수험자에게 해당하는 학년, 학급 및 번호나 시험과목 등을 판독기(미도시)가 인식하도록 마킹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분마킹부(12)는 식별번호, 식별문자 등의 식별마크 를 포함하거나 공백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원형 칸을 제공한다.
즉, 상기 구분표시부(10)는 수기와 마킹을 병행하여 사용함에 따라 각각의 수험자에게 해당하는 이름, 수험번호 등의 구분 사항을 채점자가 인지하거나 판독기(미도시)가 인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전산인식용 답안지(1)의 지면을 상기 구분표시부(10)와 상호 분할하여 인쇄되는 답안표시부(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답안표시부(200)는 선택답안부(210)와 서술답안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선택답안부(210)는 수험자가 답안을 우선적으로 기재하여 일괄적으로 마킹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답안의 마킹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답안을 마킹하기 전에 수험자가 답안을 직접 수기하여 마킹을 가이드할 수 있는 공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러한 공란은 확인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선택답안부(210)는, 문제 번호에 대응되는 번호를 표시하는 번호표시부(211)와, 상기 번호표시부(211)의 측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다수 개가 나열되는 선택마킹부(212)와, 상기 번호표시부(211)와 상기 선택마킹부(2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택마킹부(212)에 대응되는 답안을 수기가능한 빈 칸으로 인쇄된 수기입력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선택마킹부(212)는 도시된 것처럼 원형 칸, 식별번호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원형 칸은 장방형 칸 등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식별번호는 '가, 나, 다, 라' 또는 '갑, 을, 병, 정' 등의 식별문자도 가능하다.
즉, 상기 구성은 상기 선택마킹부(212)의 원형 칸을 컴퓨터 사인펜으로 색상을 채워 넣은 방식으로 마킹하여 답안을 표기하는 방식이다.
더욱이, 상기 선택마킹부(212)의 개수는 답안의 식별마크의 개수에 따라 정해지는데 예를 들어, 사지선다형인 경우에는 4개이고 오지선다형인 경우에는 5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기입력부(213)의 바탕색은 흰색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험자가 표기한 답안의 확인 용이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기입력부(213)에 대응되는 마크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기입력부(213)에 표기된 답안은 판독기가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수험자는 답안을 여러 번 정정하여 수기할 수 있으므로 마킹 가이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마킹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기 수기입력부(213)의 구성은 상술한 한 개의 빈 칸으로 구성되는 것 이외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수기입력부는 정정 표기가 용이하도록 2개 이상의 빈 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기입력부는 상기 선택마킹부(212)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빈 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칸에 식별번호 또는 식별문자를 삽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것은 수험자의 표기 방식이 수기가 아니라 체크로 표기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정정 및 표기를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번호표시부(211)와 선택마킹부(212)의 사이에 수험자가 답안을 직접 기재할 수 있는 수기입력부(21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기입력부(213)는 수험자가 문제를 풀면서 우선적으로 답안을 수기하면 답안 마킹시 수험자가 풀지 않은 문제를 쉽게 체크하면서 일괄적으로 신속하게 마킹할 수 있는 마킹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하여, 수험자의 오기재를 방지하여 기재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답안부(220)는 서술형으로 기재된 답안의 채점 점수가 상기 판독기로 일시에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서술답안부(220)는, 서술형 답안을 기재하는 답안기재부(221)와, 상기 답안기재부(221)의 하측에 식별가능한 다수 개로 구비되어 채점자가 마킹하는 채점마킹부(223)와, 상기 채점마킹부(223)의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판독기로 인식되도록 인쇄된 채점마크부(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채점마킹부(223) 각각의 구성은 상술한 선택마킹부(213)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도시된 것처럼 점수 항목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채점마크부(225)는 도시된 것처럼 판독마크부(30)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서술형으로 기재된 각각의 답안에 대한 채점 점수가 판독기(미도시)로 일시에 인식되어 합산가능한 서술답안부(2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서술답안부(220)는 채점자가 채점마킹부(223)를 마킹하는 것으로 채점이 이루어지며 이후 판독기(미도시)로 일괄 인식하여 합산 처리함으로써 채점 합산의 정확함은 물론 서술형 답안의 신속한 채점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채점자의 채점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채점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시험이 원활하게 시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답안표시부(200)에는 상기 번호표시부(211)의 나열에 따라 소정 기준으로 삽입되는 빈 칸으로 구비되어 상기 선택답안부(210)를 분할하는 분할공란부(2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것처럼 상기 분할공란부(215)는 수험자가 선택답안부(210)에 포함된 해당 번호표시부(211)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가능하도록 5개의 번호표시부(211)들 사이마다 삽입되는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선택답안부(210)를 분할하는 빈 칸을 말한다. 물론, 분할공란부는 빈 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험자의 구분 인지를 위한 어떠한 인쇄 형식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분할공란부(215)의 바탕색은 칼라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선택답안부(210) 내에서 배치되는 순서에 따라 서로 상이한 칼라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분할공란부(215)는 선택답안부(2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2개로 이루어지면서 파란색, 초록색의 바탕색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선택답안부(210) 내의 번호표시부(211)의 위치에 따른 차별화를 줌으로써 수험자의 번호표시부(211)를 찾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답안표시부(200)에는 선택답안부(210)를 분할하는 빈 칸의 분할공란부(215)가 구비된다.
즉, 상기 분할공란부(215)는 기존의 번호표시부(211)와 선택마킹부(212)가 상하 방향으로 수십 개씩 균일한 간격으로 나열되어 수험자에게 상당한 주의력을 요하던 것을 개선하여 수험자의 시안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수험자는 문제지의 문제 번호에 대응되는 번호표시부(211)를 찾고자 할 경우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수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분마킹부(12)를 포함하는 마킹부의 마킹 시점을 판독기를 통해 인식하도록 인쇄된 판독마크부(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킹부는 구분마킹부(12), 선택마킹부(212) 및 채점마킹부(223)를 말한다.
물론, 판독기 등으로 구비되는 전산인식장치의 종류에 따라 상기 판독마크부(3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판독마크부(30)가 없는 전산인식용 답안지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인식용 답안지의 사용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종 시험에서 전산인식용 답안지(1)를 수령한 수험자는 구분표시부(10)를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기재 및 마킹한다.
이후, 도 3을 참조하면 수험자는 배포된 문제지의 문제를 상기 전산인식용 답안지(1)의 수기입력부(213)에 답안을 기재하면서 푼다. 물론, 문제지에 답안을 모두 체크한 후 일시에 마킹하고자 할 경우에도 수기입력부(213)를 이용하여 답안을 미리 수기 작성하면 마킹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킹 오류에 따라 전산인식용 답안지가 낭비되고 새로이 구분표시부(10)부터 마킹함으로써 시험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후, 수험자는 수기입력부(213)에 기재된 답안(예를 들어, 식별번호 또는 식별문자)에 따라 해당하는 선택마킹부(212)를 마킹한다.
이때, 수기입력부(213)가 빈 칸으로 되어 있으면 수험자는 자신이 풀지 못한 문제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경우에 문제지의 해당 문제번호를 찾아 문제를 확인하며 상기 빈 칸에 답안을 적기 위해 문제지를 본 후 답안지의 해당 번호표시부(211)를 찾고자 할 경우 분할공란부(215)에 의해 분할된 답안지를 통해서 해당 번호표시부(211)를 더욱 쉽게 찾을 수 있다.
한편, 시험이 끝난 후 채점자가 서술형 문제의 답안을 채점할 경우에 채점자는 각각의 답안에 대한 채점을 채점마킹부(223)에 해당 점수를 마킹하는 것으로 채점이 완료되므로 기존의 서술형 답안의 총점을 채점자가 직접 합산하던 것을 전산처리함으로써 시험의 시행이 원활하며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번호표시부(211)와 선택마킹부(212)의 사이에 구비되어 확인이 수월한 수기입력부(213)를 구비하는 것으로 각종 시험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오기재를 예방할 수 있는 마킹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은 수험자가 문제지의 문제번호에 해당하는 답안지의 번호표시부(211)를 찾고자 할 경우에 선택답안부(210)를 분할하여 수험자의 확인 작업을 원활하게 해주는 분할공란부(215)도 제공한다.
더욱이, 서술형 답안 각각의 채점을 마킹하여 입력하는 채점마킹부(223)가 구비되어 채점 작업시 신속하고 정확한 채점 작업을 도와 줄 수 있는 서술답안부(220)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수험자의 수험 편의성은 물론 채점 작업의 신속성을 향상시켜 수험자의 마킹 오류로 인한 불이익을 예방하여 각종 시험의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원활하고 신속한 시험이 시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OMR 판독기 등의 전산인식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및 쉬트 등에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 구분표시부 11: 구분기재부
12: 구분마킹부 20, 200: 답안표시부
21, 210: 선택답안부 211: 번호표시부
212: 선택마킹부 213: 수기입력부
215: 분할공란부 220: 서술답안부
221: 답안기재부 223: 채점마킹부
225: 채점마크부 30: 판독마크부

Claims (5)

  1. 이름, 수험번호 및 시험과목을 포함하는 구분 사향을 마킹하는 구분마킹부를 포함하는 구분표시부;
    문제 번호에 대응되는 번호를 표시하는 번호표시부와, 상기 번호표시부의 측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다수 개가 나열되는 선택마킹부와, 상기 선택마킹부에 대응되는 답안을 수기가능한 빈 칸으로 인쇄된 수기입력부로 이루어져 수험자가 답안을 우선적으로 수기하여 일괄적으로 마킹가능한 선택답안부를 포함하는 답안표시부; 및
    상기 구분마킹부를 포함하는 마킹부의 마킹 시점을 판독기를 통해 인식하도록 인쇄된 판독마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산인식용 답안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기입력부는 상기 번호표시부와 상기 선택마킹부의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인식용 답안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표시부에는 상기 번호표시부의 나열에 따라 소정 기준으로 삽입되는 빈 칸으로 구비되어 상기 선택답안부를 분할하는 분할공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인식용 답안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표시부는 서술형으로 기재된 답안 각각의 채점 점수가 상기 판독기로 인식되는 서술답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인식용 답안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술답안부는,
    서술형 답안을 수기하는 답안기재부와,
    상기 답안기재부의 하측에 식별가능한 다수 개로 구비되어 채점자가 마킹하는 채점마킹부와,
    상기 채점마킹부의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판독기로 인식되도록 인쇄된 채점마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인식용 답안지.
KR2020100000223U 2010-01-11 2010-01-11 전산인식용 답안지 KR201100071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23U KR20110007134U (ko) 2010-01-11 2010-01-11 전산인식용 답안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23U KR20110007134U (ko) 2010-01-11 2010-01-11 전산인식용 답안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134U true KR20110007134U (ko) 2011-07-19

Family

ID=4559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223U KR20110007134U (ko) 2010-01-11 2010-01-11 전산인식용 답안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13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3007A (zh) * 2014-08-09 2015-07-15 杨小平 能提示考生注意答题号的答题卡
CN106142889A (zh) * 2015-04-08 2016-11-23 季争鸣 一种用于自动化扫描阅卷的答题卡及其应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3007A (zh) * 2014-08-09 2015-07-15 杨小平 能提示考生注意答题号的答题卡
CN106142889A (zh) * 2015-04-08 2016-11-23 季争鸣 一种用于自动化扫描阅卷的答题卡及其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3247B2 (ja) 学習支援システムおよび学習支援プログラム
US200801318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proper letter and character formation
KR101481498B1 (ko)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CN103310082A (zh) 阅卷方法和装置
CN103886302A (zh) 试卷识别分析实现方法及装置
US8768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digital assessments
KR100829107B1 (ko) 부정행위 방지용 omr카드
JP2008180838A (ja) 成績表作成システム及び成績表作成方法
KR20110007134U (ko) 전산인식용 답안지
US2014028193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reating printouts that may be manipulated by mfd
US8814215B2 (en) Response form security device
JP2004029107A (ja) 答案採点処理システム
US7555145B2 (en) Multi-level optical mark reading that uses an unambiguous symbology of marks to fill into response bubbles
JP6540222B2 (ja) 手書き入力装置
KR102397290B1 (ko) 컬러가 있는 omr 카드
CN201984642U (zh) 一种评分装置
JPH0429287A (ja) 答案の自動採点装置
CN109086695A (zh) 一种纸上手工阅卷电脑统分的方法与系统
JP4376260B2 (ja) マークシート用プログラム、及びマークシート用装置
RU103213U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проверки знаний учащегося
US11928321B2 (en) Equivalent fraction templates
CN210257720U (zh) 数学考试专用演算纸
CN201646156U (zh) 试卷答题卡涂题板
JP2002072855A (ja) 答案採点処理システム
JPH08178601A (ja) 等間隔表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