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09A - 회전 칫솔 - Google Patents

회전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09A
KR20110005109A KR1020090062639A KR20090062639A KR20110005109A KR 20110005109 A KR20110005109 A KR 20110005109A KR 1020090062639 A KR1020090062639 A KR 1020090062639A KR 20090062639 A KR20090062639 A KR 20090062639A KR 20110005109 A KR20110005109 A KR 20110005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s
handle
handle portion
rotat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965B1 (ko
Inventor
박종찬
김만중
우정완
우정탁
Original Assignee
박종찬
우정탁
우정완
김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찬, 우정탁, 우정완, 김만중 filed Critical 박종찬
Priority to KR102009006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9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손잡이부와,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소정 각도 틸팅되는 제2 손잡이부로 구성된 손잡이부와; 칫솔모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연결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1 손잡이부가 상기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손잡이부에 대해 틸팅될 때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헤드부와 손잡이부가 T자를 이룬 상태일 때 헤드부가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틸팅되는 구조가 되므로, 칫솔모가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치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회전 상태를 자유자재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즉 헤드부와 손잡이부가 일(一)자를 이루도록 또는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어금니를 닦을 때에는 일(一)자가 되도록 하고 앞니나 송곳니를 닦을 때에는 T자가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칫솔{ROTARY TOOTHBRUSH}
본 발명은 회전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질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칫솔모가 닿을 수 있는 회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칫솔은 손잡이부와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가 일(一)자 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자형 칫솔로 이를 닦을 때에는 좌우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게 되어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법랑질(enamel)이 쉽게 손상되어 치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를 닦을 때 잇몸에서 치아 끝으로 빗질하듯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으나, 일자형 칫솔의 경우 구조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게 되어 법랑질이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자형 칫솔로 상하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손목 관절의 움직임이 많아 손목 관절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칫솔질을 상하 방향으로 쉽게 할 수 있도록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66621호에는 T자형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T자형 칫솔의 경우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칫솔질(앞니 및 송곳니 등을 닦을 때)은 용이하나 좌우 방향으로의 칫솔질(어금니 등을 닦을 때)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아래쪽 앞니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앞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종래 T자형 칫솔의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141a)가 치아와 나란한 각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까지 칫솔모(141a)가 닿지 않게 된다.
이 때,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을 닦기 위해, 손잡이부(110)를 턱이 있는 방향으로 끌어 당기는 경우 역시 손잡이부(110)가 턱에 걸리기 때문에, 결국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은 칫솔모(141a)가 닿지 않지 않게 된다.
이에,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이 특히 치석이 많이 생기게 되어, 치실을 사용해야 하는 횟수가 많아져 양치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질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칫솔모가 닿는 구조로 이루어진 회전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에 따라, 제1 손잡이부와,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소정 각도 틸팅되는 제2 손잡이부로 구성된 손잡이부와; 칫솔모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연결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1 손잡이부가 상기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손잡이부에 대해 틸팅될 때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회전되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동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손잡이부에는 틸팅 돌기가 돌출 형성어 있고, 상기 제2 손잡이부에는 상기 틸팅 돌기가 끼워져 안내되기 위한 틸팅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며, 외주면에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0도 ~ 90도 까지 함몰 형성된 안내 홈을 가지는 로드와; 상기 제2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안내 홈을 향해 돌출 형성된 안내 돌기와; 상기 로드의 선단 및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 로 치합되는 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손잡이부를 0도 ~ 90도까지 회전하면 상기 안내 돌기는 상기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고, 그 후 상기 제2 손잡이부를 180도까지 회전하면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제2 걸림턱을 가압하여 상기 로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치합된 상기 기어에 의해 상기 헤드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90도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는 칫솔모가 식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회전구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면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경사 결합면은 수직선을 중심으로 5도 ~ 40도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에 따라, 제1 손잡이부와,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소정 각도 틸팅되는 제2 손잡이부로 구성된 손잡이부와; 칫솔모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연결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1 손잡이부가 상기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손잡이부에 대해 틸팅될 때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회전되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동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손잡이부에는 틸팅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틸팅 돌기가 끼워져 안내되기 위한 틸팅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며, 외주면에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0도 ~ 90도 까지 함몰 형성된 안내 홈을 가지는 로드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안내 홈을 향해 돌출 형성된 안내 돌기와; 상기 로드의 선단 및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면에 0도 ~ 180도 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된 작동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하여, 상기 노브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내부 케이스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안내 홈을 따라 0도 ~ 90도 까지 안내되어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고, 그 후 상기 노브를 전방으로 완전히 밀면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제2 걸림턱을 가압하여 상기 로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치합된 상기 기어에 의해 상기 헤드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90도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노브의 선단 및 후단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고정 홈에 걸리는 고정 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헤드부는 칫솔모가 식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회전구와, 상기 제1 손잡 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면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경사 결합면은 수직선을 중심으로 5도 ~ 40도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와 손잡이부가 T자를 이룬 상태일 때 헤드부가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틸팅되는 구조가 되므로, 칫솔모가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치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칫솔이 제공된다.
또한,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회전 상태를 자유자재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즉 헤드부와 손잡이부가 일(一)자를 이루도록 또는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어금니를 닦을 때에는 일(一)자가 되도록 하고 앞니나 송곳니를 닦을 때에는 T자가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1)은 크게 손잡이부(10)와, 칫솔모(41a)가 형성된 헤드부(40)와, 헤드부(40)가 손잡이부(10)에 대해 T자를 이루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부(50)와, 헤드부(40)가 윗방향으로 틸팅되는 동시에 회전되어 손잡이부(10)에 대해 T자가 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손잡이부(11)와 제2 손잡이부(12)로 분리 제작된다. 이 때, 제1 손잡이부(11)와 제2 손잡이부(12)는 경사 결합면(15)을 중심으로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제1 손잡이부(11)에는 틸팅 돌기(11a)가 제2 손잡이부(12)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2 손잡이부(12)의 내측면에는 틸팅 돌기(11a)가 끼워져 안내되기 위한 틸팅 홈(12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틸팅 돌기(11a)는 제1 손잡이부(11)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틸팅 홈(12a)은 각 틸팅 돌기(11a)에 대응하여 두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 모양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
여기서, 경사 결합면(15)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도 2 및 도 3상태에서 제2 손잡이부(12)를 180도 회전시키면 틸팅 돌기(11a)가 틸팅 홈(12a)을 따라 안내됨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11)가 제2 손잡이부(12)에 대해 소정 각도(θ) 윗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1 손잡이부(11)와 일체로 연결된 헤드부(40)가 제2 손잡이부(12)에 대해 윗방향으로 틸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경사 결합면(15)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략 5도 ~ 40도 기울어짐으로써 제2 손잡이부(12)를 회전시켰을 때 제1 손잡이부(11)가 틸팅되는 각도(θ)가 5도 ~ 40도 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도 경사진 것이 좋다.
제2 손잡이부(12)는 전방 몸체(20)와 후방 몸체(30)로 분리되며, 전방 몸체(20)의 후단이 후방 몸체(30)의 선단 내부에 끼워져 조립된다.
이 때, 전방 몸체(20)의 후단 외주면에는 결합 돌기(2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후방 몸체(30)의 선단 내주면에는 결합 돌기(21)가 끼워지기 위한 결합 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에, 결합 돌기(21)가 결합 홈에 끼워짐으로써 전방 몸체(20)가 후방 몸체(3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몸체(20)의 후단 외주면에는 조립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22)이 함몰 형성되어 있고, 후방 몸체(30)의 선단 내주면에는 가이드 홈(22)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 몸체(30)가 전방 몸체(20)와 조립될 때 가이드가 가이드 홈(22)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헤드부(40)는 하부면에 칫솔모(41a)가 식모된 베이스(41)와, 베이스(41)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손잡이부(11)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대(42)로 구성된다.
이 때, 지지대(42)의 외주면에는 구동부를 구성하는 제2 기어(42a)가 0도 ~ 90도 정도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회전부(50)를 구성하는 구 모양의 회전구(5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50)는 평소에 손잡이부(10)와 일(一)자로 배치된 헤드부(40)가 대략 90도 정도 회전되어 손잡이부(10)와 T자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42)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회전구(51)와, 제1 손잡이부(11)에 형성되어 회전구(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면(52)으로 구성된다. 즉, 회전구(51)가 회전 지지면(52)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헤드부(40)가 손잡이부(10)와 일(一)자 또는 T자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구동부는 제1 손잡이부(11)가 제2 손잡이부(12)에 대해 틸팅되는 동시에 헤드부(40)가 제1 손잡이부(11)에 대해 회전되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서, 크게 손잡이부(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로드(60)와, 로드(60)의 선단 및 지지대(42)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제1 기어(60a) 및 제2 기어(42a)로 구성된다.
로드(60)는 제1 손잡이부(11)와 전방 몸체(20)의 내부를 걸쳐 수용되며,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턱(61) 및 제2 걸림턱(62)이 형성되도록 0도 ~ 90도까지 안내 홈(65)이 함몰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안내 홈(65)은 서로 대칭되도록 2 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로드(60)의 선단에는 지지대(42)에 형성된 제2 기어(42a)와 치합되는 제1 기어(60a)가 0도 ~ 90도 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기어(60a)와 제2 기어(42a)가 치합됨으로써 로드(60)와 헤드부(40)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로드(60)는 제2 손잡이부(12)가 회전될 때 꺾어질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일 예로 PE와 같은 고분자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손잡이부(12)의 전방 몸체(20)의 내측면에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홈(65)을 향해 안내 돌기(6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안내 돌기(66)는 안내 홈(65)의 개수에 대응하여 2 개로 이루어져 있다.
안내 돌기(66)는 제2 손잡이부(12)가 회전됨에 따라 로드(60)를 회전시키는데, 이에 의해 로드(60)와 기어(60a, 42a)에 의해 치합되어 있는 헤드부(40)가 회전되어 헤드부(40)와 손잡이부(10)가 T자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1)이 틸팅 및 회전되는 원리를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드부(40)와 손잡이부(10)가 일(一)자를 이루는 초기 상태는 도 6a와 같으며, 이 때 안내 돌기(66)는 제1 걸림턱(61)에 닿아 있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제2 손잡이부(12)를 P 방향으로 90도까지 회전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11)는 제2 손잡이부(12)에 대해 약간 윗방향으로 틸팅된다. 이 때, 안내 돌기(66)는 안내 홈(65)을 따라 P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걸림턱(62)에 닿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안내 돌기(66)가 안내 홈(65)을 따라 이동될 뿐 로드(60)를 회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와 연동되는 헤드부(40)는 제1 손잡이부(11)와 일(一)자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제2 손잡이부(12)를 P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시키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11)는 제2 손잡이부(12)에 대해 완전히 윗방향으로 틸팅된다. 이 때, 안내 돌기(66)는 제2 손잡이부(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걸림턱(62)을 P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에 의해 로드(60)가 P 방향으로 90도 회전되기 때문에 제1 기어(60a)가 제2 기어(42a)와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헤드부(40)가 90도 회전되어 제1 손잡이부(11)와 T자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회전 칫솔(1)에 의하면, 제1 손잡이부(11) 또는 제2 손잡이부(12)를 회전시켜 헤드부(40)가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θ) 틸팅되는 동시에 헤드부(40)와 손잡이부(10)가 T자를 이룬 상태가 되므로, 칫솔모(41a)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치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양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손잡이부(11) 또는 제2 손잡이부(12)를 회전시켜 헤드부(40)와 손잡이부(10)의 회전 상태를 자유자재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즉 헤드부(40)와 손잡이부(10)가 일(一)자를 이루도록 또는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어금니를 닦을 때에는 일(一)자가 되도록 하고 앞니나 송곳니를 닦을 때에는 T자가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201)은 제2 손잡이부(212)가 회전되어 제1 손잡이부(11)가 소정 각도 틸팅되는 동시에 헤드부(40)가 90도 회전되어 손잡이부(210)와 T자를 이루어지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기술적 사상은 같지만,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2 손잡이부(12)를 P' 방향(도 11a 내지 도 11c 참조)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효과를 이룰 수 있는 반면,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노브(7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하였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는 노브(70)를 작동시켜 제2 손잡이부(212)가 P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손잡이부(11)가 소정 각도(θ) 틸팅되는 동시에 헤드부(40)가 90도 회전되어 손잡이부(210)와 T자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201)은 크게 손잡이부(210)와, 칫솔모(41a)가 형성된 헤드부(40)와, 헤드부(40)가 손잡이부(210)에 대해 T자를 이루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부(50)와, 헤드부(40)가 윗방향으로 틸팅되는 동시에 회전되어 손잡이부(210)에 대해 T자가 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손잡이부(2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손잡이부(11)와 제2 손잡이부(212)로 분리 제작된다. 이 때, 제1 손잡이부(11)와 제2 손잡이부(212)는 경사 결합면(15)을 중심으로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제1 손잡이부(11)에는 틸팅 돌기(11a)가 제2 손잡이부(212)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2 손잡이부(212)의 내측면에는 틸팅 돌기(11a)가 끼워져 안내되기 위한 틸팅 홈(12a)이 함 몰 형성되어 있다.
제2 손잡이부(212)는 외부 케이스(13) 및 내부 케이스(14)로 구성된 전방 몸체(220)와, 전방 몸체(220)와 나사 방식으로 결합된 후방 몸체(230)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케이스(13)의 판면에는 노브(7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한 슬롯(16)이 일정 길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결합면(15)에 인접하는 내부 케이스(14)의 내측면에는 틸팅 돌기(11a)가 안내되기 위한 틸팅 홈(12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 결합면(15)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도 8 상태에서 노브(70)를 슬롯(16)을 따라 전방으로 완전히 밀면 내부 케이스(14)가 P'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틸팅 돌기(11a)가 틸팅 홈(12a)을 따라 안내되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11)가 제2 손잡이부(212)에 대해 소정 각도(θ) 윗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1 손잡이부(11)와 일체로 연결된 헤드부(40)가 제2 손잡이부(12)에 대해 윗방향으로 틸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경사 결합면(15)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략 5도 ~ 40도 기울어짐으로써 제1 손잡이부(11)가 틸팅되는 각도(θ)가 5도 ~ 40도 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도 경사진 것이 좋다.
헤드부(40) 및 회전부(50)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구동부는 제1 손잡이부(11)가 제2 손잡이부(212)에 대해 틸팅되는 동 시에 헤드부(40)가 제1 손잡이부(11)에 대해 회전되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서, 크게 손잡이부(2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로드(60)와, 로드(60)의 선단 및 지지대(42)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제1 기어(60a) 및 제2 기어(42a)와, 외부 케이스(13)의 슬롯(16)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내부 케이스(14)를 회전시켜 로드(60)를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노브(70)는 슬롯(16)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데, 슬롯(16)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브 몸체(71)와, 노브 몸체(71)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슬롯(16)을 통과한 후 내부 케이스(14)에 형성된 작동 홈(17)에 걸리는 작동 돌기(72)로 구성된다.
노브 몸체(71)는 사용자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선단 및 후단에는 외부 케이스(13)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고정 홈(18, 19)에 걸리는 고정 돌기(73, 7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전방의 고정 돌기(73)는 노브(70)가 최대한 전진한 상태에서 전방의 고정 홈(18)에 끼워짐으로써 노브(70)가 슬롯(16)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방의 고정 돌기(74)는 노브(70)가 최대한 후진한 상태에서 후방의 고정 홈(19)에 끼워짐으로써 노브(70)가 슬롯(16)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 홈(17)은 내부 케이스(14)의 외주면에 0도 ~ 180도 까지 나선형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노브 몸체(71)가 슬롯(16)을 따라 F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작동 돌기(72)가 작동 홈(17)을 따라 앞으로 이동하면서 내부 케이스(14)를 P'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내부 케이스(14)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안내 홈(65)을 향해 안내 돌기(66)가 180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로드(60)는 제1 손잡이부(11)와 전방 몸체(20)의 내부를 걸쳐 수용되며, 외주면에는 제1 걸림턱(61) 및 제2 걸림턱(62)이 형성되도록 0도 ~ 90도까지 안내 홈(65)이 함몰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안내 홈(65)은 서로 대칭되도록 2 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로드(60)의 선단에는 지지대(42)에 형성된 제2 기어(42a)와 치합되는 제1 기어(60a)가 0도 ~ 90도 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기어(60a)와 제2 기어(42a)가 치합됨으로써 로드(60)와 헤드부(40)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로드(60)는 제2 손잡이부(212)가 회전될 때 꺾어질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일 예로 PE와 같은 고분자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201)이 틸팅 및 회전되는 원리를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드부(40)와 손잡이부(210)가 일(一)자를 이루는 초기 상태는 도 11a와 같으며, 이 때 안내 돌기(66)는 제1 걸림턱(61)에 닿아 있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노브 몸체(71)를 F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밀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돌기(72)가 작동 홈(17)을 따라 이동하면서 내부 케이 스(14)를 P'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안내 돌기(66)는 안내 홈(65)을 따라 P'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걸림턱(62)에 닿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안내 돌기(66)가 안내 홈(65)을 따라 이동될 뿐 로드(60)를 회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와 연동되는 헤드부(40)는 제1 손잡이부(11)와 일(一)자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노브 몸체(71)를 F 방향으로 완전히 밀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돌기(72)가 작동 홈(17)을 따라 180도까지 이동하면서 내부 케이스(14)를 P' 방향으로 180도 까지 회전시켜 제1 손잡이부(11)가 제2 손잡이부(212)에 대해 완전히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θ) 틸팅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안내 돌기(66)는 내부 케이스(1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걸림턱(62)을 P'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에 의해 로드(60)가 P' 방향으로 90도 회전되기 때문에 제1 기어(60a)가 제2 기어(42a)와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헤드부(40)가 90도 회전되어 제1 손잡이부(11)와 T자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회전 칫솔(201)에 의하면, 노브(70)를 앞으로 이동시켜 헤드부(40)가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θ) 틸팅되는 동시에 헤드부(40)와 손잡이부(210)가 T자를 이룬 상태가 되므로, 칫솔모(41a)가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치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양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노브(7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헤드부(40)와 손잡이부(210)의 회전 상태를 자유자재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즉, 헤드부(40)와 손잡이부(210)가 일(一)자를 이루도록 또는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어금니를 닦을 때에는 일(一)자가 되도록 하고 앞니나 송곳니를 닦을 때에는 T자가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손잡이부와 제2 손잡이부의 경계를 이루는 경사 결합면 주위에 커버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경사 결합면 주위에 커버를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T자형 칫솔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투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2 손잡이부를 P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투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의 초기 상태.
도 6b는 도 6a의 제2 손잡이부를 P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c는 도 6b에서 제2 손잡이부를 P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시켜 헤드부가 손잡이부에 대해 T자를 이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 상태로 양치를 하는 경우 칫솔모가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에 닿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투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노브를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켰을 때 제1 손잡이부가 제2 손잡이부에 대해 윗방향으로 틸팅되는 동시에 헤드부가 손잡이부에 대해 T자를 이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칫솔의 초기 상태.
도 11b는 도 11a의 노브를 F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 내부 케이스가 P'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c는 도 11b에서 노브를 F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켰을 때 내부 케이스가 P'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하여 로드가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 칫솔 10 : 손잡이부
11 : 제1 손잡이부 12 : 제2 손잡이부
15 : 경사 결합면 40 : 헤드부
41 : 베이스 42 : 지지대
50 : 회전부 51 : 회전구
52 : 회전 지지면 60 : 로드
61 : 제1 걸림턱 62 : 제2 걸림턱
65 : 안내 홈 66 : 안내 돌기
70 : 노브 71 : 노브 몸체
72 : 작동 돌기 73, 74 : 고정 돌기

Claims (9)

  1. 제1 손잡이부와,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소정 각도 틸팅되는 제2 손잡이부로 구성된 손잡이부와;
    칫솔모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연결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1 손잡이부가 상기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손잡이부에 대해 틸팅될 때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해 회전되어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손잡이부에는 틸팅 돌기가 돌출 형성어 있고, 상기 제2 손잡이부에는 상기 틸팅 돌기가 끼워져 안내되기 위한 틸팅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며, 외주면에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0도 ~ 90도 까지 함몰 형성된 안내 홈을 가지는 로드와;
    상기 제2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안내 홈을 향해 돌출 형성된 안내 돌기 와;
    상기 로드의 선단 및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는 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손잡이부를 0도 ~ 90도까지 회전하면 상기 안내 돌기는 상기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고, 그 후 상기 제2 손잡이부를 180도까지 회전하면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제2 걸림턱을 가압하여 상기 로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치합된 상기 기어에 의해 상기 헤드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9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 결합면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손잡이부에는 틸팅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틸팅 돌기가 끼워져 안내되기 위한 틸팅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며, 외주면에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0도 ~ 90도 까지 함몰 형성된 안내 홈을 가지는 로드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안내 홈을 향해 돌출 형성된 안내 돌기 와;
    상기 로드의 선단 및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면에 0도 ~ 180도 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된 작동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하여,
    상기 노브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내부 케이스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안내 홈을 따라 0도 ~ 90도 까지 안내되어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고, 그 후 상기 노브를 전방으로 완전히 밀면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제2 걸림턱을 가압하여 상기 로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치합된 상기 기어에 의해 상기 헤드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9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선단 및 후단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고정 홈에 걸리는 고정 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칫솔모가 식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회전구와, 상기 제1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 결합면은 수직선을 중심으로 5도 ~ 40도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KR1020090062639A 2009-07-09 2009-07-09 회전 칫솔 KR101069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39A KR101069965B1 (ko) 2009-07-09 2009-07-09 회전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39A KR101069965B1 (ko) 2009-07-09 2009-07-09 회전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09A true KR20110005109A (ko) 2011-01-17
KR101069965B1 KR101069965B1 (ko) 2011-10-04

Family

ID=4361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39A KR101069965B1 (ko) 2009-07-09 2009-07-09 회전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665A (ko) * 2019-03-21 2020-10-05 희 철 박 조립이 간단하고 청결하게 사용되는 회전식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184A (ko) 2014-12-11 2016-06-21 이경민 어린이용 칫솔
KR101695177B1 (ko) 2016-08-12 2017-01-11 민호영 손잡이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665A (ko) * 2019-03-21 2020-10-05 희 철 박 조립이 간단하고 청결하게 사용되는 회전식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965B1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894B1 (ko) 내부 잇몸 홈 스크레이핑 털들을 구비한 칫솔
KR100971328B1 (ko) 칫솔
KR20170072268A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JP5416309B2 (ja) 回転歯ブラシ
KR101069965B1 (ko) 회전 칫솔
KR101427839B1 (ko) 회전 칫솔
JP2006204464A (ja) 把持部の屈曲により植毛ブラシの傾動角を調整可能とする歯ブラシ
KR101026009B1 (ko) 회전 칫솔
KR20080089802A (ko) 회전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칫솔
KR200467548Y1 (ko) 전동 칫솔
KR101036674B1 (ko) 회전 칫솔
KR100970240B1 (ko) 회전 칫솔
KR101124526B1 (ko) 전동칫솔
KR101070020B1 (ko) 회전 칫솔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KR101221770B1 (ko) 전동칫솔용 칫솔모 헤드 조립체
KR100984864B1 (ko) 회전 칫솔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CN211354269U (zh) 一种刷毛可折叠式牙刷
TWI718883B (zh) 伸縮式清潔護理用具及伸縮式清潔護理用具組
KR20000010274A (ko) 치간 칫솔
KR20220072165A (ko) 기능성 칫솔
KR200407515Y1 (ko) 구석 구석이 잘 닦이는 기능성 치솔
KR200282476Y1 (ko) 칫솔
KR200472856Y1 (ko) 치간칫솔을 포함하는 치실의 멀티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