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674B1 - 회전 칫솔 - Google Patents

회전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674B1
KR101036674B1 KR1020110020067A KR20110020067A KR101036674B1 KR 101036674 B1 KR101036674 B1 KR 101036674B1 KR 1020110020067 A KR1020110020067 A KR 1020110020067A KR 20110020067 A KR20110020067 A KR 20110020067A KR 101036674 B1 KR101036674 B1 KR 10103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ilting
rod
hea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찬
김만중
우정완
우정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힌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힌트
Priority to KR102011002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674B1/ko
Priority to EP11759699A priority patent/EP2550895A2/en
Priority to US13/582,882 priority patent/US9144297B2/en
Priority to CN201180013941.3A priority patent/CN102802464B/zh
Priority to PCT/KR2011/001938 priority patent/WO2011118950A2/ko
Priority to JP2013500007A priority patent/JP541630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674B1/ko
Priority to HK13103653.7A priority patent/HK1175966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75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adjustable and stable during use
    • A46B5/0079Adjustable and stable shaft or handle, e.g. generally in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레버가 설치된 손잡이와; 저면에 칫솔모가 식모되며, 상부면에 회전축이 수직하게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손잡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고 틸팅 안내 홈이 형성된 작동 로드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틸팅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는 틸팅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틸팅축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부와 함께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틸팅되는 틸팅 부재와; 일단이 상기 작동 로드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삽입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헤드부를 상기 손잡이에 대해 T자를 이루게 하는 회전 구동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틸팅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헤드부와 손잡이가 T자를 이룬 상태일 때 헤드부가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틸팅되는 구조가 되므로, 칫솔모가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치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와 손잡이의 회전 상태를 자유자재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즉 헤드부와 손잡이가 일(一)자를 이루도록 또는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어금니를 닦을 때에는 일(一)자가 되도록 하고 앞니나 송곳니를 닦을 때에는 T자가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칫솔{ROTARY TOOTHBRUSH}
본 발명은 회전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질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칫솔모가 닿을 수 있는 회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칫솔은 손잡이와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가 일(一)자 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자형 칫솔로 이를 닦을 때에는 좌우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게 되어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법랑질(enamel)이 쉽게 손상되어 치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를 닦을 때 잇몸에서 치아 끝으로 빗질하듯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으나, 일자형 칫솔의 경우 구조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게 되어 법랑질이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자형 칫솔로 상하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손목 관절의 움직임이 많아 손목 관절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칫솔질을 상하 방향으로 쉽게 할 수 있도록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66621호에는 T자형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T자형 칫솔의 경우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칫솔질(앞니 및 송곳니 등을 닦을 때)은 용이하나 좌우 방향으로의 칫솔질(어금니 등을 닦을 때)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아래쪽 앞니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앞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종래 T자형 칫솔의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121a)가 치아와 나란한 각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까지 칫솔모(121a)가 닿지 않게 된다.
이 때,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을 닦기 위해, 손잡이(110)를 턱이 있는 방향으로 끌어 당기는 경우 역시 손잡이(110)가 턱에 걸리기 때문에, 결국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은 칫솔모(121a)가 닿지 않게 된다.
이에,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이 특히 치석이 많이 생기게 되어, 치실을 사용해야 하는 횟수가 많아져 양치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질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칫솔모가 닿는 구조로 이루어진 회전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회전 칫솔에 따라, 레버가 설치된 손잡이와; 저면에 칫솔모가 식모되며, 상부면에 회전축이 수직하게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손잡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고 틸팅 안내 홈이 형성된 작동 로드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틸팅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는 틸팅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틸팅축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부와 함께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틸팅되는 틸팅 부재와; 일단이 상기 작동 로드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삽입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헤드부를 상기 손잡이에 대해 T자를 이루게 하는 회전 구동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틸팅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일(一)자를 이룰 때 상기 틸팅 부재에 형성된 제1 걸림 돌기에 걸리는 제1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 스토퍼부와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T자를 이룰 때 상기 틸팅 부재에 형성된 제2 걸림 돌기에 걸리는 제2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상기 제2 걸림 돌기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0 ~ 90도 회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레버와 일체로 연결된 로드 몸체와; 상기 로드 몸체의 전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상기 틸팅 안내 홈이 형성된 로드 헤드와; 일단이 상기 로드 헤드에서 지지되는 홀더 축에 대해 회전되고 타단이 자유 단부가 되며,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일단이 고정된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는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가압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홀더 축을 중심으로 아랫 방향으로 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로드 몸체의 후단에는 상기 로드 몸체의 후단이 탄성적으로 체결되기 위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 핀이 돌출 형성된 클립 몸체를 가지는 클립이 장착된 것이 좋다.
상기 클립의 상부면에는 상기 손잡이의 내측면에 형성된 유동 방지 돌기가 안착되기 위한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이 이격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일(一)자를 이룰 때에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는 상기 제1 안착홈에 위치하고,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T자를 이룰 때에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가 상기 제2 안착홈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레버가 설치되는 손잡이 몸체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 몸체와 일체로 조립되고 타측이 상기 틸팅 부재와 상기 틸팅축을 매개로 조립되며, 상부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손잡이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헤드의 저면에는 상기 가압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설치된 레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틸팅축을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에 대해 5 ~ 40도 윗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와 손잡이가 T자를 이룬 상태일 때 헤드부가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틸팅되는 구조가 되므로, 칫솔모가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치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칫솔이 제공된다.
또한, 헤드부와 손잡이의 회전 상태를 자유자재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즉 헤드부와 손잡이가 일(一)자를 이루도록 또는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어금니를 닦을 때에는 일(一)자가 되도록 하고 앞니나 송곳니를 닦을 때에는 T자가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회전 칫솔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축의 상부면에 스토퍼 부재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회전축이 틸팅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헤드부의 회전 각도가 원하는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작동성이 향상된 회전 칫솔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T자형 칫솔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칫솔의 헤드부와 손잡이가 일(一)자를 이루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를 위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손잡이 몸체와 손잡이 헤드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손잡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레버, 고정 브래킷, 클립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측면도로서, 손잡이에 형성된 유동 방지 돌기가 클립의 제1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의 A 부분 중 손잡이 헤드를 제거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3의 A 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회전축이 회전축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회전축의 상부면에 스토퍼 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홀더에 결합된 회전 구동 부재가 회전축의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3의 Y-Y선 단면도.
도 14는 도 7 상태에서 레버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경우 헤드부가 윗방향으로 틸팅되면서 동시에 9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서 홀더가 가압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5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레버가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회전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축이 9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도 14 상태로 양치를 하는 경우 칫솔모가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에 닿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칫솔(201)은 헤드부(220)가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θ) 틸팅되는 동시에 손잡이(210)에 대해 T자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특히 아래쪽 앞니의 아래 부분까지 칫솔모(21)가 닿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칫솔(201)은 크게 레버(15)가 설치된 손잡이(210)와, 저면에 칫솔모(21)가 식모되고 상부면에 회전축(222)이 수직하게 설치된 헤드부(220)와, 레버(15)와 연동하는 작동 로드(230)에 의해 틸팅축(44)을 중심으로 윗방향으로 틸팅되는 틸팅 부재(240)와, 작동 로드(23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회전축(222)을 회전시켜 헤드부(220)가 손잡이(210)에 대해 T자를 이루게 하는 회전 구동 부재(50)와, 회전축(222)의 상부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축(222)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손잡이(2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 몸체(211)와 손잡이 헤드(212)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를 위해, 손잡이 헤드(212)의 후단 내측면에는 손잡이 몸체(211)를 향해 후크(212c)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후크(212c)가 손잡이 몸체(211)의 내측면에 걸리게 된다.
이 때, 손잡이 헤드(212)의 후단에는 손잡이 몸체(211)에 형성된 핀 삽입부(211b)에 삽입되는 조립 안내 핀(212b)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 헤드(212)를 손잡이 몸체(211)에 조립할 때 조립 안내 핀(212b)을 핀 삽입부(211b)에 가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손잡이 몸체(211)에는 레버(15)가 레버축(18)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15)는 손잡이 몸체(211)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 몸체(16)와, 레버 몸체(16)로부터 연장되어 레버축(18)과 연결되기 위한 축 연결편(17)으로 구성된다.
이 때, 손잡이 몸체(211)의 내부에는 손잡이 몸체(211)의 내부에 고정되며 축 연결편(17)과 레버축(18)으로 연결되는 고정 브래킷(219)과, 작동 로드(230)의 후단에 끼워져 레버(15)와 연동하여 작동 로드(230)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클립(233)이 마련되어 있다.
클립(233)은 후술할 작동 로드(230)의 로드 몸체(231)의 후단이 탄성적으로 체결되기 위한 탄성편(233a)과, 탄성편(233a)과 일체로 형성되며 레버(15)에 형성된 결합공(17a)에 끼워지는 결합핀(234)이 돌출 형성된 클립 몸체(233b)로 구성된다.
탄성편(233a)은 집게 모양으로 이루어져 로드 몸체(231)의 후단이 내부로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다가 로드 몸체(231)의 후단이 내부로 완전히 삽입 완료되었을 때에는 내측으로 복원됨으로써 로드 몸체(231)와 일체로 결합된다.
손잡이 헤드(212)는 후술할 로드 헤드(232)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저면에는 후술할 작동 로드(230)의 홀더(237)를 가압하는 가압 돌기(212b, 도 13 참조)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손잡이 헤드(12)의 전단은 틸팅축(44)에 의해 틸팅 부재(240)와 결합됨으로써, 틸팅 부재(240)는 틸팅축(44)을 중심으로 손잡이 헤드(212)에 대해 윗방향 또는 아랫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 헤드(212)의 상부면에는 손잡이(210)의 내부에 들어간 물 등의 이물질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12a)이 관통 형성된 것이 좋다.
회전축(222)은 헤드부(220)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틸팅 부재(240)의 회전축 삽입부(242)에 삽입된다.
여기서, 회전축(222)의 상부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225)가 볼트(226)로 고정됨으로써, 회전축(222)이 회전축 삽입부(242)에서 회전할 때 스토퍼 부재(225)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222) 및 스토퍼 부재(225)에는 각각 결합 돌기(222b) 및 돌기공(225e)이 형성되어 있어, 스토퍼 부재(225)을 회전축(222)에 볼트(226)로 고정시킬 때 결합 돌기(222b)를 돌기공(225e)에 끼움으로써 스토퍼 부재(225)가 회전축(222)의 상부면에서 유동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222)에는 회전 구동 부재(5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공(222a)이 중심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225)는 회전축(222)의 회전 각도를 0도 ~ 90도로 한정하여, 회전축(222)이 90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스토퍼 부재(225)는 크게 스토퍼 몸체(225a)와, 스토퍼 몸체(225a)의 외주면에 이격된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제1 스토퍼부(225b) 및 제2 스토퍼부(225c)로 구성된다.
스토퍼 몸체(225a)는 회전축(222)과 볼트(226)로 고정되며, 판면에는 결합 돌기(222b)가 결합되는 돌기공(225e)과 회전 구동 부재(50)의 타단이 관통하는 관통공(225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토퍼부(225b)는 헤드부(220)가 손잡이(210)에 대해 일(一)자를 이룰 때 회전축 삽입부(242)에 형성된 제1 걸림 돌기(242a)에 걸리고(도 12 참조), 제2 스토퍼부(225c)는 제1 스토퍼부(225b)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헤드부(220)가 손잡이(210)에 대해 T자를 이룰 때 회전축 삽입부(242)에 형성된 제2 걸림 돌기(242b)에 걸린다(도 17 참조).
즉, 상기 스토퍼 부재(225)는 제1 걸림 돌기(242a)와 제2 걸림 돌기(242b) 사이에서 회전축(222)과 함께 0도 ~ 90도 사이에서 회전된다.
작동 로드(230)는 손잡이(210)의 내부에 마련되고, 레버(15)와 연동되어 손잡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 로드(230)는 레버(15)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 몸체(231)와, 로드 몸체(231)의 전단에 일체 결합되며 양측면에 틸팅 안내 돌기(243)가 안내되기 위한 틸팅 안내 홈(235)이 형성된 로드 헤드(232)와, 일단이 로드 헤드(232)에서 지지되는 홀더 축(237a)에 대해 회전되고 타단이 자유 단부가 되는 홀더(237)로 구성된다.
로드 몸체(231)의 후단에는 결합 핀(234)으로 연결된 클립(233)이 끼워져 있으며, 이 결합 핀(234)은 축 연결편(17)에 형성된 결합공(17a)에 끼워진다. 이에, 레버(15)가 레버축(18)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클립(233) 및 작동 로드(230)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클립(233)의 상부면에는 손잡이(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유동 방지 돌기(260)가 안착되기 위한 제1 안착홈(231a) 및 제2 안착홈(231b)이 이격 형성되어 있다. 이에, 레버(15)가 도 7과 같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유동 방지 돌기(260)가 전방의 제1 안착홈(231a)에 안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도 14와 같이 레버(15)를 전방(P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유동 방지 돌기(260)가 후방의 제2 안착홈(231b)에 안착된다.
즉, 헤드부(220)가 손잡이(210)에 대해 일(一)자를 이룰 때에는 유동 방지 돌기(260)가 제1 안착홈(231a)에 위치하고(도 7 참조), 레버(15)의 작동에 따라 작동 로드(230)가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헤드부(220)가 손잡이(210)에 대해 T자를 이룰 때에는 유동 방지 돌기(260)가 제2 안착홈(231b)에 위치함으로써(도 14 참조), 작동 로드(2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작동 로드(230)의 유동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홀더(237)의 일단은 로드 헤드(232)의 판면에 형성된 절취부(236)에서 홀더 축(237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자유 단부가 된다. 이에, 작동 로드(2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37)는 손잡이 헤드(212)에 형성된 가압 돌기(212b)에 의해 가압되어 아랫 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이 때, 홀더(237)의 타단의 저면에는 회전 구동 부재(50)의 일단이 끼워져 있다.
틸팅 부재(240)는 틸팅축(44)을 중심으로 윗방향 또는 아랫 방향으로 소정 각도(θ, 도 14 참조) 틸팅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헤드부(220)가 틸팅축(44)을 중심으로 윗방향 또는 아랫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틸팅 각도(θ)는 대략 5 ~ 40도인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도인 것이 좋다.
이 때, 틸팅 부재(240)는 틸팅축(44)이 삽입 지지되는 틸팅축 지지부(241)와, 틸팅축 지지부(241)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축(222)이 삽입되는 회전축 삽입부(242)로 구성된다.
회전축 삽입부(242)의 양측면에는 로드 헤드(232)에 형성된 틸팅 안내 홈(235)을 따라 안내되는 틸팅 안내 돌기(2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작동 로드(2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틸팅 안내 돌기(243)가 틸팅 안내 홈(235)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틸팅 부재(240)가 틸팅축(44)을 중심으로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θ) 틸팅될 수 있다.
회전 구동 부재(50)는 홀더(237) 및 회전축(222)에 결합되어 작동 로드(23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회전축(222)을 대략 90도 정도 회전시켜 도 17과 같이 헤드부(220)가 손잡이(210)에 대해 T자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축(222)이 회전 구동 부재(50)에 의해 회전되는 원리는 회전 구동 부재(50)가 회전축(22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의 삽입공(222a)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작동 로드(320)의 직선 운동이 회전축(222)이 회전 운동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칫솔(201)이 틸팅 및 회전되는 원리를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드부(220)와 손잡이(210)가 일(一)자를 이루는 초기 상태는 도 2 내지 도 13과 같다.
그 후, 사용자가 레버(15)를 P 방향(도 14 참조)으로 이동시키면, 레버(15)와 연결되어 있던 작동 로드(230) 역시 P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그러면, 틸팅 부재(240)의 틸팅 안내 돌기(243)는 로드 헤드(232)의 틸팅 안내 홈(235)을 따라 안내되어 윗방향으로 틸팅되는 동시에, 회전 구동 부재(50)가 P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축(222)을 Q 방향(도 14 참조)으로 90도 회전시켜 도 17과 같이 헤드부(220)가 손잡이(210)와 T자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작동 로드(230)가 P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홀더(237)가 손잡이 헤드(212)에 형성된 가압 돌기(212b)에 의해 홀더 축(237a)을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눌러지게 되고, 그 결과 회전 구동 부재(50)는 틸팅 부재(240)가 틸팅되는 만큼 아래 방향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회전축(222)을 밀어 회전시키게 된다(도 15 내지 도 17 참조).
한편, 헤드부(220)와 손잡이(210)가 다시 일(一)자를 이루는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레버(15)를 P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버(15)와 연결되어 있던 작동 로드(230) 역시 P의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그러면, 틸팅 부재(240)의 틸팅 안내 돌기(243)는 로드 헤드(232)의 틸팅 안내 홈(235)을 따라 안내되어 아랫 방향으로 틸팅되는 동시에, 회전 구동 부재(50)가 P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축(222)을 Q의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헤드부(220)가 손잡이(210)와 일(一)자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작동 로드(230)가 P의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홀더(237)가 손잡이 헤드(212)에 형성된 가압 돌기(212b)로부터 벗어나 원위치로 복원되고, 그 결과 회전 구동 부재(50)는 틸팅 부재(240)가 아랫 방향으로 틸팅되는 만큼 윗 방향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회전축(222)을 밀어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회전 칫솔(201)에 의하면, 레버(15)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헤드부(220)가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θ) 틸팅되는 동시에 헤드부(220)와 손잡이(210)가 T자를 이룬 상태가 되므로, 칫솔모(21)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 앞니(T)의 아래 부분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치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양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레버(15)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헤드부(220)와 손잡이(210)의 회전 상태를 자유자재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즉, 헤드부(220)와 손잡이(210)가 일(一)자를 이루도록 또는 T자를 이루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어금니를 닦을 때에는 일(一)자가 되도록 하고 앞니나 송곳니를 닦을 때에는 T자가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201 : 회전 칫솔 210 : 손잡이
211 : 손잡이 몸체 212 : 손잡이 헤드
220 : 헤드부 222 : 회전축
225 : 스토퍼 부재 230 : 작동 로드
231 : 로드 몸체 232 : 로드 헤드
233 : 클립 237 : 홀더
240 : 틸팅 부재 241 : 틸팅축 지지부
260 : 유동 방지 돌기

Claims (9)

  1. 레버가 설치된 손잡이와;
    저면에 칫솔모가 식모되며, 상부면에 회전축이 수직하게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손잡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고 틸팅 안내 홈이 형성된 작동 로드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틸팅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는 틸팅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틸팅축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부와 함께 윗방향으로 소정 각도 틸팅되는 틸팅 부재와;
    일단이 상기 작동 로드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삽입되어,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헤드부를 상기 손잡이에 대해 T자를 이루게 하는 회전 구동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틸팅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일(一)자를 이룰 때 상기 틸팅 부재에 형성된 제1 걸림 돌기에 걸리는 제1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 스토퍼부와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T자를 이룰 때 상기 틸팅 부재에 형성된 제2 걸림 돌기에 걸리는 제2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상기 제2 걸림 돌기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0 ~ 9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레버와 일체로 연결된 로드 몸체와;
    상기 로드 몸체의 전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상기 틸팅 안내 홈이 형성된 로드 헤드와;
    일단이 상기 로드 헤드에서 지지되는 홀더 축에 대해 회전되고 타단이 자유 단부가 되며,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일단이 고정된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는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가압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홀더 축을 중심으로 아랫 방향으로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드 몸체의 후단에는 상기 로드 몸체의 후단이 탄성적으로 체결되기 위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 핀이 돌출 형성된 클립 몸체를 가지는 클립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상부면에는 상기 손잡이의 내측면에 형성된 유동 방지 돌기가 안착되기 위한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이 이격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일(一)자를 이룰 때에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는 상기 제1 안착홈에 위치하고, 상기 작동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T자를 이룰 때에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가 상기 제2 안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레버가 설치되는 손잡이 몸체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 몸체와 일체로 조립되고 타측이 상기 틸팅 부재와 상기 틸팅축을 매개로 조립되며, 상부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손잡이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헤드의 저면에는 상기 가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설치된 레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틸팅축을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에 대해 5 ~ 40도 윗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칫솔.
KR1020110020067A 2010-03-24 2011-03-07 회전 칫솔 KR10103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67A KR101036674B1 (ko) 2011-03-07 2011-03-07 회전 칫솔
EP11759699A EP2550895A2 (en) 2010-03-24 2011-03-22 Rotating toothbrush
US13/582,882 US9144297B2 (en) 2010-03-24 2011-03-22 Rotating toothbrush
CN201180013941.3A CN102802464B (zh) 2010-03-24 2011-03-22 旋转式牙刷
PCT/KR2011/001938 WO2011118950A2 (ko) 2010-03-24 2011-03-22 회전 칫솔
JP2013500007A JP5416309B2 (ja) 2010-03-24 2011-03-22 回転歯ブラシ
HK13103653.7A HK1175966A1 (en) 2010-03-24 2013-03-24 Rotating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67A KR101036674B1 (ko) 2011-03-07 2011-03-07 회전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674B1 true KR101036674B1 (ko) 2011-05-25

Family

ID=4436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67A KR101036674B1 (ko) 2010-03-24 2011-03-07 회전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6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7123A1 (en) 2012-07-17 2014-01-22 Hint Co., Ltd. Rotary toothbrush
KR101427839B1 (ko) 2012-07-17 2014-08-11 주식회사 힌트 회전 칫솔
KR101520075B1 (ko) * 2014-09-17 2015-05-14 손정호 치아 및 치간 세정 칫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8057A (en) 1977-11-08 1979-05-31 Nippon Seal Co Device for revolving brush with han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8057A (en) 1977-11-08 1979-05-31 Nippon Seal Co Device for revolving brush with hand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7123A1 (en) 2012-07-17 2014-01-22 Hint Co., Ltd. Rotary toothbrush
CN103536057A (zh) * 2012-07-17 2014-01-29 辛特有限公司 旋转式牙刷
KR101427839B1 (ko) 2012-07-17 2014-08-11 주식회사 힌트 회전 칫솔
US9138303B2 (en) 2012-07-17 2015-09-22 Hint Co., Ltd. Rotary toothbrush
KR101520075B1 (ko) * 2014-09-17 2015-05-14 손정호 치아 및 치간 세정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455B1 (ko) 구강 케어 기구를 위한 헤드 및 이러한 헤드를 포함하는 키트
JP5416309B2 (ja) 回転歯ブラシ
US20090158538A1 (en) Electrical toothbrush
KR20120065929A (ko) 복개식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다기능 칫솔 구조
KR101036674B1 (ko) 회전 칫솔
KR101427839B1 (ko) 회전 칫솔
KR100931012B1 (ko) 전후 운동 및 좌우진동의 복합운동이 가능한 전동칫솔
KR20080089802A (ko) 회전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칫솔
KR101026009B1 (ko) 회전 칫솔
KR101069965B1 (ko) 회전 칫솔
KR100970240B1 (ko) 회전 칫솔
JP2007105449A (ja) 歯ブラシ
KR100912586B1 (ko) 자동칫솔의 칫솔 모 작동장치
KR100984864B1 (ko) 회전 칫솔
KR102593082B1 (ko) 구강 케어 기구를 위한 헤드 및 이러한 헤드를 포함하는 키트
KR101070020B1 (ko) 회전 칫솔
KR101812314B1 (ko)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KR101290259B1 (ko) 칫솔
KR200377264Y1 (ko) 회전장치의 치솔
KR100753008B1 (ko) 양치습관 교정용 칫솔
KR200432170Y1 (ko) 버튼착탈식 노즐구조를 갖는 구강청소기
KR200364176Y1 (ko) 아래위로 닦기가 편리한 가로형 칫솔
KR200441096Y1 (ko) 투 헤드 칫솔
KR200426836Y1 (ko) 칫솔
KR200433188Y1 (ko) 치석제거용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