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20A -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 Google Patents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20A
KR20110004720A KR1020090062293A KR20090062293A KR20110004720A KR 20110004720 A KR20110004720 A KR 20110004720A KR 1020090062293 A KR1020090062293 A KR 1020090062293A KR 20090062293 A KR20090062293 A KR 20090062293A KR 20110004720 A KR20110004720 A KR 20110004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ata
voip terminal
recording device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1271B1 (ko
Inventor
김대수
최강산
Original Assignee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2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1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dict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사용자측 VoIP 단말의 앞단에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되어 이 VoIP 단말과 네트워크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통화 내용)를 캡쳐하여 파일로 저장하고서 원격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제1 실시예]와, VoIP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 VoIP 단말 상에서 자체적으로 처리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통화 내용)를 파일로 저장하고서 원격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제2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는, 각 사용자측 VoIP 단말(31)의 앞단에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VoIP 단말(31)의 데이터 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VoIP 단말(31)과 네트워크 상의 상대방측 단말 사이에서 자신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중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 및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한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면서 음성 코덱 및 믹싱 작업을 이용해 하나의 통화 내용 파일 또는 2개의 송신 통화 내용 파일 및 수신 통화 내용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oIP 단말, 개인 통화 녹음 장치, 음성 통화 데이터 캡쳐, 파일 저장, 원격지 서버 전송

Description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The personal speaking record apparatus for the VoIP terminal}
본 발명은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사용자측 VoIP 단말의 앞단에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되어 이 VoIP 단말과 네트워크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통화 내용)를 캡쳐하여 파일로 저장하고서 원격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제1 실시예]와, VoIP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 VoIP 단말 상에서 자체적으로 처리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통화 내용)를 파일로 저장하고서 원격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제2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기존 전화망의 회선 교환 방식의 문제점, 예컨대 호 연결에 따른 회선 독점, 대역폭 낭비, 채널 이용 비효율성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패킷망인 인터넷 기반의 VoIP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구매, 설치)이 가능하고, 관련 프로토콜 개발에 따라 음성 통화 품질을 보장할 수 있 어 VoIP 단말의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VoIP 통신망에서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기반으로 VoIP 단말이 동작하며, 이 SIP는 HTTP와 SMTP의 많은 부분을 그대로 사용해 개발된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로서 구현이 용이하고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다른 프로토콜들과 결합해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유연성과 확장성을 갖는다.
한편, VoIP 통신망에서도 사용자간의 통화 내용을 녹취(녹음)하는 통화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 녹음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 녹음 시스템의 다른 구성도이다. 통화 녹음 시스템을 구현한 첫번째 종래 기술[이하 '제1 종래 기술'이라 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통화 녹음 시스템을 구현한 두번째 종래 기술[이하 '제2 종래 기술'이라 함]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종래 기술의 통화 녹음 시스템은 IP 교환기(IP PBX)(11), CTI 서버(12), 녹음 서버(13), FTP 서버(14), 원격지 관리자 컴퓨터(15), VoIP 단말(일명 IP 전화기)(16) 등을 포함한다.
제1 종래 기술에서는 IP 교환기(11)에서의 VoIP 단말(16)의 음성 통화를 위해 할당된 데이터 포트에 대해 녹음 서버(13)로 미러링(mirroring)하여 VoIP 단말 사용자의 음성 통화 내용을 녹취하고서, 이를 FTP 서버(14)로 파일 전송해 저장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제1 종래 기술에서는 실질적으로 SIP 프로토콜 처리 등 과 같이 음성 통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IP 교환기(11)에서 통화 녹음 기능을 지원해야 되기 때문에 IP 교환기(11)에 상당한 부하를 주고 있는 형편이며, 통화 녹음 서비스 구현을 위해서는 성능이 월등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종래 기술에서는 녹음 서버(13)에서 VoIP 통신망 상의 모든 가입자간의 통화 내용을 녹취해야 되기 때문에 이 녹음 서버(13) 역시 성능이 월등한 고가의 장비가 사용되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종래 기술에서는 IP 교환기(11)와 녹음 서버(13)간 미러링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미러링에 따른 VoIP 통신망의 대역폭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미러링 대역폭 낭비로 인해 실질적으로 사용자 음성 통화에 사용할 대역폭이 감소되어 본연의 음성 통화 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2 종래 기술의 통화 녹음 시스템은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예; 사내, 콜센터 등) 내에 구성된 스위치 장치(21), 녹취 장치(22), 다수의 VoIP 단말(23) 등을 포함하며, VoIP 통신망 상에 IP 교환기(24) 등이 구성된다.
제2 종래 기술에서는 각 VoIP 단말(23)로부터 IP 교환기(24)[즉 VoIP 통신망]로 나가는 모든 트래픽, IP 교환기(24)로부터 각 VoIP 단말(23)로 들어오는 모든 트래픽에 대해, 스위치 장치(21)가 녹취 장치(22)로 전달해 이 녹취 장치(22)에서 각 VoIP 단말 사용자의 음성 통화 내용을 녹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제2 종래 기술에서는 모든 VoIP 단말(23)의 음성 패킷을 포함한 트래픽을 스위치 장치(21) 및 녹취 장치(22)에서 처리해야 되기 때문에 특히 녹취 장치(22)에 상당한 부하를 주고 있는 형편이며, 통화 녹음 서비스 구현을 위해서는 성능이 월등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종래 기술에서는 스위치 장치(21) 및 녹취 장치(22)간의 트래픽 전달, 음성 패킷 처리로 인해 로컬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좁아져 실질적으로 사용자 음성 통화에 사용할 대역폭이 감소되어 본연의 음성 통화 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종래 기술에서는 녹취 장치(22)에 장비 고장, 네트워크 장애 등이 발생될 경우에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VoIP 단말, PC 등의 모든 관련 장비들의 연결 신뢰성이 떨어져 안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IP 교환기, 스위치 장치 등과 같은 VoIP 시스템, 네트워크에 부하를 주지 않고, 성능이 월등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통화 녹음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VoIP 통신망의 한정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통신 장비들의 연결 신뢰성을 보장하고, 음성 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통화 녹음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VoIP 단말 사용자 개별적으로 자신의 음성 통화 데이터(통화 내용)를 녹음하고 저장한 파일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각 사용자측 VoIP 단말의 앞단에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되어 이 VoIP 단말과 네트워크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통화 내용)를 캡쳐하여 파일로 저장하고서 원격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제1 실시예]와, VoIP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 VoIP 단말 상에서 자체적으로 처리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통화 내용)를 파일로 저장하고서 원격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제2 실시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는, 각 사용자측 VoIP 단말(31)의 앞단에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VoIP 단말(31)의 데이터 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VoIP 단말(31)과 네트워크 상의 상대방측 단말 사이에서 자신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중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 및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한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면서 음성 코덱 및 믹싱 작업을 이용해 하나의 통화 내용 파일 또는 2개의 송신 통화 내용 파일 및 수신 통화 내용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는, 상기 VoIP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VoIP 단말의 내부모듈을 공통으로 이용하며, 상기 VoIP 단말 상에서 상기 VoIP 단말의 데이터 포트(56)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상대방측 단말로 나가는 송신 데이터와, 네트워크 상의 상대방측 단말로부터 들어오는 수신 데이터 중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 및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한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 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버퍼(54)에 저장하면서 음성 코덱(55) 및 믹싱 작업을 이용해 하나의 통화 내용 파일 또는 2개의 송신 통화 내용 파일 및 수신 통화 내용 파일로 생성하여 데이터 저장부(53)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IP 교환기, 스위치 장치 등과 같은 VoIP 시스템에 부하를 주지 않고, 성능이 월등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통화 녹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VoIP 통신망의 한정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통신 장비들의 연결 신뢰성을 보장하고, 음성 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통화 녹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VoIP 단말측에 사용자 개별적 통화 녹음 장치를 구현할 수 있어 통화 녹음 기능 동작으로 인한 문제가 VoIP 통신망, 로컬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또는 개인 통화 녹음 장치가 구비된 VoIP 단말을 구매해 나만의 통화 녹음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 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의 앞단에 설치되는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는 SIP 기반의 VoIP 단말(31)의 앞단에 설치되며, VoIP 통신망 상에는 IP 교환기(IP PBX)(32), CTI 서버(33), 저장 서버(예; FTP 서버 등)(34), 원격지 관리자 컴퓨터(35)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각 사용자측 VoIP 단말(31)의 앞단에 개별적으로 각각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를 설치하며, 이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가 VoIP 단말(31)과 네트워크[즉 VoIP 단말 사용자와 통화하는 상대방측 단말]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통화 내용)를 캡쳐하여 파일로 저장하고서 원격지의 저장 서버(34)로 전송한다[주; 도 3에는 하나의 VoIP 단말과 하나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를 도시하였음].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캡쳐한 음성 통화 데이터를 파일로서 저장함으로서 해당 통화 내용을 녹음(녹취)하는 것이다.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와 VoIP 단말(31)간의 연결을 살펴보면, VoIP 단말(31)의 랜 연결 포트(LAN Port)에 이더넷 케이블(UTP 케이블)을 꽂아 이 이더넷 케이블을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의 VoIP 단말 연결 포트에 연결시키고,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의 랜 연결 포트에 다른 이더넷 케이블을 꽂아 모뎀 또는 인터넷 공유기 또는 허브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장치(미도시)에 연결시킨다.
예컨대, VoIP 단말(31)과 네트워크간에 송수신되는 트래픽(모든 데이터)은 VoIP 단말 연결 포트, 랜 연결 포트,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를 거치게 된다. 덧붙여,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VoIP 단말 연결 포트, 랜 연결 포트를 데이터 포트라 통칭하기로 한다.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는 ARM 코어를 이용한 리눅스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으로서 저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세서서 유닛(MPU)/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제어부],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데이터 저장부], 버퍼 및 음성 코덱 등을 포함한다.
그럼, 도 4를 참조하여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의 기능,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서의 음성 통화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여기서, VoIP 단말(31)의 사용자와 상대방측간에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아울러 SIP 기반의 통화 세션 연결 설정 과정 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간 통화에 따라 데이터 포트를 통해 VoIP 단말(31)로부터 네트워크로 나가는 송신 데이터와, 네트워크로부터 VoIP 단말(31)로 들어오는 수신 데이터가 입력되면(401),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에서는 이 송/수신 데이터에 음성 통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402).
상기 음성 통화 데이터 포함 여부 확인 결과로 음성 통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에서는 해당 송신 데이터를 쓰루 패스(through pass)해 네트워크로 전달하고, 해당 수신 데이터를 쓰루 패스해 VoIP 단말(31)로 전달한다(403).
한편 상기 음성 통화 데이터 포함 여부 확인 결과로 음성 통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에서는 해당 송신 데이터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이를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라 함]만을 캡쳐하고, 해당 수신 데이터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이를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라 함]만을 캡쳐한다(404). 이때, VoIP 단말(31)과 네트워크간의 송수신 데이터에 대해 패킷 단위로 헤더 부분을 분석 및 필터링하여 음성 통화 데이터를 캡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후,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에서는 상기 캡쳐한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면서 음성 코덱과 믹싱 작업을 이용해 하나의 '통화 내용 파일'로 생성한다(405). 다른 예로서, 2개의 파일, 예컨대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 각각을 분리하여,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파일['송신 통화 내용 파일']과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파일['수신 통화 내용 파일']을 각각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런후,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에서는 상기 생성한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 에 저장한 후에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저장 서버(34)로 전송한다(406). 여기서,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는 사용자간 통화가 완료된 후에 해당 파일을 저장 서버(34)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에도 통화 내용에 관한 파일을 저장하는 것은 저장 서버(34)의 파일에 대해 백업 기능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파일 내에 기록되는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는 동일 시간대에 동일한 사용자(단말)간에 이루어진 통화 내용에 해당되는 것이며, 이는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에서 송/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의 헤더 정보 등을 통해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일 내에는 통화 내용이 기록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에서는 통화 시간/날짜, IP 주소, 발신 전화번호, 수신 전화번호, 사용자 아이디 등의 발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를, 파일 이름 또는 파일 내에 포함시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에서는 VoIP 단말(31) 내에 구비된 전화번호부와의 연계 또는 개인주소록서버(미도시)와의 연계를 통해 사용자 신상정보(예; 이름, 이메일 주소 등)를 추가적으로 획득해 파일 내 또는 파일 이름으로 기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화 내용이 기록된 파일 내 또는 파일 이름에 통화자(발신자/수신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현하기에 나중에 사용자가 자신이 통화한 내역, 그 통화 내용을 해당 정보로 손쉽게 조회, 검색[예; 내가 전화를 건 번 호를 키워드로 입력해 시간 순서대로 정렬된 파일 리스트 제공 등]하여 편리하게 해당 파일을 선택해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파일 DB화 구축].
덧붙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로 구현한 통화 녹음 서비스의 이점을 살펴보면, VoIP 단말(31) 바로 앞단에 설치하여 그 동작 시 네트워크, 외부로부터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고 사용자가 듣고 말하는 통화 내용 그대로를 녹음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1,2와 같은 구현 기법은 통화량이 많을수록 회선에 부하를 발생(주; VPN, Back To Back User Agent의 영향 등으로)시키는데 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네트워크에 의한 간섭에 예민하지 않으며, 아울러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자 개개의 통화 녹음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구축해 나만의 통화 녹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는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는 SIP 기반의 VoIP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어부[마이크로 프세서서 유닛(MPU)/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51), 메모리(RAM)(52), 데이터 저장부[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매체](53), 버퍼(54), 음성 코덱(55), 데이터 포트(56)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제 구현 시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의 각 구성요소(51~56)는 VoIP 단말의 기본모듈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VoIP 단말의 내부에 구비된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가 이 VoIP 단말 상에서 자체적으로 처리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통화 내용)를 파일로 저장하고서 원격지의 저장 서버(미도시)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가 별도의 장비로 구현되지 않고서 VoIP 단말의 내부 모듈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미 VoIP 단말을 구매해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별도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를 구매해 VoIP 단말에 연결하여 통화 녹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통화 녹음 서비스 기능이 구비된 VoIP 단말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기존 VoIP 단말 대비 약간의 비용(예; 통화 내용이 녹음되는 파일 저장을 위해 데이터 저장부의 추가 용량 고려 등)을 더 지불하고서 VoIP 단말을 구매해 통화 녹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가 구비된 VoIP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살펴보면, VoIP 단말의 랜 연결 포트(LAN Port)에 이더넷 케이블(UTP 케이블)을 꽂아 이 이더넷 케이블을 모뎀 또는 인터넷 공유기 또는 허브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장치(미도시)를 통해 스위치 장치(미도시, 주; 도 2의 스위치 장치(21) 등)에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덧붙여, 이 VoIP 단말에 자체적인 인터넷 접속모듈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럼, 도 6을 참조하여 VoIP 단말 상에서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의 기 능,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 4를 참조해 설명했던 제1 실시예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의 동작과 동일한 구체적 설명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서의 음성 통화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며, 이러한 데이터 처리는 제어부(51)에 의해 제어되어 수행된다.
사용자[VoIP 단말 사용자와 상대방]간 통화에 따라 VoIP 단말 상에서 데이터 포트(56)를 통해, 네트워크[상대방측 단말]로 나가는 송신 데이터와, 네트워크[상대방측 단말]로부터 들어오는 수신 데이터가 입력되면(601),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에서는 이 송/수신 데이터에 음성 통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602).
상기 음성 통화 데이터 포함 여부 확인 결과로 음성 통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에서는 이 송/수신 데이터를 SIP 관련 데이터(예; 호 처리를 위한 세션 설정 등의 데이터 등) 등과 같은 비음성 데이터로 간주해 쓰루 패스(through pass)하여 VoIP 단말의 해당 처리모듈, 네트워크로 전달한다(603).
한편 상기 음성 통화 데이터 포함 여부 확인 결과로 음성 통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에서는 해당 송신 데이터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만을 캡쳐하고, 해당 수신 데이터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만을 캡쳐한다(604). 이때, VoIP 단말과 네트워크간 의 송수신 데이터에 대해 패킷 단위로 헤더 부분을 분석 및 필터링하여 음성 통화 데이터를 캡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후,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에서는 상기 캡쳐한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버퍼(54)에 저장하면서 음성 코덱(56)과 믹싱 작업을 이용해 하나의 '통화 내용 파일'로 생성한다(605). 다른 예로서, 2개의 파일, 예컨대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 각각을 분리하여,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파일['송신 통화 내용 파일']과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파일['수신 통화 내용 파일']을 각각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런후,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에서는 상기 생성한 파일을 데이터 저장부(53)에 저장한 후에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한다(606). 여기서,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는 사용자간 통화가 완료된 후에 해당 파일을 저장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에도 통화 내용에 관한 파일을 저장하는 것은 저장 서버의 파일에 대해 백업 기능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도 6[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하나의 파일 내에 기록되는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는 동일 시간대에 동일한 사용자(단말)간에 이루어진 통화 내용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한, 통화 시간/날짜, IP 주소, 발신 전화번호, 수신 전화번호,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신상정보(예; 이름, 이메일 주소 등) 등의 발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를, 파일 이름 또는 파일 내에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 제2 실시예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 각각은 VoIP 통신망 상의 시스템 구성이 아닌 VoIP 단말측에 구현되는 개별 장치이기에 이러한 개별 장치의 문제가 VoIP 통신망, 로컬 네트워크(예; 사내, 콜센터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 녹음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 녹음 시스템의 다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의 앞단에 설치되는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서의 음성 통화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는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서의 음성 통화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Claims (7)

  1.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는,
    각 사용자측 VoIP 단말(31)의 앞단에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VoIP 단말(31)의 데이터 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VoIP 단말(31)과 네트워크 상의 상대방측 단말 사이에서 자신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중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 및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한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면서 음성 코덱 및 믹싱 작업을 이용해 하나의 통화 내용 파일 또는 2개의 송신 통화 내용 파일 및 수신 통화 내용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는,
    상기 생성한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저장 서버(34)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그 파일 내부 또는 그 파일 이름에, 통화 시간/날짜, IP 주소, 발신 전화번호, 수신 전화번호,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신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30)는,
    ARM 코어를 이용한 리눅스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5.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는,
    상기 VoIP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VoIP 단말의 내부모듈을 공통으로 이용하며,
    상기 VoIP 단말 상에서 상기 VoIP 단말의 데이터 포트(56)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상대방측 단말로 나가는 송신 데이터와, 네트워크 상의 상대방측 단말로부터 들어오는 수신 데이터 중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 및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한 송신 음성 통화 데이터와 수신 음성 통화 데이터를 버퍼(54)에 저장하면서 음성 코덱(55) 및 믹싱 작업을 이용해 하나의 통화 내용 파일 또는 2개의 송신 통화 내용 파일 및 수신 통화 내용 파일로 생성하여 데이터 저장부(53)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통화 녹음 장치(50)는,
    상기 생성한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그 파일 내부 또는 그 파일 이름에, 통화 시간/날짜, IP 주소, 발신 전화번호, 수신 전화번호,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신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KR1020090062293A 2009-07-08 2009-07-08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KR101051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293A KR101051271B1 (ko) 2009-07-08 2009-07-08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293A KR101051271B1 (ko) 2009-07-08 2009-07-08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20A true KR20110004720A (ko) 2011-01-14
KR101051271B1 KR101051271B1 (ko) 2011-07-22

Family

ID=4361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293A KR101051271B1 (ko) 2009-07-08 2009-07-08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158B1 (ko) * 2014-01-17 2015-07-14 주식회사 투티스 전화 통화의 녹취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서버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169B1 (ko) * 2002-02-07 2003-12-01 주식회사 성진씨앤씨 인터넷 폰의 통화 내역 녹음 방법 및 장치
JP2004173051A (ja) 2002-11-21 2004-06-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VoIPパケット情報蓄積システム
KR20040105014A (ko) * 2003-06-04 2004-12-14 (주) 나우테스 테크놀러지 Tcp/ip상에서 voip 데이타를 필터링하여 음성을 저장하는 녹음시스템및 그 방법
KR200438425Y1 (ko) * 2006-12-18 2008-02-15 주식회사 아이오셀 저장수단을 구비한 음성데이터 처리 단말기 및 상기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1271B1 (ko) 201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67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monitoring communications using a media server
US78851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ified messaging system service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FI110297B (fi) Lyhytäänisanomajärjestelmä, -menetelmä ja -päätelaite
EP2485431B1 (en) Method and terminal in a multi-point to multi-point intercom system
US75707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illance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s
US8089900B2 (en) Method for repelling unwanted speech advertising for packet-oriented communication networks
CN105991856B (zh) 基于rtp服务器到服务器寻路由的voip寻路由
JP4599196B2 (ja)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これら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Flanagan VoIP and unified communications: internet telephony and the future voice network
US200401511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voice over data channels in near real time
US91483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media in VoIP sessions with RTP source profiling/tagging
TWI240516B (en)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voic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or IP network, method thereof, and IP terminal
KR101051271B1 (ko) VoIP 단말을 위한 개인 통화 녹음 장치
JP2005191763A (ja) 通信中継方法および中継装置
US86255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recording
US20080267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ntinuous Connections for Audio/Visual Communications
US20040203438A1 (en) Method to assess the quality of a voice communication over packet networks
JP2011071853A (ja) Ip電話システム、通話内容記録装置および通話方法
JP5223444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呼制御装置
JP2017005466A (ja) 呼制御処理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呼制御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51273B1 (ko) VoIP 단말 통화 녹음을 위한 레코딩 스위칭 허브 장치
JP2006352552A (ja) ファックス通信システム、その通信方法、これに用いる端末及びサーバ
Kabachinski VoIP: Let's Talk
Tyson How IP Telephony Works
Simon School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