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963A -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963A
KR20110003963A KR1020090061501A KR20090061501A KR20110003963A KR 20110003963 A KR20110003963 A KR 20110003963A KR 1020090061501 A KR1020090061501 A KR 1020090061501A KR 20090061501 A KR20090061501 A KR 20090061501A KR 20110003963 A KR20110003963 A KR 20110003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function
remote control
control device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래
김규열
신동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963A/ko
Priority to US12/831,388 priority patent/US20110009112A1/en
Publication of KR2011000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어 및 전화 연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다중 화면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의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단말기 제어, 원격 제어, 제어 장치

Description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LER FOR HANDHELD MOBI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동단말기의 핵심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제어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술, 멀티미디어 기술, CPU 및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제작 기술, 전력 충전 기술 등의 제반 기술들이 발달함에 따라서 이동단말기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등의 기존 제품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 MID), 울트라 모바일 PC(Ultra Mobile PC : UMPC) 등 새로운 개념의 제품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반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과거 데스크탑 PC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던 기능들이 이동단말기에서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가능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서 이동단말기와 데스크탑 PC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는 단순히 상대방과 음성 통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에게 즐거움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가 되어 제공되고 있다. 도 1에서는 인터넷 검색, 멀티미디어 재생, 외부 기기 및 망과의 통신, 게임과 같은 그래픽 컨텐츠 활용, 문서 편집 등을 일 예로 들었으나 이 외에도 많은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이동단말기의 화면 크기, 해상도, 입력 방식, 전력 소모, 연산 기능에 의해 선택적으로 부가기능으로 결정되어 제공되어 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사용자에게 즐거움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들은 실제로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는 이동단말기 내에서 수행되므로 실제로 이동단말기를 활용하여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활용할 경우 여러 가지 제약들이 따를 수 밖에 없다. 일 예로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인터넷 브라우징,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제한된 입력부로 인하여 문서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능들의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 외에도 PC와 같은 외부 기기와의 호환성 또한 높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는 근본적인 문제를 이동단말기의 휴대성을 위해서는 이동단말기의 크기가 작을수록 좋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표시부 및 호환성이 필요한 모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집이나 사무실과 같이 이동 환경이 아닌 공간에서 이동단말기의 사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무선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외부기기의 전체 및 각 구성 요소의 동작 및 연동을 제어하는 처리부와, 상기 이동단말기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컨텐츠가 그대로 전시되거나 기 설정된 출력 화면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전시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이동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어 및 전화 연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다중 화면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의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이동단말기의 전화 기능 및 부가 기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그 출력을 디지털 TV 또는 PC 모니터에 출력하여 작은 화면에서 즐기기 어려웠던 기능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구성 요소로 포함된 서비스 환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서비스 환경은 기본적으로 제1 이동단말기(201), 거치대(203), 2차 표시장치(205), 제2 이동단말기(207), 외부기기(209),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211)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동단말기(201)는 다중 화면 융합 환경이 중심이 되는 장치로써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의미한다. 제1 이동단말기를 중심으로 모든 장치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211)와 연결이 이루어지면 제1 이동단말기(201)의 핵심 기능 및 부가 기능이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2차 표시장치(205)는 제1 이동단말기(201)의 기능을 대형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디지털 TV, PC 모니터, 프로젝터와 같은 장치를 의미하며, 제1 이동단말기(201)의 컨텐츠를 그대로 전시하거나 해당 화면에 적합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해상도 등이 변환되어 전시될 수 있다.
거치대(203)는 제1 이동단말기(201)와 디지털 TV, PC 모니터 등과 같은 2차 표시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제1 이동단말기(201)의 충전을 제공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제2 이동단말기(207)는 제1 이동단말기(201) 또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21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또 다른 이동단말기를 의미하며 파일 공유 전송과 같은 정보 공유 및 전화 대기 교환과 같은 다자간 통신 등을 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기기는 2차 표시장치(205)와 제2 이동단말기(207) 이외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의미하며 일 예로 PC나 인터넷 전화 등이 될 수 있다.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211)는 제1 이동단말기(201)의 핵심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제1 이동단말기(201)가 거치대(203)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2차 표시장치(205), 제2 이동단말기(207) 및 외부기기(209)를 제어하는 역할 또한 담당한다.
도 2에서 도시한 서비스 환경 구성 요소 중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핵심 기능과 3개의 부가 기능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 환경 및 그 기능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핵심 기능의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제어의 주 기능으로, 제1 이동단말기의 전화 착신 또는 발신 기능(301)과 제1 이동단말기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재생과 같은 전화 착발신 기능을 제외한 제어 기능(303)으로 이루어진다.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면 이러한 핵심 기능을 제어하여 제1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대신한다. 전화 착신 또는 발신 기능의 경우에는 거치대와 연결된 2차 표시 장치를 통해서 전화 착신 또는 발신에 관련되는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지면 통화 중 정보 또한 2차 표시 장치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3개의 부가 기능의 경우, 다른 장치와의 조합을 통하여 발생되는 기능을 의미하며 외부장기 제어 기능(305), 사설 교환기 기능(307), 센서 및 게임 제어 기능(309)으로 이루어진다. 외부장치 제어 기능(305)은 디지털 TV, 셋톱박스,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이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장치들을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로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제어하는 기능이다. 상기 장치들과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적외선통신, 지그비,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복합 제어 또한 가능하다.
센서 및 게임 제어 기능(309)은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내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을 활용하여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 및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을 제어하고,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재미있고 감성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능이다. 포함되는 센서로는 자이로 센서, 가속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사설 교환기 기능(307)은 한정된 공간 내에 있는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를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연결하여 소규모로 사설 교환을 수행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즉 동종 또는 이종 무선 망과 연결된 이동단말기 간의 내선 통화 기능, 동시에 여러 대의 이동단말기로 착신되는 전화에 대한 통화 중 대기 기능, 기타 호 처리 기능을 포함한 교환기 기능 등이 해당된다. 또한 본 기능은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인터넷 전화망 또는 공중전화망과 연동하여 확장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화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4에 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전화 교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01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전화 교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결이 가능한 기기 및 무선망을 검색한다. 여기서 연결이 가능한 기기는 이동단말기를 의미하며 무선망은 인터넷 전화 또는 공중 전화망을 의미하며 전화 교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기 또는 무선망이 검색되어야 한다. 403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검색된 기기가 복수이거나 무선망이 검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검색된 기기가 복수가 아니거나 무선망이 검색되지 않았다 면 전화 교환 기능의 동작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기기 및 망의 검색을 반복한다. 검색한 결과 전화 교환 기능의 동작 조건이 만족되었다면 405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기기 또는 망을 이용하여 내선 전화망을 구성한다.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외부 망으로의 착신 또는 발신 서비스가 아닌 내선 통화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경우, 407단계에서 구성된 내선 전화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서비스의 종류로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된 이동단말기 간의 내선 통화, 통화 중 대기, 다자간 통화 등이 있으며,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서 서비스된다. 내선 통화, 통화 중 대기, 다자간 통화 모두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와 거치대에 연결된 이동단말기와 다른 외부기기 간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하며, 치대에 연결된 2차 표시 장치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크게 무선통신부(401)와, 처리부(503), 센서부(505), 입출력 인터페이스(507), 전화 인터페이스(509)로 구성되며, 처리부(503)는 장치 제어부(511), 연결 관리부(513), 교환망 관리부(515), 전화 관리부(517)로 구성되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무선 통신부(501)는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 또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통신부(501)에서 이용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로는 블루투스, 위피, 지그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모듈을 탑재하여 이동단말기 및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모듈을 탑재하여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하여 이동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블루투스/위피 모듈을 탑재하여 이동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무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전화와 같은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모듈은 사용자의 환경 및 용도에 따라서 얼마든지 확장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복수의 통화 채널을 동시에 사용해야하는 교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이다.
처리부(503)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와 자신과 연결되는 이동단말기 및 외부기기의 전체 및 각 구성 요소의 동작 및 연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처리부(503)는 상기와 같이 장치 제어부(511), 연결 관리부(513), 교환망 관리부(515), 전화 관리부(517)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 관리부(513)는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기 및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단말기 및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해서 최초 고유 식별자와 같은 정보의 교환이 필요하며, 일단 한번 정보가 연결 관리부에 등록이 되면 재등록이 필요없이 해당 지역 밖에서 해당 지역 안으로 이동단말기 및 다른 장치가 유입되면 자동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교환망 관리부(515)는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기 간의 내선 전화망을 구성하여 각 이동단말기 간의 연결 및 서비스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결 관리부(513)에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이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 원하는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이동단말기 또는 다른 장치 또는 무선망의 검색을 반복한다. 또한 인터넷 전화와 같은 외부 전화망과 연결이 가능하다면 이를 포함하여 내선 전화망을 구성하여 이동단말기와 인터넷 전화 간의 연결 및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 거치대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전화기를 제어하여 통화를 하는 중 연결 관리부(513)에 연결된 다른 이동단말기로 새로운 착신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중 대기 또는 착신 전환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다음으로 전화 관리부(517)는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착신 또는 발신을 관리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로 거치대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착신 또는 발신을 관리하여 처리함을 우선으로 하며 연결 관리부(513)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이동단말기의 착신 또는 발신을 관리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거치대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전화기를 제어하여 통화를 하는 중 연결 관리부(513)에 연결된 다른 이동단말기로 새로운 착신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교환망 관리부(515)에 알리는 역할 또한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장치 제어부(511)는 연결 관리부(513)로부터 연결되어 관리되는 이동단말기 및 외부기기의 기능들을 제어하고, 전화 관리부(517)로부터 수신되는 전화 착신 또는 발신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고, 동시에 둘 이상의 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505)는 위치센서, 가속센서, 압력센서 등의 각종 감지 정보를 인식, 처리,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는 장치 처리부 내의 장치 제어부의 제어를 받으 며 이동단말기 내에 탑재된 게임과 같은 부가적인 프로그램에서 상기 센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07)로는 대표적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스크린, 디지털 TV, 컴퓨터 모니터 등이 있으며, 입력의 경우에는 연결된 이동단말기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출력의 경우에는 이동단말기의 컨텐츠를 그대로 전시하거나 해당 출력 화면에 적합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해상도 등을 변환하여 전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전화 인터페이스(509)로는 대표적으로 스피커와 마이크가 있으며 다른 이동단말기 또는 외부와 연결된 경우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의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 및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6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601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이동단말기와 거치대가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은 이동단말기가 거치대에 연결되는 순간부터 시작되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거치대로부터 이동단말기가 거치대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거치대는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는 순간부터 이동단말기의 충전을 시작하고, 603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해 이동단말기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실행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실행함으로 인하여 이동단말기의 제어 및 전화 연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무선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면 사용자는 디지털 TV 와 같은 2차 표시 장치를 통하여 이동단말기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이동단말기는 거치대와 연결되어있어야 하고 거치대는 2차 표시 장치와 연결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605단계에서 사용자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이동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의 기본 기능은 전화 통화 기능과 이동단말기 제어 기능으로 이루어지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 대신 전화 통화를 하고 2차 표시 장치를 통해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를 제어하여 이용할 수 있다.
607단계에서 사용자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북가 기능의 수행 여부 판단은 기기 간 연결 상황, 요청 서비스, 동작 상황에 따라 그 여부가 판단된다. 일 예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단말기가 둘 이상이거나 외부기기가 연결되어 있다면 기본적으로 부가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다. 부가 기능은 크게 인터넷 전화와 같은 외부기기 제어 기능,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단말기 간의 통신이 가능한 전화 교환 기능, 센서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편의를 제공하는 센서 제어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른 부가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607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부가 기능이 수행된다면, 611단계로 진행하여 복수의 부가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고, 613단계에서 선택된 부가 기능의 구동을 결정하고 그 동작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615단계에서 이동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분리되거나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꺼지는 등의 서비스 환경의 변화가 생기는지의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환경의 변화가 생기면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기능이 종료되고 거치대에 연결되었던 이동단말기는 거치대와 연결되지 전의 환경으로 복원된다. 환경의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면 613단계로 돌아가 선택된 부가 기능의 구동을 계속 관리하고 제어한다.
607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부가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다면, 609단계로 진행하여 이동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분리되거나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꺼지는 등의 서비스 환경의 변화가 생기는지의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환경의 변화가 생기면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기능이 종료되고 거치대에 연결되었던 이동단말기는 거치대와 연결되지 전의 환경으로 복원된다. 환경의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면 505단계로 돌아가 이동단말기의 기본 기능 제어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 환경 및 그 기능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전화 교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15)

  1.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무선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외부기기의 전체 및 각 구성 요소의 동작 및 연동을 제어하는 처리부와,
    상기 이동단말기로 사용자 요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해당 컨텐츠의 변환 유무를 결정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두 종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모듈을 탑재하여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관리부와,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외부기기 간의 내선 전화망을 구성하여 각 이동단말기 간의 연결 및 서비스를 관리하는 교환망 관리부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착신 또는 발신을 관리하여 처리하는 전화 관리부와,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외부기기의 기능들을 제어하고, 상기 전화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전화 착신 또는 발신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고, 동시에 둘 이상의 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해서 최초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며, 상기 개인 정보가 상기 연결 관리부에 등록이 되면 재등록이 필요 없이 기 설정된 지역 안으로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외부기기가 유입되면 자동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망 관리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외부기기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외부 전화망과 연결이 가능한 경우 이를 포함하여 내선 전화망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외부 전화망 간의 연결 및 서비스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망 관리부는
    상기 이동전화기를 제어하여 통화를 하는 중 상기 연결 관리부에 연결된 다른 이동단말기로 새로운 착신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중 대기 또는 착신 전환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는 원격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 및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부와,
    착신 또는 발신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전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위치센서, 가속센서,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 인터페이스는 스피커, 마이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9. 이동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어 및 전화 연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다중 화면 모드를 실행하는 과 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의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거치대에 연결되는 순간 상기 이동단말기가 유무선으로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기능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화 기능 및 상기 이동단말기 제어 기능을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외부기기와의 조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기능을 의미하며, 외부 기기 제어 기능, 사설 교환기 기능, 센서 제어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 제어 기능은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제어하며, 상기 외부기기와 상 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며, 복수의 통신 방식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복합 제어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 교환기 기능은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외부기기와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서로 연결되고, 동종 또는 이종 무선망과 연결된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외부기기 간의 내선 통화, 통화 중 대기, 호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제어 기능은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활용하여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 및 동작을 인식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방법.
KR1020090061501A 2009-07-07 2009-07-07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10003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01A KR20110003963A (ko) 2009-07-07 2009-07-07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2/831,388 US20110009112A1 (en) 2009-07-07 2010-07-07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01A KR20110003963A (ko) 2009-07-07 2009-07-07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63A true KR20110003963A (ko) 2011-01-13

Family

ID=4342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501A KR20110003963A (ko) 2009-07-07 2009-07-07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09112A1 (ko)
KR (1) KR201100039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5530A (zh) * 2017-10-10 2018-02-16 深圳市前海深蕾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通用遥控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76B1 (ko) * 2006-03-10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정보를 썸네일로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단말기
US10225354B2 (en) * 2011-06-06 2019-03-05 Mitel Networks Corporation Proximity session mobility
US10296516B2 (en) * 2012-05-21 2019-05-21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using multiple synchronized mobile devices
CN107396410A (zh) * 2017-07-18 2017-11-24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智能终端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WO2020024092A1 (zh) * 2018-07-30 2020-02-0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2236B1 (en) * 1997-05-08 2001-02-20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 of accessory devices using a radiotelephone as a receiver
US7116975B1 (en) * 2003-01-21 2006-10-03 Cingular Wireless I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all forwarding in a wireless mobile station
US7539488B2 (en) * 2005-11-09 2009-05-26 Texas Instruments Norway As Over-the-air download (OA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facilitat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 wireless network devices of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7539487B2 (en) * 2006-01-09 2009-05-26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ing I/O devices with a mobile server
US7970436B1 (en) * 2006-09-22 2011-06-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interface extension for mobile devices
US8423010B1 (en) * 2007-08-29 2013-04-1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Remote activation of a communication-forwarding function for a mobile-communication device
US8050713B2 (en) * 2007-10-03 2011-11-01 Harris Corporation Keypad display unit
US8155670B2 (en) * 2008-11-04 2012-04-10 2Wire, Inc. Cell notif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5530A (zh) * 2017-10-10 2018-02-16 深圳市前海深蕾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通用遥控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9112A1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063B1 (ko)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893934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KR1017626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KR101901720B1 (ko) 더미 장치와의 연동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0678099B1 (ko)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US9357587B2 (en)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10003963A (ko) 이동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02184013B (zh) 一种用于电子设备间的输入方法及相应的电子设备
CN106991005A (zh) 操作系统的切换方法及装置
US20100291913A1 (en) Remote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phones
KR20120059168A (ko)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0711724B1 (ko)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데이터 전송방법
TW201516856A (zh) 投影機、影像輸出裝置及其控制方法
JP2013143769A (ja) ポータブル端末でサービス実行に対する短縮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727289A (zh) 电子设备及通话方法
US201101243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terminal
JP5570868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端末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CN103607620B (zh) 控制智能电视的移动通信终端方法及装置
KR10070334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방법
JP2010028479A (ja) 分散機器相互制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1783921B (zh) 一种将视频会议功能扩展到外接设备的方法及装置
JP2015061162A (ja) 通信システム
KR20080025979A (ko) 펜마우스형 단말기
JP5324695B1 (ja) 無線接続制御装置及び可搬型無線接続子機
KR100598059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메뉴 일괄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