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238A -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238A
KR20110002238A KR1020090059734A KR20090059734A KR20110002238A KR 20110002238 A KR20110002238 A KR 20110002238A KR 1020090059734 A KR1020090059734 A KR 1020090059734A KR 20090059734 A KR20090059734 A KR 20090059734A KR 20110002238 A KR20110002238 A KR 20110002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shing
drum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219B1 (ko
Inventor
손영복
예성민
이태희
채애경
엄윤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19B1/ko
Priority to CN2010101745672A priority patent/CN101838913B/zh
Priority to EP10794371.4A priority patent/EP2449161B1/en
Priority to US13/375,425 priority patent/US8832965B2/en
Priority to PCT/KR2010/004271 priority patent/WO2011002236A2/en
Priority to CN201080023188.1A priority patent/CN102439212B/zh
Publication of KR20110002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19B1/ko
Priority to US14/454,529 priority patent/US94413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69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er-dryer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56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3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air flow, e.g. blowing air during the washing process to prevent entanglement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럼의 배면 및 터브의 배면을 세척할 수 있고, 상기 터브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상기 터브에서 배수된 세탁수가 터브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 터브건조, 역류방지, 체크밸브, 순환펌프, 드럼세척, 터브세척

Description

세탁장치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a 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브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을 세탁 또는 건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 및 건조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도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세탁장치는 세탁물을 드럼에 투입한 뒤 터브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한 후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있는 세탁물이 세탁수 및 드럼과 마찰하고, 세제의 유화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세탁이 완료된 뒤 세탁에 사용된 세탁수는 절곡부 및 사이펀방지부를 구비한 배수유로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사이펀현상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세탁장치는 세탁 중 터브 내부에 발생하는 거품이 드 럼의 배면과 터브의 배면에 남을 수 있다.
즉, 세탁수는 상기 터브의 저면 일부 높이까지만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터브의 배면 중 세탁수에 잠기지 않는 부분에 거품이나 이물질이 뭍게되면 이를 제거할 방법이 없었다.
또한, 상기 드럼의 경우에는 회전하는 과정에서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와 마찰을 통해 상술한 문제가 덜 할 수 있으나, 드럼의 회전축 주위는 세탁수와 마찰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거품이나 이물질이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상기 배수유로는 세탁장치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높이에 형성되는 절곡부 및 사이펀방지부를 통해 사이펀현상은 방지할 수 있을지 모르나 배수펌프의 동작이 중단될 경우 세탁수가 배수유로를 따라 터브 내부로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탁이 완료된 터브 내부는 습한 상태이므로 상기 터브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터브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의 배면 및 터브의 배면을 세척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된 세탁수가 터브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 및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로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상기 히터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터브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건조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에 구비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건조단계는 상기 히터를 ON/OFF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터브 내부와 터브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공기유로 및 제2공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건조단계는 상기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터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는 회전가능한 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터브건조단계는 상기 제1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드럼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단계를 상기 배수단계 이전에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사하는 순환세탁단계와,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세척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의 배면과 터브의 배면 사이에 분사하는 배면세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사하는 순환세탁단계와, 상기 순환펌프에서 펌핑되는 세탁수 중 일부를 상기 드럼의 배면과 터브의 배면 사이로 분사하는 배면세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세탁단계와 상기 배면세척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단계는 상기 배수유로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를 이용하여 배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터브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의 배면 및 터브의 배면을 세척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된 세탁수가 터브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먼저, 도1을 참고하여 본 발명 제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세탁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세탁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2)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과,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7)와,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8)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전방면에 도어(4)가 구비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2)는 상기 도어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힌지(미도시) 등의 구성을 통해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터브(2)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수공급관(미도시) 및 세제공급부(미도시)와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세탁수공급관의 중간에 구비되어 세탁수의 공급시 세제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공간이다.
상기 드럼(3)은 모터(5)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고, 상기 모터(5)는 상기 터브의 외측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5)에 구비된 회전축(51)이 상기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의 외측배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은 다수의 통공(31)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31)은 상기 드럼(3)의 외주면에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가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터브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터브(2)와 드럼(3)은 실링부(33)로 연결되어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도어(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2)와 드럼(3)이 형성하는 터브 내부의 공간에는 히터(6)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6)는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가열 뿐만 아니라 상기 터브 내부의 건조를 위해 구동될 수 있다.
종래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히터는 세탁수의 가열을 위해서만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히터(6)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터브 내부의 건조를 위해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세탁장치는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배수펌프(7)를 통해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시킨 후 상기 히터(6)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6)에 의한 터브 내부의 건조가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세탁장치에는 상기 터브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를 연통시키는 공기유로(21, 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을 마치고 세탁물이 상기 드럼(3)에서 제거되고 나면 상기 도어(4)는 닫힌 상태이므로 터브(2) 및 드럼(3)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소통하기 어렵다.
터브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면 터브 내부의 온도가 필요이상으로 상승하여 세탁장치의 내부 구성을 파손할 위험이 있고, 터브 내부를 건조하는데도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4)가 닫힌 상태에서도 터브(2)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하는 공기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유로는 터브(2)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터브(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로(21)와, 터브(2)의 후방에 구비되어 터브(2) 내부의 공기가 외부 로 배출되는 제2공기유로(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21)는 상기 캐비닛(1)에 직접연결될 수도 있으나, 세제공급부와 같이 캐비닛(1)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장치들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세제공급부(미도시)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드로워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의 탑플레이트에 도어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세제공급부가 캐비닛의 외부와 완전히 밀폐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세제공급부에 상기 제1공기유로의 일측이 구비된다면 캐비닛의 외부공기가 상기 터브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공기유로(23)는 일측이 상기 터브(2)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1)의 배면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공기유로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는 상기 터브(2)가 도어에 의해 장시간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세탁물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세탁물이 인출된 뒤에는 히터의 가동을 통해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기 용이하므로 세탁장치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공기유로(21')는 일측이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드럼의 내부로 캐비닛의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는 제1공기유로(21')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된 뒤 통공(31)을 거쳐 터브 내주면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드럼(3) 건조에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히터(6)를 소정시간 구동시킨 뒤(ON) 소정시간 구동을 중단(OFF)하는 ON-OFF제어를 통해 터브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는 히터(6)를 계속해서 ON시킬 경우 터브 내부의 공기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세탁장치의 내부 구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구동 중 드럼(3)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히터(6)가 구동되면 상기 히터(6)에 가까운 터브 저면의 공기가 먼저 가열될 것이므로 상기 드럼(3)을 회전시켜 터브 내부의 공기를 혼합하면 터브 내부를 빨리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는 상기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펌프(7)는 일측이 상기 터브(3)의 하측면에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하는 배수유로(7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71)는 상기 캐비닛(1)의 저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73)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73)에는 사이펀방지부(7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절곡부 및 사이펀방지부는 배수펌프(7)가 세탁수의 배수 중 구동을 중단할 때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사이펀현상에 의해 모두 배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사이펀방지부(75)는 상기 절곡부(73)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71)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세탁장치는 상기 터브에 공급된 세탁수 및 세제를 이용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세탁과정의 종료 시,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세탁물에서 세제 및 때를 제거하는 헹굼과정의 종료 시 상기 터브(2)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배수펌프(7)를 통해 배수한다.
한편, 세탁물에서 세탁수를 제거하는 탈수과정의 경우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 세탁물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펌프(7)를 통해 배수된다.
그러나, 상기 배수펌프(7)의 구동이 중단되면 상기 절곡부(73)와 배수펌프(7) 사이에 있는 세탁수는 상기 배수유로(71)를 따라 상기 터브(2) 내부로 역류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터브와 상기 배수펌프의 연결부에 체크밸브(9)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2를 참고하여 상기 체크밸브(9)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체크밸브(9)는 상기 터브연결관(711)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바디(91)와, 상기 바디 내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걸림턱(93)과, 상기 바디(91)의 내주면을 가로질러 구비되는 힌지고정부(94)와, 상기 힌지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로(95)를 개폐하는 플레이트(96, 97)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91)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터브(2)의 바닥면에 상기 바디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턱(9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디(91)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상기 걸림턱(93)은 상기 플레이트(96, 97)이 터브(2) 방향으 로 회동할 경우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고정부(94)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96)와 제2플레이트(97)로 구분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96)는 상기 힌지고정부(94)에 힌지결합되어 도면상 힌지결합부의 좌측 유로(95')를 개폐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97)는 상기 힌지고정부(94)에 힌지결합되어 도면상 힌지결합부의 우측에 형성된 유로(95)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연결관(711)으로 세탁수가 역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2플레이트(96, 97)은 자중에 의해 유로(95, 95')를 개방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터브연결관(711)을 따라 세탁수가 역류하여 터브(2) 내부로 향하는 경우에는 힌지결합부(94)를 통해 도면상 상방으로 회동하되, 상기 걸림턱(93)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유로(95. 95')를 폐쇄시키므로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3은 상기 체크밸브(9)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3의 체크밸브(9)는 배수유로(71) 중 상기 터브(2)와 배수펌프(7) 사이에 구비되는 터브연결관(711)에 구비된다.
상기 터브연결관(711)은 내주면에 상기 체크밸브(9)가 고정되는 체결부(711a)와 상기 체크밸브의 외주면이 지지될 수 있는 고정턱(7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크밸브(9)는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상기 체결부(711a)에 결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터브 내부에 세탁수가 있는 경우 또는 배수펌프가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터브연결관(711)을 개방시키지만 세탁수가 터브연결관을 역류하는 경우에는 터브연결관(711)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1을 참고하여 상기 세탁장치의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는 세탁 중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사하는 순환펌프(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8)는 일측이 상기 터브(2)의 저면과 연통하고, 타측에는 순환유로(81)가 연결된다.
상기 순환유로(81)는 일측이 상기 순환펌프(8)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드럼(3)의 전방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8)와 순환유로(81)는 세탁 중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상기 순환유로(81)를 통해 세탁물의 상부에 분사시키으로써 세탁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세탁장치는 세탁 중 터브(2) 내부에 발생하는 거품이 드럼의 외측배면(A)과 터브의 내측배면(B)에 잔류할 수 있다.
즉, 세탁수는 상기 터브(2)의 저면 일부 높이까지만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터브의 내측배면(B) 중 세탁수에 잠기지 않는 부분에 거품이나 이물질이 뭍게 되면 이를 제거할 방법이 없었다.
또한, 상기 드럼(3)의 경우에는 회전하는 과정에서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와 마찰을 통해 상술한 문제가 터브에 비해 덜 할 수 있으나, 상기 회전축(51)이 관통하는 드럼의 주위는 세탁수와 마찰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거품이나 이물질이 잔류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상기 드럼(3)의 외측배면(A)과 상기 터브의 내측배면(B) 사이에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유로(83)를 제공한다.
상기 분사유로(83)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유로(81)에서 분지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순환유로(81)에서 분지되지 않고 별도의 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도1과 같이 상기 분사유로(83)가 상기 순환유로(81)에서 분지되어 구비되면 하나의 순환펌프(8)를 이용하여 세탁수의 순환공급 및 터브 배면 청소도 가능하게 되므로 생산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분사유로(83)가 상기 순환유로(81)에서 분지되는 경우, 세탁과정 중 상기 순환펌프(8)가 작동하면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순환펌프(8)에 의해 일부는 세탁물의 상부에 순환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드럼의 외측배면(A)과 상기 터브의 내측배면(B) 사이에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의 외측배면과 상기 터브의 내측배면 사이에 거품이나 이물질이 잔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분사유로와 상기 순환유로의 분지점에 전환밸브(85)를 더 구비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분사유로(83)만을 개방하거나, 순환유로(81)만을 개방할 수도 있고, 분사유로 및 순환유로가 동시에 개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4는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고하여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급수단계(S10)와,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에 드럼에 의한 기계적 마찰력과 세제에 의한 화학적 분해력을 제공하여 세탁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단계(S20)와, 세탁을 마친 세탁수를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단계(S30)와, 배수가 완료된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터브건조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급수단계(S10)는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과정으로, 세탁수의 공급시 세제가 함께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소정수위 공급되고 나면 세탁물과 세탁수의 마찰 및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을 위해 드럼이 회전하는 세탁단계(S20)가 진행된다.
상기 세탁단계(S20)는 순환세탁단계(S21)와, 배면세척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세탁단계(S21)는 상기 순환펌프(8)와 순환유로(81)를 이용하여 터브(2) 내부의 세탁수를 세탁물의 상부에 분사하는 단계로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배면세척단계(S23)는 상기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의 외측배면(A)과 터브의 내측배면(B)에 잔류할 수 있는 거품이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단계로 상기 순환펌프(8)로 펌핑된 세척수 중 일부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유로(83)는 상기 순환유로(81)에서 분지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세탁단계(S21)와 배면세척단계(S23)는 상기 순환펌프(8)를 통해 상기 세탁단계(S20) 중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상기 전환밸브(85) 및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순환세탁단계(S21)의 진행 후 상기 배면세척단계(S23)를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순환세탁단계의 진행 후 배면세탁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배면세척단계(S23)는 세탁단계(S20)의 종료전 소정시간 동안만 진행되기 때문에 순환세탁의 기능을 극대화 하면서도 배면세척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탁단계(S20)가 종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터브(2)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배수펌프(7)와 배수유로(71)를 통해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S30)가 진행된다.
상기 배수단계(S30)는 상기 터브연결관(711)에 구비되는 체크밸브(9, 도 2 및 도 3참고)를 통해 터브(2)를 빠져나온 세탁수가 터브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터브(2)에 세탁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세탁수의 자중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9)가 상기 터브연결관(711)을 개방시키므로 상기 배수펌프(7)가 가동하면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배수펌프(7)의 구동이 중단되어 절곡부(73)와 배수펌프(7) 사이에 있는 세탁수가 상기 터브 방향으로 역류하는 경우에는 상기 터브연결관(711)을 폐 쇄시킴으로써 배출된 세탁수가 터브(2)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배수단계(S30)가 종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터브건조단계(S40)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터브건조단계(S40)는 세탁수가 배수된 터브 내부에 잔류하는 세탁수를 제거하기 위한 단계로 히터구동단계(S41)와 드럼회전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구동단계(S41)는 히터가 ON되어 터브(2)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특히, 상기 히터구동단계(S41)는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히터(S41)를 ON-OFF 제어하여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과열에 따른 부품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는 히터를 ON시킨 후 소정시간 경과하면 상기 히터를 OFF시키고, 히터가 OFF된 후 소정시간 경과하면 다시 상기 히터를 ON시키면서 터브 내부의 건조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브가 완전히 건조되었는지 여부는 터브 내부의 건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습도센서 등)를 통해 진행될 수도 있고, 실험에 의해 설정되는 히터의 구동시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회전단계(S43)는 상기 히터구동단계(S41)의 진행 중 상기 드럼(3)이 회전되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히터(6)가 구동될 경우 상기 히터(6)에 가까운 터브 저면의 공기 가 먼저 가열될 것이므로 상기 드럼(3)이 히터 구동 중 회전함으로써 터브 내부의 공기 가열을 가속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히터(6)에 의해 가열된 터브 내부의 공기는 상기 터브 및 드럼 내부를 건조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터브의 전방과 후방에는 터브 외부의 공기를 터브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공기유로(21)와, 터브 내부의 공기는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공기유로(2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터브 및 드럼의 건조가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유로(21)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드럼(3) 내부로 유입된 뒤 통공(31)을 거쳐 제2공기유로(2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드럼의 건조가 더욱 용이해진다.
상술한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세탁수급수단계(S10)와 세탁단계(S20)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세탁물의 세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터브건조단계(S40)가 단독으로 진행되거나, 배수단계(S30, 터브 내부에 의도하지 않은 세탁수가 있는 경우대비)와 터브건조단계(S40)만이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세탁단계(S20)를 포함하여 터브건조단계(S40)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단계(S30)의 진행 후 세탁물을 드럼(3)에서 배수한 뒤 터브건조단계(S4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터브건조단계(S40)가 세탁수의 가열이 목적이 아니라 세탁이 완료된 터브 내부 건조에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세탁단계에 헹굼단계 및 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브건조단계는 최종탈수단계의 종료후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터브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배출된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며, 세탁효율 및 헹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세탁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세탁장치의 배수유로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세탁장치의 배수유로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절차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캐비닛 2: 터브 3: 드럼 4: 도어
5: 모터 6: 히터 7: 배수펌프 8: 순환펌프
9: 체크밸브

Claims (10)

  1.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 및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로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히터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터브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건조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에 구비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건조단계는 상기 히터를 ON/OFF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터브 내부와 터브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공기유로 및 제2공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건조단계는 상기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를 통해 상기 터브 내 부의 공기가 터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는 회전가능한 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터브건조단계는 상기 제1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드럼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 이전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사하는 순환세탁단계;와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세척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의 배면과 터브의 배면 사이에 분사하는 배면세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사하는 순환세탁단계;와
    상기 순환펌프에서 펌핑되는 세탁수 중 일부를 상기 드럼의 배면과 터브의 배면 사이로 분사하는 배면세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세탁단계와 상기 배면세척단계는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는 상기 배수유로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를 이용하여 배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59734A 2009-07-01 2009-07-0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16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34A KR101162219B1 (ko) 2009-07-01 2009-07-0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N2010101745672A CN101838913B (zh) 2009-07-01 2010-04-30 洗衣装置的控制方法
EP10794371.4A EP2449161B1 (en) 2009-07-01 2010-07-01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3/375,425 US8832965B2 (en) 2009-07-01 2010-07-01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PCT/KR2010/004271 WO2011002236A2 (en) 2009-07-01 2010-07-01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080023188.1A CN102439212B (zh) 2009-07-01 2010-07-01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14/454,529 US9441323B2 (en) 2009-07-01 2014-08-07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34A KR101162219B1 (ko) 2009-07-01 2009-07-0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38A true KR20110002238A (ko) 2011-01-07
KR101162219B1 KR101162219B1 (ko) 2012-07-04

Family

ID=4274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734A KR101162219B1 (ko) 2009-07-01 2009-07-0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2219B1 (ko)
CN (1) CN1018389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5425B (zh) * 2011-11-02 2016-06-01 海尔集团公司 一种带有止水结构的排水泵及装有该排水泵的洗衣机
DE102014214345B3 (de) * 2014-07-23 2015-07-30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gerät mit einem Umpump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66498A (zh) * 2003-06-30 2005-01-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内置垫圈残水去除软管的滚筒式洗衣机
KR20050015758A (ko) * 2003-08-07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4581923B2 (ja) * 2005-09-02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2918490Y (zh) * 2006-02-18 2007-07-04 杨和利 滚桶式洗衣机排水及干燥系统
KR100692619B1 (ko) 2006-06-28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조 관리방법
JP2008110002A (ja) * 2006-10-30 2008-05-15 Hitachi Appliances Inc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90028034A (ko) * 2007-09-13 200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냄새제거방법
CN201125335Y (zh) * 2007-11-26 2008-10-01 王友成 一种去潮防菌洗衣机
CN201202035Y (zh) * 2008-05-26 2009-03-04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防回流的排水结构
CN201261842Y (zh) * 2008-08-27 2009-06-24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内桶自清洁功能的波轮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38913B (zh) 2012-06-27
KR101162219B1 (ko) 2012-07-04
CN101838913A (zh)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83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US9290878B2 (en) Washing method
JP4705101B2 (ja) 洗濯機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255299A1 (en) Clothes Drie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with Clothes Drying Function
JP6523764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機の制御方法
KR100531335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JP2005296631A (ja) 乾燥機兼用洗濯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RU25785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KR20060102962A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JP6173759B2 (ja) 洗濯機
KR20090052459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72169A (ko) 세탁기
JP2009050639A (ja) 洗濯機
US8108959B2 (en) Washing a tub or a drum in a washing machine
US20090293204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washing drum
JP2009039435A (ja) 洗濯乾燥機
US20080236206A1 (en) Independently operable washing and treating routine clothes washing machine
JP6677476B2 (ja) 洗濯機
KR101162219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290460B1 (ko) 드럼 세탁기
KR101634171B1 (ko) 세탁기
JP2021069529A (ja) 洗濯機
KR10114480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JP2014079350A (ja) 洗濯機
WO2012147434A1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