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815U - 인양용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인양용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815U
KR20110001815U KR2020090010660U KR20090010660U KR20110001815U KR 20110001815 U KR20110001815 U KR 20110001815U KR 2020090010660 U KR2020090010660 U KR 2020090010660U KR 20090010660 U KR20090010660 U KR 20090010660U KR 20110001815 U KR20110001815 U KR 201100018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lifting
safety
guide devi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519Y1 (ko
Inventor
문귀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0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1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8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1Hau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도구 없이 건물의 안전 난간 또는 각종 지물에 바로 고정 설치가 가능하고, 아울러 호스를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끌어당기는 인양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면서 적은 힘으로 호스를 신속하게 인양할 수 있게 하며, 그와 더불어 안전 난간과 호스의 마찰로 인해 호스가 찢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인양용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분할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간에 연결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인양용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호스, 인양, 가이드, 로울러, 안전

Description

인양용 가이드 장치{Guiding Apparatus for Pulling Up}
본 고안은 인양용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도구 없이 안전 난간 또는 각종 지물에 바로 고정 설치가 가능하고, 아울러 호스를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끌어당기는 인양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면서 적은 힘으로 호스를 신속하게 인양할 수 있게 하며, 그와 더불어 안전 난간과 호스의 마찰로 인해 호스가 찢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사중인 건물의 각 층에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10)이 설치되어 있으며, 건물 외부의 지상에서 건물 내로 호스(12)를 끌어당겨 인양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도 1에서 보듯이 안전 난간(10)에 호스(12)가 걸쳐지는 상태로 작업자가 끌어당기게 된다. 이때, 안전 난간(10)은 가조립된 철재로써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호스(12)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호스(12)를 통해 공급되는 내용물(예를 들면, 에어, 물, 도료)의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안전 난간(10)과 호스(12)간에 형성되는 마찰력과 호스(12)의 자중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호스(12)를 인력으로 끌어 당기는 힘이 많이 들고, 그에 따라 호스(12)의 인양시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다소 해소하기 위해 도면에서 보듯이 작업자가 안전 난간(12)에 기대는 상태로 밀착하여 호스(12)를 그대로 끌어올리는 인양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마찰력과, 마찰로 인한 호스(12)의 찢어짐 및 호스(12)의 꺽임 등이 방지될 수 있으나, 자칫 호스(12)의 자중에 의해 작업자의 상체가 안전 난간(10) 앞으로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경우, 작업자는 안전 난간(10)을 넘어 건물 아래로 추락하는 치명적인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12)를 끌어당기는 인양작업시에 호스(12)의 찢어짐을 방지하면서 적은 힘으로 신속한 인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인양용 가이드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인양용 가이드장치를 통해 적은 힘으로 호스를 신속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고, 그와 더불어 안전 난간이 낮게 설치되더라도 작업자가 안전난간을 넘어 건물 아래로 추락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인양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인양용 가이드장치의 설치, 보관,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분할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간에 연결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인양용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에는 안전 난간의 안전봉에 걸어놓을 수 있도록 걸림고리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로울러의 둘레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도구 없이 안전난간 또는 지물에 바로 고정 설치가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장치의 설치에 의해 적은 힘으로 호스를 신속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고, 그와 더불어 안전 난간이 낮게 설치되더라도 작업자가 안전난간을 넘어 건물 아래로 추락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장치는 무게가 가볍고 설치 및 보관에 따른 취급과 운반이 간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인양용 가이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 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 장치가 공사중인 건물의 안전 난간에 설치되고, 호스가 인양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인양용 가이드장치(20)는, 지지봉(22)과, 회전로울러(24)와, 지지봉(22)에 구비되는 걸림고리(26)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봉(22)의 상부에는 고정대(28)가 양편으로 분할되는 상태로 연장되어 있고, 이 고정대(28)의 사이에는 고정축(30)이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대(28)를 각각 관통하여 외부로 일부 인출되어 있다. 아울러 고정대(28)로 부터 각각 인출되는 고정축(30)에는 너트인 체결구(32)가 각각 체결됨으로써, 고정축(30)이 고정대(28)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30)에는 중공형의 회전로울러(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 회전로울러(24)의 양측 내부에는 고정축(30)과 결합되는 베어링(34)이 내재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로울러(24)의 중앙에는 홈부(36)가 둘레를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홈부(36)에 의해 인양되는 호스(12)는 회전로울러(24)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22)에는 후술하는 안전 난간(10)에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26)가 고정 구비되는데, 이때 걸림고리(26) 간에 간격 및 설치 수량은 안전 난간(10)의 안전봉(38) 간의 간격과, 안전봉(38)의 수량에 맞추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지지봉(22)에 걸림고리(26)가 걸림되어져서 인양용 가이드장치(20)가 고정되는 구조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지지봉(22)과 안전 난간에 고정 설치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지지봉(22)과 안전봉(38) 간에 가용접을 할 수도 있고, 또는 보철물, 클램프, 띠형 밴드 등을 사용하여 지지봉(22)과 안전봉(38)을 서로 묶어서 고정 설치할 수 도 있다.
도 3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 장치가 건물의 안전 난간에 설치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장치(20)는, 지지봉(22)의 걸림고리(26)가 안전 난간(10)에 걸림되어져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인양용 가이드장치(20)를 안전 난간(10)에 설치하고, 호스(12)가 인양용 가이드장치(20)의 회전 로울러(24)에 걸쳐지는 상태로 인양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우선 회전 로울러(24)는 호스(12)가 당겨지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마찰과 마찰력이 최소화되게 된다. 이에 따라 호스(12)의 인양이 쉽고 힘이 적게 들게 되며, 호스(12)의 인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호스(12)와 안전 난간(10) 간에 형성되는 마찰이 제거됨으로써, 호스(12)의 찢어짐이 방지되고, 그로 인해 내용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장치(10)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 난간(10)에 근접하는 상태로 호스(12)를 인양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작업자가 안전 난간(10)을 넘어 건물의 아래로 추락하는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한 실시예에서, 인양용 가이드장치(20)는 건물의 안전 난간(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로프를 이용하여 건축자재의 인양이 요구되는 공사현장이나 또는 산업현장에서도 신속하게 적용하여 설 치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변형 또는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공사중인 건물의 안전난간을 통하여 호스를 인양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 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양용 가이드 장치가 공사중인 건물의 안전난간에 설치되고, 호스가 인양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전 난간 12 : 호스
20 : 가이드 장치 22 : 지지봉
24 : 회전 로울러 26 : 걸림고리
28 : 고정대 30 : 고정축
32 : 체결구 34 : 베어링
36 : 홈부

Claims (3)

  1.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분할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간에 연결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에는 안전 난간의 안전봉에 걸어놓을 수 있도록 걸림고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가이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울러의 둘레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가이드장치.
KR2020090010660U 2009-08-17 2009-08-17 인양용 가이드 장치 KR200456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60U KR200456519Y1 (ko) 2009-08-17 2009-08-17 인양용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60U KR200456519Y1 (ko) 2009-08-17 2009-08-17 인양용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15U true KR20110001815U (ko) 2011-02-23
KR200456519Y1 KR200456519Y1 (ko) 2011-11-03

Family

ID=4420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60U KR200456519Y1 (ko) 2009-08-17 2009-08-17 인양용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42A (ko) 2018-04-19 2019-10-29 심규성 헤드업 위생 젓가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42A (ko) 2018-04-19 2019-10-29 심규성 헤드업 위생 젓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519Y1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2867B2 (ja) エレベータの工事作業用足場、及びそれを用いた足場の設置方法
CN103352559B (zh) 储罐维修专用挂式活动作业平台
US20080308362A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elevator systems
KR200456519Y1 (ko) 인양용 가이드 장치
JP6723119B2 (ja) 天井クレーン用墜落防止設備
CN107476556A (zh) 一种可移动式自动升降操作平台
CN213923658U (zh) 用于超高层建筑楼层内吊运材料的运输装置
CN206956559U (zh) 用于桥梁护栏混凝土浇筑施工中护栏模板的快速安拆设备
CN216196814U (zh) 一种可调节式水平洞口防坠装置
CN215167853U (zh) 一种吊篮悬挂机构
KR20080110373A (ko) 잭 베이스
CN205822750U (zh) 电梯井操作平台
CN205716004U (zh) 一种高压竖井压力钢管安装装置
CN106639288B (zh) 外墙脚手架内石材垂直运输平台的安装使用方法
JP3181627U (ja) 揚降補助器具
JP2017073842A (ja) 移動用ケーブル架台
CN112627405A (zh) 一种变截面轨道系统幕墙安装施工方法
CN216379764U (zh) 一种供水管道安装就位滑动支架
CN212799157U (zh) 一种电梯安装用的保护装置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JP3531820B1 (ja) 移動式簡易足場装置
CN214399682U (zh) 一种建筑用吊运装置
CN220100762U (zh) 一种内爬式井道提升防护系统
CN214658942U (zh) 一种楼层边可旋转的管道提升装置
CN213329981U (zh) 一种钢结构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