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644U - 파우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644U
KR20110001644U KR2020090010444U KR20090010444U KR20110001644U KR 20110001644 U KR20110001644 U KR 20110001644U KR 2020090010444 U KR2020090010444 U KR 2020090010444U KR 20090010444 U KR20090010444 U KR 20090010444U KR 20110001644 U KR20110001644 U KR 201100016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pout
bag
pouch ba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규
김덕수
Original Assignee
토박이순창식품(주)
주식회사 건강마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박이순창식품(주), 주식회사 건강마음 filed Critical 토박이순창식품(주)
Priority to KR2020090010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644U/ko
Publication of KR20110001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3Integral handles o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2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파우치백과,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스파우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백의 양측부에는 파우치백의 직경이 축소되어 파지를 용이케 하는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는 스파우트가 설치되는 상부경사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파우치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파우치, 파우치백, 파지홈, 그루브, 파지공, 스파우트, 캡

Description

파우치{pouch}
본 고안은 본 고안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를 용이하면서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파우치 내부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는 그 내부에 담아지는 내용물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파우치 내부에 담아지는 내용물이 음식물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인 경우에는 파우치를 바닥면에 세울 수 있도록 스탠딩 즉 자립형 파우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파우치는 파우치의 비사용 시 파우치를 소정의 바닥면에 세워 내용물의 쏟아짐을 방지할 수 있지만, 파우치의 사용 즉 내용물의 배출 시는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파우치의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해 파우치의 파지가 용이치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파우치를 놓치거나 또는 미끄러져서 파우치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우치의 양측부에 만곡된 파지홈을 형성함으로써 이 파지홈을 통해 파우치를 용이하면서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므로 쏟아짐을 방지하면서 파우치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한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파우치백과,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스파우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백의 양측부에는 파우치백의 직경이 축소되어 파지를 용이케 하는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는 스파우트가 설치되는 상부경사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은,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파우치백과,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스파우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백의 양측부에는 각각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우치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그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는 스파우트가 설치되는 상부경사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은,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파우치백과,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스파우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백의 양측부에는 손을 삽입하여 끼울 수 있도록 된 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는 스파우트가 설치되는 상부경사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에는 경사진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파우트에 대응한 캡에는 경사진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돌기가 캡의 회전 시 서로 대향되는 경사면에 의해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파우치에 따르면, 파우치의 양측부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파지홈을 통해서 파우치를 용이하면서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우치의 쏟아짐을 방지하면서 파우치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과 같은 소정의 액상 내용물을 저장하는 충전공간을 갖는 파우치백(10)과, 상기 파우치백(10) 상단부의 개구부에 열융착되어 설치되는 한편 파우치백(10) 내부로 내용물이 출입되도록 한 스파우트(20)와, 상기 스파우트(2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우치백(10)은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재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반도와 같은 지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부는 소정의 바닥면에 파우치(1)를 세울 수 있도록 확장된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백(10)은 그 일측에 내부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투명부(11)가 형성되고,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파우치백(10)의 상단부 왼편에는 하향 경사진 상부경사면(13)이 형성되며, 이 상부경사면(13)에는 스파우트(20)가 열융착되어 설치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파우치백(10)의 양측부에는 파우치백(10)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오목한 파지홈(12)이 형성되어, 파우치(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파지홈(12)은 파우치백(10)의 양측부에 완만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대략 "ㄷ"자 형상과 같이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만곡 형성된 파지홈(12)을 그 일례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도 4에서와 같이 파지홈(12)의 파지 시에는 파지홈(12)의 내측 단부가 손가락에 각각 걸림됨으로써 파우치(1)가 쉬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파우트(20)의 최외측 테두리 상면에는 경사진 걸림홈(2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캡(30)의 최외측 테두리 하면에는 걸림홈(21)에 삽입되는 경사진 돌기(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31)는 캡(30)을 열 때 캡(30)의 열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여는 방향 측(도 2에서 오른편 측)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32)이 형성되고, 반대인 캡(30)의 닫힘 방향 측에는 수직한 수직면(33)이 형성되는 한편 이에 대응한 상기 걸림홈(21)에는 돌기(31)의 경사면(32)에 대응한 일측에 경사면(22)이, 수직면(33)에 대응한 타측에 수직면(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30)의 열림 시, 걸림홈(21)에 삽입되어 있던 돌기(31)가 걸림홈(21)과 서로 대향되는 경사면(22)(32)에 의해서 걸림홈(21)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어, 캡(30)의 열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캡(30)의 닫힘 시는 돌기(31)의 수직면(33)이 걸림홈(21)의 수직면(23)에 접하여 캡(3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파우치(1)의 사용 시는 파우치백(10)의 상부경사면(13)에 설치된 스파우트(20)에서 캡(30)을 분리해 낸다. 즉, 캡(30)을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30)의 돌기(31)와 스파우트(20)에 형성된 걸림홈(21)의 경사면(22)(32)이 서로 대향된 상태로 접하여 있으므로 이 경사면(22)(32)에 의해서 캡(3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파우치백(10)이 개방된다.
이후, 파우치백(10)의 양측부에 형성된 파지홈(12)을 각각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네손가락으로 감싸 쥔 상태로 도 4에서와 같이 파우치(1)를 기울려 개방된 스파우트(20)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켜 내면 된다.
이때, 파지홈(12)의 내측 단부가 각각의 손가락에 걸림됨으로써 파우치(1)가 쉬이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파우치(1)의 놓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로서, 전술한 실시예와는 파지부의 구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백(10)의 양측부에는 각각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우치백(1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그루브(40)가 "U"자 또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파우치백(10)은 그 양측부에 각각 4개의 그루브(40)가 형성될 수 있지만, 또 다른 예로는 한쪽에는 엄지손가락에 대응한 1개의 그루브가, 반대쪽에는 나머지 네손가락에 대응한 4개의 그루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그루브(40)에 파우치(1)를 파지하기 위한 손가락을 삽입하면, 각 그루브(40)에 손가락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삽입됨으로써 파우치(1)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우치(1)의 미끄러짐이 최대한 방지되어 파우치(1)를 놓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6에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로서, 본 실시예 역시도 전술한 실시예와는 파지부의 구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백(10)의 양측부에는 손을 삽입하여 끼울 수 있도록 된 파지공(50)이 천공된다.
즉, 상기 파우치백(10)의 양측부에는 파우치백(10)의 양측부와 이격된 걸이용 끈(51)이 형성되되, 이 걸이용 끈(51)의 양단부는 파우치백(10)의 상,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지공(50)의 내측면 즉 걸이용 끈(51)과 대향되는 파우치백(10)의 양측단부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파지홈(12) 또는 다수의 그루브(40)가 병행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파우치(1)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지공(50)에 손이 끼워진 상태로 구부린 손가락과 손바닥면으로 파우치백(10)을 파지함과 아울러 파지공(50)에서 손을 인위적으로 빼내지 않는 이상 파우치(1)가 손에서 빠지지 않게 되므로 파우치(1)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와 캡의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우치(pouch) 10 : 파우치백
11 : 투명부 12 : 파지홈부
13 : 상부경사면 20 : 스파우트(spout)
21 : 걸림홈 22 : 경사면
23 : 수직면 30 : 캡
31 : 돌기 32 : 경사면
33 : 수직면 40 : 그루브(groove)
50 : 파지공 51 : 걸이용 끈

Claims (4)

  1.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파우치백과,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스파우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백의 양측부에는 파우치백의 직경이 축소되어 파지를 용이케 하는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는 스파우트가 설치되는 상부경사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2.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파우치백과,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스파우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백의 양측부에는 각각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우치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그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는 스파우트가 설치되는 상부경사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3.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파우치백과,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스파우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백의 양측부에는 손을 삽입하여 끼울 수 있도록 된 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백의 상단부에는 스파우트가 설치되는 상부경사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에는 경사진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파우트에 대응한 캡에는 경사진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돌기가 캡의 회전 시 서로 대향되는 경사면에 의해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KR2020090010444U 2009-08-11 2009-08-11 파우치 KR201100016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444U KR20110001644U (ko) 2009-08-11 2009-08-11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444U KR20110001644U (ko) 2009-08-11 2009-08-11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44U true KR20110001644U (ko) 2011-02-17

Family

ID=4420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444U KR20110001644U (ko) 2009-08-11 2009-08-11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64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67Y1 (ko) * 2011-09-06 2013-08-27 씨제이제일제당 (주) 김치 포장용기
KR20170002551U (ko) 2016-01-05 2017-07-14 (주)에코로 현관수납장용 물품보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67Y1 (ko) * 2011-09-06 2013-08-27 씨제이제일제당 (주) 김치 포장용기
KR20170002551U (ko) 2016-01-05 2017-07-14 (주)에코로 현관수납장용 물품보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156B2 (en) Plastic paint container having a cube-shaped body
US11259991B2 (en) Container gripping aid
KR200415343Y1 (ko) 물품 보관용기
KR20110001644U (ko) 파우치
US11440703B1 (en) Bottle
JP2013502355A (ja) ストローを保持するくぼみ部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8875925B2 (en) Teacup cover
JP5053057B2 (ja) 二つのグリップを設けたボトル状容器
US20200060412A1 (en) Easy grip water bottle for athletes
US7086556B1 (en) Two-piece juice box holder
US20080308522A1 (en) Easy grip bottle
US20220063900A1 (en) Cup lid
JP2006232367A (ja) 液体用包装袋
KR102544430B1 (ko) 컵 홀더
KR20110009627U (ko) 물통
KR100998249B1 (ko) 고리걸이형 고리캐리어가 구비된 용기
KR200177548Y1 (ko) 피이티병 휴대용 고리
JP2009067470A (ja) ボトルのキャップ装置
KR101802072B1 (ko) 오프너 기능이 구비된 물병걸이
KR200290736Y1 (ko) 맥주 컵
US20080296250A1 (en) Collapsible handgrip
KR200241762Y1 (ko) 안전컵
KR20130006299U (ko) 컵 구조물
TWM582942U (zh) 容器
KR20140001325U (ko) 착즙기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