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518U -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518U
KR20110001518U KR2020090010265U KR20090010265U KR20110001518U KR 20110001518 U KR20110001518 U KR 20110001518U KR 2020090010265 U KR2020090010265 U KR 2020090010265U KR 20090010265 U KR20090010265 U KR 20090010265U KR 20110001518 U KR20110001518 U KR 201100015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ever
car seat
tighten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152Y1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2020090010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5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022/027Four-point seat belt systems, e.g. with the two upper points connect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벨트의 조임과 잠김 및 풀림이 용이하고, 유아가 쉽게 조작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중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는 일단에 유아용 카시트(1)의 조임벨트(40)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114)가 일체로 형성된 제1 레버(112); 제1 레버(112)와 누름부(114)의 회전중심에 설치되어 제1 레버(112)가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 회동축(116); 제1 회동축(116)에 설치되어 누름부(114)가 조임벨트(4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제1 레버(112)의 잠김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부재(117); 및 누름부(112)의 후방측에 돌출형성된 돌출부(118);로 이루어진 벨트 조임부(110)를 포함하고, 그리고 누름부(114)는 조임벨트(40)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경우 제1 레버(112)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톱니형 잠금돌기(115)가 누름면(114a)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아용, 안전의자, 카시트, 안전벨트, 조임벨트, 조임장치

Description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Safety belt tightening apparatus for a baby car seat}
본 고안은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벨트의 조임과 잠김 및 풀림이 용이하고, 유아가 쉽게 조작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중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좌석과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아를 차량에 탑승시킬 경우 유아의 안전을 위해 별도의 유아용 안전의자, 일명 카시트(이하, "유아용 카시트"라고 한다)를 차량의 좌석 상에 장착하게 된다.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의 운전 중 유아의 안전을 위해 유아의 체구에 맞는 유아용 안전벨트(이하, '안전벨트'라고 함)가 별도로 부착된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일반적으로 유아의 양 어깨와 허리, 즉 몸통 전체를 감싸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차량의 코너링, 급정거 또는 교통사고 등과 같은 돌발상황에서도 유아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안전벨트를 확실하게 조여줌으로써 유아의 몸통을 유아용 카시트에 확실하게 밀착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이하, '벨트 조임장치'라고 함)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는 조임력을 높일 경우 안전벨트를 조이거나 풀 때 많은 힘을 필요로 하여 조작이 불편하였다. 또한, 조임력을 약하게 하여 조작성을 높일 경우 벨트 조임장치가 쉽게 풀리게 됨으로써 유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6,858호의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카시트(1)의 안전벨트는 착석부(12)와 등받이부(14)로 이루어진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어깨벨트(20a, 20b), 제1 및 제2 어깨벨트(20a, 20b)의 고정플레이트(25)와 체결되는 버클(30), 그리고 유아용 카시트(1)의 배면에서 제1 및 제2 어깨벨트(20a, 20b)와 연결된 조임벨트(40)로 구성된다. 이때, 벨트 조임장치(50)는 조임벨트(40)를 잡아당겨 안전벨트를 조인 상태에서 조임벨트(40)를 단단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벨트 조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벨트 조임장치(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는 일단에 조임벨트(40)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62)가 일체로 형성된 레버(55)와, 레버(55)와 누름부(62)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어 레버(55)가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52)과, 회전축(52) 둘레에 설치되어 누름부(62)가 조임벨트(40)를 누르는 방향 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54) 및 조임벨트(40)가 누름부(62)를 지나가는 전·후 중 적어도 한곳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57)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된 종래의 벨트 조임장치(50)는 조임벨트(40)를 잡아당기기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레버(55)를 들어올려 잠김상태를 풀어야 한다. 이때, 누름부(62)의 하부에는 조임벨트(40)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틈이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조임벨트(40)를 잡아당기면 조임벨트(40)와 연결된 제1 및 제2 어깨벨트(20a, 20b)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유아의 몸통을 밀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렸던 레버(55)를 놓으면 비틀림 코일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55)와 누름부(62)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조임벨트(40)는 누름부(62)에 의해 강하게 압박되고, 돌출부(57)에 의해 심하게 꺽여져 고정됨으로써 벨트 조임장치(50)는 잠김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50)는 안전벨트의 조임과 풀림이 비교적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를 비교적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김상태를 풀기 위하여 반드시 레버(55)를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때, 벨트 조임장치(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50)의 안쪽에 위치하므로 유아의 신체에 의해 가려져 레버(55)의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트 조임장치(50)가 유아의 신체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있어 잠김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고, 차량 운전중 유아 스스로 벨트 조임장치(50)를 조작함으로써 잠김상태를 해 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벨트 잠금장치(50)는 차량의 운전중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에 완전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유아용 카시트(1)의 착석부(12)에는 유아의 착석감을 증진시키고, 충격흡수를 위해 시트커버 또는 쿠션 등이 씌워지게 되는데, 이것들에 의해 벨트 잠금장치(50)가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유아용 카시트(1)의 초보자가 벨트 잠금장치(50)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벨트의 조임과 잠김 및 풀림이 더욱 용이하면서도 조임벨트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아에 의한 접촉이 방지되고, 유아가 쉽게 조작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운전중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100)는 일단에 유아용 카시트(1)의 조임벨트(40)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114)가 일체로 형성된 제1 레버(112); 제1 레버(112)와 누름부(114)의 회전중심에 설치되어 제1 레버(112)가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 회동축(116); 제1 회동축(116)에 설치되어 누름부(114)가 조임벨트(4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제1 레버(112)의 잠김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부재(117); 및 누름부(112)의 후방측에 돌출형성된 돌출부(118);로 이루어진 벨트 조임부(110)를 포함하고, 그리고 누름부(114)는 조임벨트(40)를 전방측 으로 당기는 경우 제1 레버(112)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톱니형 잠금돌기(115)가 누름면(114a)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100)는 유아용 카시트(1)의 착석부(12)의 전방측 중앙에 형성되어 벨트 조임부(110)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20); 유아용 카시트(1)의 전후방을 향하는 제1 관통홀(132)이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12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커버(130); 및 커버(13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회동축(142) 및 제2 회동축(152)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소정각도를 이루는 전면부(144)와 후면부(145)를 구비하고, 전면부(144)가 제1 관통홀(132)을 통하여 노출되며 후면부(145)가 제1 레버(112)와 접하도록 커버(1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레버(1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100)에 있어서, 커버(130)는 제2 레버(140)의 전면부(144) 끝단을 안내하는 안내면(134)이 형성된다. 이때, 커버(130)는 안내면(134)의 끝단에 제2 레버(140)의 전면부(144) 또는 후면부(145)가 접하여 지지되는 걸림돌기(136)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에 있어서, 커버(130)는 조임벨트(40)가 통과하는 제2 관통홀(138)이 제1 관통홀(132)의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잠금돌기(115)는 조임벨트(40)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고, 탄성부재(117)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는 제1 레버의 누름부에 톱니형 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조임벨트를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도 벨트 조임장치의 풀림, 조임 및 잠김과정이 차례대로 이루어져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유아용 카시트의 착석부 전방측에 위치한 제2 레버의 전면부를 눌러 줌으로써 벨트 조임장치의 잠김상태를 쉽게 풀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벨트 조임장치는 조작이 간편하고 유아용 카시트의 조작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톱니형 잠금돌기는 조임벨트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벨트 조임장치는 유아용 카시트의 착석부 전방측에 위치하여 유아의 신체접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가 임의로 조작할 수 없다. 즉, 보호자에 의해서만 안전벨트를 풀 수 있어 운전 중에도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유아용 카시트의 초보 사용자들도 쉽게 벨트 잠금장치를 찾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구성]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가 장착된 유아용 카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2)와 등받이부(14)로 이루어진 유아용 카시트의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착석부(12) 전방측 중앙에 설치된다. 이때, 벨트 조임장치(100)는 시트커버(5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전면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아용 카시트(1)의 안전벨트는 제1 및 제2 어깨벨트(20a, 20b), 버클(30) 및 조임벨트(40)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어깨벨트(20a, 20b)는 일단에는 걸림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유아용 카시트(1)의 배면에 단단히 고정되고, 타단은 등받이부(14)에 형성된 통공(15)을 통해 유아용 카시트(1) 배면에 위치한 연결부재(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어깨벨트(20a, 20b)는 각각 중간영역에 위치한 고정플레이트(21)를 이용하여 버클(30)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 조임벨트(40)는 일단이 유아용 카시트(1)의 배면에 위치한 연결부재(미도시)와 연결되고, 타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카시트(1)의 배면을 돌아 벨트 조임장치(100)를 통과하고 유아용 카시트(1)의 전방측에 노출된다. 이때, 노출된 조임벨트(40)의 타단을 손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유아용 카시트(1)의 안전벨트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조여지게 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메인 프레임(120), 벨트 조임부(110), 커버(130) 및 제2 레버(140)로 구성되고, 조여진 안전벨트를 고정하여 잠그거나 풀게 되는 역할을 한다.
메인 프레임(120)은 유아용 카시트(1)의 착석부(12)의 전방측 중앙에 형성되고, 벨트 조임부(110) 및 커버(130)가 고정설치된다. 메인 프레임(120)은 유아용 카시트의 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벨트 조임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a), 측판(111b), 제1 레버(112), 제1 회동축(116), 및 탄성부재(117) 및 돌출부(118)로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111a)은 메인 프레임(120)에 고정설치되고, 측판(111b)은 프레임(111a)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회동축(116)의 양단을 지지한다.
제1 레버(112)는 일단에 누름부(1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114)의 끝단에는 조임벨트(40)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톱니형 잠금돌기(115)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톱니형 잠금돌기(11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벨트(4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전체적으로 전방측, 즉 조임벨트(40)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톱니형 잠금돌기(115)는 조임벨트(40)와의 마찰력을 증대하여 단단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조임벨트(40)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경우 톱니형 잠금돌기(115)에 의한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회동축(116)은 양단이 측판(111b)에 의해 지지되고, 제1 레버(112)와 누름부(114)의 회전중심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레버(112) 및 누름부(114)는 제1 회동축(116) 상에서 회동가능하다.
탄성부재(117)는 제1 회동축(116)에 설치되어 누름부(114)가 조임벨트(4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117)는 각종 스프링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17)은 양단이 각각 제1 회동축(116)과 측판(111b)의 일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누름부(114)는 탄성부재(117)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임벨트(40)를 눌러 고정할 수 있고, 제1 레버(112)는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다.
돌출부(118)는 누름부(112)의 후방측에 돌출형성된다. 돌출부(118)는 제1 레버(112)의 누름부(114)와 함께 조임벨트(40)를 급격하게 꺽여지게 함으로써 조임벨트(40)와 톱니형 잠금돌기(115)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줌으로써 조임벨트(40)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돌출부(118)의 상면에 돌기(미도시)를 형성시킴으로써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커버(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20)의 전방측에 고정설치된다. 커버(130)에는 유아용 카시트(1)의 전후방을 향하는 제1 관통홀(132)이 형성되고, 제1 관통홀(132)의 내측에 제2 레버(140)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커버(130)의 양 측면에는 제2 레버(140)의 회동축(142)이 설치되기 위한 삽입홈(13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레버(140)의 전면부(144) 끝단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134)이 제1 관통홀(132)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또한, 안내면(134)의 끝단에는 제2 레버(140)의 전면부(144) 또는 후면부(145)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136)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130)는 제1 관통홀(132)의 하측에 조임벨트(40)가 통과하여 유아용 카시트(1)의 전방측으로 노출되는 제2 관통홀(138)이 형성된다.
제2 레버(140)는 커버(130)의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 레버(140)는 일단에 커버(1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39)에 설치되는 제2 회동축(142)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회동축(152)으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고, 소정각도를 이루는 전면부(144)와 후면부(145)를 구비한다. 이때, 전면부(144)는 커버(130)의 제1 관통홀(132)을 통하여 노출되고, 후면부(145)는 제1 레버(112)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관통홀(132)을 통하여 노출된 전면부(144)를 누르게 되면 후면부(145)와 접하는 제1 레버(112)가 잠김위치에서 풀림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작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a는 조임상태에 있는 벨트 조임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잠김상태에 있는 벨트 조임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6c는 풀림상태에 있는 벨트 조임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100)는 제1 레버(112)의 회동위치에 따라 조임상태, 잠김상태 또는 풀림상태에 있게 된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100)의 조임상태를 설명한다. 조임벨트(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0)에 형성된 제2 관통홀(138)을 통하여 유아용 카시트(1)의 전방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노출된 조임벨트(40)의 일단을 일정한 힘(비틀림 코일스프링의 탄성력과 톱니형 잠금돌기의 마찰력의 합력) 이상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누름부(114)에 형성된 톱니형 잠금돌기(115)에 의한 조임벨트(4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고, 유아용 카시트(1)의 안전벨트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조여지게 된다. 이때, 제1 레버(112) 및 누름부(114)는 화살표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탄성부재(117)는 변형되어 탄성에너지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여 벨트 조임장치(100)의 잠김상태를 설명한다. 잡아당겼던 조임벨트(40)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117)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레버(112) 및 누름부(114)가 화살표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임벨트(40)는 누름부(114)에 형성된 톱니형 잠금돌기(115)에 의해 눌려 확고하게 고정되고, 벨트 조임장치(100)는 잠김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돌출부(118)는 조임벨트(40)를 꺽어줌으로서 조임벨트(40)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레 버(112)는 제2 레버(140)의 후면부(145)를 가압함으로써 전면부(144)가 커버(130)의 제1 관통홀(132)의 전방측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제2 레버(140)의 후면부(145)는 걸림돌기(136)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제2 레버(140)가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도 6c를 참조하여 벨트 조임장치(100)의 풀림상태를 설명한다. 잠김상태에 있는 벨트 조임장치(100)는 제2 레버(140)의 전면부(114)를 눌러 줌으로써 풀려지게 된다. 즉, 커버(130)의 제1 관통홀(132)을 통하여 노출된 전면부(114)를 가압하면 제2 레버(140)가 제2 회동축(14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후면부(145)가 제1 레버(112)를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누름부(114)에 형성된 톱니형 잠금돌기(115)에 의한 조임벨트(4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제2 레버(140)의 전면부(144)는 안내면(134)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36)에 걸림으로써 제2 레버(140)가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100)는 조임벨트(40)를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도 벨트 조임장치(100)의 풀림, 조임 및 잠김과정이 차례대로 이루어져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유아용 카시트(1)의 착석부(12) 전방측에 위치한 제2 레버(140)의 전면부(144)를 눌러 줌으로써 벨트 조임장치(100)의 잠김상태를 쉽게 풀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벨트 조임장치(100)는 조작이 간편하고 유아용 카시트의 조작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가 장착된 유아용 카시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의 풀림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의 잠김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가 장착된 유아용 카시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a는 조임상태에 있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의 측단면도.
도 6b는 잠김상태에 있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의 측단면도.
도 6c는 풀림상태에 있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조임장치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아용 카시트
10 : 프레임 12 : 착석부
14 : 등받이부 20a, 20b : 어깨벨트
30 : 버클 40 : 조임벨트
50, 100 : 벨트 조임장치 110 : 벨트 조임부
112 : 제1 레버 114 : 누름부
115 : 톱니형 잠금돌기 116 : 제1회동축
117 : 탄성부재 118 : 돌출부
120 : 메인 프레임 130 : 커버
132 : 제1 관통홀 134 : 안내면
136 : 제1 걸림돌기 137 : 제2 걸림돌기
138 : 제2 관통홀 140 : 제2 레버
142 : 제2 회동축 144 : 전면부
145 : 후면부

Claims (7)

  1. 일단에 유아용 카시트(1)의 조임벨트(40)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114)가 일체로 형성된 제1 레버(112); 상기 제1 레버(112)와 상기 누름부(114)의 회전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레버(112)가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 회동축(116); 상기 제1 회동축(116)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114)가 상기 조임벨트(4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제1 레버(112)의 잠김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부재(117); 및 상기 누름부(112)의 후방측에 돌출형성된 돌출부(118);로 이루어진 벨트 조임부(110)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누름부(114)는 상기 조임벨트(40)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제1 레버(112)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톱니형 잠금돌기(115)가 상기 누름부(114)의 끝단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카시트(1)의 착석부(12)의 전방측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 조임부(110)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20);
    상기 유아용 카시트(1)의 전후방을 향하는 제1 관통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커버(130); 및
    상기 커버(13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회동축(142) 및 상기 제2 회 동축(152)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소정각도를 이루는 전면부(144)와 후면부(145)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부(144)가 상기 제1 관통홀(132)을 통하여 노출되며 상기 후면부(145)가 상기 제1 레버(112)와 접하도록 상기 커버(1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레버(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30)는 상기 제2 레버(140)의 전면부(144) 끝단을 안내하는 안내면(1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30)는 상기 안내면(134)의 끝단에 상기 제2 레버(140)의 전면부(144) 또는 상기 후면부(145)가 접하여 지지되는 걸림돌기(13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30)는 상기 조임벨트(40)가 통과하는 제2 관통홀(138)이 상기 제1 관통홀(132)의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잠금돌기(115)는 상기 조임벨트(40)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17)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KR2020090010265U 2009-08-06 2009-08-06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KR200458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65U KR200458152Y1 (ko) 2009-08-06 2009-08-06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65U KR200458152Y1 (ko) 2009-08-06 2009-08-06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18U true KR20110001518U (ko) 2011-02-14
KR200458152Y1 KR200458152Y1 (ko) 2012-01-20

Family

ID=4420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265U KR200458152Y1 (ko) 2009-08-06 2009-08-06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1755A (zh) * 2013-01-14 2014-07-16 泰翼驰株式会社 儿童用汽车座椅的安全带锁扣装置
KR101593978B1 (ko) * 2015-08-03 2016-02-26 (주)피앤제이 베드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7837A1 (en) * 2021-03-03 2022-09-09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A-lok plastic cam with aluminum tooth inser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9022B2 (ja) * 1995-03-29 2003-09-22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用ウェブアジャスタ
JP2001310663A (ja) * 2000-04-28 2001-11-06 Aprica Kassai Inc 年少者安全座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1755A (zh) * 2013-01-14 2014-07-16 泰翼驰株式会社 儿童用汽车座椅的安全带锁扣装置
KR101523833B1 (ko) * 2013-01-14 2015-06-01 이지영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락 장치
CN103921755B (zh) * 2013-01-14 2016-08-10 泰翼驰株式会社 儿童用汽车座椅的安全带锁扣装置
KR101593978B1 (ko) * 2015-08-03 2016-02-26 (주)피앤제이 베드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152Y1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6390B (zh) 兒童座椅
US9688167B2 (en) Child safety seat
TWI503242B (zh) 兒童座椅
RU2594272C2 (ru) Детское кресло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612542B1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US7837264B2 (en) Children&#39;s safety seat with guide and tension device
CN102294966B (zh) 将儿童安全座椅连接在车座上的装置和方法
JP6139955B2 (ja) 幼児拘束装置
CN113071388B (zh) 儿童安全座椅
US9308838B2 (en) Center-pull latch mechanism
US20120200131A1 (en) Child Safety Seat
JPH08207630A (ja) 乗物で使用される子供用安全シート
KR200458152Y1 (ko)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US20080054691A1 (en) Web adjuster assembly
JP2003276559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用のショルダーパット
US6484369B1 (en) Positioning device for vehicle seat belt assembly
KR200455822Y1 (ko)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FR2813255A1 (fr) Ensemble comprenant un crochet et un organe de reglage pour fixer une sangle d&#39;amarrage de siege-auto pour enfant a un ancrage
KR200396858Y1 (ko)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조임장치
GB2365916A (en) Hook and tether strap length adjuster
JP4546913B2 (ja) 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
JP200134786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固定装置
JP2007145229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固持装置
JP3431205B2 (ja) バックル装置
KR200359741Y1 (ko) 차량의 어린이 시트용 밸트 조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