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292U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292U
KR20110001292U KR2020090009988U KR20090009988U KR20110001292U KR 20110001292 U KR20110001292 U KR 20110001292U KR 2020090009988 U KR2020090009988 U KR 2020090009988U KR 20090009988 U KR20090009988 U KR 20090009988U KR 20110001292 U KR20110001292 U KR 201100012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ating layer
resin coating
injection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to KR2020090009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292U/ko
Publication of KR201100012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2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식품이나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수지 피복층이 일체로 사출 피복되는 수지 피복층의 사출 결합력을 높여 스텐용기에 대한 수지 피복층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또 수지 피복층의 형성시 합성수지재 뚜껑의 개폐를 위한 걸림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사출 피복되는 수용공간(12)이 마련되도록 프레스 가공되는 스텐용기(14)의 외주면으로 수지 피복층(16)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밀폐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스텐용기(14)의 상주연부(18)를 개방단부(20) 및 충진공간(22)이 마련되도록 외측 하향으로 절곡 형성하되 상기 하향 절곡된 단부를 다시 외측으로 2차 절곡하여 이탈방지단부(24)가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사출 피복되는 수지 피복층(16)은 상기 충진공간(22) 및 이탈방지단부(2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체로 사출 피복함과 동시에 합성수지재 뚜껑(30)으로 마련되는 잠금날개(32)의 걸림턱(34)이 상호 걸림 및 해제되는 대응 걸림턱(26)이 일체로 구비되어 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밀폐용기, 수지 피복층, 이탈방지단부, 스텐용기

Description

밀폐용기{Closeness vessel}
본 고안은 각종 식품이나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수지 피복층이 일체로 사출 피복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특히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사출 피복되는 수지 피복층의 사출 결합력을 높여 스텐용기에 대한 수지 피복층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또 수지 피복층의 형성시 합성수지재 뚜껑의 개폐를 위한 걸림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서, 금속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된 스텐용기가 환경 호르몬이나 발암물질의 발생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잇는 프라스틱 용기를 대체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스텐용기는 통상적으로 제품성이나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개방단부의 테두리를 하부 내측으로 둥글게 말아지도록 커링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구조의 스텐용기는 그 개방단부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뚜껑이 결합 사용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스텐용기의 경우, 그 개방단부의 테두리가 단순히 둥글게 말아지도록 커링 가공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를 밀폐하는 합성수지재 뚜껑의 결합 구조 역시 다양화 할 수 없고, 단순히 상기 커링가공된 개방단부에 대하여 억 지 상태로 끼워지는 결합홈이 대응되게 형성된 뚜껑을 이용하여 밀폐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스텐용기의 밀폐에 사용되는 뚜껑의 경우, 개폐 조작이 상당히 불편하고, 또 안정된 밀폐력의 유지가 곤란하게 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그 사용이 점차적으로 기피되는 추세이고, 최근에는 잠금날개에 의한 개폐 조작이 용이하고 또 안정된 밀폐력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합성수지재 뚜껑을 주로 이용하여 용기를 밀폐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잠금날개를 갖는 합성수지재 뚜껑 구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28882호를 비롯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844205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물론, 이외에도 상당히 많은 국 내외 자료가 있음).
하지만, 상기한 잠금날개를 갖는 합성수지재 뚜껑을 이용하여 종래 스텐용기를 밀폐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종래 개방단부가 커링 가공된 스텐용기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링가공된 턱에 대하여 잠금날개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개폐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강구된 수단으로서, 프라스틱으로 별도 성형된 테두리단부재를 스텐용기의 테두리단에 걸림되도록 결합한 다음 상기 테두리단부재에 구비된 걸림돌기 형태의 잠금수단에 대하여 합성수지재 뚜껑의 잠금날개에 형성된 결합공이 서로 끼워지도록 개폐 조작되는 방식의 “잠금수단이 형성된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금속 밀폐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96800호 공보 참조). 또한, 다른 예로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28882호의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로서, 이는 스테인 레스 스틸재질의 용기본체의 측벽으로 연장된 단부를 직접 다단으로 절곡 형성하여 합성수지재 뚜껑의 잠금날개로 형성된 결속후크가 걸림 조작되는 걸림 테두리를 직접 형성하여 밀폐되도록 한 구조이나, 다단으로 형성되는 걸림테두리의 성형 작업 공정이 매우 어렵고, 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제작 단가의 상승 초래를 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간안하여 근자에는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합성수지 피복층을 형성하고 동시에 합성수지재 뚜껑에 구비된 잠금날개의 개폐 작용이 가능하도록 한 결합테두리가 구비된 밀폐용기가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한 종래 구조의 경우 합성수지 피복층이 단순히 사출 압력에 의해 스텐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사출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스텐용기의 볼(bowl)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 도중 외부 요인에 의해 합성수지 피복층이 스텐용기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이탈되어 벗겨지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는 구조상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수지 피복층을 일체로 사출 형성하되 용기의 사용도중 수지 피복층이 스텐용기로부터 벗겨지는 문제를 안전히 해소하고 동시에 수지 피복층의 형성시 합성수지재 뚜껑에 구비되는 잠금날개의 걸림턱이 개폐 조작되는 대응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품의 사용가치를 높이면서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지 피복층이 구비된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프레스 가공되는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수지 피복층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텐용기의 상주연부를 개방단부 및 충진공간이 마련되도록 외측 하향으로 절곡 형성하되 상기 하향 절곡된 단부를 다시 외측으로 2차 절곡하여 이탈방지단부가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사출 피복되는 수지 피복층은 상기 충진공간 및 이탈방지단부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로 사출 피복됨과 동시에 합성수지재 뚜껑으로 마련되는 잠금날개의 걸림턱이 상호 걸림 및 해제되는 대응 걸림턱이 일체로 구비된 점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사출 피복되는 수지 피복층이 스 텐용기의 측벽으로부터 외측 하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곡 형성되는 상주연부에 의해 마련되는 충진공간을 비롯하여 그 끝단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단부에 걸려지는 상태로 일체로 사출 피복됨에 따라 용기의 사용시 수지 피복층이 상기 충진공간 및 이탈방지단부에 의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일체로 피복됨에 따라 충격 등 외부 요인의 작용에 의해서도 스텐용기로부터 수지 피복층이 이격 분리되는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됨과 동시에 수지 피복층의 형성시 통상적으로 밀폐용기의 개방단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이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 뚜껑의 잠금날개에 구비되는 걸림턱이 상호 걸림 및 해제되는 대응 걸림턱이 일체로 구비됨으로 인해 스텐용기의 재질 특성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상기 잠금날개를 갖는 합성수지 뚜껑의 밀폐 결합이 가능하게되고, 수지 피복층의 형성으로 인한 스텐용기의 충격 파손이나 변형, 마찰음 등의 발생이 방지되는 현저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잠금날개를 갖는 합성수지 뚜껑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의 형성이 수지 피복층의 사출시 직접 형성됨으로 인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테두리단부재를 제작하여 조립하거나 또는 스텐용기의 연장단을 수회에 걸쳐 절곡하여 걸림테두리를 형성하는 등의 작업 공정이 생략됨으로써 밀폐용기의 제작 용이 및 신속성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작업 공정의 단축으로 인해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작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이점을 더불어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의 측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발췌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밀폐용기에 합성수지재 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 제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업 공정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10)는 기본적으로 수용공간(12)이 마련되도록 프레스 가공되는 스텐용기(14)의 외주면으로 수지 피복층(16)이 일체로 사출 피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텐용기(14)의 상주연부(18)를 개방단부(20) 및 충진공간(22)이 마련되도록 외측 하향으로 절곡 형성하되 상기 하향 절곡된 단부를 다시 외측으로 2차 절곡하여 이탈방지단부(24)이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사출 피복되는 수지 피복층(16)은 상기 상 주연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충진공간(22) 및 이탈방지단부(2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체로 사출 피복됨과 동시에 합성수지재 뚜껑(30)으로 마련되는 잠금날개(32)의 걸림턱(34)이 상호 걸림 및 해제되는 대응 걸림턱(26)이 일체로 구비되어 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스텐용기(14)의 외주면으로 사출 피복되는 수지 피복층(16)은 특정의 수지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기로는 합성수지나 폴리에틸렌(PE)을 대체하는 생분해성플라스틱수지(PLA: Poly Latic Acid)가 이용될 수 있다. 생분해성플라스틱수지는 옥수수전분을 발효하여 젓산을 생산하고, 이를 중합하여 생산되는 것으로서 대량생산이 기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텐용기(14)의 외주면으로 피복되는 수지 피복층(16)은 상주연부(18)의 끝단에 절곡 형성된 이탈방지단부(24)에 걸려지도록 그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감싸지도록 일체로 사출 피복된다.
상기와 같이 밀폐용기(10)가 구성됨으로 인해 특히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수지 피복층(16)의 사출 피복시 피복 수지가 상주연부(16)의 하향 절곡에 의해 측벽과의 사이에 수직적으로 마련되는 충진공간(22)을 포함하여 수평상태로 절곡되는 이탈방지단부(24)에 걸려져 이탈되지 않도록 그 외측을 완전히 둘러싸는 형태로 피복되기 때문에 상기 수지 피복층(16)은 상기 충진공간(22) 및 이탈방지단부(24)에 의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의 분리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밀폐용기(10)의 사용시 상기 수지 피복층(16)은 스텐용기(14)로부터 외력 등의 작용에 의해서도 벗겨지지 않게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수지 피복층(16)의 구비로 인해 용기의 사용시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또 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음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지 피복층(16)의 피복 색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용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수지 피복층(16)으로 일체 형성되는 걸림턱(26)을 이용하여 밀폐용기(10)의 밀폐시 개방단부(20)에 대해 공지된 합성수지재 뚜껑(30)을 위치시킨 다음 이에 형성된 잠금날개(32)의 걸림턱(34)이 상기 수지 피복층(16)에 형성된 걸림턱(26)에 상호 걸어지도록 밀폐 결합함으로써 스텐용기(14)의 수용공간(12)은 밀봉되어지고, 또 상기 잠금날개(32)를 해제 조작함으로써 밀봉이 해제되어지게 되는 것이어서, 스텐용기(14)의 외주면에 수지 피복층(16)을 구비하더라 도 잠금날개(32)를 갖는 합성수지재 뚜껑(30)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는, 먼저, 스테인레스판재(P)를 이용하여 수용공간(12) 및 충진공간(22), 이탈방지단부(24)가 마련되도록 프레싱 가공하여 소정 형상의 스텐용기(14)를 제작한다. 그런 다음 상기 스텐용기(14)를 도시하지 않은 금형내부에 인서트한 다음 수지 피복층(16)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진 금형 내부로 피복수지를 적정한 압력으로 강제 주입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스텐용기(14)의 외주면으로 수지 수지 피복층(16)이 일체로 사출 피복되어지고, 수지 피복층(16)은 사출 피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충진공간(22)과 이탈방지단부(24)에 걸려지도록 사출되기 때문에 스텐용기(14)에 대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의 측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발췌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밀폐용기에 합성수지재 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 제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업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밀폐용기 12: 수용공간
14: 스텐용기 16: 수지 피복층
18: 상주연부 20: 개방단부
22: 충진공간 24: 이탈방지단부
26: 걸림턱 30: 합성수지재 뚜껑
32: 잠금날개 34: 잠금날개의 걸림턱

Claims (1)

  1. 수용공간(12)이 마련되도록 프레스 가공되는 스텐용기(14)의 외주면으로 수지 피복층(16)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밀폐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스텐용기(14)의 상주연부(18)를 개방단부(20) 및 충진공간(22)이 마련되도록 외측 하향으로 절곡 형성하되 상기 하향 절곡된 단부를 다시 외측으로 2차 절곡하여 이탈방지단부(24)가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스텐용기의 외주면으로 사출 피복되는 수지 피복층(16)은 상기 충진공간(24) 및 이탈방지단부(2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록 일체로 사출 피복됨과 동시에 합성수지재 뚜껑(30)으로 마련되는 잠금날개(32)의 걸림턱(34)이 상호 걸림 및 해제되는 대응 걸림턱(26)이 일체로 구비되어 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2020090009988U 2009-07-30 2009-07-30 밀폐용기 KR201100012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88U KR20110001292U (ko) 2009-07-30 2009-07-30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88U KR20110001292U (ko) 2009-07-30 2009-07-30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92U true KR20110001292U (ko) 2011-02-09

Family

ID=4420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988U KR20110001292U (ko) 2009-07-30 2009-07-30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29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24B1 (ko) * 2010-03-11 2013-11-06 (주)씨엔티코리아 스테인리스를 이용한 이중사출 용기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스테인리스 용기
KR20190007728A (ko) 2017-07-13 2019-01-23 (주) 대일고무 식품 보관용 진공 방식 밀폐용기
WO2019235698A1 (ko) * 2018-06-07 2019-12-12 Yu Kwang Hee 방짜유기가 결합된 보관용기 및 그 보관용기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24B1 (ko) * 2010-03-11 2013-11-06 (주)씨엔티코리아 스테인리스를 이용한 이중사출 용기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스테인리스 용기
KR20190007728A (ko) 2017-07-13 2019-01-23 (주) 대일고무 식품 보관용 진공 방식 밀폐용기
WO2019235698A1 (ko) * 2018-06-07 2019-12-12 Yu Kwang Hee 방짜유기가 결합된 보관용기 및 그 보관용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140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formed item, and such an item
EP2337745B1 (en) Container for holding small items
US20180312307A1 (en) Snap cap in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JP2011509888A (ja) 容器を閉じるための蓋
KR10118626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JP7002784B2 (ja) 嵌合式組合せ容器
CN102770350A (zh) 具有包括弹性环的可再锁式盖的容器
RU2563761C2 (ru) Упаковка,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форму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2022541940A (ja) 容器
EP1546000A2 (en) Container
KR20110001292U (ko) 밀폐용기
WO2015187003A1 (en) Lid structure for container
JP5041408B2 (ja) 包装容器
CA2583917A1 (en) Reclosable foil lid
DK179963B1 (en) INJECTED PACKAGING WITH A CONTAINER WITH A FOLDED TOP AND METHOD FOR PREPARING SUCH A PACKAGING
JP6355707B2 (ja) 包装用容器
KR200401847Y1 (ko) 밀폐용기 뚜껑
JP2000302150A (ja) 包装用容器
KR20130001718A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KR102202100B1 (ko) 호환성이 우수한 진공 패킹
JP2001206409A (ja) 合成樹脂製蓋付き容器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0441597Y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KR100614508B1 (ko) 식품포장용 지통
KR20080002204U (ko)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230

Effective date: 2012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