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983U -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 - Google Patents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983U
KR20110000983U KR2020090009577U KR20090009577U KR20110000983U KR 20110000983 U KR20110000983 U KR 20110000983U KR 2020090009577 U KR2020090009577 U KR 2020090009577U KR 20090009577 U KR20090009577 U KR 20090009577U KR 20110000983 U KR20110000983 U KR 201100009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tongs
ring head
food
bott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혁
Original Assignee
김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혁 filed Critical 김정혁
Priority to KR2020090009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983U/ko
Publication of KR20110000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8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Landscapes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음식물 집게에 있어서;
상기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는, 링헤드부의 내주면 전체면에는 폭방향으로 유지되는 파지돌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각 파지부의 하단에는 집게부를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병뚜껑따개가 구비된 음식물 집게이다.
또 본 고안은, 집게를 형성하는 링헤드부의 내주면에는 파지돌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였으므로 파지력을 강화시키고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병뚜껑을 보다 용이하게 딸 수 있고,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였으므로 파지부를 파지하였을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파지부의 하단에는 집게부를 나란하게 형성하였으므로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한 번의 제조(프레스성형 또는 사출성형) 과정에 의해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의 파지돌부, 및 각 파지부의 하단부와 하단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부와 집게부를 일괄 성형하여 줌으로써 제조공정을 극기 간단하게 하여 성형제조할 수 있고, 각 집게부의 내면에는 돌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음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 집게부. 돌편. 미끄럼방지돌부. 병따게부. 파지돌부. 공간부.

Description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A Food Tongs with Opener}
본 고안은 주로 치킨 또는 오징어 및 각종 육류와 같은 음식재료를 튀기 또는 양념한 음식물을 덜어 줄 때에 사용되는 집게에 병뚜껑을 딸 때에 사용되는 병뚜껑따개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철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헤드부의 하측 개구부에 파지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링헤드부의 내주면에는 폭방향으로 유지되는 파지돌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파지부를 파지하였을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하단에는 집게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된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 집게는 치킨 또는 오징어 및 각종 육류와 같은 음식재료를 튀긴 튀김음식물을 비롯하여 각종 음식재료를 양념한 양념음식물을 주로 덜어 줄 때에 사용하게 된다.
특히, 닭고기는 풍부한 양질의 단백질 및 불포화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고, 쇠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다른 육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취식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중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닭고기는 굽거나 튀김, 또는 볶음이나 찜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조리법이 개발되어 있고, 간식이나 술안주, 영양식 등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닭고기 조리법 중에서는 닭고기를 소정 크기로 자르고 튀김옷을 입혀 기름에 튀기는 후라이드 치킨이나 상기 후라이드 치킨에 특정 소스를 발라 제조하는 양념 치킨 등도 개발되어 널리 애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음식물을 덜어서 먹을 때에 주로 음식물 집게를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음식물 집게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249429호의 "조리용 집게"와 실용신안등록 제20-65127호의 "주방용 집게"가 알려져 있다.
전자는 철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헤드부의 하측 개구부에 파지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후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V자형의 탄성부를 형성하고 각 단부에 철재로 된 별도의 파지부를 결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조리(주방)용 집게들은 음식물을 집는 기능만을 단순하게 수행 할 수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은 단순함을 배제시키고 기능을 부가하는 음식물 집게로는 국내의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3-1183호의 "조리용 집게"가 알려져 있다.
이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U자형으로 형성하고, U자형손잡이의 각 양측 지지대에는 금속재질로 된 집게발을 각각 결합하여 형성하며, U자형손잡이의 상단에 형성되는 원형공간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유지되는 3개의 파상형돌조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U자형손잡이를 형성하는 원형공간의 내면에 3개의 파상형돌조부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병뚜껑의 외주면 전체를 파지할 수 없게 되고, 각 파상돌조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상돌조부로 병뚜껑을 파지하였을 때에 파상돌조부가 병뚜껑의 외주면과 동일한 방향(원주)을 유지하게 되므로 U자형손잡이를 회전시켰을 때에 슬립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약한 파지력과 슬립형상으로 인해 병뚜껑을 용이하게 개방시킬(딸)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주로 음식물을 덜어 줄 때에 사용되는 집게에 병뚜껑을 딸 때에 사용되는 병뚜껑따개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병뚜껑따개가 구비된 음식물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주로 철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헤드부의 하측 개구부에 파지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는, 링헤드부의 내주면 전체면에는 폭방향으로 유지되는 파지돌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과;
각 파지부의 하단에는 집게부를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따개가 구비된 음식물 집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집게를 형성하는 링헤드부의 내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파지돌부를 폭 방향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파지력을 강화시키고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병뚜껑을 보다 용이하게 딸 수 있도록 하고,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파지부를 파지하였을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파지부의 하단에는 집게부를 나란하게 형성하여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개선한 병뚜껑따개가 구비된 음식물 집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한 번의 제조(프레스 제조) 과정에 의해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의 파지돌부, 및 각 파지부의 하단부와 하단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부와 집게부를 일괄 성형하여 줌으로써 조제공정을 극기 간단하게 하여 성형제조할 수 있고, 각 집게부의 내면에는 돌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음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병뚜껑따개가 구비된 음식물 집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철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헤드부의 하측 개구부에 파지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는, 링헤드부의 내주면 전체면에는 폭방향으로 유지되는 파지돌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과;
각 파지부의 하단에는 집게부를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집게(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주로 음식물을 덜어 줄 때에 사용되는 집게에 병뚜껑을 딸 때에 사용되는 병뚜껑따개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병뚜껑따개가 구비된 음식물 집게를 개선한 것이다.
본 고안은, 주로 철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헤드부의 하측 개구부에 파지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상기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는, 링헤드부의 내주면 전체면에는 폭방향으로 유지되는 파지돌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각 파지부의 하단에는 집게부를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따개가 구비된 음식물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집게를 형성하는 링헤드부의 내주면에는 파지돌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였으므로 파지력을 강화시키고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병뚜껑을 보다 용이하게 딸 수 있고,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였으므로 파지부를 파지하였을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파지부의 하단에는 집게부를 나란하게 형성하였으므로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은, 한 번의 제조(프레스성형 또는 사출성형) 과정에 의해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의 파지돌부, 및 각 파지부의 하단부와 하단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부와 집게부를 일괄 성형하여 줌으로써 조제공정을 극기 간단하게 하여 성형제조할 수 있고, 각 집게부의 내면에는 돌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음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집게(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집게(1)의 일 예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집게(1)는 철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철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헤드부(3)를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링헤드부(3)의 양단에는 파지부(2)를 외측으로 확개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형상)은 종래 음식물집게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헤드부(3)에는 병따게부(10)를 형성하였는데, 상기 병따게부(10)는 링헤드부(3)의 내주면에 폭방향으로 유지되는 파지돌부(11)를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공간부(12)에 병뚜껑을 결합하였을 때에 파지돌부(11)들이 병뚜껑의 외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미세 돌기들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파지돌부(11)는 요철판을 프레싱하여 형성하거나, 요철봉을 롤링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파지부(2)의 하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부(7)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파지부(2)를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에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미끄럼방지돌부(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만곡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삼각형상 또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부(7)의 외면에 요철부 또는 돌기를 조밀하게 형성하게 되면 슬립 현상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향으로 확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각 파지부(2)의 하단에는 내향절곡부(5)를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각 내향절곡부(5)의 하단에는 집게부(3)를 형성하되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하였으며, 각 집게부(3)의 내면에는 돌편(6)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음식물 등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집게(1)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집게(1)는 파지부(2)를 파지하여 통상의 음식물 집게로 사용한다.
음식물 집게로 사용할 때에는 삼각형상 또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부(7)에 의해 손이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돌편(6)의 내면에 형성된 돌편(6)들이 음식물을 파지하므로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집게(1)를 이용하여 병뚜껑을 개방하고자(따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병 주둥이에 결속되어 있는 병뚜껑을 링헤드부(3)의 공간부(12)에 삽입하고, 병뚜껑을 링헤드부(3)의 공간부(12)에 삽입한 상태에서 파지부(2)가 서로 연접되도록 파지부(2)를 파지한다.
파지부(2)를 서로 연접되도록 파지하면 링헤드부(3)의 양단에 연접되는 파지부(2)에 의해 압축되고, 링헤드부(3)가 압축되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병뚜껑은 강력하게 억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링헤드부(3)의 압축에 의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병뚜껑이 억류될 때에 파지돌부(11)가 병뚜껑의 외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미세돌기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링헤드부(3)의 압축에 의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병뚜껑이 억류된 상태에서, 병을 파지하고 파지부(2)를 회전시키게 되면 링헤드부(3)와 함께 병뚜껑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링헤드부(3)와 함께 회전하는 병뚜껑은 병주둥이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분리된다.
링헤드부(3)와 함께 회전하는 병뚜껑은 병주둥이에서 완전히 분리되면 파지부(2)에 가해지는 힘을 느슨하게 유지시키고, 파지부(2)에 가해지는 힘을 느슨하게 유지시키면 압축된 링헤드부(3)가 확장되면서 병뚜껑의 억류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며, 링헤드부(3)가 확장되면서 병뚜껑의 억류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병뚜껑은 자연스럽게 공간부(12)를 이탈(낙하)하여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집게(1)를 이용하여 병뚜껑을 개방하고자(따고자) 할 때에는 병뚜껑을 링헤드부(3)의 공간부(12)에 삽입하고, 병파지부(2)가 서로 연접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부(2)와 함께 링헤드부(3) 및 그 내부에 결합되는 병뚜껑을 동시에 회전시켜 줌으로서 병뚜껑을 병주둥이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 집게의 일 예시 사시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집게 2: 파지부
3: 집게부 5: 내양절곡부 6: 돌편
7: 미끄럼방지돌부 10: 병따게부 11: 파지돌부
12: 공간부

Claims (4)

  1. 철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헤드부의 하측 개구부에 파지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링헤드부에 형성되는 병따게부는, 링헤드부의 내주면 전체면에는 폭 방향으로 유지되는 파지돌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과;
    각 파지부의 하단에는 집게부를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 집게.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파지부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부는;
    삼각형 또는 만곡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 집게.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파지부의 하단에 일체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집게부의 내면에는 돌편을 조밀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 집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식물 집게는;
    철재 또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따개 일체형 음식물 집게.
KR2020090009577U 2009-07-22 2009-07-22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 KR201100009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77U KR20110000983U (ko) 2009-07-22 2009-07-22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77U KR20110000983U (ko) 2009-07-22 2009-07-22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83U true KR20110000983U (ko) 2011-01-28

Family

ID=4420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577U KR20110000983U (ko) 2009-07-22 2009-07-22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98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992B1 (ko) * 2011-06-17 2013-03-20 김정욱 다기능 집게
KR102127696B1 (ko) * 2020-04-29 2020-06-29 김소영 절단 기능을 가진 다용도 집게
WO2020146550A1 (en) * 2019-01-11 2020-07-16 Crabkey Inc. Seafood shell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992B1 (ko) * 2011-06-17 2013-03-20 김정욱 다기능 집게
WO2020146550A1 (en) * 2019-01-11 2020-07-16 Crabkey Inc. Seafood sheller
US11712041B2 (en) 2019-01-11 2023-08-01 Crabkey Inc. Seafood sheller
KR102127696B1 (ko) * 2020-04-29 2020-06-29 김소영 절단 기능을 가진 다용도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2133A (en) Carrying handle for bagged food items
US8042274B2 (en) Multifunction scissor
US5403052A (en) Egg spatula
US9888698B1 (en) Multifunctional shell-opening utensil
US6598297B1 (en) Combination knife, turning hook and bottle de-capper, with animal shape
KR20110000983U (ko) 병뚜껑따개가 일체형 음식물 집게
US20060246832A1 (en) Multi-use seafood utensil
US3339478A (en) Disposable shish-kebab holder
US20240049920A1 (en) Tongs for turning over food
TWI617267B (zh) 剝蝦殼裝置
KR101231979B1 (ko) 음식용기용 집게
KR200343580Y1 (ko) 치킨용 집게
CN201029808Y (zh) 一种烧烤夹子
CN201275011Y (zh) 一种锅铲
US20070137046A1 (en) Device for cracking shelled objects
US5941584A (en) Roast lifting tool
US20020108256A1 (en) Kitchen utensil
CN206137943U (zh) 用于烹饪器具的蒸笼及烹饪器具
KR20150131712A (ko) 새우껍질제거기
JP3223432U (ja) フードピック
KR200492972Y1 (ko) 항균 가열 용기
KR200174546Y1 (ko) 주방용 집게.
KR102485887B1 (ko) 주방용품 손잡이 커버
CN218304559U (zh) 一种烧烤叉
CN209789509U (zh) 一种低压烹饪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