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091A - 체외진단 시약용 금/TiO₂ 복합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체외진단 시약용 금/TiO₂ 복합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091A
KR20110000091A KR1020090057453A KR20090057453A KR20110000091A KR 20110000091 A KR20110000091 A KR 20110000091A KR 1020090057453 A KR1020090057453 A KR 1020090057453A KR 20090057453 A KR20090057453 A KR 20090057453A KR 20110000091 A KR20110000091 A KR 20110000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tio
nanoparticles
composite
tio2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801B1 (ko
Inventor
김교선
김동주
페쭝 우엔
차명진
주후돈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제노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제노바이오텍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8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01G23/047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7/00Compounds of g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51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inorganic
    • G01N33/552Glass or silic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51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inorganic
    • G01N33/553Metal or metal co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iO2 나노입자에 금이 균일하게 코팅되어 체외진단 시약에 사용될 수 있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는 체외진단 시약의 나노입자로 사용되는 경우 비표면적이 높아 비교적 많은 양의 생체물질(DNA, 항체 등)을 생접합할 수 있어 진단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가의 금 전구체 사용을 줄이는 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를 이용한 체외진단 시약은 개발 초기 단계이면서도 용도분야가 다양하며, 높은 성장성이 전망되는 분야이므로 관련 산업체로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금, TiO2, 복합나노입자, 체외진단

Description

체외진단 시약용 금/TiO₂ 복합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Gold/TiO2 nanoparticle composite for in-vitro diagnostic testing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TiO2 나노입자에 금이 균일하게 코팅되어 체외진단 시약에 사용될 수 있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암 등과 같은 질병의 발병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체외진단(In-Vitro Diagnostics, IVD) 시약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체외진단 시약의 정확도 및 경제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분산의 나노입자를 원하는 크기로 제조할 수 있어야 하고, 적은 양의 시료만으로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야하며, 조작이 쉽고 저렴하여 일반 병원에서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의학적인 상식 없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금을 이용한 체외진단 시약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그 경제적 이유 등을 고려하여 무기 입자 표면에 금을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금 전구체 수용액에 pH 제어제를 첨가한 후, TiO2 나노입자를 담지하고 환원제를 첨가하여 가열 및 교반하면 TiO2 나노입자의 표면에 금 입자가 균일하게 코팅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H 제어제 및 환원제를 이용하여 금/TiO2 복합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 금 입자가 균일하게 코팅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 전구체 수용액에 pH 제어제를 첨가하여 pH를 6 ~ 9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금 전구체 수용액에 TiO2 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TiO2 나노입자가 첨가된 금 전구체 수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한 후 가열 및 교반하여 금/TiO2 나노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TiO2 나노입자를 회수하여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TiO2 표면이 금으로 코팅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는 체외진단 시약의 나노입자로 사용되는 경우 비표면적이 높아 비교적 많은 양의 생체물질(DNA, 항체 등)을 생접합할 수 있어 진단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가의 금 전구체 사용을 줄이는 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를 이용한 체외진단 시약은 개발 초기 단계이면서도 용도분야가 다양하며, 높은 성장성이 전망되는 분야이므로 관련 산업체로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TiO2 나노입자에 금이 균일하게 코팅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 전구체 수용액에 pH 제어제를 첨가하여 pH를 6 ~ 9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금 전구체 수용액에 TiO2 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TiO2 나노입자가 첨가된 금 전구체 수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한 후 가열 및 교반하여 금/TiO2 나노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TiO2 나노입자를 회수하여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 전구체는 염화금산수화물(HAuCl4 ·4H2O), 염화금(HAuCl4) 중에서 선택하며, 바람직하게는 염화금산수화물(HAuCl4H2O)을 선택한다.
상기 금 전구체 수용액에 pH 제어제를 첨가하여 수용액의 pH를 조절한다. 금이 코팅된 TiO2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금 전구체가 TiO2 입자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어 흡착된 후 환원한다. 상기와 같이 금 전구체가 TiO2 입자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어 흡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액의 pH 조절이 요구된다. 상기 금 전구체 수용액의 pH는 pH 제어제를 첨가하여 6 ~ 9 범위, 바람직하게는 7 ~ 8 범위로 조절한다. pH가 9를 초과하면 금이 코팅되기도 전에 TiO2 입자가 서로 응집하여 석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pH가 6 미만이면 금이 TiO2 입자 표면에 코팅되지 않고 금 입자들이 따로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pH 제어제는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산성을 띠는 금 전구체 수용액의 pH를 상승시키며, 수산화기를 가지는 약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금 전구체 수 용액의 pH를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우레아, 수산화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레아를 사용한다.
pH가 조절된 상기 금 전구체 수용액에 TiO2 나노입자를 첨가하며, 상기 TiO2 나노입자의 크기는 100 n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TiO2 나노입자를 첨가한 뒤 80 ~ 100 ℃ 로 가열하여 교반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O2 나노입자가 첨가된 상기 금 전구체 수용액에 구연산염 환원제를 첨가한 후 가열 및 교반하여 금/TiO2 나노입자를 생성시킨다. 상기 환원제로서는 약한 환원 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구연산염, 아스코빅 산, 포름알데하이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중에서 선택하되, 바람직하게는 구연산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연산염나트륨(trisodium citrate)을 사용한다. 상기 환원제에 의한 환원 과정에 의하여 TiO2 나노입자 표면에 금 입자가 코팅될 수 있으며, 금 전구체가 TiO2 나노입자 표면에 고르게 코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금 나노입자가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억제해야 하므로, 환원 반응의 조건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환원과정은 80 ~ 100 ℃에서 1 ~ 4 시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95 ℃에서 2 ~ 3 시간 교반한다. 80 ℃ 미만에서는 반응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는 문제가 있고, 100 ℃ 초과하면 금의 환원반응이 빠르게 일어나고, 용매 증발에 따라 금 전구체 농도의 증가하게 되어 금이 TiO2 입자 표면에 코팅되지 않고 독립적인 금 입자가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금/TiO2 나노입자를 회수하여 세척하고 건조하면 금/TiO2 복합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금/TiO2 나노입자는 필터 등을 이용하여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세척 후 50 ~ 100 ℃에서 10 ~ 30 시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이 TiO2 나노입자 표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코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결 과정의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코팅된 금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건조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를 80 ~ 400 ℃에서 2 ~ 6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00 ~ 300 ℃ 에서 3 ~ 5 시간 동안 소결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는 TiO2 나노입자 표면에 금이 1 ~ 2 nm 크기로 코팅된다. 코팅된 금은 DNA, 항체 등 다양한 셍체물질과 접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금/TiO2 복합나노입자는 암, 광우병, 결핵, 유행성 출혈열, 간염 등의 발명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체외진단 시약에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 전구체로 사용될 염화금산수화물(HAuCl4H2O)을 물에 녹여 금이온의 농 도가 3mM인 금 전구체 수용액 100ml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pH 제어제로서 1M 우레아 수용액을 상기 금 전구체 수용액에 첨가하여 수용액의 최종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이후 평균 입자크기가 30nm인 TiO2 나노입자 1g을 첨가하여 8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환원제로서 10% 구연산나트륨(trisodium citrate) 수용액 2.5ml를 첨가한 뒤 85℃에서 3시간 동안 다시 교반하였다. 교반이 완료되면 생성된 금/TiO2 나노입자를 필터로 회수하고 DI water로 세척한 뒤 8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또한 상기 금/TiO2 나노입자에서 금이 TiO2 나노입자 표면에 안정적으로 코팅되도록 200℃에서 4시간 동안 소결 과정을 거쳐 금/TiO2 복합나노입자를 얻었다. 상기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TEM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TEM 사진이다.

Claims (8)

  1. 금 전구체 수용액에 pH 제어제를 첨가하여 pH를 6 ~ 9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금 전구체 수용액에 TiO2 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TiO2 나노입자가 첨가된 금 전구체 수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한 후, 가열 및 교반하여 금/TiO2 나노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TiO2 나노입자를 회수하여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TiO2 나노입자를 회수하여 세척하고 건조한 뒤 80 ~ 400 ℃에서 2 ~ 6 시간 동안 소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를 첨가한 후 80 ~ 100 ℃로 가열하여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H 제어제는 우레아 또는 수산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구연산염, 아스코빅 산, 포름알데하이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TiO2 표면이 금으로 코팅된 금/TiO2 복합나노입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코팅된 금의 크기가 1 ~ 2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
  8. 제 6 항에 있어서, 체외진단(In-Vitro Diagnostics) 시약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TiO2 복합나노입자.
KR1020090057453A 2009-06-26 2009-06-26 체외진단 시약용 금/TiO₂ 복합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453A KR101194801B1 (ko) 2009-06-26 2009-06-26 체외진단 시약용 금/TiO₂ 복합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453A KR101194801B1 (ko) 2009-06-26 2009-06-26 체외진단 시약용 금/TiO₂ 복합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91A true KR20110000091A (ko) 2011-01-03
KR101194801B1 KR101194801B1 (ko) 2012-11-02

Family

ID=4360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453A KR101194801B1 (ko) 2009-06-26 2009-06-26 체외진단 시약용 금/TiO₂ 복합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8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1232A (zh) * 2020-09-11 2020-12-18 合肥工业大学 一种在酸性条件下快速制备Au-TiO2复合结构的方法
KR20210142516A (ko) * 2020-05-18 2021-1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iO2 나노구조 기반 핵산 검출장치 및 롤투롤 공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WO2021235797A1 (ko) * 2020-05-18 2021-1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io2 나노구조 기반 핵산 검출장치 및 롤투롤 공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516A (ko) * 2020-05-18 2021-1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iO2 나노구조 기반 핵산 검출장치 및 롤투롤 공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WO2021235797A1 (ko) * 2020-05-18 2021-1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io2 나노구조 기반 핵산 검출장치 및 롤투롤 공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CN112091232A (zh) * 2020-09-11 2020-12-18 合肥工业大学 一种在酸性条件下快速制备Au-TiO2复合结构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801B1 (ko) 201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rdar et al. Spectroscopic and microscopic investigation of gold nanoparticle formation: ligand and temperature effects on rate and particle size
KR101880441B1 (ko)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대량 제조 방법
CN106141200A (zh) 一种碳点/金复合纳米粒子的制备方法及用途
CN110669499B (zh) 一种基于普鲁士蓝纳米粒子的荧光适配体探针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158378B (zh) 一种光热效应用硫化铜锰蛋白复合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
CN101990475A (zh) 用于制备银纳米颗粒的方法
KR101194801B1 (ko) 체외진단 시약용 금/TiO₂ 복합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31628A (zh) 一种负载型花状分级结构纳米贵金属材料及其制备方法
Zhang et al. Reaction inside a viral protein nanocage: Mineralization on a nanoparticle seed after encapsulation via self-assembly
Sun et al. Dual functions of pH-sensitive cation Zr-MOF for 5-Fu: Large drug-loading capacity and high-sensitivity fluorescence detection
CN114644639A (zh) 一种具有手性光学活性的多组分纳米组装体及其制备方法
Shah et al. Virus-templated near-amorphous iron oxide nanotubes
WO2017020238A1 (zh) 荧光淀粉纳米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405684A (zh) 具有可调节金属芯的中空纳米颗粒
CN106729713B (zh) 一种蛋白质包覆金属硫化物纳米粒子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234238B (zh) 一种核壳结构Au@Co(OH)2纳米微球的制备方法
CN110615484A (zh) 一种共沉淀法制备磁性四氧化三铁纳米粒的方法
CN110702911B (zh) 一种银纳米团簇印迹聚合物对肿瘤标志物的靶向检测方法
CN105899313A (zh) 一种制备金属纳米粒子的方法
CN108421508B (zh) 一种包含多核的铂-聚合物纳米核壳材料的制备方法
CN108785686B (zh) 基于钯纳米片双面神纳米粒子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6916757B (zh) 单细胞生物基高疏水微米粉体材料及其制备方法
ES2678419A1 (es) Método de obtención de nanomateriales compuestos de material carbonáceo y óxidos metálicos
CN102921958B (zh) 一种具有pH调节相转移行为的发光纳米银的制备方法
CN105728745A (zh) 一种以杆菌肽为模板自组装合成链球状纳米铂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