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176A - 맨홀 - Google Patents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176A
KR20100138176A KR1020090056578A KR20090056578A KR20100138176A KR 20100138176 A KR20100138176 A KR 20100138176A KR 1020090056578 A KR1020090056578 A KR 1020090056578A KR 20090056578 A KR20090056578 A KR 20090056578A KR 20100138176 A KR20100138176 A KR 20100138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discharge
chamber
unit
se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570B1 (ko
Inventor
김동규
조래수
Original Assignee
준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이앤씨(주) filed Critical 준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09005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57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2Partitioned to allow more than one medium to flow throug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오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유입구를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실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실로 구획하며, 상기 유입실 내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상기 배출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배출실로의 유입이 차단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부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실에서 상기 배출실로 유입되는 침전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잔류하면서 오수의 배수를 방해하는 침전물을 제거하는 이물제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은 맨홀 내부로 인입된 부유물이나 침전물에 의해 하수관이 막히거나 이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의 통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오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맨홀, 침전물제거, 부유물제거

Description

맨홀 {manhole}
본 발명은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또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이 하수도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이 마련된 맨홀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지중에 매립 설치되어 하수 및 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이 설치되는 장소는 관의 굵기 또는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되며, 통풍이나 관거(管渠)의 연락에도 이용된다.
종래의 맨홀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가 하수관을 통해서 이동하는 이동로를 제공하게 되는데, 맨홀을 기점으로 관의 굵기가 달라지게 되어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관의 관로를 막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맨홀의 상부를 통해 도로로부터 직접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 역시 관로에 쌓여 통수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단을 막기 위해 맨홀에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거름망을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8451호에는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이 개시되었다.
상기 개시된 종래의 맨홀은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거름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데, 이렇게 거름망이 설치된 맨홀은 배출되는 물에 이물이 섞이지 않도록 여과기능을 가지기는 하지만, 걸러진 이물질들이 통수공을 막아 통수성이 저하되어 맨홀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고 심한 경우에는 물이 지상으로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거름망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맨홀 내부에서의 충분한 통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맨홀 내부에서 부유물 또는 침전물에 의해 거름망 또는 스크린의 통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유물 또는 침전물 제거수단을 갖는 맨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은 오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유입관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실과 상기 배출관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실로 구획하며, 상기 유입실 내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상기 배출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배출실로의 유입이 차단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부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실에서 상기 배출실로 유입되는 침전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잔류하면서 오수의 배수를 방해하는 침전물을 제거하는 이물제거부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린은 침전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격벽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수직바를 구비하며,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각 수직바 사이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제거부와, 상기 유입실의 오수에 부유하며, 상기 유입실에 수용된 오수의 수위에 따 라 상기 제거부를 승하강시키는 부유부재와, 상기 부유부재와 상기 제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부유물배출부는 상기 유입실 내의 오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버킷이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유입실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유입실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버킷컨베이어와, 상기 버킷컨베이어의 타측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버킷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부유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버킷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입실 저면에 설치되며, 유입실 저면에 침전한 침전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배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침전물배출부는 상기 유입실의 저면에 안착되며, 침전물은 걸러지고 오수는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에 연결되어 상기 망체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한다.
상기 유입실 저면에 설치되며, 유입실 저면에 침전한 침전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배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침전물배출부는 상기 침전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이송공간이 마련되고, 일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침전물을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위치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침전물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시키 는 배출호퍼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은 맨홀 내부로 인입된 부유물이나 침전물에 의해 하수관이 막히거나 이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의 통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오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맨홀(10)은 오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21)이 마련된 본체(20)와, 본체(20)를 유입실(31)과 배출실(32)로 구획하는 격벽(30)과, 격벽(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물을 걸러내는 스크린(40)과, 스크린(40)에 잔류하는 침전물을 제거하는 이물제거부(50)와, 수용공간(21)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부(60)와, 본체(20)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수집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유속감속부(200)와, 유속감속부(200)에 설치된 보조침전물배출부(250)를 구비한다.
본체(20)는 지중에 매립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본체(20)는 원통형이 아니라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20)는 수용공간(21) 내부로 오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벽 일측에 유입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22)에 대향되는 위치의 내벽에는 수용공간(21)에 유입된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관(23)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23)은 수용공간(21) 내의 오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2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배출관(23)은 본체(20)의 내벽이 아니라 본체(2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20)의 상부에는 수용공간(21)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20)의 상부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를 개방하여 관리자가 본체(20) 내부로 입출하여 맨홀(10)의 보수 및 오물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입관(22)측 본체(20)의 저면은 본체(20)의 저면에 침전되는 침전물이 후술되는 스크린(40)의 수직바(41) 사이를 막아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40)보다 소정의 깊이로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30)은 본체(20)의 수용공간(21)을 유입실(31)과 배출실(32)로 구획할 수 있도록 본체(20)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격벽(30)은 유입관(22)이 형성된 위치의 수용공간(21)에 유입실(31)이 형성되고, 배출관(23)이 형성된 위치의 수용공간(21)에 배출실(3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유입관(22)과 배출관(2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30)은 유입실(31) 내의 오수 수면에 부유하는 낙엽 또는 비닐과 같은 부유물이 배출실(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단이 오수 수면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도록 유입관(22)보다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은 오수의 수면 내부로 잠길 수 있도록 배출관(23)보다 하측으로 이격된 깊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40) 및 이물제거부(50)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린(40)은 본체(20)의 유입실(31)로 유입된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출실(32)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격벽(30)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바(41)와, 수직바(41)를 본체(20)의 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2)를 구비한다.
수직바(41)는 환봉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30)의 하단에 격벽(30)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수직바(41) 사이의 이격 거리는 이물질의 여과 기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2)는 상기 수직바들(41)을 본체(20)의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격벽(30)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20) 바닥면에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바(41)는 격벽(30)의 하단과 고정부재(42)의 상부에 양단이 설치되어 본체(2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물제거부(50)는 스크린(4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에 의해 스크린(40)을 통과하는 오수의 통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크린(40)에 의해 여과되는 이물질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물질들이 상기 수직바(41)에 접착되거나 걸린 상태로 하강하거나 부유하지 않고 수직바(41) 사이의 통수공간을 막게 되어 통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렇게 스크린(40)을 통해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본체(20) 내부에서 오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유입관(22)을 통해 오수의 역류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오수가 배출관(23)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스크린(40)에서의 통수성을 확보해주는 것이 중요한데, 이물제거부(50)가 상기 수직바(41)에 잔류하는 이물을 제거함으로써 스크린(40)에서의 통수성을 높이게 된다.
이물제거부(50)는 상기 수직바(41)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부재(51)와, 상기 제거부재(51)를 승하강시키는 부유부재(54)와, 제거부재(51)와 부유부재(54)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55)와, 연결부재(55)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6)를 구비한다.
제거부재(51)는 다수의 슬라이딩부재(52)와, 슬라이딩부재들(52)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53)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부재(52)는 각 수직바(41) 사이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딩부재(52)의 폭은 수직바(41)를 따라 상하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각 수직바(41)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부재(53)는 배출실(32) 내부의 수직바(41) 측면에 위치하며, 측면에는 슬라이딩부재들(52)이 연결되어 있다.
부유부재(54)는 유입실(31)의 오수에 부유하며 유입실(31)에 수용된 오수의 수위에 따라 제거부재(51)를 승하강시킨다. 부유부재(54)는 제거부재(51)를 승강시킬 수 있을 만큼의 부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물보다 밀도가 작은 공기와 같은 기체가 수용되어 있다.
연결부재(55)는 일단은 수평부재(53)의 상면에 연결되며, 타단은 후술되는 부유부재(54)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55)는 격벽(30)을 넘어 배출실(32)에 설치된 수평부재(53)와 유입실(31)에 설치된 부유부재(54)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측이 '∩'형상으로 절곡된 환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55)는 부유부재(54)의 부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일정강도를 가지면서도 중량이 가벼운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56)는 배출실(32)측 격벽(30)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55)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삽입홈(57)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56)는 연결부재(55)가 오수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어, 슬라이딩부재(52)가 수직바(41)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물제거부(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직바(41)에 다량의 이물질들이 접착되거나 걸린 상태로 하강하거나 부유하지 않고 수직바(41) 사이의 통수공간을 막게 되면 스크린(40)을 통해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유입실(31)에서 오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이때, 부유부재(54)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부유부 재(54)에 의해 수평부재(53)도 상승하게 된다. 상승하는 수평부재(53)에 의해 수직바(41)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슬라이딩부재(52)도 상승하여 수직바(41)에 접착되거나 걸린 상태로 있는 이물질을 수직바(41)에서 이탈시킨다.
부유물배출부(60)는 유입실(31)내부의 오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로터리식 제진기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로터리식 제진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은 침전물배출부(70)를 더 구비한다.
침전물배출부(70)는 유입실(31)의 저면에 안착되며, 침전물은 걸러지고 오수는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망체(71)와, 망체(71)에 연결되어 망체(71)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72)를 구비한다.
망체(71)는 유입실(31)에 침전된 침전물을 모두 제거할 수 있도록 유입실(31)의 저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체(71)에 형성된 관통구는 침전물의 여과 기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을 통해 유입실(31)로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되어있는 이물질은 유입실(31) 저면에 안착되어 있는 망체(71) 상부에 침전된다. 다량의 침전물이 망체(71) 상부에 쌓이면 망체(71)를 들어올려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승강부(72)는 상기 망체(71)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망체(71)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에 연결되어 망체(71)를 승강시키는 로프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망체(71)의 상측에 3개의 연결고리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설치되는 연결고리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지 않고, 2개 또는 다수개의 연결고리가 설치될 수도 있다.
관리자는 연결고리에 의해 망체(71)에 연결되어 있는 로프를 끌어올려, 망체(71) 상부에 쌓인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로프를 감을 수 있는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망체(71)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침전물배출부(8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침전물배출부(80)는 침전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이송공간이 마련된 하우징(81)과, 침전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82)와, 이송된 침전물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배출호퍼(83)와, 상기 이송스크류(82)를 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부(84)를 구비한다.
하우징(8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유입실(31) 저면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타단부는 유입실(3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81)의 일단부에는 유입구(86)가 마련되어 있어, 침전물이 하우징(81) 내부의 이송공간(85)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81)의 타단부에는 이송공간(85)을 통해 이송된 침전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유입실(31) 및 배출실(32)측의 본체(20) 바닥면은 상기 침전물배출부(80)에 의해 침전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81)의 하단이 설치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실(32)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도 경사면을 따라 하우징(81) 하단이 위치한 유입실(31) 바닥면으로 이동하여 쌓이게 된다.
이송스크류(82)는 하우징(81)의 이송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침전물을 유입구(86)에서 배출구(미도시)로 이송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송스크류(82)는 유입구(86)를 통해 침전물을 하우징(81)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일부가 유입실(31) 저면에 침전된 침전물에 접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호퍼(83)는 배출구(미도시) 하측의 하우징(81) 외주면에 형성되며,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침전물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호퍼(83)는 침전물이 이송컨베이어(89)를 통해 이송될 수 있도록 배출호퍼(83)의 타단이 이송컨베이어(62)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구동부(84)는 상기 이송스크류(82)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8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구동부(84)에서 이송스크류(82)에 구동력을 제공하면, 이송스크류(82)는 회전하면서 침전물을 유입실(31) 저면에서 외부로 이송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속감속부(200)와 보조침전물배출부(25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는 유속감속부(200)와 보조침전물배출부(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속감속부(200)는 배출관(23)에 설치되어 본체(20)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수집하며, 오수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오수를 가이드하는 하우징(210)과, 유로(211)를 가로막아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걸러내는 차단부(220)를 구비한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오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로(211)는 오수가 상기 유로(211)를 따라 유동할 때, 오수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부(220)는 오수의 흐름을 가로막아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 및 침전물을 걸러낼 수 있게 오수의 유동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차단부(220)는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걸러낼 수 있게 형성된 제 1차단판(221)과,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차단판(222)을 구비한다.
제 1차단판(221)은 오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유로(211)를 가로막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은 하우징(210)의 상면에 인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하측은 하부로 오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의 저면에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 1차단판(221)의 상단부는 오수 수면 위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은 오수의 수면을 가로막도록 형성된 제 1차단판(221)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때, 오수는 제 1차단판(221) 하부에 하우징(210) 저면과 이격된 공간을 통해 하류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1차단판(221)의 상류측면에 인접된 위치에는 제 1차단판(221)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언 급된 부유물배출부(60)의 로터리식 제진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 2차단판(222)은 제 1차단판(221)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오수에 침전된 침전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유로(211)를 가로막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은 하우징(210)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측은 상부로 오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의 상면에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제 2차단판(222)의 상측은 오수에 잠기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차단판(221)을 통과한 침전물은 하우징(210)의 저면에 설치된 제 2차단판(222)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때, 오수는 제 2차단판(222) 상부를 통해 하류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보조침전물배출부(250)를 도 5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보조침전물배출부(250)는 제 2차단판(222)에 의해 걸러진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제 2차단판(222)의 상류측면에 인접된 하우징(210)의 바닥면에 안착되게 설치된다. 보조침전물배출부(250)는 제 2차단판(222)에 의해 걸러진 침전물을 수집하는 보조걸림부(251)와, 상기 보조걸림부(251)에 연결되어 보조걸림부(251)를 승강시키는 보조승강부(254)를 구비한다.
보조걸림부(251)는 침전물이 침전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보조망체(252)와, 보조망체(252)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253)를 구비한다.
보조망체(252)는 하우징(2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침전물이 내부공간으로 침전될 수 있게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보조망체(252)는 침전물은 걸러지고 오수는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보조망체(252)의 일측은 오수가 용이하게 보조망체(25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253)는 보조망체(25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망체(252)의 내부공간을 개폐한다. 개폐부재(253)도 상기 보조망체(252)와 동일하게 침전물은 걸러지고 오수는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253)의 상측은 작업자가 외부에서 개폐부재(25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로프가 묶여진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승강부(254)는 하우징(210)의 바닥면에 안착된 보조걸림부(251)를 승강시켜 보조걸림부(251)에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보조승강부(254)는 보조망체(252)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4개의 보조고리(255)와, 상기 보조고리(255)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외부에서 보조걸림부(251)를 승강시킬 수 있는 보조로프(256)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속감속부(200)와 보조침전물배출부(25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는 유속감속부(200)의 하우징(210)으로 유입된다. 하우징(210)으로 유입된 오수는 하우징(210) 내부 유로(211)를 따라 지그재그로 유동하며 유속이 감속된다.
이때, 오수는 본체(20)로 유입되기 전에 유로(211)에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제 1및 제 2차단판(221,222)에 의해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 또는 침전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한편, 제 2차단판(222)에 의해 걸러진 침전물은 제 2차단판(222)의 상류측면에 인접된 하우징(210)의 저면에 설치된 보조침전물배출부(25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맨홀(10)을 다수개 상호 연결하여 맨홀(10) 사이를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맨홀(10)의 여과효과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입구(86)를 통해 다량의 이물질이 포함된 오수가 본체(20)의 유입실(31)로 유입된다.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이나 낙엽과 같은 이물질은 오수의 수면에 부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들은 본체(20)에 형성된 격벽(30)에 의해 배출실(32)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유입실(31) 내의 오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은 부유물배출부(60)의 로터리식 제진기에 의해 외부로 수집 배출된다.
한편, 유입실(31)에 유입된 오수는 격벽(30) 하단에 설치된 스크린(40)을 통해 배출실(32)로 유입된다. 오수가 스크린(40)을 통과하면서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스크린(4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때, 스크린(40)에 다량의 이물질들이 접착되거나 걸린 상태로 하강하거나 부유하지 않고 스크린(40)의 통수공간을 막게 되면 스크린(40)을 통해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유입실(31)에서 오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부유부재(54)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부유부재(54)에 의해 제거부재(51)도 상승하여 스크린(40)에 접착되거나 걸린 상태로 있는 이물질을 스크린(40)에서 이탈시킨다.
한편, 유입실(31)에 침전되는 이물질은 유입실(31) 바닥면에 안착되어 있는 망체(71)에 적층되며, 다량의 침전물이 적층되면, 승강부(72)를 통해 망체(71)를 들어올려 침전물을 본체(2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본체(20)의 배출관(23)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는 유속감속부(200)에 의해 수집되고, 유속감속부(200)와 보조침전물 배출부(250)에 의해 재차 침전물 및 부유물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맨홀(10)은 격벽(30)과 스크린(40)을 통해 배출관(23)으로 배출되는 오수를 여과시키며, 이물제거부(50), 침전물배출부(70) 및 부유물배출부(60)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맨홀(10) 내부로 인입된 부유물이나 침전물에 의해 하수관이 막히거나 이물을 걸러내는 스크린(40)의 통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오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맨홀(10)은 하수도에 설치되어, 강우시 도로 상의 오염물질이 하수도에 유입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맨홀(11)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맨홀(11)은 침전물배출부(80)가 배출실(32)에 설치되며, 부유물배출부(60)가 유입실(31)에 설치된 구조로 형성된다. 침전물배출부(80)의 구 성은 상기와 동일하며, 배출실(32)에 침전된 침전물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부유물배출부(60)은 유입실(31)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로터리식 제진기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로터리식 제진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부유물배출부(60)는 유입실(31)에 유입된 부유물 뿐만 아니라 스크린(40)에 의해 걸러진 침전물을 수집하여 유입실(3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유입실(31) 내부에 설치된 부유불배출부(60)의 단부가 스크린(30)에 인접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유입실(31) 및 배출실(32)측의 본체(20) 바닥면은 상기 침전물배출부(80)에 의해 침전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침전물배출부(80)가 설치된 배출실(3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실(31)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도 경사면을 따라 배출실(32) 바닥면으로 이동하여 쌓이게 된다.
한편, 맨홀(11)은 배출실(32)에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흡입배출부(300)를 더 구비한다.
흡입배출부(300)는 일단은 배출실(32)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맨홀(10)의 외부에 설치되며, 배출실(32)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이 이송되는 흡입배출관(310)과, 상기 흡입배출관(310)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진공펌프(320)를 구비한다.
배출실(32)의 바닥면에 쌓인 침전물은 진공펌프(320)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 실(32)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맨홀의 이물제거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침전물배출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맨홀의 유속감속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맨홀의 보조침전물배출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맨홀
20: 본체
30: 격벽
31: 유입실
32: 배출실
40: 스크린
50: 이물제거부
60: 부유물배출부
70: 침전물배출부

Claims (7)

  1. 오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유입관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실과 상기 배출관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실로 구획하며, 상기 유입실 내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상기 배출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배출실로의 유입이 차단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부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실에서 상기 배출실로 유입되는 침전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잔류하면서 오수의 배수를 방해하는 침전물을 제거하는 이물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침전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격벽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수직바를 구비하며,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각 수직바 사이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하는 제거부와;
    상기 유입실의 오수에 부유하며, 상기 유입실에 수용된 오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거부를 승하강시키는 부유부재와;
    상기 부유부재와 상기 제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배출부는
    상기 유입실 내의 오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유입실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유입실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로터리식 제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실 저면에 설치되며, 유입실 저면에 침전한 침전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배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침전물배출부는
    상기 유입실의 저면에 안착되며, 침전물은 걸러지고 오수는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에 연결되어 상기 망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실 저면에 설치되며, 유입실 저면에 침전한 침전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배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침전물배출부는
    상기 침전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이송공간이 마련되고, 일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침전물을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위치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침전물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퍼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 또는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 또는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오 수를 가이드하며, 상기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 및 침전물을 걸러내는 유속감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속감속부는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가이드하여 상기 오수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된 유로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측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하측은 하부로 오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1차단판과, 상기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측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측은 상부로 오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2차단판이 마련된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단판의 상류측면에 인접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 2차단판에 의해 걸러진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침전물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보조침전물배출부는
    내부로 상기 오수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침전물은 걸러지고 상기 오수는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보조망체와, 상기 보조망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망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 보조걸림부와;
    상기 보조걸림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걸림부를 승강시키는 보조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KR1020090056578A 2009-06-24 2009-06-24 맨홀 KR10104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78A KR101047570B1 (ko) 2009-06-24 2009-06-24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78A KR101047570B1 (ko) 2009-06-24 2009-06-24 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176A true KR20100138176A (ko) 2010-12-31
KR101047570B1 KR101047570B1 (ko) 2011-07-07

Family

ID=4351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578A KR101047570B1 (ko) 2009-06-24 2009-06-24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5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737B1 (ko) * 2011-11-17 2013-03-11 진두남 스틸그레이팅 빗물역류 및 악취 저감장치
KR101370248B1 (ko) * 2012-07-24 2014-03-06 김경식 하수 역류 방지를 위한 배수 장치
KR101539754B1 (ko) * 2014-10-28 2015-07-29 박만헌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회수관형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KR102025841B1 (ko) * 2019-01-18 2019-09-26 (주)화성건설 하수관의 보수공사를 위한 배수장치
KR102303846B1 (ko) * 2021-02-15 2021-09-23 주식회사 호원 맨홀용 협잡물 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70B1 (ko) 2012-09-26 2013-01-09 이문기 쓰레기 자동분리기능을 가진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9693B2 (ja) 1996-10-04 2004-02-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下水道用縦管配管路
JP2000345575A (ja) * 1999-06-03 2000-12-12 Senshin Kogyo Kk 瓦礫等の落下防止用具
US7150290B1 (en) * 2005-02-17 2006-12-19 Electric Technologies, Inc. Unitary concrete pumping station for aqueous waste submersible pumping applications
KR20050095806A (ko) * 2005-09-12 2005-10-04 김하용 이중맨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737B1 (ko) * 2011-11-17 2013-03-11 진두남 스틸그레이팅 빗물역류 및 악취 저감장치
KR101370248B1 (ko) * 2012-07-24 2014-03-06 김경식 하수 역류 방지를 위한 배수 장치
KR101539754B1 (ko) * 2014-10-28 2015-07-29 박만헌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회수관형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KR102025841B1 (ko) * 2019-01-18 2019-09-26 (주)화성건설 하수관의 보수공사를 위한 배수장치
KR102303846B1 (ko) * 2021-02-15 2021-09-23 주식회사 호원 맨홀용 협잡물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570B1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7750B2 (ja) 水処理およびバイパスシステム
KR101047570B1 (ko) 맨홀
KR101222885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US7892425B2 (en) Stormwater plug flow separation system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US6790351B2 (en) Vertical filter
KR101196653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683365B1 (ko)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US20130228527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0649180B1 (ko)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KR100985827B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0902188B1 (ko) 맨홀
KR100673536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JP2003205285A (ja) 沈砂池設備
KR200424846Y1 (ko)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KR100923632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343859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KR101228335B1 (ko) 퇴적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수중보
KR101239754B1 (ko) 와형 침전설비
JP200813837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2236628B1 (ko) 이중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 펌프장
KR20060039086A (ko) 수중보의 수질오염물 수세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