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130A -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 Google Patents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130A
KR20100138130A KR1020090056514A KR20090056514A KR20100138130A KR 20100138130 A KR20100138130 A KR 20100138130A KR 1020090056514 A KR1020090056514 A KR 1020090056514A KR 20090056514 A KR20090056514 A KR 20090056514A KR 20100138130 A KR20100138130 A KR 20100138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molten metal
casting
arm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320B1 (ko
Inventor
박성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3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3/00Cast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2D1/00 - B22D2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4Low pressure casting, i.e. making use of pressures up to a few bars to fill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는, ⅰ)베이스 상에 경동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주조품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이 탑재된 주조기 본체와, ⅱ)상기 주조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에 용탕 주입래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래들 아암과, ⅲ)상기 베이스와 상기 주조기 본체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주조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경동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와, ⅳ)상기 주조기 본체와 상기 래들 아암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래들 아암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와, ⅴ)상기 래들 아암과 상기 용탕 주입래들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용탕 주입래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린더 헤드, 경동, 중력 주조, 래들

Description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GRAVITY CASTING DEVICE OF TILTING TYP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헤드와 같은 주조품을 경동식 중력 주조 방식으로서 제조할 수 있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 사용되는 실린더 헤드는 알루미늄 재질로 주조 성형되는 데, 그 주조 방법으로는 크게 저압주조 방식과, 경동식 중력주조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저압 주조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용탕의 응고 과정에서 금형 하면부의 냉각이 난이하여 주조품의 하면 기공율 및 결함이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안정화와 품질 수준 향상을 위하여 최근에는 경동식 중력 주조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경동식 중력주조 방식의 주조장치는 도 4에서와 같이, 경동 회전 가능한 주조기 본체(101)가 구비되고, 그 주조기 본체(101)의 금형(103)에 주입래들(105)이 고정되게 부착된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주조기 본체(101)가 경사지게 회전한 상태에서 용 탕공급로봇(107)에 의해 주입래들(105)의 내부에 용탕이 공급되고(S1), 그 주조기 본체(101)가 수평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주입래들(105) 내부의 용탕이 중력에 의해 금형(103)으로 충진된다(S2).
그리고 나서, 금형(103)이 일정시간동안 냉각되어 내부의 용탕이 응고되면, 그 금형(103)으로부터 주조품을 취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는 주입래들(105)이 금형(103) 자체에 고정되게 부착 설치되므로, 아래와 같은 원인에 의해 주조품의 불량이 과다하게 발생되고, 설비의 가동율 및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우선, 주입래들(105)의 내부에서 표면으로 부상된 산화 알루미늄 피막과 같은 슬러지 및 주입래들(105) 표면의 내화물과 같은 부유물이 금형으로 투입됨으로 주조품의 수축 결함 및 리크 불량을 야기시키는데, 그 원인으로는 첫째 주조기 본체(101)의 경동 회전으로서 초기에 주입래들(105)의 용탕이 금형(103) 내부로 급속하게 고속 충진되므로 주조품의 살두께가 얇은 부위로 용탕이 충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주입래들(105)이 주조기 본체(101)의 금형(103) 자체에 고정되게 부착 설치되고, 그 주조기 본체(101)의 경동 각도에 따른 경동 속도의 조절이 불가능함으로 야기된다.
둘째, 금형(103)의 용탕 충진 시, 주입래들(105) 바닥면의 잔류 슬러지 및 부유물 등의 불순물이 용탕에 유입되어 주조품의 살두께가 얇은 부위에서 용탕의 정체가 일어나 그 부위로 용탕이 충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셋째, 주입래들(105)의 급속한 냉각으로 금형(103)의 용탕 충진 시 용탕의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 설비의 가동율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으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주입래들(105)의 내부에 잔류하는 슬러지 및 부유물 등의 불순물을 제거/청소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주조기 본체에 대한 주입래들의 독자 구동을 가능케 하여 슬러지 및 부유물과 같은 불순물이 금형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조품의 수축 결함 및 리크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주입래들 내부의 슬러지 및 부유물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설비의 가동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는, ⅰ)베이스 상에 경동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주조품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이 탑재된 주조기 본체와, ⅱ)상기 주조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에 용탕 주입래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래들 아암과, ⅲ)상기 베이스와 상기 주조기 본체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주조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경동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와, ⅳ)상기 주조기 본체와 상기 래들 아암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래들 아암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와, ⅴ)상기 래들 아암과 상기 용탕 주입래들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용탕 주입래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주조기 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작동 로드가 상기 래들 아암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작동 실 린더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부는 상기 래들 아암에 구성되는 서보 기구와, 상기 서보 기구와 상기 용탕 주입래들을 연결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보기구 및 상기 용탕 주입래들에는 연결 브라켓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각 연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탕 주입래들은 용탕을 수용하는 래들 본체와, 상기 래들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격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탕 주입래들은 상기 래들 본체의 양측벽을 가로지르며 고정된 고정축이 구비되며, 상기 격막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는, 상기 베이스 상에 구성되어 상기 용탕 주입래들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 및 상기 용탕 주입래들의 내부로 화염을 분사하는 예열유닛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의하면, 용탕 주입래들이 래들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주조기 본체에 대한 용탕 주입래들의 독자 구동이 가능하여 산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불순물 (슬러지 또는 부유물)이 금형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 결과물인 주조품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비의 가동율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주조기 본체가 제1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 각도 범위별 경동 회전 속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며 래들 본체 내부의 용탕이 금형으로 충진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주조품의 수축 결함 및 리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래들 본체의 내부에 격막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금형의 용탕 충진 시 그 용탕의 표면으로 부상된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슬러지와 부유물을 격막부재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래들 본체로부터 산화 알루미늄 피막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비용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불만 해소로 작업 회피 현상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금형의 용탕 충진 후, 용탕 주입래들을 회전시키고 에어 분사유닛과 예열유닛을 통하여 래들 본체 내부를 클리닝하며 그 래들 본체를 보온 및 예열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 용탕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설비의 가동율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100)는 경동식 중력 주조 방식으로서 실린더 헤드와 같은 차량용 엔진을 제작하는 엔진 가공 공정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100)는 주조품의 수축 결함 및 리크 불량을 줄일 수 있고, 설비의 가동율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주조기 본체(10)와, 래들 아암(20)과,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40)와, 제3 구동부(50)와, 에어 분사유닛(60)과, 예열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조기 본체(10)는 베이스(1)에 장착되며, 주조품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11)이 탑재되고, 그 금형(11)의 내부에 용탕을 충진하기 위해 베이스(1) 상에 경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주조기 본체(10)는 도면을 기준할 때, 좌우측 방향으로 0~60도 범위의 경동 회전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래들 아암(20)은 주조기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이들의 하단부가 베어링(미도시) 등을 통해 주조기 본 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래들 아암들(20)의 상단부에는 용탕이 주입될 수 있는 용탕 주입래들(21)이 장착되며, 그 용탕 주입래들(21)은 래들 아암(20) 사이에서 이들의 상단부에 베어링(미도시)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탕 주입래들(21)은 도 2에서와 같이, 래들 본체(23)와, 격막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래들 본체(23)는 전면과 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서 용탕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후면을 따라 용탕이 내부로 유입되고 전면을 따라 용탕이 외부로 유출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격막부재(25)는 래들 본체(23)의 내부에서 용탕 표면으로 부상된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슬러지 및 래들 본체(23) 표면의 내화물과 같은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래들 본체(23)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래들 본체(23)에는 양측벽을 가로지르며 그 양측벽에 양단부가 고정된 고정축(27)이 구비되는데, 그 고정축(27)에 상기 격막부재(25)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고정축(27)은 장착 브라켓(29)을 통하여 격막부재(25)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동부(30)는 주조기 본체(10)를 선택적으로 경동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1)와 주조기 본체(10)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구동부(30)는 서보 모터와 같은 제1 서보 기구(31)를 포함하는데, 제1 서보 기구(31)는 주조기 본체(10)에 경동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그 주조기 본체(10)의 회전 각도 범위별 경동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서보 기구(31)는, 주조기 본체(10)의 경동 회전에 따른 전체 워킹 타임을 초기, 중기, 말기로 구분할 때, 초기에는 주조기 본체(10)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며, 중기에는 주조기 본체(1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말기에는 주조기 본체(10)를 중속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서보 기구(31)는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 기술의 서보 시스템으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동부(40)는 래들 아암(20)을 주조기 본체(1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주조기 본체(10)와 래들 아암(20)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2 구동부(40)는 주조기 본체(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래들 아암(20)으로 연결되는 작동 실린더(41)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실린더(41)는 장착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주조기 본체(10)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래들 아암(2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작동 실린더(42)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 실린더(41)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서 작동 실린더(42)를 전후진 시키는 통상적인 구조의 작동 실린더로서 구비되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구동부(50)는 래들 아암(20)에 대하여 용탕 주입래들(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래들 아암(20)과 용탕 주입래들(21)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3 구동부(50)는 제2 서보 기구(51)와, 레버부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용탕 주입래들(21)을 110도 범위로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서보 기구(51)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며 그 래들 아암(20)에 구성되는 바, 용탕 주입래들(21)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그 용탕 주입래들(21)의 회전 각도 범위별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서보 기구(51)는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 기술의 서보 시스템으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재(55)는 제2 서보 기구(51)와 용탕 주입래들(21)을 상호 연결하는 레버로서, 이의 양단부가 제2 서보 기구(51) 및 용탕 주입래들(21)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레버부재(55)의 일측 단부는 제2 서보 기구(51)와 연결된 제1 연결 브라켓(56)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용탕 주입래들(21)에 연결된 제2 연결 브라켓(57)에 힌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분사유닛(60)은 용탕의 유출이 완료된 래들 본 체(23)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그 래들 본체(23)에 잔류하는 슬러지, 부유물 또는 용탕을 제거/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에어 분사유닛(60)은 에어를 실질적으로 분사하는 에어 노즐(61)과, 압축 공기를 에어 노즐(61)로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에어 공급부(63)는 에어 공급라인(62)을 통해 에어 노즐(61)과 연결되는데, 그 에어 공급라인(62)에는 전기적인 신호로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6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예열유닛(70)은 래들 본체(23)의 내부로 화염을 분사하여 그 래들 본체(23)를 보온 및 예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예열유닛(70)은 별도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하여 화염을 분사시키는 토오치(71)와, 그 토오치(71)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토오치(71)는 가스 공급라인(75)을 통하여 가스 공급부(73)와 연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100)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S10에서와 같이 주조기 본체(10)는 주조품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11)이 탑재된 상태로 베이스(1)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래들 아암(20)은 후방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용탕 주입래들(21)은 래들 본체(23)의 개구부가 아래를 향하고 있다.
이어서, S20에서와 같이 용탕 주입래들(21)의 래들 본체(23)는 제3 구동부(50)를 통하여 전방 측으로 대략 110도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용탕 주입래들(21)은 래들 본체(23)의 개구부가 후방을 향하고 있다.
다음, S30에서와 같이 주조기 본체(10)는 제1 구동부(30)를 통해 전방 측으로 대략 60도 경사지게 경동 회전하며, 이러는 과정에서 래들 아암(20)은 제2 구동부(40)를 통해 전방 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래들 아암(20)이 전방 측으로 회전함으로 용탕 주입래들(21)의 래들 본체(23)는 그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용탕공급 로봇(미도시)은 래들 본체(23)의 내부에 용탕을 공급한다.
다음, S40에서와 같이 주조기 본체(10)는 제1 구동부(30)를 통해 후방 측으로 회전하며 베이스(1)에 대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래들 아암(20)은 그 주조기 본체(10)에 의해서 후방 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래들 본체(23)는 자연스럽게 주조기 본체(10)의 금형(11)을 향해 경사지게 위치하며, 이로 인해 래들 본체(23) 내부의 용탕은 자중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되며 금형(11)으로 충진된다.
상기 과정에서, 주조기 본체(10)가 제1 구동부(30)에 의해서 회전 각도 범위별 경동 회전 속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며 래들 본체(23) 내부의 용탕이 금형(11)으로 충진되는 바, 이로 인해 주조품의 수축 결함 및 리크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 다.
그리고, 용탕 주입래들(21)에 있어 래들 본체(23)의 내부에 격막부재(25: 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금형(11)의 용탕 충진 시 그 용탕의 표면으로 부상된 산화 알루미늄 피막과 같은 슬러지 및 래들 본체(23) 표면의 내화물과 같은 부유물을 격막부재(25)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 및 부유물 등의 불순물을 격막부재(25)를 통해 제거하여 그 불순물이 금형(11)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주조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S50에서와 같이 래들 아암(20)은 제2 구동부(40)를 통해 후방 측으로 회전하며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여기서, 용탕 주입래들(21)은 래들 본체(23)의 개구부가 후방을 향하게 되며, 이로 인해 래들 본체(23)의 내부에 잔류하는 잔류 용탕 및 산화 알루미늄 피막은 자중에 의하여 바닥부 측에 설치된 받이부재(미도시)로 낙하된다.
다음으로, S60에서와 같이 용탕 주입래들(21)은 제3 구동부(50)를 통하여 후방 측으로 대략 110도 회전하게 되고, 용탕 주입래들(21)은 래들 본체(23)의 개구부가 아래 쪽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 분사유닛(60)은 래들 본체(23)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그 래들 본체(23)에 잔류하는 슬러지, 부유물 또는 용탕을 제거하고, 예열유닛(70)은 래들 본체(23)의 내부로 화염을 분사하여 그 래들 본체(23)를 보온 및 예열하여 다음 작업시 용탕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금형(11)의 용탕이 완전히 응고되면, 그 금형(11)이 분리되면서 이젝트 핀(미도시)에 의해 실린더 헤드와 같은 주조품이 취출되고, 그 주조품은 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해 다른 공정으로 이송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100)에 의하면, 래들 아암(20)이 주조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용탕 주입래들(21)이 래들 아암(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주조기 본체(10)에 대한 용탕 주입래들(21)의 독자 구동이 가능하여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불순물(슬러지 또는 부유물)이 금형(11)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 결과물인 주조품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비의 가동율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주조기 본체(10)가 제1 구동부(30)에 의해서 회전 각도 범위별 경동 회전 속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며 래들 본체(23) 내부의 용탕이 금형(11)으로 충진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주조품의 수축 결함 및 리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래들 본체(23)의 내부에 격막부재(2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금형(11)의 용탕 충진 시 그 용탕의 표면으로 부상된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슬러지 및 래들 본체(23) 표면의 내화물과 같은 부유물을 격막부재(25)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래들 본체(23)로부터 산화 알루미늄 피막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비용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 으며, 작업자의 불만 해소로 작업 회피 현상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금형(11)의 용탕 충진 후, 용탕 주입래들(21)을 회전시키고 에어 분사유닛(60)과 예열유닛(70)을 통하여 래들 본체(23) 내부를 클리닝하며 그 래들 본체(23)를 보온 및 예열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 용탕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설비의 가동율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적용되는 용탕 주입래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에 의한 주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7)

  1. 베이스 상에 경동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주조품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이 탑재된 주조기 본체;
    상기 주조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에 용탕 주입래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래들 아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주조기 본체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주조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경동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
    상기 주조기 본체와 상기 래들 아암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래들 아암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 및
    상기 래들 아암과 상기 용탕 주입래들에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용탕 주입래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주조기 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작동 로드가 상기 래들 아암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작동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부는,
    상기 래들 아암에 구성되는 서보 기구와, 상기 서보 기구와 상기 용탕 주입래들을 연결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기구 및 상기 용탕 주입래들에는 연결 브라켓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각 연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주입래들은,
    용탕을 수용하는 래들 본체와, 상기 래들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격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주입래들은,
    상기 래들 본체의 양측벽을 가로지르며 고정된 고정축이 구비되며, 상기 격막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구성되어 상기 용탕 주입래들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 및 상기 용탕 주입래들의 내부로 화염을 분사하는 예열유닛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KR1020090056514A 2009-06-24 2009-06-24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KR10107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14A KR101072320B1 (ko) 2009-06-24 2009-06-24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14A KR101072320B1 (ko) 2009-06-24 2009-06-24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130A true KR20100138130A (ko) 2010-12-31
KR101072320B1 KR101072320B1 (ko) 2011-10-11

Family

ID=4351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514A KR101072320B1 (ko) 2009-06-24 2009-06-24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322B1 (ko) * 2013-10-04 2014-06-05 디에스메탈 (주) 동-철 합금 빌렛 제조용 금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118B1 (ko) 2018-01-18 2019-04-05 허동욱 틸트형 주조기
KR20210048151A (ko) 2019-10-23 2021-05-03 허동욱 중력 주조기 작동방법
KR102354707B1 (ko) 2020-10-26 2022-01-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형 경동 주조 장치 및 방법
KR102354706B1 (ko) 2020-10-26 2022-01-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형 경동 주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891B1 (ko) * 1997-12-31 2003-03-15 주식회사 만도 경동식중력주조기
KR100737004B1 (ko) * 2006-07-04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조장치의 주입래들
JP2009061457A (ja) * 2007-09-04 2009-03-26 Hokuriku Techno Kk 溶湯搬送用取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322B1 (ko) * 2013-10-04 2014-06-05 디에스메탈 (주) 동-철 합금 빌렛 제조용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320B1 (ko)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320B1 (ko) 경동식 중력 주조장치
CN110918940B (zh) 一种大型有色金属薄壁结构件的铸造装置及铸造方法
KR101036029B1 (ko) 주형 사상기
US6422294B1 (en) Casting apparatus and casting method of cylinder head
KR20100108645A (ko) 래들 수강대차
KR101054866B1 (ko) 다이 캐스팅 장치
KR0177933B1 (ko) 경동식 중력주조기의 용탕 잔류물 자동 제거장치
CN116393684A (zh) 一种重力铸造机及其铸造方法
JP2987407B2 (ja) 連続鋳造機のロングノズル自動清掃装置
KR100370891B1 (ko) 경동식중력주조기
JP3752887B2 (ja) シリンダヘッドの鋳型構造及びその鋳型を用いた鋳造方法
JP2603492Y2 (ja) スプレー装置
JPH09216040A (ja) ダイキャスト成形機
JPS62207555A (ja) ダイカスト製品のせき切断装置
JP3695079B2 (ja) 傾斜式重力鋳造装置
KR101327690B1 (ko) 중력 주조기
KR20230024509A (ko) 2축 회전 경동 주조 장치
JP4177595B2 (ja) 遠心鋳造機におけるトラフからの残留溶湯落下防止装置
JP3700465B2 (ja) 塗型剤の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KR20130094943A (ko) 다이캐스팅 장치용 무빙 후드
JPH05192764A (ja) 鋳造システム
JPH09239511A (ja) 鋳造型エアブロー方法及びエアブロー組込み式鋳造型
JPS6338064Y2 (ko)
CN111673077A (zh) 一种金属型铸造生产线
JPH07100615A (ja) 給湯におけるシール方法および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