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051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051A
KR20100138051A KR1020090056397A KR20090056397A KR20100138051A KR 20100138051 A KR20100138051 A KR 20100138051A KR 1020090056397 A KR1020090056397 A KR 1020090056397A KR 20090056397 A KR20090056397 A KR 20090056397A KR 20100138051 A KR20100138051 A KR 20100138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support
tank
heat exchang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1345B1 (ko
Inventor
신현근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34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드캡이 필요 없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방열핀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서포트가 헤더 탱크를 관통하면서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각 헤더와 탱크를 구비한 한 쌍의 헤더 탱크, 한 쌍의 상기 헤더 탱크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 상기 방열핀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서포트 몸체, 서포트 헤드, 서포트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의 단부에는 상기 서포트 브릿지가 삽입되는 서포트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 브릿지가 맞닿는 상기 서포트 삽입홈의 양 측면에는 상기 서포트를 고정하여 상기 헤더 탱크의 유로를 폐쇄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측면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앤드캡, 열교환기, 써포트, 서포트, 일체형 서포트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엔드캡이 필요 없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방열핀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서포트가 헤더 탱크를 관통하면서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열교환기의 사시도를, 도 2 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열교환기의 일부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열교환기(10)는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헤더 파이프(11) 사이에 복수개의 납작한 튜브(12)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헤더 파이프(11)와 복수개의 상기 튜브(12)를 통해 열교환용 매체가 유동되며 상기 튜브(12)의 사이에 방열 표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한 방열핀(13)이 형성된다. 상기 헤더 파이프(11)의 단부를 밀폐하도록 캡(14)이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튜브(12)들 중 최외측에 배열된 튜브(12)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방열핀(13)을 지지하기 위하여 써포트(15)가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의 열교환기(10)의 제작 방식은 상기 캡(14)을 별도의 부품으로 조립하여 브레이징 접합시키는데 따른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고 부품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 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열교환기(20)가 개시된 바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른 형태의 열교환기(20)는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헤더 파이프(21) 사이에 복수개의 납작한 튜브(22)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을 지닌다. 열교환용 매체는 상기 헤더 파이프(21)와 복수개의 튜브(22)를 통해 유동한다. 상기 튜브(22)의 사이에는 방열의 표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방열핀(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튜브(22)들 중에서 최외측에 배열된 튜브(22)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방열핀(23)을 지지하기 위하여 써포트(25)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최외측의 상기 방열핀(23)은 상기 튜브(22)와 상기 써포트(25) 사이에 유지된다. 상기 헤더 파이프(21)의 단부에 형성된 구명을 폐쇄하는 캡 부분이 상기 써포트(25)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써포트(25)가 상기 헤더 파이프(21)의 단부를 밀폐하는 캡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도 2 에 도시된 종래의 다른 형태의 열교환기(20)는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열교환기(10)보다 제작 공정이 단순해지고 부품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나 캡과 써포트(25)를 일체로 구성함에 따라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부품수와 제작 공정을 줄이면서 헤더 파이프의 단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유지하는 서포트를 구비한 열교환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엔드캡이 필요 없이 서포트가 헤더 탱크를 관통하면서 유로를 폐쇄하여 누출을 방지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각 헤더(1110)와 탱크(1120)를 구비한 한 쌍의 헤더 탱크(1100), 한 쌍의 상기 헤더 탱크(110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1200), 상기 튜브(1200)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1300), 상기 방열핀(1300)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서포트(150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1500)는 상기 방열핀(1300)의 최외측에 형성되는 서포트 몸체(1510), 상기 서포트 몸체(1510)에서 연장되고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단부에서 상기 헤더(1110)와 탱크(1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서포트 헤드(1520), 상기 서포트 몸체(1510)와 상기 서포트 헤드(1520)를 연결하는 서포트 브릿지(1530)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1110)의 단부에는 상기 서포트 브릿지(1530)가 삽입되는 서포트 삽입홈(1112)이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 브릿지(1530)가 맞닿는 상기 서포트 삽입홈(1112)의 양 측면에는 상기 서포트(1500)를 고정하여 상기 헤더 탱크(1100)의 유로(1130)를 폐쇄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측면 돌기(11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더(1110) 및 탱크(1120)와 상기 서포트 헤드(1520)가 맞닿는 양 단부 위치의 상기 헤더 탱크(1100) 내측면에는 상기 서포트 헤드(1520)가 고정되어 상기 헤더 탱크(1100)의 유로(1130)를 폐쇄하도록 상기 헤더(11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헤더측 돌기(1111) 및 상기 탱크(11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탱크측 돌기(11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는,
첫째, 헤더 탱크와 접합을 위해 서포트를 절개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향상된다.
둘째, 엔드캡이 없는 열교환기를 구성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셋째, 헤더 탱크 내부에 돌기를 구성하여 유로를 폐쇄하면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서포트가 헤더를 관통하는 부위는 서포트 삽입홈으로 구비되고 서포트 삽입홈의 측면에 측면 돌기를 구비하여 헤더 탱크의 유로 폐쇄를 보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그 열교환기의 내측과 외측에서 각각 유동되는 두개의 유체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열교환기는 증발기, 히터 코어,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튜브(Tube)에 대한 열교환매체(냉각수)의 유로형식에 따라, 크게 일방향 흐름방식인 원웨이(1-Way) 열교환기와, U자형 유로를 가진 열교환기로 구분할 수 있다. 원웨이 열교환기는, 제 1 헤더 탱크(Header Tank)의 입구를 통하여 제 1 헤더 탱크에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튜브들을 통하여 제 2 헤더 탱크 쪽으로 유동한 다음 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U자형 유로를 가진 열교환기는 제 1 헤더 탱크의 중앙부에 배플(Baffle)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플을 기준으로 제 1 헤더 탱크의 소정위치에 유입ㅇ유출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파이프를 통하여 제 1 헤더 탱크에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면 튜브들을 통하여 제 2 헤더 탱크쪽으로 열교환매체가 유동한 다음, 다시 튜브들을 통하여 제 1 헤더 탱크쪽으로 유동하여 유출파이프를 통해 배출된다.
열교환기는 열교환 매체의 특성, 사용 압력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핀 튜브 형(fin tube type), 서펜다인 형(surpentine type), 라미네이트 형(laminate type), 드론 컵 형(drawn cup type), 패러럴 플로우 형(parallel flow type) 등이 있다. 이 중 패러럴 플로우 형(parallel flow type)은 현재 사용되는 냉매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며 소형이고 경량이라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동일 면적당 방열 특성을 극대화시킨 콘덴서로 통기 저항이 낮아 라디에이터의 방열 부하를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열교환기의 앤드캡 결합 구조는 열교환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열교환유체가 방열핀으로 구비된 튜브로 이동되어 튜브를 냉각하거나 가열되도록 하여 열교환유 체의 열을 방열시키거나 가열되도록 하여 유출하는 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정면도와 일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주요 부분의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을 참조하면 열교환기(100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각 헤더(1110)와 탱크(1120)를 구비한 한 쌍의 헤더 탱크(1100), 한 쌍의 상기 헤더 탱크(110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1200), 상기 튜브(1200)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1300), 상기 방열핀(1300)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서포트(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1200), 방열핀(1300)은 일반적인 열교환기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1500)는 상기 방열핀(1300)의 최외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단부를 폐쇄하도록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1500)는 상기 방열핀(1300)의 최외측에 형성되는 서포트 몸체(1510), 상기 서포트 몸체(1510)에서 연장되고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단부에서 상기 헤더(1110)와 탱크(1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서포트 헤드(1520), 상기 서포트 몸체(1510)와 상기 서포트 헤드(1520)를 연결하는 서포트 브릿지(1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 탱크(1100)는 내부에 구비된 유로(1130)를 통과하는 물질에 의해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단부 측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상기 서포트(1500)중 상기 서포트 헤드(1520)는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헤더 탱크(1100) 단부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엔드캡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헤더 탱크(1100)는 헤더(1110)와 탱크(1120)로 구비될 수 있고 내측에 돌기(1111,1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1110)는 상기 열교환기(1000)에서 상기 튜브(1200)가 형성되는 내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탱크(1120)는 상기 헤더(1110)가 형성된 측과 대향되는 외측으로 위치한다. 상기 헤더(1110)는 상기 튜브(1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다수개의 튜브 삽입홀(11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더(1110)의 양 끝 단부는 상기 서포트(15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 브릿지(1530)는 상기 헤더(1110)를 관통하여 결합되므로 상기 헤더(1110)의 단부에는 상기 서포트 브릿지(1530)가 결합될 수 있는 서포트 삽입홈(1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 브릿지(1530)가 맞닿는 상기 서포트 삽입홈(1112)의 양 측면에는 상기 서포트(1500)를 고정하여 상기 헤더 탱크(1100)의 유로(1130)를 폐쇄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측면 돌기(11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유로(1130)를 통과하는 물질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서포트(1500)는 상기 헤더 탱크(1100)의 상방과 하방으로 즉 상기 유로(1130)의 내부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압력을 받는 상기 서포트(1500)를 상기 헤더 탱크(1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측면 돌기(1112-1)에서 상기 서포트 브릿지(15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헤더(1110) 및 탱크(1120)와 상기 서포트 헤드(1520)가 맞닿는 양 단부 위치의 상기 헤더 탱크(1100) 내측면에는 상기 서포트 헤드(1520)가 고정되어 상기 헤더 탱크(1100)의 유로(1130)를 폐쇄하도록 상기 헤더(11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헤더측 돌기(1111) 및 상기 탱크(11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탱크측 돌기(1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유로(1130)를 통과하는 물질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서포트(1500)는 상기 헤더 탱크(1100)의 상방과 하방으로 즉 상기 유로(1130)의 내부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서포트(1500)를 상기 헤더 탱크(1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돌기(1112-1)가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서포트(15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헤더측 돌기(1111)와 탱크측 돌기(11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헤더 탱크(1100)의 상단 단부 측에서는 상기 서포트(1500)가 결합된 부위의 상단에 상기 헤더측 돌기(1111)와 탱크측 돌기(1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헤더 탱크(1100)의 하단 단부 측에서는 상기 서포트(1500)가 결합된 부위의 하단에 상기 헤더측 돌기(1111)와 탱크측 돌기(1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 돌기(1112-1), 헤더측 돌기(1111)와 탱크측 돌기(1121)는 삼각뿔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측면 돌기(1112-1), 헤더측 돌기(1111)와 탱크측 돌기(1121)의 형상은 상기 서포트(15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 지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헤더측 돌기(1111)와 탱크측 돌기(1121)는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내측에서 상기 서포트 헤드(1520)와 맞닿는 부위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서포트(15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일부만 형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헤더(1110)의 내측에서 홈이 형성된 부분에만 상기 헤더측 돌기(1111)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1120)의 내측에서 상기 홈이 형성된 부분과 대향되는 측면 부위에만 상기 탱크측 돌기(1121)가 형성되는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포함하여 상기 헤더측 돌기(1111)와 탱크측 돌기(1121)의 형성위치는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1130)를 통과하는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서포트 삽입홈(1112)의 하단에는 실링 부재(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로(1130) 내부 물질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헤더 탱크(1100)에는 상기 헤더측 돌기(1111)와 탱크측 돌기(1121)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1130) 내부의 압력이 높을수록 상기 서포트(1500)는 큰 압력을 받게 되고 상기 서포트 헤드(1520)는 상단에 형성된 상기 헤더측 돌기(1111)와 탱크측 돌기(1121)와 더욱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서포트 삽입홈(1112)의 하단에는 이격되는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공간으로 상기 유로(1130) 내부를 통과하는 물질이 외부로 누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포트 삽입홈(1112)의 하단에는 상기 실링 부재(도면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 부재(도면 미도시)는 일반적인 폴리머소재 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며, NBR 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와 실리콘 고무(Silicone Elastomers)를 고려할 수 있다. 실리콘 고무(Silicone Elastomers)는 내열성과 내유성, 내한성, 무독성, 이항성, 내후성, 전기 특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패킹, 가스켓, 오일씰에 주로 사용된다. NBR 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는 내마모성, 내노화성을 가지며 내유성이 매우 우수하여 가스켓, 오일씰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1500)와 상기 헤더 탱크(1100)가 결합되는 다양한 위치에 상기 실링 부재(도면 미도시)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더(1110)에 형성된 홈의 측면이나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내측에서 상기 헤더측 돌기(1111) 및 탱크측 돌기(1121)와 상기 서포트(1500)가 맞닿는 부분 사이에도 설계에 따라 상기 실링 부재(도면 미도시)가 삽입되는 실시예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종래의 열교환기(10,20)는 캡(14)을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거나 써포트(25)와 캡을 일체로 형성하되 헤더 파이프(21)의 단부 측에서 끼움 결합 등으로 체결하도록 형성되어 부품이 증가하고 제조 공정이 늘어나며 헤더 파이프(21)에 체결시 압력에 의해 누설 위험이 있다. 또한 써포트(25)의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고압의 냉매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캡(14)을 결합하거나 캡과 일체로 형성된 써포트(25)를 결합하는 경우 냉매가 누설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000)는 상기 서포트(1500)가 상기 헤더 탱크(1100)를 관통하여 밀착되도록 형성되므로 별도의 캡이 불필요하여 부품 수가 적 고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돌기(1112-1), 헤더측 돌기(1111) 및 탱크측 돌기(1121)와 실링 부재(도면 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유로(1130) 내의 물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식으로 접합되는 종래의 캡과 달리 접합 부위에서 누설 포인트가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열교환기의 일부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정면도와 일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주요 부분의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열교환기
11 : 헤더 파이프 12 : 튜브
13 : 방열핀 14 : 캡
15 : 써포트
20 : 열교환기
21 : 헤더 파이프 22 : 튜브
23 : 방열핀 25 : 써포트
1000 : 열교환기
1100 : 헤더 탱크 1110 : 헤더
1111 : 헤더측 돌기 1112 : 서포트 삽입홈
1112-1 : 측면 돌기 1113 : 튜브 삽입홀
1120 : 탱크 1121 : 탱크측 돌기
1130 : 유로 1200 : 튜브
1300 : 방열핀 1500 : 서포트
1510 : 서포트 몸체 1520 : 서포트 헤드
1530 : 서포트 브릿지

Claims (2)

  1.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각 헤더(1110)와 탱크(1120)를 구비한 한 쌍의 헤더 탱크(1100), 한 쌍의 상기 헤더 탱크(110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1200), 상기 튜브(1200)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1300), 상기 방열핀(1300)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서포트(150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1500)는 상기 방열핀(1300)의 최외측에 형성되는 서포트 몸체(1510), 상기 서포트 몸체(1510)에서 연장되고 상기 헤더 탱크(1100)의 단부에서 상기 헤더(1110)와 탱크(1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서포트 헤드(1520), 상기 서포트 몸체(1510)와 상기 서포트 헤드(1520)를 연결하는 서포트 브릿지(1530)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1110)의 단부에는 상기 서포트 브릿지(1530)가 삽입되는 서포트 삽입홈(1112)이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 브릿지(1530)가 맞닿는 상기 서포트 삽입홈(1112)의 양 측면에는 상기 서포트(1500)를 고정하여 상기 헤더 탱크(1100)의 유로(1130)를 폐쇄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측면 돌기(11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1110) 및 탱크(1120)와 상기 서포트 헤드(1520)가 맞닿는 양 단부 위치의 상기 헤더 탱크(1100) 내측면에는 상기 서포트 헤드(1520)가 고정되어 상기 헤더 탱크(1100)의 유로(1130)를 폐쇄하도록 상기 헤더(11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헤더측 돌기(1111) 및 상기 탱크(11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탱크측 돌기(11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90056397A 2009-06-24 2009-06-24 열교환기 KR10155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397A KR101551345B1 (ko) 2009-06-24 2009-06-24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397A KR101551345B1 (ko) 2009-06-24 2009-06-24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051A true KR20100138051A (ko) 2010-12-31
KR101551345B1 KR101551345B1 (ko) 2015-09-08

Family

ID=4351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397A KR101551345B1 (ko) 2009-06-24 2009-06-24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1084A (zh) * 2019-09-13 2022-04-22 阿法拉伐股份有限公司 用于热交换器板的固持装置、用于热交换器板的垫圈布置、具有边缘部分的热交换器板和板式热交换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1084A (zh) * 2019-09-13 2022-04-22 阿法拉伐股份有限公司 用于热交换器板的固持装置、用于热交换器板的垫圈布置、具有边缘部分的热交换器板和板式热交换器
CN114391084B (zh) * 2019-09-13 2023-10-03 阿法拉伐股份有限公司 用于热交换器板的固持装置和垫圈布置、热交换器板和板式热交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345B1 (ko)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17704B (zh) 集成热交换器
CN106918165B (zh) 一种换热装置
US10473209B2 (en) Heat exchange device
CN113383205B (zh) 换热器
JP2009216151A (ja) シ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器
KR20100138051A (ko) 열교환기
KR101543608B1 (ko) 수냉식 콘덴서
US20080073068A1 (en) Radiator
KR101422696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20200000639A (ko) 열교환기
JP2018151075A (ja) 熱交換器
KR102533346B1 (ko) 일체형 열교환기
US20220282938A1 (en) Tank structure of heat exchanger
EP3943861B1 (en) A heat exachanger
KR100681291B1 (ko) 알루미늄제 라디에이터에 내장되는 오일쿨러의 파이프커넥터 연결구조
KR100810057B1 (ko) 응축기의 배플 결합구조
KR20110073103A (ko) 응축기와 라디에이터의 실링 구조
KR20100067153A (ko) 오일쿨러 및 라디에이터 탱크 조립체
KR100807749B1 (ko) 알루미늄 라디에이터 일체형 오일 쿨러
KR20060089396A (ko) 알루미늄 라디에이터
KR20090076445A (ko) 오일쿨러 내장형 라디에이터 탱크
KR200359804Y1 (ko) 열교환기의 배플 고정구조
KR101395746B1 (ko) 오일쿨러 및 라디에이터 탱크 조립체
KR101436957B1 (ko) 오일쿨러 내장형 라디에이터 탱크
KR20210120513A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