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608B1 - 수냉식 콘덴서 - Google Patents

수냉식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608B1
KR101543608B1 KR1020090091609A KR20090091609A KR101543608B1 KR 101543608 B1 KR101543608 B1 KR 101543608B1 KR 1020090091609 A KR1020090091609 A KR 1020090091609A KR 20090091609 A KR20090091609 A KR 20090091609A KR 101543608 B1 KR101543608 B1 KR 10154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ase
lower case
heat exchange
exchan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172A (ko
Inventor
심호창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6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8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Venti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28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air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0Housing; Encap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랭식의 콘덴서를 수냉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콘덴서 자체의 크기를 컴팩트화하여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열교환 성능도 향상시키게 되는 수냉식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수냉식 콘덴서는 콘덴서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한정된 엔진룸 상의 설계가 자유로워지며,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우수한 냉방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통해 콘덴서와 케이스를 결합시켜 케이스 내부로 유동되는 냉각수의 온도변화나 압력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여 케이스의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수냉식, 콘덴서, 열교환기, 구조

Description

수냉식 콘덴서{A Water Cooling Type Condenser}
본 발명은 차량용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랭식의 콘덴서를 수냉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콘덴서 자체의 크기를 컴팩트화하여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열교환 성능도 향상시키게 되는 수냉식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열에너지를 재사용하거나 용도에 맞게 온도를 낮추거나 높여 사용할 목적 등으로 각종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에도 각종 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있다. 콘덴서는 열교환기의 한 종류이며,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한 구성요소로 외부의 공기와 열 교환하여 자동차 실내로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냉방장치이다. 콘덴서는 냉매가 유입되고 유입된 냉매가 튜브로 이동되어 튜브를 냉각시켜 냉매의 열을 방열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공랭식 콘덴서의 분해사시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덴서(200)는 나란하게 일정간격으로 적층 배열 되는 복수개의 튜브(110); 상기 튜브(11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120); 및 상기 튜브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헤더(130,130')와, 상기 헤더(130,130')와 결합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40,140')로 구성되는 헤더탱크(1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콘덴서는 외부공기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교환 면적을 넓이기 위해 콘덴서의 크기가 커지고 열교환 효율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강제로 공기를 불어넣는 팬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한정된 공간의 제약을 받는 엔진룸에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냉각수를 사용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수냉식 콘덴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공랭식 콘덴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공간의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그 구성이 복잡해 제작비용 및 시간이 많이 들고, 냉각수가 저장되고 콘덴서가 수용되는 케이스가 열교환 이후 고온 고압의 상태로 변한 냉각수에 의해 변형이 될 수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덴서의 열교환 방식을 수냉식으로 하고, 콘덴서와 케이스를 결합돌기 와 결합홈을 통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크기도 작으며, 열교환 효율도 높고, 냉각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수냉식 콘덴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수냉식 콘덴서는 내부에 제 1열교환매체가 유동되며 상측이 개방된 함체 형태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제 1입구파이프(12)와, 상기 제 1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제 1출구파이프(13)와, 상기 본체(11) 내측에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15)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0); 상기 하부케이스(10)의 개방된 상측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를 밀폐시키는 상부케이스(20);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본체(11)내에 삽입되고,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탱크(30a) 및 하부탱크(30b)와, 상기 상부 및 하부탱크(30a, 30b)에 양단에 고정되어 제 2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1)와, 상기 상부 또는 하부탱크(30a, 30b)에 연결되어 제 2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제 2입구파이프(33)와, 상기 상부 또는 하부탱크(30a, 30b)에 연결되어 제 2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제 2출구파이프(34) 및 상기 튜브(31)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외측으로 상기 결합홈(15)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35)를 형성하는 콘덴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일정 영역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배출시키고 오버플로 되는 제 1열교환매체를 수용하는 리저버탱크(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저버탱크(23) 상단에는, 냉각수의 보충을 위한 주입구(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0)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10)에는, 상기 제 2입구파이프(33) 및 제 2출구파이프(34)가 관통되는 관통홀(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0)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10)에는, 상기 관통홀(21)과 상기 제 2입구파이프(33) 및 제 2출구파이프(34)의 연결부위에 냉각수 누수 방지를 위한 누수방지수단(2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입구파이프(12)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측에 연통되고, 상기 제 1출구파이프(13)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하측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덴서(30)는 상기 튜브(31) 사이에 개제되는 핀(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하면에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파이프(14)가 연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수냉식 콘덴서는 콘덴서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한정된 엔진룸 상의 설계가 자유로워지며,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우수한 냉방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통해 콘덴서와 케이스를 결합시켜 케이스 내부로 유동되는 냉각수의 온도변화나 압력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여 케이스의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냉식 콘덴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케이스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콘덴서가 내설된 하부케이스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수냉식 콘덴서구조 투시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냉식 콘덴서는 하부케이스(10), 상부케이스(20) 및 콘덴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냉각수는 이하 제 1열교환매체로 표기하며, 상기 냉각수가 유동되는 구성 역시 제 1로 표기한다. 또한 콘덴서 내부로 유동되는 냉매는 이하 제 2열교환매체로 표기하며, 상기 냉매가 유동되는 구성 역시 제 2로 표기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케이스(10)에는 본체(11), 제 1입구파이프(12), 제 1출구파이프(13), 드레인파이프(14) 및 결합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는 함체 형태로 상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제 1열교환매체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제 1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을 위한 상기 콘덴서가 본체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사시도의 좌측아래는 전방으로 정의하고, 우측위쪽을 후방으로 정의할 때, 상기 하부케이스(10)의 후방 측면 상측에는 제 1입구파이프(12)가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입구파이프(12)는 일측이 상기 본체(11)와 연통되고 타측이 고온고압의 제 1열교환매체를 저온저압으로 열교환시키는 라디에이터(미도시)와 연통되어 저온저압의 제 1열교환매체를 상기 본체(11)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전방 측면 하측에는 제 1출구파이프(13)가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출구파이프(13)는 일측이 상기 본체(11)와 연통되고 타측이 고온고압의 제 1열교환매체를 저온저압으로 열교환시키는 라디에이터(미도시)와 연통되어 고온고압의 제 1열교환매체를 상기 라디에이터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라디에이터는 기존의 엔진용 라디에이터와는 별개의 라디에이터로 엔진용 라디에이터의 운용온도가 섭씨110~120도인 것에 반해 상기 라디에이터는 운용온도가 섭씨60~70도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라디에이터를 전문용어로는 LTR(Low Temperature Radiator)라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0)의 하면에는 드레인파이프(14)가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파이프(14)는 일측이 상기 본체(11)의 하면과 연통되고 타측이 외 부로 노출되어 있어 제 1열교환매체의 교환이나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수리를 위해 본체(11)내부에 저장된 제 1열교환매체를 강제로 외부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파이프(14)상에는 상기 드레인파이프(14)의 개폐를 위한 밸브(1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전방 및 후방 측면에는 대칭으로 결합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5)은 상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5)은 좌우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하 높이를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5a)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5a)는 끝단이 서로 마주보는 쪽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1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5)은 후술되는 콘덴서(30)의 끼움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결합구조는 콘덴서(30)의 구성을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케이스(20)는 관통홀(21) 및 누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판의 둘레부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형성된 내면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단순히 판의 측단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과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를 밀폐하기 위한 구성이면 어떠한 형상 또는 결합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후술되는 제 2입구파이프(33) 및 제 2출구파이프(34) 가 관통되는 관통홀(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1)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과 제 2입구 또는 제 2출구 파이프(33, 34)가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열교환매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1)은 상부케이스(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부케이스(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20)에 형성되거나 하부케이스(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1)과 제 2입구 또는 제 2출구 파이프(33, 34)가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누수방지수단(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수단(24)은 나사부(24a), 실링부(24b) 및 너트부(2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수단(24)은 제 2입구 또는 제 2출구파이프(33, 34)와 결합되는 관통홀(21)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24a)는 상기 관통홀(21)의 둘레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24a)의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부(24c)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24a)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실링부(24b)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b)는 수지재의 오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b)는 상기 제 2입구 또는 제 2출구파이프(33, 34)의 외주면과 상기 나사부(24a)의 상단 내주면이 맞닿는 부위 즉 상기 나사부(24a)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상기 제 1열교환 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너트부(24c)는 상기 나사부(24a)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너트부(24c)의 상측은 상기 제 2입구 또는 제 2출구파이프(33, 34)를 관통시킬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24c)가 상기 나사부(24a)에 결합될 때 상단 내면이 상기 실링부(24b)를 압박하여 실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콘덴서(30)의 구성은 기존의 콘덴서가 그대로 적용되는바 간략하게 그 구성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30)는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탱크(30a) 및 하부탱크(30b)와, 상기 상부 및 하부탱크(30a, 30b)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31)와, 상기 튜브(31)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31)는 나란하게 배열되어 제 2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며 복수개로 된다. 또한, 각각의 튜브(31)들 사이에는 핀(32)이 개재된다.
상기 상부탱크(30a) 및 하부탱크(30b)는 상기 튜브(31)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튜브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탱크(30a) 및 하부탱크(30b)와 함께 제 2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탱크(30a)의 측단에는 상기 제 2열교환매체 유입을 위한 제 2입구파이프(33)가 상기 상부탱크(30a)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탱크(30a)의 측단에는 상기 제 2열교환매체 배출을 위한 제 2출구파이프(34)가 상기 상부탱크(30a)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탱크(30a)상에 제 2입구파이프(33)와 제 2출구파이프(34)가 연통되되, 제 2열교환매체의 유로 일측이 제 2입구파이프(33)와 연통되며, 제 2열교환매체의 유로 타측이 제 2출구파이프에 연통되게 된다. 상기 제 2입구파이프(33)는 상기 콘덴서(30)로 제 2열교환매체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 2출구파이프(34)는 상기 콘덴서(30)로부터 열교환된 제 2열교환매체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입구파이프(33) 및 상기 제 2출구파이프(34)는 상부탱크(30a)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부탱크(30b)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2입구파이프(33) 및 상기 제 2출구파이프(34)는 상부탱크(30a)에 연결되거나 하부탱크(30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입구파이프(33) 및 상기 제 2출구파이프(34)가 상부탱크(30a)에 연결될 경우, 상기 관통홀(21)은 상부케이스(20)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입구파이프(33) 및 상기 제 2출구파이프(34)가 하부탱크(30b)에 연결될 경우, 상기 관통홀(21)은 하부케이스(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덴서(30)가 상기 하부케이스(10)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0)에 의해 밀폐되기 때문에 상기 제 2입구 및 제 2출구 파이프(33, 34)는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관통홀(21)을 통해 외부로 연통된다.
상기 콘덴서(30)의 전방 및 후방 측면에는 상기 결합홈(15)에 대응되는 결합돌기(35)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5)는 상기 핀(32)사이에 끼워져 일측이 전방 측면에 돌출되고 타측이 후방 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핀(32)과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몸체(35a)와 판 형상으로 하면의 상기 몸체(35a)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판(35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35a)는 상기 절곡부(15b)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끼움판(35b)의 내면이 상기 절곡부(15b)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결합홈(15)의 상단에서부터 슬라이드 되면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5)는 결합홈(15)의 상하 높이방향과 대응하여 상하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덴서(30)와 상기 하부케이스(10)가 상기 결합돌기(35)와 결합홈(15)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전방 및 후방 측면이 내부 압력으로 인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결합된 상부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10) 내부로 유동되는 제 1열교환매체의 온도변화나 압력에 따른 결합된 상부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10)의 변형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된 상부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10)의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 투시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는 상기 제 1실시예와 상부케이스(20)의 구성만이 상이한바 나머지 구성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케이스(20)에는 관통홀(21), 주입구(22), 리저버탱크(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판의 둘레부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형성된 내면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단순히 판의 측단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과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를 밀폐하기 위한 구성이면 어떠한 형상 또는 결합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제 1실시예에서 상술된 제 2입구파이프(33) 및 제 2출구파이프(34)가 관통되는 관통홀(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1)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과 제 2입구 또는 제 2출구 파이프(33, 34)가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열교환매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홀(21)과 제 2입구 또는 제 2출구 파이프(33, 34)가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누수방지수단(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상면에는 리저버탱크(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저버탱크(23)는 함체 형상으로 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연통되고, 상면에는 주입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저버탱크(23)는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저장되는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어 오버플로 되는 상기 제 1열교환매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주입구(22)는 상부가 외부와 연통되어 캡(22a)을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22)는 제 1열교환매체를 보충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주입구(22)의 측면에는 오버플로우관(2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 기 오버플로우관(22b)은 일측이 상기 주입구의 측면과 연통되고,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배출시키고, 제 1열교환매체가 리저버탱크(23)의 수위를 넘어서게 되는 경우 강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 투시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는 상기 제 1실시예와 콘덴서(30)의 구성만이 상이한바 나머지 구성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3실시예에 따른 콘덴서(30)는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탱크(30a) 및 하부탱크(30b)와, 상기 상부 및 하부탱크(30a, 30b)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31)로 구성된다.
상기 제 3실시예의 콘덴서(30)가 상기 제 1실시예와 구별되는 점은 튜브(31)에 개제되는 핀이 삭제되었다는 점이다.
상기 핀은 공랭식으로 열교환하는 콘덴서의 경우 필수구성이 될 수 있지만, 수냉식 콘덴서의 경우 열교환 성능이 공랭식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핀을 삭제해도 열교환 성능저하가 크지 않다.
상기 튜브(31)는 나란하게 배열되어 제 2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며 복수 개로 된다.
상기 상부탱크(30a) 및 하부탱크(30b)는 상기 튜브(31)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튜브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탱크(30a) 및 하부탱크(30b)와 함께 제 2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핀이 삭제된 콘덴서(30)의 구성은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단가도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콘덴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냉식 콘덴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케이스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콘덴서가 내설된 하부케이스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냉식 콘덴서구조 투시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 투시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수냉식 콘덴서 투시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케이스 11 : 본체
12 : 제 1입구파이프 13 : 제 1출구파이프
14 : 드레인파이프 15 : 결합홈
20 : 상부케이스 21 : 관통홀
22 : 주입구 23 : 리저버탱크
24 : 누수방지수단
30 : 콘덴서 31 : 튜브
32 : 핀 33 : 제 2입구파이프
34 : 제 2출구파이프 35 : 결합돌기

Claims (8)

  1. 내부에 제 1열교환매체가 유동되며 상측이 개방된 함체 형태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제 1입구파이프(12)와, 상기 제 1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제 1출구파이프(13)와, 상기 본체(11) 내측에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15)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0);
    상기 하부케이스(10)의 개방된 상측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를 밀폐시키는 상부케이스(20);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본체(11)내에 삽입되고,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탱크(30a) 및 하부탱크(30b)와, 상기 상부 및 하부탱크(30a, 30b)에 양단에 고정되어 제 2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1)와, 상기 상부 또는 하부탱크(30a, 30b)에 연결되어 제 2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제 2입구파이프(33)와, 상기 상부 또는 하부탱크(30a, 30b)에 연결되어 제 2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제 2출구파이프(34) 및 상기 튜브(31)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외측으로 상기 결합홈(15)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35)를 형성하는 콘덴서(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콘덴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일정 영역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배출시키고 오버플로(Overflow)되는 제 1열교환매체를 수용하는 리저버탱크(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콘덴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탱크(23) 상단에는,
    냉각수의 보충을 위한 주입구(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콘덴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10)에는,
    상기 제 2입구파이프(33) 및 제 2출구파이프(34)가 관통되는 관통홀(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콘덴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10)에는,
    상기 관통홀(21)과 상기 제 2입구파이프(33) 및 제 2출구파이프(34)의 연결 부위에 냉각수 누수 방지를 위한 누수방지수단(2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콘덴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입구파이프(12)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측에 연통되고, 상기 제 1출구파이프(13)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하측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콘덴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30)는 상기 튜브(31) 사이에 개제되는 핀(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콘덴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하면에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파이프(14)가 연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콘덴서.
KR1020090091609A 2009-09-28 2009-09-28 수냉식 콘덴서 KR10154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609A KR101543608B1 (ko) 2009-09-28 2009-09-28 수냉식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609A KR101543608B1 (ko) 2009-09-28 2009-09-28 수냉식 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172A KR20110034172A (ko) 2011-04-05
KR101543608B1 true KR101543608B1 (ko) 2015-08-11

Family

ID=4404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609A KR101543608B1 (ko) 2009-09-28 2009-09-28 수냉식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8360A (zh) * 2016-09-14 2016-11-23 铜陵源丰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水冷式散热型电容器
KR101941094B1 (ko) * 2018-08-13 2019-04-12 덕일산업 주식회사 액체열확산판을 이용한 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3863A1 (de) * 2014-01-23 2015-07-23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Vorrichtung zur Wärmeübertrag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87A (ja) 2006-03-01 2007-09-13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および一体型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87A (ja) 2006-03-01 2007-09-13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および一体型熱交換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8360A (zh) * 2016-09-14 2016-11-23 铜陵源丰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水冷式散热型电容器
KR101941094B1 (ko) * 2018-08-13 2019-04-12 덕일산업 주식회사 액체열확산판을 이용한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172A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3209B2 (en) Heat exchange device
CN110017704B (zh) 集成热交换器
US20120234021A1 (en) Heat exchanger
KR101543608B1 (ko) 수냉식 콘덴서
KR20160103507A (ko) 쿨링모듈
KR20120020817A (ko) 라디에이터
KR100737160B1 (ko) 응축기와 라디에이터의 일체형 열교환기
KR20080095369A (ko) 증발기
KR101422696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101280619B1 (ko) 열교환기
KR101855850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20100067153A (ko) 오일쿨러 및 라디에이터 탱크 조립체
KR100457495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히터 코어
JP7290030B2 (ja) 熱交換器
KR102563437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US20220144077A1 (en) Shutter device for vehicle
KR101233091B1 (ko) 열교환기
KR20080104559A (ko) 열교환기
KR101453304B1 (ko) 열교환기
CN116235017A (zh) 具有用于减小热应力的装置的热交换器
KR20230115727A (ko) 열교환기
KR101609670B1 (ko) 오일 쿨러
KR200150667Y1 (ko) 차량용 복합기능 열교환장치
KR200372348Y1 (ko) 오일쿨러내장형라디에이터
KR101527871B1 (ko) 서포트형 튜브가 구비된 오일쿨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