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879A - Hdmi커넥터 - Google Patents

Hdmi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879A
KR20100137879A KR1020090056129A KR20090056129A KR20100137879A KR 20100137879 A KR20100137879 A KR 20100137879A KR 1020090056129 A KR1020090056129 A KR 1020090056129A KR 20090056129 A KR20090056129 A KR 20090056129A KR 20100137879 A KR20100137879 A KR 2010013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plane
portions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155B1 (ko
Inventor
이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to KR102009005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15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는 HDMI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HDMI 커넥터는 절연체와, 절연체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접촉부재는 절연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와, 절연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단자부와, 접촉부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접촉부는 평행한 2개의 접촉평면에 각각 배열되.고, 단자부는 평행한 4개의 단자평면에 각각 배열된다
HDMI, 커넥터, 단자부

Description

HDMI커넥터{HDMI CONNECTOR}
본 발명은 HDMI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PCB)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4개의 서로 다른 평면에 배열한 HDMI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는 디지털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압축 없이 전송 가능하게 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HDMI 커넥터와 HDMI 플러그의 형태로 전자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TV와 셋톱 박스, 디지털 TV와 퍼스널 컴퓨터 등에 각각 나누어 구비되어 일 방향 또는 상호 간에 신호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HDMI 커넥터는 절연체 및 절연체에 고정된 복수 개의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부재는 대응하는 접촉자와 연결되는 접촉부 및 기판과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한다. 단자부는 기판에 납땜되거나 또는 기판에 형성된 스루홀(through hole)에 삽입됨으로써 기판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와 기판의 연결에서, 단자부는 접촉부에 비해서 더욱 큰 간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판과 연결되는 단자부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는 HDMI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HDMI 커넥터는, 절연체와, 절연체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접촉부재는 절연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와, 절연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단자부와, 접촉부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접촉부는 평행한 2개의 접촉평면에 각각 배열되고, 단자부는 평행한 4개의 단자평면에 각각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평면은 제1접촉평면 및 제2접촉평면을 구비하고, 접촉부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제1접촉평면 및 제2접촉평면에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제1접촉평면 및 제2접촉평면에 각각 위치하는 인접한 한 쌍의 접촉부는 서로 다른 단자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촉평면의 일 측에서 접촉부의 순차적인 3개의 조합은 접촉부세트를 형성하고, 접촉부세트 중 2개의 접촉부에 대응하는 단자부는 동일한 단자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접촉부세트에 대응하는 단자부는 서로 다른 단자평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접촉부재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는 동일한 접촉평면 및 동일한 단자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는 접촉평면 및 단자평면에서 상호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단자평면은 제1단자평면, 제2단자평면, 제3단자평면 및 제4단자평면을 구비하고, 제1단자평면 내지 제4단자평면 사이의 간격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재의 접촉부 및 단자부는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절연체를 감싸는 쉘커버를 더 포함하고, 쉘커버는 접촉부를 감싸는 몸통부와, 몸통부의 일단에서 상향 돌출된 고정부와, 몸통부의 타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쉘커버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절연체는 접촉부가 위치하는 돌출부와, 절곡부가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체에는 단자부를 지지하는 고정판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과 연결되는 단자부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다양한 종류의 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HDMI 커넥터(10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HDMI 커넥터(100)의 결합 사시도는 접촉부재(120)의 접촉부(122)를 나타내고, 도 3에 도시된 HDMI 커넥터(100)의 결합 사시도는 접촉부재(120)의 단자부(124)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접촉부재(120)의 사시도로서, 도 4는 제1접촉평면(222) 상에 배열되는 접촉부(122)를 나타내고 도 5는 제2접촉평면(224) 상에 배열되는 접촉부(122)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는 핀(pin) 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접촉부재(120)와, 접촉부재(120)를 지지하는 절연체(160)와, 절연체(160)를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쉘커버(shell cover, 160)와, 접촉부재(120)의 단자부(124)를 지지하여 정위치 설정하는 고정판(1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서, 복수 개의 접촉부재(120)는 금속 재질에 의해서 형성되고 절연체(160)에 의해 상호 절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는 19개의 접촉부재(120)를 구비하는 예시하였지만, 접촉부재(120)의 수는 커넥터의 특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서 접촉부재(120)는, 대응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의 대응 접촉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는 접촉부(122)와,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는 단자부(124)와, 접촉부(122) 및 단자부(124)를 상호 연결하면서 양자의 수평 위치를 다르게 하는 절곡부(128)를 포함한다.
접촉부(122)는 절연체(160)의 돌출부(162) 상에 위치하면서 쉘커버(140)에 의해 둘러 싸이게 된다. 접촉부(122)는 평행한 2개의 접촉평면 즉, 제1접촉평면(222, 도 8 참조) 및 제2접촉평면(224, 도 8 참조) 상에 지그재그(zigzag)로 배열된다.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10개의 접촉부재(120)가 구비하는 접촉부(122)는 제1접촉평면(222)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9개의 접촉부재(120)가 구비하는 접촉부(122)는 제2접촉평면(224)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제1접촉평면(222)은 절연체(160)에 형성된 돌출부(162)의 일면에 해당하고, 제2접촉평면(224)은 돌출부(162)의 타면에 각각 해당한다.
단자부(124)는 접촉부(122)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접촉부(122)와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단자부(124)는 절연체(160)에 대해서 접촉부(122)와 반대 방향으로 쉘커버(140)의 외부로 돌출된다. 단자부(124)는 평행한 4개의 단자평면, 즉 제1단자평면(242), 제2단자평면(244), 제3단자평면(246) 그리고 제4단자평면(248)에 각각 배열된다. 참고로, 도 9를 참조하면, 단자부(124)는 제1단자평면(242), 제2단자평면(244), 제4단자평면(248)에 각각 5개가 배열되고, 제3단자평면(246)에 4개가 배열된다.
복수 개의 단자부(124)는 고정판(180)에 형성된 관통공(182)을 통과함으로써 본래 의도한 단자부(124)의 위치에 정위치 설정된다. 고정판(180)은 절연체(160)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단자부(124)를 상호 절연시킨다.
접촉부(122)와 단자부(124)를 연결하는 절곡부(128)는, 그 일부가 절연체(160)의 내부에 매립된다. 따라서 절연체(160)의 내부에 매립되는 절곡부(128) 및 접촉부(122)의 일부에 의해, 접촉부재(120)는 절연체(16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접촉부재(120)는 절곡부(128)를 구비한다. 절곡부(128)는 접촉부(122)가 형성된 제1접촉평면(222) 또는 제2접촉평면(224)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어 단자부(124)가 위치하는 제1단자평면(242) 내지 제4단자평면(248)에 연결되는 것으로, 접촉부(122)와 단자부(124)를 서로 다른 평면상에 위치하게 한다.
각각의 절곡부(128)의 길이 및 경사각은 대응하는 접촉부(122) 및 단자부(124)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부(128)는, 2개의 접촉평면(222, 224)에 촘촘하게 배열된 접촉부재(120)를 4개의 단자평면(242, 244, 246, 248)으로 분산함으로써, 기판 등과 연결되는 접촉부재(120)의 단자부(124)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단자부(124)가 결합되는 기판의 스루홀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는 다양한 종류의 기판과 연결될 수 있어서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서, 접촉부(122) 및 단자부(124)의 배열에 대해서는 아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쉘커버(14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142)와, 몸통부(14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편(144)과, 몸통부(142)의 일단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146)와, 몸통부(142)의 타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쉘커버단자(148)와, 몸통부(142)의 좌우 측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결합후크(152)를 포함한다.
쉘커버(140)의 몸통부(142)는 그 내부에 절연체(160) 및 고정판(180)을 고정한다. 몸통부(142)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몸통부(142)에 압입되는 절연체(160)의 지지부(164)는 몸통부(142)와 동일한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몸통부(142)의 내면에는 상하 각각 한 쌍의 탄성편(14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144)은 몸통부(142)가 다른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는 경우, 결합된 커넥터와의 결합 강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46)는 몸통부(142)의 일단에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 중앙에는 결합공(147)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46)는 커넥터가 결합하는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프레임 등에 고정된다.
쉘커버단자(148)는 몸통부(142)의 타단에서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쉘커버단자(148)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스루홀 등에 삽입된다.
결합후크(152)는 몸통부(142)의 좌우 양측에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절연체(160)의 지지부(164)에 삽입되어 절연체(160)를 쉘커버(140)에 고정한다.
절연체(160)는 쉘커버(140)의 내부에 고정되어 위치하면서, 복수 개의 접촉부재(1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접촉부재(120) 상호간을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체(160)는 돌출부(162), 지지부(164) 및 위치결정돌기(166)를 포함한다.
돌출부(16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커버(140)의 몸통부(142)에 의해 둘러 싸이는 부분으로서, 그 상하면에는 복수 개의 접촉부(122)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돌출부(162)의 상면에는 10개의 접촉부(122)가 배열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9개의 접촉부(122)가 배열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접촉부(122)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다.
지지부(164)는 쉘커버(140)의 몸통부(142)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접촉부(122)의 일부 및 절곡부(128)가 매립되어 있다. 지지부(164)는 쉘커버(140)의 몸통부(142)에 압입된 후 걸림후크(152)에 의해 고정된다.
위치결정돌기(16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160)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다. 위치결정돌기(166)는 커넥터(100)가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과 결합되는 경우 커넥터(100)를 정위치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판(180)은 사각 형상을 가지고 쉘커버(140)에 압입되어 결합된다. 고정판(180)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182)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재(120)의 단자부(124)는 관통공(182)을 통과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다. 이 와 같이, 관통공(182)은 단자부(124)를 지지하여 정위치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 개의 관통공(182)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단자부(124)와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접촉부재(12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절연체(160)의 돌출부(162)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열되어 있는 접촉부(122)는 절곡부(128)에 의해 갈라져서 4개의 단자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부재(120)의 접촉부(122)는 돌출부(162)의 상면 및 하면에 해당하는 2개의 평면에 위치하지만, 단자부(124)는 절곡부(128)에 의해 갈라져서 4개의 단자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2개의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접촉부재(120)가 4개의 평면 상으로 분산됨으로써, 접촉부재(12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7에서, 돌출부(162)의 상면에는 10개의 접촉부(122)가 배열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9개의 접촉부(122)가 배치되어 있는 반면에, 도 6과 같이, 단자부(124)는 상대적으로 큰 간격을 가지고 4개의 평면으로 분산되어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자부(124)는 4개의 평면에 각각 5개, 5개, 4개 및 5개가 분산되어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단자부(124)의 배열은 커넥터(100)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단자부(124) 사 이의 간격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4개의 평면에 배열된 단자부(124)의 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는 19개의 접촉부재(120)를 예시하였는데, 각각의 접촉부재(120)는 아래 표와 같이 신호가 할당될 수 있다.
접촉부재번호 신호 할당 접촉부재번호 신호 할당
1 TMDS Data2+ 2 TMDS Data2 Shield
3 TMDS Data2- 4 TMDS Data1+
5 TMDS Data1 Shield 6 TMDS Data1-
7 TMDS Data0+ 8 TMDS Data0 Shield
9 TMDS Data0- 10 TMDS Clock+
11 TMDS Clock Shield 12 TMDS Clock-
13 CEC 14 Reversed(N.C.on device)
15 SCL 16 SDA
17 DDC/CEC Ground 18 +5V Power
19 Hot Plug Detect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부재(120)는 데이터(data2, data1, data0)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전송 접촉부재의 접촉부재번호는 1, 3, 4, 6, 7, 9번에 해당한다. 그리고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는 동일한 접촉평면 및 단자평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촉부재(120)의 길이가 동일하다. 즉, 접촉부재번호 1번 및 3번은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인 data2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에 해당하는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및 3번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는 동일한 접촉평면(제1접촉평면) 및 단자평면(제1단자평면)에 위치한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는 접촉평면 및 단자평면에서 상호 인접하여 위치한다. 예를 들어, 4번 및 6번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는 제2접촉평면(224) 및 제4단자평면(248)에서 상호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접촉부(122) 및 단자부(124)의 배열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서 접촉부(122)가 2개의 접촉평면(222, 224)에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단자부(124)가 4개의 단자평면(242, 244, 246, 248)에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숫자는 상기 표에 나타낸 접촉부재번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8은 커넥터(100)의 정면에서 볼 때의 접촉부(122) 배열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9는 배면에서 볼 때의 단자부(124) 배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촉부(122)는 제1접촉평면(222) 및 제2접촉평면(224)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다. 즉, 제1접촉평면(222)에는 1, 3, 5, 7, 9, 11, 13, 15, 17, 19번 접촉부재의 접촉부(122)가 배열되어 있고, 제2접촉평면(224)에는 2, 4, 6, 8, 10, 12, 14, 16, 18번 접촉부재의 접촉부(122)가 배열되어 있다. 제1접촉평면(222) 및 제2접촉평면(224)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160)의 돌출부(162)의 상면 및 하면에 해당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자부(124)는 4개의 단자평면, 즉 제1단자평면(242), 제2단자평면(244), 제3단자평면(246) 및 제4단자평면(248)에 각각 배열된다. 제1단자평면(242)에는 1, 3, 8, 13, 15번 접촉부재의 단자부(124)가 배열되어 있고, 제2단 자평면(244)에는 2, 7, 9, 14, 19번 접촉부재의 단자부(124)가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제3단자평면(246)에는 5, 10, 12, 17번 접촉부재의 단자부(124)가 배열되어 있으며, 제4단자평면(248)에는 4, 6, 11, 16, 18번 접촉부재의 단자부(124)가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접촉평면(222) 또는 제2접촉평면(224)에 배열된 접촉부(122)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4개의 단자평면(242, 244, 246, 248)에 분산되어 배열된다.예를 들어, 1번 접촉부재(①)의 접촉부(122)는 제1접촉평면(222)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제1단자평면(242)에 위치하며, 5번 접촉부재(⑤)의 접촉부(122)는 제1접촉평면(222)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제3단자평면(246)에 위치한다. 또한, 7번 접촉부재(⑦)의 접촉부(122)는 제1접촉평면(222)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제2단자평면(244)에 위치하며, 11번 접촉부재(⑪)의 접촉부(122)는 제1접촉평면(222)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제4단자평면(248)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접촉평면(224)에 위치한 접촉부(122)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도 제1단자평면(242) 내지 제4단자평면(248)에 각각 분산되어 배열된다.
그리고 제1접촉평면(222) 및 제2접촉평면(224)에 각각 위치하는 가장 인접한 한 쌍의 접촉부(122)는 서로 다른 단자평면에 위치하는 단자부(124)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제1접촉평면(222)에 위치하는 1번 접촉부재(①)의 접촉부(122)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도 9에서 제1단자평면(242)에 위치하는 반면, 제2접촉평면(224)에 위치하면서 1번 접촉부재(①)와 가장 인접한 2번 접촉부재(②) 의 접촉부(122)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제2단자평면(244)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접촉평면(222)에 위치하는 7번 접촉부재(⑦)의 접촉부(122)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제2단자평면(244)에 위치하는 반면, 제2접촉평면(224)에 위치하면서 7번 접촉부재(⑦)와 가장 인접한 6번 접촉부재(⑥) 및 8번 접촉부재(⑧)의 단자부(124)는 각각 제4단자평면(248) 및 제1단자평면(242)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접촉평면(222, 224)의 일 측에서 접촉부(122)의 순차적인 3개의 조합은 접촉부세트를 형성한다. 도 8에서 1번 접촉부재(①), 2번 접촉부재(②) 및 3번 접촉부재(③)의 접촉부(122)는 하나의 접촉부세트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4번 접촉부재(④), 5번 접촉부재(⑤) 및 6번 접촉부재(⑥)의 접촉부(122)도 하나의 접촉부세트를 형성한다. 다만, 19번 접촉부재는 접촉부세트를 형성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접촉부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3개의 접촉부(122) 중에서 동일한 접촉평면(222 또는 224)에 위치하고 있는 접촉부(122)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동일한 단자평면(242, 244, 246, 248)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접촉부세트에 해당하는 1번 접촉부재(①), 2번 접촉부재(②) 및 3번 접촉부재(③)의 접촉부(122) 중에서 1번 접촉부재(①) 및 3번 접촉부재(③)의 접촉부(122)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동일한 제1단자평면(242)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접촉부세트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서로 다른 단자평면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접촉부세트에 해당하는 1번 접촉부재(①), 2번 접촉부재(②) 및 3번 접촉부재(③)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제1단자평면(242) 또는 제2단자평면(244)에 각각 위치한다. 이에 대해, 첫 번째 접촉부세트 와 인접하는 두 번째 접촉부세트를 구성하는 4번 접촉부재(④), 5번 접촉부재(⑤) 및 6번 접촉부재(⑥)에 대응하는 단자부(124)는 제3단자평면(246) 또는 제4단자평면(248)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접촉부세트 중에서 1~3번 접촉부재(①~③), 4~6번 접촉부재(④~⑥)번 접촉부재 그리고 7~9번 접촉부재(⑦~⑨)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1~3번 접촉부재(①~③) 중에서 1번 접촉부재(①) 및 3번 접촉부재(③)는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인 data2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4~6번 접촉부재(④~⑥) 중에서 4번 접촉부재(④) 및 6번 접촉부재(⑥)는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인 data1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는 동일한 접촉평면 및 동일한 단자평면에서 상호 인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HDMI 커넥터의 결합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의 접촉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에 따른 HDMI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에서 접촉부(122)의 배열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커넥터에서 단자부(124)의 배열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Claims (12)

  1.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절연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와, 상기 절연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단자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단자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평행한 2개의 접촉평면에 각각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는 평행한 4개의 단자평면에 각각 배열되는 HDMI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평면은 제1접촉평면 및 제2접촉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1접촉평면 및 제2접촉평면에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평면 및 상기 제2접촉평면에 각각 위치하는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접촉부는 서로 다른 상기 단자평면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부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평면의 일 측에서 상기 접촉부의 순차적인 3개의 조합은 접촉부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세트 중 2개의 상기 접촉부에 대응하는 상기 단자부는 동일한 상기 단자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접촉부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단자부는 서로 다른 상기 단자평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는 동일한 접촉평면 및 동일한 단자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전송 접촉부재는 상기 접촉평면 및 상기 단자평면에서 상호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평면은 제1단자평면, 제2단자평면, 제3단자평면 및 제4단자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단자평면 내지 상기 제4단자평면 사이의 간격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단자부는 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를 감싸는 쉘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쉘커버는 상기 접촉부를 감싸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서 상향 돌출된 고정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쉘커버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돌출부와, 상기 절곡부가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단자부를 지지하는 고정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KR1020090056129A 2009-06-23 2009-06-23 Hdmi커넥터 KR10109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29A KR101092155B1 (ko) 2009-06-23 2009-06-23 Hdmi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29A KR101092155B1 (ko) 2009-06-23 2009-06-23 Hdmi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79A true KR20100137879A (ko) 2010-12-31
KR101092155B1 KR101092155B1 (ko) 2011-12-13

Family

ID=4351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129A KR101092155B1 (ko) 2009-06-23 2009-06-23 Hdmi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23B1 (ko) * 2013-01-28 2014-06-02 티브이로직(주) 모니터의 hdmi커넥터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607B1 (ko) 2015-08-21 2016-06-01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디지털 멀티미디어 통신 연결을 위한 디지털전용 케이블 커넥터
KR102003684B1 (ko) * 2019-05-17 2019-07-25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디지털 멀티미디어 통신 연결을 위한 디지털전용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23B1 (ko) * 2013-01-28 2014-06-02 티브이로직(주) 모니터의 hdmi커넥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155B1 (ko) 201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6649B2 (en) HDMI type-D connector
US9276340B2 (en) Interposers for connecting receptacle tongue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9356370B2 (en) Interposer for connecting a receptacle tongue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3179306U (ja) ミニディスプレーポートコネクタ
US7677923B1 (en) Double visual-interface socket
CN201323341Y (zh) 线缆连接器组件
US10103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02662909U (zh) D型hdmi连接器
JP4575525B1 (ja) レセプタクル及び電子機器
US9484675B2 (en) Terminal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US20100167588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21088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dapter module
US7874868B2 (en) Connector with projecting function
KR101092155B1 (ko) Hdmi커넥터
US9033740B2 (en) Interposer connectors
US7963809B2 (en) Microdvi connector
US946693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plug-in module for the same
US9054466B2 (en) Integrated circuit assembly for high-frequency on-board printed circuit board testing,validation, and verification
CN202259907U (zh) 电连接器
US8357009B2 (en) Receptacle connector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US7445468B2 (en) Low profile structure
KR10222536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1498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용 미드플레이트 및 리셉터클 커넥터
EP1729553A2 (en) Reduced size structure
TWI479747B (zh)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