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361A -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7361A KR20100137361A KR1020100054247A KR20100054247A KR20100137361A KR 20100137361 A KR20100137361 A KR 20100137361A KR 1020100054247 A KR1020100054247 A KR 1020100054247A KR 20100054247 A KR20100054247 A KR 20100054247A KR 20100137361 A KR20100137361 A KR 201001373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storage tank
- pipe
- horizontal
- rain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high-level t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의 위치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의해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단일의 가로형 저장조(11)가 수평면 내의 일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고, 가로형 저장조(11)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연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중앙부로부터 상부가 지상에 돌출하고, 또한 상면이 닫힌다. 빗물(16)을 세로형 저장조(12)로 유도하기 위하여 유입관(17)이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가로형 저장조(11) 및 세로형 저장조(12)에 저장된 빗물(16)을 이용하기 위하여 급수관(18)이 가로형 저장조(11)에 접속된다.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의 상부에 배출관(24)이 접속된다.
단일의 가로형 저장조(11)가 수평면 내의 일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고, 가로형 저장조(11)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연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중앙부로부터 상부가 지상에 돌출하고, 또한 상면이 닫힌다. 빗물(16)을 세로형 저장조(12)로 유도하기 위하여 유입관(17)이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가로형 저장조(11) 및 세로형 저장조(12)에 저장된 빗물(16)을 이용하기 위하여 급수관(18)이 가로형 저장조(11)에 접속된다.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의 상부에 배출관(24)이 접속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모아서 저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지중(地中)에 매설된 가로형 저장조에 세워서 설치된 파이프 형상의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종류의 빗물 저장 장치로서 빗물을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 지하 저장조와 지상 저장조를 구비하고, 지상 저장조가, 지상에 세워서 배열된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중공(中空, 속이 빈) 부재와, 이러한 중공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을 서로 연통(連通, 연결하여 통하는)하여 접속하는 연통관을 가지는 빗물 저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빗물 저장 장치에서는,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중공 부재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중공 부재의 내부에 저장실과 배출실이 형성되고, 복수의 중공 부재의 각각의 배출실이 배수 파이프에 의해 서로 연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지하 저장조 및 지상 저장조에 저장된 빗물이 배수 펌프에 의해 배출실에 공급되고, 중공 부재에 설치된 배출 밸브가 배출실에 공급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저장 장치에서는, 저장조에 저장된 빗물은 배수 펌프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배수 파이프를 통하여 복수의 중공 부재에 있어서의 배출실에 공급되고, 그 중공 부재에 설치된 배출 밸브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빗물을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빼낼 수 있다. 또한, 중공 부재의 크기 및 개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이 빗물 저장 장치가 저장할 수 있는 빗물의 저장량을 비교적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빗물 저장 장치에서는, 지상 저장조에서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중공 부재의 위치결정 작업이 비교적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중공 부재를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정확하게 설치하지 않으면, 복수의 중공 부재를 연통관 및 배수 파이프로 접속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중공 부재를 연직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각 중공 부재가 연직선에 대해서 여러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기울게 되어서, 복수의 중공 부재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의 위치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의 외관을 해치는 일이 없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 내의 일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빗물(16)이 저장되는 단일의 가로형 저장조(貯留槽)(11)와, 가로형 저장조(11)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연통하여 접속되고, 중앙부로부터 상부가 지상에 각각 돌출하고, 또한 상면이 닫힌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12)와, 빗물(16)을 세로형 저장조(12)로 유도하기 위하여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에 접속된 유입관(17)과, 가로형 저장조(11) 및 세로형 저장조(12)에 저장된 빗물(16)을 이용하기 위하여 가로형 저장조(11)에 접속된 급수관(18)과,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의 상부에 접속된 배출관(24)을 구비하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은,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 내에 일렬로 연장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빗물이 저장되는 복수의 가로형 저장조(51)와, 각 가로형 저장조(51)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각각 연통하여 접속되고, 중앙부로부터 상부가 지상에 각각 돌출하고, 또한 상면이 닫힌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12)와, 빗물(16)을 세로형 저장조(12)로 유도하기 위하여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에 접속된 유입관(17)과, 복수의 가로형 저장조(51) 및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에 저장된 빗물(16)을 이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로형 저장조(51)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접속된 급수관(18)과,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의 상부에 접속된 배출관(24)과, 인접하는 가로형 저장조(51)를 연통하여 접속하는 하부 플렉서블관(61)을 구비하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3의 관점은, 제1 또는 제2의 관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형 저장조(11)의 상벽(11a)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로형 저장조(12)를 삽통(揷通, 삽입하여 통함) 가능한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11b)이 각각 형성되고, 가로형 저장조(11)의 하벽(11c) 상면에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11b)과 구멍 중심이 일치하고, 또한 세로형 저장조(12)를 삽입 가능한 위치결정 단관(短管)(11d)이 각각 고착(固着)되고,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가 위치결정 구멍(11b)을 통하여 위치결정 단관(11d)에 삽입되고, 위치결정 구멍(11b)과 세로형 저장조(12) 외주면(外周面)과의 틈이 씰 부재(13)에 의해 막아지고, 가로형 저장조(11) 내에 위치하는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에 연통 구멍(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관점은, 제1 또는 제2의 관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에 강성(剛性) 네트(26)가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관점은, 제3의 관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에 강성(剛性) 네트(26)가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를 단일의 가로형 저장조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연통하여 접속했기 때문에, 상기 세로형 저장조의 위치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의 상부를 상부 연통관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하는 경우, 동일 길이의 상부 연통관을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연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를 각 가로형 저장조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각각 연통하여 접속했기 때문에, 각 가로형 저장조마다 상기 세로형 저장조의 위치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결과, 각 가로형 저장조마다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가로형 저장조마다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각 가로형 저장조마다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의 상부를 상부 연통관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하는 경우, 동일 길이의 상부 연통관을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연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가로형 저장조를 하부 플렉서블관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했기 때문에, 각 가로형 저장조의 배치 간격이 다소 변화해도, 그 변화를 하부 플렉서블관의 신축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가로형 저장조를 상부 플렉서블관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하면, 각 가로형 저장조의 배치 간격이 다소 변화해도, 그 변화를 상부 플렉서블관의 신축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가로형 저장조의 상벽에 위치결정 구멍을 형성하고, 가로형 저장조의 하벽에 위치결정 단관을 고착하고, 세로형 저장조의 하부를 가로형 저장조의 상벽의 위치결정 구멍을 통하여 위치결정 단관에 삽입했기 때문에, 각 세로형 저장조가 가로형 저장조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해서 모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 결과, 가로형 저장조를 그 상벽 및 하벽이 수평이 되도록 지중에 매설하면, 모든 세로형 저장조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지상에 돌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세로형 저장조의 외관을 해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4 또는 제5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에 강성 네트를 걸쳤기 때문에, 장미 등의 덩굴 식물을 강성 네트에 달라붙게 하여 육성하면, 세로형 저장조의 주위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지구 환경의 개선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형태의 빗물 저장 장치로서, 강성 네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3의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2의 C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 형태의 빗물 저장 장치로서, 강성 네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7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6은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7의 F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6의 G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5의 H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3의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2의 C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 형태의 빗물 저장 장치로서, 강성 네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7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6은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7의 F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6의 G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해당 빗물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 5의 H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의 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물 저장 장치(10)는 단일의 가로형 저장조(11)와 3개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12)를 구비한다. 가로형 저장조(11)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면 내의 일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된다. 또한, 세로형 저장조(12)는 가로형 저장조(11)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연통하여 접속되고, 가로형 저장조(11)를 지중에 매설했을 때에 각 세로형 저장조(12)는 중앙부로부터 상부가 지상에 각각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면은 닫히고, 하면은 개방된다. 또한, 가로형 저장조(11)는 강판이나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등에 의해 형성되고, 세로형 저장조(12)는 염화비닐제(製) 파이프나 폴리에틸렌제 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세로형 저장조(12)의 외경(外徑)은 200 ~ 600mm, 바람직하게는 300 ~ 500mm로 설정되고, 세로형 저장조(12)의 길이는 2 ~ 5m, 바람직하게는 3 ~ 4m로 설정된다. 또한, 가로형 저장조(11)의 높이는 300 ~ 700mm, 바람직하게는 400 ~ 600mm로 설정된다. 가로형 저장조(11)의 높이를 300 ~ 700mm의 범위내로 설정한 것은, 300mm 미만에서는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를 가로형 저장조(11)에 세워서 설치했을 때에 각 세로형 저장조(12)가 여러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기울어져 버리고, 700mm를 넘으면 지면(14)의 굴착 작업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한편, 가로형 저장조(11)의 상벽(11a)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를 삽입할 수 있는 3개의 위치결정 구멍(11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가로형 저장조(11)의 하벽(11c) 상면에는, 상기 3개의 위치결정 구멍(11b)과 구멍 중심이 일치하고, 또한 세로형 저장조(12)를 삽통 가능한 3개의 위치결정 단관(11d)이 각각 고착(固着)된다.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가 위치결정 구멍(11b)을 통하여 위치결정 단관(11d)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결정 구멍(11b)과 세로형 저장조(12) 외주면과의 틈은 씰 부재(13)에 의해 막힌다. 씰 부재(13)는, 도 1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 구멍(11b)을 감싸도록 가로형 저장조(11)의 상벽(11a) 상면에 고착된 감착(嵌着, 끼우기)용 단관(13a)과, 이 감착용 단관(13a)에 끼워지는 단면이 역U자 형상의 합성고무제의 링 형상 패킹(13b)과, 감착용 단관(13a)보다 길고, 또한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감착용 단관(13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가로형 저장조(11)의 상벽(11a) 상면에 고착된 억제용 단관(13c)과, 억제용 단관(13c) 내주면과 세로형 저장조(12) 외주면과 링 형상 패킹(13b) 상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충전되는 실링재(13d)를 가진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억제용 단관의 내주면과 세로형 저장조의 외주면과 링 형상 패킹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실링재가 아닌 몰타르를 충전해도 좋다.
가로형 저장조(11)에 세워서 설치된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에는, 가로형 저장조(11) 내에 위치하도록 연통 구멍(12a)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연통 구멍(12a)에 의해 세로형 저장조(12) 내부와 가로형 저장조(11) 내부가 연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상기 연통 구멍(12a)은 가로형 저장조(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세로형 저장조(12)에 형성된다. 이것은 연통 구멍(12a) 상연(上緣, 상부 가장자리)보다 상측의 가로형 저장조(11) 내에 공기가 모이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이다. 여기서, 가로형 저장조(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세로형 저장조(12)에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해 두면, 가로형 저장조(11) 내의 빗물(16)의 수위가 저하했을 때에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내의 빗물도 동일 수위로 저하한다. 또한,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에는 유입관(17)이 접속된다.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 낙하한 빗물은 통(도시하지 않음) 등에 모아지고, 이 빗물은 유입관(17)을 통하여 세로형 저장조(12)에 유도된다. 즉, 유입관(17)의 기단(基端, 끝 부분)은 통에 연통하여 접속되고, 유입관(17)의 선단(先端, 앞 부분)은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면에 연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가로형 저장조(11)의 상벽(11a)에는 급수관(18)의 기단이 가로형 저장조(11)의 하벽(11c) 근방까지 연장되어 삽입되고, 이 급수관(18)의 선단은 가로형 저장조(11) 내 및 세로형 저장조(12) 내의 빗물(16)의 이용처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한, 급수관(18)의 도중에는 전동 펌프(19)가 설치되고, 이 전동 펌프(19)는 지면(14)에 거치대(20)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또한,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급수 단관(21)의 기단이 접속된다. 이 급수 단관(21)의 선단에는 급수 단관(21)을 개폐하는 수도꼭지(22)가 접속된다(도 1 및 도 2).
한편,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는 상부 연통관(23)에 의해 서로 연통하여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와 중앙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가 우측의 상부 연통관(23)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되고, 중앙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와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가 좌측의 상부 연통관(23)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의 상부,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에는, 배출관(24)의 기단이 접속된다. 이 배출관(24)의 선단은 하수도나 하천 등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각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에 모인 공기는 상부 연통관(23) 및 배출관(24)을 통하여 세로형 저장조(12) 밖으로 배출되고, 각 세로형 저장조(12)로부터 흘러넘치는 빗물(16)도 상부 연통관(23) 및 배출관(24)을 통하여 세로형 저장조(12) 밖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전부에 강성 네트(26)가 걸쳐진다(도 2 및 도 3). 즉, 강성 네트(26)에 의해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外周)를 일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 강성 네트(26)로는, 스텐레스 강철 등의 금속 선재(金屬線材, 철사)를 격자 형상으로 짜는 것에 의해 형성된 네트, 합성수지로 피복한 금속선재를 격자 형상으로 짜는 것에 의해 형성된 네트, 경질의 합성수지 선재를 격자 형상으로 짜는 것에 의해 형성된 네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3개의 세로형 저장조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전부가 아니라, 3개의 세로형 저장조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일부에 강성 네트를 걸치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평판 형상의 강성 네트를 3개의 세로형 저장조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공통접선 방향으로 연장하여 걸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저장 장치(1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공장에서 가로형 저장조(11),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등의 각 부품을 각각 제작한다. 그 다음에 빗물 저장 장치(10)를 조립하지 않고 부품 상태로 공장에서 설치 현장까지 반송한다. 이 때 각 부품은 비교적 컴팩트하기 때문에, 대형 트럭을 이용하지 않고 소형 트럭으로 반송할 수 있다. 설치 현장에 도착하면, 지면(14)을 소정의 깊이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굴착하고, 이 굴착부의 저면을 자갈이나 모래로 다져서 단단하게 한 후, 가로형 저장조(11)를 굴착부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를 가로형 저장조(11)의 위치결정 구멍(11b)에 삽입하여 통하게 한 후에 위치결정 단관(11d)에 삽입하여, 가로형 저장조(11)에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를 세워서 설치한다. 그리고 가로형 저장조(11)의 위치결정 구멍(11b)과 세로형 저장조(12) 외주면과의 틈을 씰 부재(13)에 의해 막는다. 구체적으로는, 감착용 단관(13a)에 링 형상 패킹(13b)을 끼워 넣은 후에, 억제용 단관(13c) 내주면과 세로형 저장조(12) 외주면과 링 형상 패킹(13b) 상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실링재(13d)를 충전한다. 또한, 거치대(20)상에 전동 펌프(19)를 설치하고, 이 전동 펌프(19)의 흡입구와 가로형 저장조(11)의 상면을 급수관(18)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함과 함께, 전동 펌프(19)의 토출구와 빗물(16)의 이용처(利用先)를 급수관(18)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한 후에, 파낸 토사를 굴착부와 가로형 저장조(11)와의 틈이나 가로형 저장조(11)의 상면에 도로 묻는다. 이에 의해 가로형 저장조(11)의 전부 및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고,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중앙부로부터 상부가 지상에 각각 돌출한다.
상기 설치 작업에서는 각 세로형 저장조(12)의 위치결정 작업이 용이해지므로,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세로형 저장조(12)가 가로형 저장조(11)의 상벽(11a) 및 하벽(11c)에 대해 모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므로, 가로형 저장조(11)를 그 상벽(11a) 및 하벽(11c)이 수평이 되도록 지중에 매설하는 것에 의해, 모든 세로형 저장조(12)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지상에 돌출한다. 이 결과,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외관을 해치는 일이 없다. 또한, 세로형 저장조(12)의 지중으로의 매설 길이는, 전체 길이의 25 ~ 40%, 바람직하게는 30 ~ 35%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세로형 저장조(12)의 전체 길이가 3m인 경우, 세로형 저장조(12)의 지중으로의 매설 길이는 1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형 저장조(12)의 지중으로의 매설 길이를 25 ~ 40%의 범위내로 한정한 것은, 25% 미만에서는 세로형 저장조(12)의 기립 안정성이 손상되고, 40%를 넘으면 지면의 굴착 작업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다음에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12)를 상부 연통관(23)에 의해 각각 연통하여 접속한다. 이 때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를 동일 길이의 상부 연통관(23)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연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그 후,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전부에 강성 네트(26)를 걸친다. 구체적으로는, 강성 네트(26)를 대략 타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강성 네트(26)를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에 유동 가능하게 끼운 후에, 강성 네트(26)를 세로형 저장조(12)에 고정한다. 이 강성 네트(26)에는 장미 등의 덩굴 식물을 달라붙게 하여 육성한다. 이에 의해 세로형 저장조(12)의 주위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지구 환경의 개선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면에 유입관(17)을 연통하여 접속하고,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에 배출관(24)을 연통하여 접속하고,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 급수 단관(21)을 통하여 수도꼭지(22)를 연통하여 접속한다. 이러한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빗물 저장 장치(1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빗물 저장 장치를 부품으로 반송하여 설치 현장에서 조립했지만, 빗물 저장 장치가 비교적 소형이면, 빗물 저장 장치를 공장에서 조립한 후에, 이 조립한 빗물 저장 장치를 설치 현장에 반송해도 좋다. 이 경우, 현장에서의 빗물 저장 장치의 설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빗물 저장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가 내려,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에 낙하한 빗물(16)은 통 및 유입관(17)을 통하여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에 유입한다. 이 빗물(16)은 먼저 가로형 저장조(11) 및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에 저장되고, 빗물(16)이 더 유입하면, 가로형 저장조(11)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에 저장된다. 이 때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내의 공기는 상부 연통관(23) 및 배출관(24)을 통하여 세로형 저장조(12) 바깥으로 배출된다. 이 빗물 저장 장치(10)에 저장된 빗물(16)을 정원의 식목 등으로의 살포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동 펌프(19)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로형 저장조(11) 내의 빗물(16)이 급수관(18)을 통하여 이용처에 송출되므로, 이 빗물(16)을 식목 등으로 살포할 수 있다. 한편, 빗물 저장 장치(10) 내의 빗물(16)을 물통에 담는 경우에는, 수도꼭지(22)를 조작하여 급수 단관(21)을 연다. 이에 의해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 내의 빗물(16) 중에서 급수 단관(21)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빗물(16)이 수도꼭지(22)로부터 유출하므로, 이 빗물(16)을 물통에 받으면 좋다. 또한, 강우량이 많은 경우에는, 3개의 세로형 저장조(12)로부터 흘러넘치는 빗물(16)은 상부 연통관(23) 및 배출관(24)을 통하여 하수도나 하천 등으로 배출된다.
<제2의 실시의 형태>
도 5 ~ 도 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5 ~ 도 8에 있어서, 도 1 ~ 도 4와 동일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낸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빗물 저장 장치(50)는,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와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를 구비한다.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가로형 저장조(51)에는 세로형 저장조(12)를 2개씩 세워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1개의 가로형 저장조(51)와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로 1개의 저장 유닛(60)이 구성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빗물 저장 장치(50)는 2개의 저장 유닛(60)을 가진다. 각 가로형 저장조(51)는 제1의 실시의 형태의 가로형 저장조보다 길이가 짧고, 또한 상벽(51a) 상면의 위치결정 구멍(51b) 및 하벽(51c) 상면의 위치결정 단관(51d)의 수가 적지만, 그 외에는 제1의 실시의 형태의 가로형 저장조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유입관(17)은 2개의 저장 유닛(60) 중에서 우측의 저장 유닛(60)이며,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면에 연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급수관(18)은 2개의 저장 유닛(60) 중에서 좌측의 저장 유닛(60)의 가로형 저장조(51)의 상면에 삽입된다. 또한, 급수관은 2개의 저장 유닛의 각 가로형 저장조의 상면에 삽입해도 좋다. 이 경우, 전동 펌프는 각각 1대씩, 합계 2대가 필요하다.
한편, 상부 연통관(23)은, 각 가로형 저장조(51)마다, 즉 각 저장 유닛(60)마다,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를 각각 연통하여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저장 유닛(60) 중에서 좌측의 저장 유닛(60)의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가 좌측의 상부 연통관(23)에 의해 접속되고, 우측의 저장 유닛(60)의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가 우측의 상부 연통관(23)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배출관(24)은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의 상부에 접속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배출관(24)은 좌측의 저장 유닛(60)의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에 접속된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는 하부 플렉서블관(61)에 의해 서로 연통하여 접속된다(도 5, 도 7 및 도 8). 구체적으로는, 하부 플렉서블관(61)은,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에 타단이 대향하도록 일단이 각각 접속된 2개의 L자관(61a)과, 이러한 L자관(61a)의 타단을 연통하여 접속하는 신축 가능한 단일의 주름관(61b)을 가진다(도 7 및 도 8).
인접하는 가로형 저장조(51) 중에서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는 상부 플렉서블관(62)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가로형 저장조(51)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와, 우측의 가로형 저장조(51)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가 상부 플렉서블관(62)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된다. 다시 말하면, 좌측의 저장 유닛(60)의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와, 우측의 저장 유닛(60)의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가 상부 플렉서블관(62)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된다. 상부 플렉서블관(62)은,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12)에 타단이 대향하도록 일단이 각각 접속된 2개의 스트레이트관(62a)과, 이러한 스트레이트관(62a)의 타단을 연통하여 접속하는 신축 가능한 단일의 주름관(62b)을 가진다. 각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에 모인 공기는 상부 연통관(23), 상부 플렉서블관(62) 및 배출관(24)을 통하여 세로형 저장조(12) 바깥으로 배출되고, 각 세로형 저장조(12)로부터 흘러넘치는 빗물도 상부 연통관(23), 상부 플렉서블관(62) 및 배출관(24)을 통하여 세로형 저장조(12) 바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전부에 강성 네트(66)가 걸쳐진다(도 6 및 도 7). 즉, 강성 네트(66)에 의해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를 일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4개의 세로형 저장조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전부가 아니라, 4개의 세로형 저장조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일부에 강성 네트를 걸치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평판 형상의 강성 네트를 4개의 세로형 저장조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공통접선 방향으로 연장하여 걸치게 해도 좋다. 상기 이외에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저장 장치(5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공장에서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 등의 각 부품을 각각 제작한다. 그 다음에 빗물 저장 장치(50)를 조립하지 않고 부품 상태로 공장으로부터 설치 현장까지 반송한다. 이 때 각 부품은 비교적 컴팩트하기 때문에, 대형 트럭을 이용하지 않고 소형 트럭으로 반송할 수 있다. 설치 현장에 도착하면, 지면(14)을 소정의 깊이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굴착하고, 이 굴착부의 저면을 자갈이나 모래로 다져서 단단하게 한 후,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를 일렬로 연장된 상태로 굴착부 내에 배열한다. 다음으로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를 가로형 저장조(51)의 위치결정 구멍(51b)에 삽입하여 통하게 한 후에 위치결정 단관(51d)에 삽입하고, 각 가로형 저장조(51)에 세로형 저장조(12)를 2개씩 세워서 설치한다. 그리고 가로형 저장조(51)의 위치결정 구멍(51b)과 세로형 저장조(12) 외주면과의 틈을 씰 부재(13)에 의해 막는다(도 5). 또한, 2개의 가로형 저장조를 하부 플렉서블관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한다. 또한, 거치대(20)상에 전동 펌프(19)를 설치하고, 이 전동 펌프(19)의 흡입구와 가로형 저장조(51)의 상면을 급수관(18)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함과 함께, 전동 펌프(19)의 토출구와 빗물(16)의 이용처를 급수관(18)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한 후에, 파낸 토사를 굴착부와 가로형 저장조(51)와의 틈이나 가로형 저장조(51)의 상면에 도로 묻는다. 이에 의해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의 전부 및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어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중앙부로부터 상부가 지상에 각각 돌출한다.
상기 설치 작업에서는 각 세로형 저장조(12)의 위치결정 작업이 용이해지므로,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세로형 저장조(12)가 가로형 저장조(51)의 상벽(11a) 및 하벽(11c)에 대해 모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므로, 각 가로형 저장조(51)를 그 상벽(51a) 및 하벽(51c)이 수평이 되도록 지중에 매설하는 것에 의해, 모든 세로형 저장조(12)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지상에 돌출한다. 이 결과,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외관을 해치는 일이 없다. 또한,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의 배치 간격이 다소 변화해도, 그 변화가 하부 플렉서블관(61) 및 상부 플렉서블관(62)의 신축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므로, 설치 현장에서의 빗물 저장 장치(50)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가로형 저장조(51)마다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를 상부 연통관(23)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한다. 이 때 가로형 저장조(51)마다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각 가로형 저장조(51)에 이용되는 상부 연통관(23)의 길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설치 현장에서 상부 연통관(23)의 길이를 조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가로형 저장조(51)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와, 우측의 가로형 저장조(51)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를 상부 플렉서블관(62)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한다. 그 후,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전부에 강성 네트(66)를 걸친다. 구체적으로는, 강성 네트(66)를 대략 타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강성 네트(66)를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에 유동 가능하게 끼운 후에, 강성 네트(66)를 세로형 저장조(12)에 고정한다. 또한, 우측의 가로형 저장조(51)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면에 유입관(17)을 연통하여 접속함과 함께, 이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 급수 단관(21)을 통하여 수도꼭지(22)를 연통하여 접속한다. 또한, 좌측의 가로형 저장조(51)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부에 배출관(24)을 연통하여 접속함과 함께, 이 좌측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 급수 단관(21)을 통하여 수도꼭지(22)를 연통하여 접속한다. 이러한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빗물 저장 장치(1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조립 방법은 제1의 실시의 형태의 조립 방법과 대략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빗물 저장 장치를 부품으로 반송하여 설치 현장에서 조립했지만, 빗물 저장 장치가 비교적 소형이면, 빗물 저장 장치의 2개의 저장 유닛을 공장에서 조립한 후에, 이 조립한 2개의 저장 유닛을 다른 부품과 함께 설치 현장에 반송하고, 설치 현장에서 2개의 저장 유닛을 하부 플렉서블관 및 상부 플렉서블관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 현장에서의 빗물 저장 장치의 설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빗물 저장 장치(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가 내려서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에 낙하한 빗물(16)은 통 및 유입관(17)을 통하여 우측의 가로형 저장조(51)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우측의 세로형 저장조(12)에 유입한다. 이 빗물(16)은 먼저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 및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에 저장되고, 빗물(16)이 더 유입하면, 2개의 가로형 저장조(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에 저장된다. 이 때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 내의 공기는 상부 연통관(23), 상부 플렉서블관(62) 및 배출관(24)을 통하여 세로형 저장조(12) 바깥으로 배출된다. 이 빗물 저장 장치(10)에 저장된 빗물(16)을 정원의 식목 등으로의 살포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동 펌프(19)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로형 저장조(51) 내의 빗물(16)이 급수관(18)을 통하여 이용처에 송출되므로, 이 빗물(16)을 식목 등으로 살포할 수 있다. 한편, 빗물 저장 장치(50) 내의 빗물(16)을 물통에 담는 경우에는, 수도꼭지(22)를 조작하여 급수 단관(21)을 연다. 이에 의해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 내의 빗물(16) 중에서 급수 단관(21)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빗물(16)이 수도꼭지(22)로부터 유출하므로, 이 빗물(16)을 물통에 받으면 좋다. 또한, 강우량이 많은 경우에는, 4개의 세로형 저장조(12)로부터 흘러넘치는 빗물(16)은 상부 연통관(23) 및 배출관(24)을 통하여 하수도나 하천 등으로 배출된다. 상기 이외의 동작은 제1의 실시의 형태의 동작과 대략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1개의 가로형 저장조에 3개의 세로형 저장조를 세워서 설치하고,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1개의 가로형 저장조에 2개의 세로형 저장조를 세워서 설치했지만, 1개의 가로형 저장조에 4개 또는 5개 이상의 세로형 저장조를 세워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단일의 가로형 저장조를 예시하고,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서로 연통하여 접속된 2개의 가로형 저장조를 예시했지만, 서로 연통하여 접속된 3개 또는 4개 이상의 가로형 저장조라도 좋고, 2개의 세로형 저장조를 세워서 설치한 가로형 저장조와 3개의 세로형 저장조를 세워서 설치한 가로형 저장조를 서로 연통하여 접속해도 좋다.
또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의 상부를 상부 연통관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했지만, 상부 연통관을 이용하지 않고, 각 세로형 저장조의 상부에 공기배출구멍을 마련하거나 혹은 공기배출관을 접속해도 좋다. 또한,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가로형 저장조마다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의 상부를 상부 연통관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하고, 인접하는 가로형 저장조 중에서 인접하는 세로형 저장조의 상부를 상부 플렉서블관에 의해 연통하여 접속했지만, 상부 연통관 및 상부 플렉서블관을 이용하지 않고, 각 세로형 저장조의 상부에 공기배출구멍을 마련하거나 혹은 공기배출관을 접속해도 좋다.
10, 50: 빗물 저장 장치
11, 51: 가로형 저장조
11a, 51a: 상벽
11b, 51b: 위치결정 구멍
11c, 51c: 하벽
11d, 51d: 위치결정 단관
12: 세로형 저장조
12a: 연통 구멍
13: 씰 부재
16: 빗물
17: 유입관
18: 급수관
24: 배출관
26, 66: 강성 네트
61: 하부 플렉서블관
11, 51: 가로형 저장조
11a, 51a: 상벽
11b, 51b: 위치결정 구멍
11c, 51c: 하벽
11d, 51d: 위치결정 단관
12: 세로형 저장조
12a: 연통 구멍
13: 씰 부재
16: 빗물
17: 유입관
18: 급수관
24: 배출관
26, 66: 강성 네트
61: 하부 플렉서블관
Claims (5)
- 수평면 내의 일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빗물(16)이 저장되는 단일의 가로형 저장조(11)와,
상기 가로형 저장조(11)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연통하여 접속되고, 중앙부로부터 상부가 지상에 각각 돌출하고, 또한 상면이 닫힌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12)와,
상기 빗물(16)을 상기 세로형 저장조(12)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에 접속된 유입관(17)과,
상기 가로형 저장조(11) 및 상기 세로형 저장조(12)에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가로형 저장조(11)에 접속된 급수관(18)과,
상기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의 상부에 접속된 배출관(24)을 구비하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 수평면 내에 일렬로 연장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빗물(16)이 저장되는 복수의 가로형 저장조(51)와,
상기 각 가로형 저장조(51)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각각 연통하여 접속되고, 중앙부로부터 상부가 지상에 각각 돌출하고, 또한 상면이 닫힌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세로형 저장조(12)와,
상기 빗물(16)을 상기 세로형 저장조(12)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에 접속된 유입관(17)과,
상기 복수의 가로형 저장조(51) 및 상기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에 저장된 빗물(16)을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로형 저장조(51)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접속된 급수관(18)과,
상기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의 어느 하나의 상부에 접속된 배출관(24)과,
인접하는 가로형 저장조(51)를 연통하여 접속하는 하부 플렉서블관(61)을 구비하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가로형 저장조(11,51)의 상벽(11a, 51a)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로형 저장조(12)를 삽통 가능한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11b, 51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로형 저장조(11,51)의 하벽(11c, 51c) 상면에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11b, 51b)과 구멍 중심이 일치하고, 또한 상기 세로형 저장조(12)를 삽입 가능한 위치결정 단관(11d, 51d)이 각각 고착되고,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가 상기 위치결정 구멍(11b, 51b)을 통하여 상기 위치결정 단관(11d, 51d)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결정 구멍(11b, 51b)과 상기 세로형 저장조(12) 외주면과의 틈이 씰 부재(13)에 의해 막아지고,
상기 가로형 저장조(11,51) 내에 위치하는 상기 세로형 저장조(12)의 하부에 연통 구멍(12a)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에 강성 네트(26,66)가 걸쳐지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세로형 저장조(12) 중에서 지상에 돌출하는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에 강성 네트(26,66)가 걸쳐지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47355 | 2009-06-22 | ||
JP2009147355A JP2011001791A (ja) | 2009-06-22 | 2009-06-22 | パイプ状の貯留槽を用いた雨水貯留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7361A true KR20100137361A (ko) | 2010-12-30 |
KR101199294B1 KR101199294B1 (ko) | 2012-11-09 |
Family
ID=4269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4247A KR101199294B1 (ko) | 2009-06-22 | 2010-06-09 |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1001791A (ko) |
KR (1) | KR101199294B1 (ko) |
CN (1) | CN201574435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08454B2 (ja) * | 2013-06-12 | 2017-04-05 |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 縦格子状雨水タンク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8610A (ja) | 2001-11-06 | 2003-05-14 | Planning System:Kk | 連結式タンクを利用した雨水利用装置 |
JP2005054445A (ja) * | 2003-08-05 | 2005-03-03 | Tootetsu:Kk | 雨水貯留装置 |
JP4481771B2 (ja) | 2004-08-31 | 2010-06-16 | 有限会社 タナベ建築設計事務所 | 雨水タンク |
-
2009
- 2009-06-22 JP JP2009147355A patent/JP2011001791A/ja active Pending
- 2009-07-10 CN CN200920166689XU patent/CN201574435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6-09 KR KR1020100054247A patent/KR1011992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01574435U (zh) | 2010-09-08 |
JP2011001791A (ja) | 2011-01-06 |
KR101199294B1 (ko) | 2012-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8328B1 (ko) | 지하 저수조 | |
US20140083021A1 (en) | Rainwater collec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 |
CN102482871B (zh) | 液体泄流处理系统 | |
JP5572682B2 (ja) | 排水装置 | |
JP4316601B2 (ja) | 雨水の貯水施設 | |
KR101199294B1 (ko) |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 |
KR101019776B1 (ko) |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 |
JP4163088B2 (ja) | 雨水の貯水施設 | |
CN212865970U (zh) | 一种净水型农村土地用生态护坡 | |
AU2013311431B2 (en) | Improvements in water storage devices and apparatuses therefor | |
KR20110033529A (ko) | 빗물의 저수설비장치 | |
CN104563205A (zh) | 一种利用隧道涌水作为水源的隧道消防系统 | |
US9139971B2 (en) | Aggregate replacement | |
CN207538167U (zh) | 暗管排水检查井及暗管排水系统 | |
CN114922207B (zh) | 一种用于滑坡生态修复的排水系统 | |
KR101371151B1 (ko) | 밸브실 | |
CN201044588Y (zh) | 地下节水灌溉装置 | |
CN210827688U (zh) | 一种用于山林的抽水蓄水系统 | |
CN210262916U (zh) | 全装配灌浆式防洪装置 | |
JP4733946B2 (ja) | プランター | |
KR101147801B1 (ko) |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 |
AU2008202086B2 (en) | Resources conservation system | |
JP2023172067A (ja) | 壁面緑化システム | |
JP4431484B2 (ja) | 地下水貯留槽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SK500152020U1 (sk) | Vložka do stud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