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087A - 차량용 선형 미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형 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087A
KR20100137087A KR1020090055323A KR20090055323A KR20100137087A KR 20100137087 A KR20100137087 A KR 20100137087A KR 1020090055323 A KR1020090055323 A KR 1020090055323A KR 20090055323 A KR20090055323 A KR 20090055323A KR 20100137087 A KR20100137087 A KR 2010013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vehicle
light source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090B1 (ko
Inventor
김영민
윤병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09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9Attachment of the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선형 미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헤드램프 테두리를 감싸는 선형 미등을 개선하여 최소 개수의 광원으로 배광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100)이 마련되어 반사면(210)이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200)과;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100)에서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제1렌즈(300)와; 컷 형상 가공된 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300)를 통과한 빛을 발산시키는 제2렌즈(400)를 포함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생산 원가를 낮추는 한편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엘이디, 미등, 광원, 헤드램프, 렌즈

Description

차량용 선형 미등{Light guid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선형 미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헤드램프 테두리를 감싸는 선형 미등을 개선하여 최소 개수의 광원으로 배광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생산 원가를 낮추는 한편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는 헤드램프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헤드램프는 초기에 렌즈, 전구, 반사경이 각각 조립되는 조립형이 대부분이었으나, 습기나 먼지에 의해 조명 효율이 감소하여, 최근에는 일체식 구조로 된 실드빔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차량의 헤드램프에는 기본적으로 광원의 빛을 아래쪽으로 비추는 하향등(low beam)과 위쪽으로 비추는 상향등(high beam)을 갖추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미등(차폭등)이나 방향지시등, 안개등 등이 추가로 마련되어 하나의 모듈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헤드램프를 도시하는 도이다.
최근 들어, 상술한 헤드램프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램프(1)의 테두리를 감싸는 선형의 미등(10)(라이트 가이드 ; light guide)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선형 미등(10)은 도 1과 같이, 법적 배광 규정을 만족하는 동시에 3차원의 곡선 외형을 구현하기 위하여 대략 20mm 이하의 등간격으로 다수의 엘이디(11)(LED ; light emitting diode)를 배열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엘이디를 배열한 종래의 차량용 선형 미등은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생산 원가가 매우 높아진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헤드램프 테두리를 감싸는 선형 미등에 최소 개수의 광원을 적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생산 원가를 낮추는 한편 배광 효율을 극대화시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선형 미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광원이 마련되어 반사면이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과;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제1렌즈와; 컷 형상 가공된 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를 통과한 빛을 발산시키는 제2렌즈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브래킷의 반사면은 반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그 직각방향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렌즈의 길이방향으로 입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곡률반경에 반비례하고,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길이에 비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특히, 상기 광원은 엘이디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엘이디에는 열을 공랭 시키기 위한 히트싱크가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 테두리를 감싸는 선형 미등에 최소 개수의 광원을 적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생산 원가를 낮추는 한편 배광 효율을 극대화시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형 미등이 적용된 헤드램프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선형 미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C-C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D-D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선형 미등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광원(100), 브래킷(200), 제1렌즈(300) 그리고 제2렌즈(400)로 이루어져, 브래킷(200)에 마련된 적은 수의 광원(100)으로부터 나온 빛이 제1렌즈(300)에서 길이방향으로 넓게 확산된 후, 제2렌즈(4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헤드램프 내에 마련되어 3차원 곡선으로 이루어진 선형 미등으로 헤드램프 브래킷(200)에 광 원(100)이 마련된다.
상기 광원(100)은 전원의 공급에 따라 빛을 방출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전구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원(100)은 비교적 소형이면서 낮은 전력소모에 비해 높은 광량을 갖는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원(100)을 엘이디로 적용할 경우, 이러한 엘이디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피씨비(PCB)(120) 상에 마련되며, 상기 엘이디가 마련된 피씨비(120)의 이면(아래면)에는 상기 엘이디의 발광 시 발생하는 고온을 원활하게 공랭 시키기 위해 히트싱크(heat sink)(110)가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와 같이 광원(100)이 마련된 피씨비(120)는 상기 헤드램프 브래킷(200)의 안쪽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200)은 헤드램프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브래킷(200)에는 상술한 엘이디 광원(100)을 직접 차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브래킷(200)에는 그 안쪽에 위치하는 광원(100)의 빛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홀(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220)의 일측에는 반구 형상의 반사면(210)이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는 것이 양호하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이디 광원(100)에서 나온 빛은 브래킷(200)의 홀(220)을 통과하여 반사면(210)에서 반사되면서 그 진행방향이 대략 직각으로 꺾인 후, 이후에 설명할 제1렌즈(300)의 길이방향(대략 차체의 횡방향)을 향하여 분산되는 것이다.
상술한 반사면(210)은 이후에 설명할 제1렌즈(300)의 길이방향 단부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제1렌즈(300)는 대략 사각 단면을 갖고 헤드램프의 테두리를 따라 3차원 곡선을 이루고 있다.
특히, 상기 제1렌즈(300)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100)으로부터 반사면(210)을 거쳐 상기 제1렌즈(300)로 들어온 빛을 넓은 영역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국부적으로 밝은 빛이 방출되는 것을 막게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렌즈(300)의 안쪽 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커팅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300)의 길이방향을 나아가던 빛의 일부를 직각방향으로 방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300)의 차체 전방 측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렌즈(400)가 위치하게 되며, 이 제2렌즈(400) 또한 3차원 곡선을 이루어 상기 제1렌즈(300)와 유사한 길이와 형상을 이루며, 단면 형상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상기 제2렌즈(400)는 상기 제1렌즈(300)와는 다르게 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렌즈(300)에서 나오는 빛을 그대로 차체 전방을 향하여 통과시키게 되며, 컷 형상가공이 되어 있어 심미감 높은 디자인 이미지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제1렌즈(300)와 제2렌즈(400)를 헤드램프의 상하에 각각 한 개씩 적용한 것을 예시하는 것으로, 헤드램프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렌 즈(300)와 제2렌즈(400)는 비교적 곡률반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 도 3의 도면상 좌측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직 하나의 엘이디 광원(100)으로도 고르게 빛을 방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헤드램프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렌즈(300)와 제2렌즈(400)는 비교적 곡률반경이 작고 그 길이 또한 다소 길게 형성되어 있어, 도 3의 도면상 좌측 상부와 우측 하부에 각각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이디 광원(100)을 마련하여 상기 제1렌즈(300)와 제2렌즈(400)의 전체 길이에서 고르게 빛을 방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원(100)의 개수는 상기 제1렌즈(300) 및 제2렌즈(400)의 곡률반경에 반비례하고, 상기 제1렌즈(300) 및 제2렌즈(400)의 길이에 비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램프 상측의 제1렌즈(300)와 제2렌즈(400)의 어느 한 끝단에 하나의 엘이디 광원(100)을 마련하고, 헤드램프 하측의 제1렌즈(300)와 제2렌즈(400)의 양 끝단에 하나씩의 엘이디 광원(100)을 마련하는 것으로, 헤드램프를 감싸는 선형 미등의 길이방향 전반에 걸쳐 고르게 빛이 방출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법적 규제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동일 규격의 헤드램프에 대략 20mm 간격으로 약 44개의 엘이디를 설치해야만 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형 미등의 경우 오직 3개의 엘이디만으로 종래와 동등 또는 유사한 배광 효율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헤드램프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형 미등이 적용된 헤드램프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선형 미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도 4의 C-C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D-D선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원 110 : 히트싱크
120 : 피씨비(PCB) 200 : 브래킷
210 : 반사면 220 : 홀
300 : 제1렌즈 400 : 제2렌즈

Claims (5)

  1. 광원이 마련되어 반사면이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과;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제1렌즈와;
    컷 형상 가공된 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를 통과한 빛을 발산시키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형 미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반사면은 반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그 직각방향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렌즈의 길이방향으로 입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형 미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곡률반경에 반비례하고,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길이에 비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형 미등.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엘이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형 미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에는 열을 공랭 시키기 위한 히트싱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형 미등.
KR1020090055323A 2009-06-22 2009-06-22 차량용 선형 미등 KR101114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323A KR101114090B1 (ko) 2009-06-22 2009-06-22 차량용 선형 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323A KR101114090B1 (ko) 2009-06-22 2009-06-22 차량용 선형 미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087A true KR20100137087A (ko) 2010-12-30
KR101114090B1 KR101114090B1 (ko) 2012-02-20

Family

ID=4351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323A KR101114090B1 (ko) 2009-06-22 2009-06-22 차량용 선형 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0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2176C2 (de) * 1999-05-12 2001-11-1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berflächenmontierte LED-Mehrfachanordnung und deren Verwendung in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DE10211189A1 (de) * 2002-03-14 2003-10-09 Schefenacker Vision Systems Leuchteinheit, insbesondere als Zusatzeinheit in Außenrückblickspiegeln von Kraftfahrzeugen
KR20050047572A (ko)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리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090B1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5357B2 (en) Vehicular lamp
US8333493B2 (en) Dual-direction light pipe for automotive lighting
JP5945857B2 (ja) 車両用前照灯及び導光レンズ
JP2006236588A (ja) 光照明装置及び車両用灯具
JP7081977B2 (ja) 車両用灯具
US20120327680A1 (en) Reflector signal lamp having a hidden light source
JP2010040322A (ja) 車両用灯具
JP2015053147A (ja) 車両用灯具
US20200072431A1 (en) Vehicle lamp
US9862306B2 (en) Vehicle decorative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JP2019023965A (ja) 車両用灯具
JP6975587B2 (ja) 車両用灯具
JP6221438B2 (ja) 車両用灯具
JP2015185524A (ja) 車両用灯具
CN210219614U (zh) 车辆用灯具
JP2015008111A (ja) 線状導光体を用いた複合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灯具
JP6385175B2 (ja) 車両用信号灯
KR101114090B1 (ko) 차량용 선형 미등
KR101011819B1 (ko) 차량용 엘이디등의 렌즈
JP7023780B2 (ja) 車両用灯具
JP6035901B2 (ja) 車両用灯具
JP2017183143A (ja) 車両用灯具
JP2016119219A (ja) 車両用灯具
JP7390244B2 (ja) 車両用灯具
JP2008108470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