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517A -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517A
KR20100135517A KR1020090053943A KR20090053943A KR20100135517A KR 20100135517 A KR20100135517 A KR 20100135517A KR 1020090053943 A KR1020090053943 A KR 1020090053943A KR 20090053943 A KR20090053943 A KR 20090053943A KR 20100135517 A KR20100135517 A KR 2010013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ll connection
call
blocking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374B1 (ko
Inventor
에트람 프렘쿠마
다스 쿠마브라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374B1/ko
Priority to US12/802,868 priority patent/US9813537B2/en
Publication of KR2010013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은 통화 차단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 시점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수신하면, 측정된 경과 시간이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측정된 경과 시간이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요청된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에서 측정된 경과 시간을 감한 시간 정보를 통화 연결을 요청한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 연결, 통화 차단, 사용자 상태 정보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METHOD FOR CONNECTING AND BLOCKING CALL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통화 연결이 요청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려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에는 통화 차단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예를 들어, 수면 중, 회의 중, 운전 중)인 경우, 휴대 단말기의 통화 차단 기능을 실행시켜 상대방의 통화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상대방의 통화 연결을 차단함과 동시에 통화를 받을 수 없다는 음성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통화 차단 기능을 해제하기 전까지는 상대방은 사용자와의 통화를 연결할 수 없으며, 언제 사용자가 통화 차단 기능을 해제할지 모르기 때문에 상대방은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에게도 통화의 중요도에 따라 일부 전화는 연결하고 다른 전화들은 차단해야 하는 상황이 주어질 수 있고, 상대방에게도 사용자와 반드시 통화 연결을 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이 주어질 수 있는데, 현재 휴대 단말기의 통화 차단 방법은 이러한 사용자 및 상대방의 요구를 반영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화 차단 시간 또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상대방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이 통화 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 연결 및 차단에 있어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은 통화 차단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 시점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수신하면, 측정된 경과 시간이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측정된 경과 시간이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요청된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에서 측정된 경과 시간을 감한 시간 정보를 통화 연결을 요청한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은 통화 차단 기능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수신하면, 통화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통화 연결을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통화 차단 기능을 해제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통화 연결이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수신하면,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다음 통화 연결의 요청을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의 제2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은 제1휴대 단말기가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제1휴대 단말기가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수신하면, 제2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설정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제1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2휴대 단말기가 제1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거나 제2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제1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제1휴대 단말기가 제2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할 것을 제2휴대 단말기로 알리는 단계, 제2휴대 단말기가 제1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하고, 제1휴대 단말기로 알리는 단계, 제1휴대 단말기가 제2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 및 제2휴대 단말기에 사용자 상태 정보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제2휴대 단말기가 사용자 상태의 변경 정보를 제1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1휴대 단말기가 수신한 사용자 상태의 변경 정보에 근거하여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대방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차단 잔여 시간 또는 통화 연결이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받아 통화 연결 가능 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대방은 사용자가 통화 연결이 가능한 시기에 적절하게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은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통화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긴급한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통화 차단 기능이 실행 중인 경우에도 상대방은 사용자와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휴대 단말기는 제1휴대 단말기 또는 제2휴대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는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에 해당하며, 제2휴대 단말기는 통화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휴대 단말기에 해당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기지국(BTS), 제어국(BSC), 교환국(MSC)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휴대 단말기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통화 연결 차 단 시간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입력부(14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상기 센서들도 입력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로 설정하고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 또는 해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 해제 모드,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제2휴대 단말기를 제1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도 입력부(140)를 통해 제1휴대 단말기를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정 보 갱신 목록에 저장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제1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통화 차단 모드 설정 화면 및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제2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차단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제2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1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가능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제1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통화 차단 모드 설정 화면 및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제2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및 통화 연결을 진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을 설정하는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각각 제2 휴대 단말기 및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제2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며, 제1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의 변경 내용에 따라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설정하며, 설정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통화 연결 차단 시간과 측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측정된 시간이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경과하면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측정된 시간이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경과하지 않는 경우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잔여 시간을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사용자 명령 입력을 수신하여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로 설정하며,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 차단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에 송신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사용자 명령 입력을 수신하여 통화 차단 모드를 해제 모드로 설정하고,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 연결 가 능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사용자 명령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설정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설정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1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 및 통화 연결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연결 키가 입력되는지 연결 종료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거나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를 제1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를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했다는 메시지를 제1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사용자 상태 정보의 변경 명령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변경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1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2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통화 차단 모드 설정 메뉴 및 통화 연결 차단 시간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 차단 모드 설정 메뉴는 실행 모드 또는 해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통화 연결 차단 시간 설정 메뉴는 시간을 입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 연결 차단 시간 설정 메뉴는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자 하는 시간(예를 들어, 30분, 1시간, 2시간)으로 설정되는 메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화 차단 기능이 해제되는 시각(예를 들어, 오후 02:40)으로 설정되는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시간 단위로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15분, 30분, 1시간 등 일정한 간격으로 구분된 시간 단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메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직접 사용자가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예를 들어, 2시간 13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화 연결 차단 시간 설정 메뉴는 통화 차단 모드 설정 메뉴에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차단 모드 설정 메뉴에서 실행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통화 차단 모드 설정 메뉴의 연계 메뉴로서 통화 연결 차단 시간 설정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사용자입력에 의해 발생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통화 차단 모드 및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설정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2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시간 측정을 개시한다.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설정한 직후, 시간 측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시간 측정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기능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시간 측정을 중지하는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간 측정이 중지된 상태에서 입력부(140)로부터 시간 측정을 재개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중지되었던 시간에서부터 다시 시간 측정을 재개한다.
21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외부 단말기(예를 들어,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설정된 통화 차단 모드 및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확인한 후, 220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이 설정된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제어부(160)가 시간 측정을 일시적으로 중지한 경우에는 중지 시간을 제외한 시간이 설정된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측정된 시간이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경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225단계에서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연결을 차단한다. 23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설정된 통화 연결 차단 시간에서 측정된 시간을 감한 잔여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잔여 시간을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일정 시각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 차단이 해제되는 시각을 송신할 수 있다.
220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이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160)는 235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와 의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순서도에 해당한다.
305단계에서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로 설정하고,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30분으로 설정한다.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설정한 후, 시간 측정을 개시한다. 310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가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이어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통화 차단 모드가 실행 모드로 설정되고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이 30분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측정된 시간이 설정된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측정된 시간이 10분인 경우,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설정된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경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315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잔여 시간 20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SMS(Short Messaging Service)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음성 응답을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320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가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한 후, 측정된 시간이 20분임을 확인하고, 325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잔여 시간 10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시간 측정 과정을 계속적으로 진행하며 측정된 시간이 통화 연결 차단 시간으로 설정된 30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330단계에서 통화 차단 모드를 해제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가 통화 차단 모드를 해제 모드로 전환한 후,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 차단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어 335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가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340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연결 차단 시간을 미리 설정해두고, 제2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통화 연결까지의 잔여 시간을 제공받음으로써, 제1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이 가능한 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순서도에 해당한다.
405단계에서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 자에 의해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로 설정하는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통화 차단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로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로 설정한다.
410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 요청을 송신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제어부(160)는 설정된 통화 차단 모드를 확인한 후,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415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를 차단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SMS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음성 응답을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420단계에서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제2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통화 차단 목록에 추가시켜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통화 차단 목록은 제1휴대 단말기의 통화 차단 모드가 실행 모드 상태에서 제1휴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들의 번호로 구성되는 목록을 의미한다. 통화 차단 목록은 저장부(130)에 저장되며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통화 차단 목록에 통화 연결을 요청한 외부 단말기의 번호를 저장한다.
425단계에서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 자에 의해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통화 차단 모드를 해제 모드로 변경하여 설정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430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 차단 모드를 실행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전환하면 제1휴대 단말기가 통화 연결이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제2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제1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5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통화 차단 모드 설정 메뉴 및 사용자 상태 정보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통화 차단 모드 설정 메뉴는 실행 모드, 해제 모드,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형태의 메뉴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 모드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이 요청되었을 때, 통화 연결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며, 동일한 번호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이 요청되었을 때에 연결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통화 차단 모드에 해당한다.
사용자 상태 정보 설정 메뉴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는 '회의 중', '운전 중', '수면 중' 등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의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 설정 메뉴는 '회의 중', '운전 중'과 같이 몇몇 개의 예시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상태 정보 설정 메뉴는 통화 차단 모드 설정 메뉴에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5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외부 단말기(예를 들어,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부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설정된 통화 차단 모드 및 사용자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515단계에서 일시적으로 통화 연결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통화 연결을 요청한 외부 단말기의 번호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60)는 520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통화 연결을 계속적으로 진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통화 연결을 요청한 외부 단말기로 송신한다.
52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번호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510단계에서 통화 연결이 요청된 외부 단말기의 번호와 동일한 번호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530단계에서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순서도에 해당한다.
605단계에서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통화 차단 모드 및 사용자 상태 정보 설정 메뉴를 설정한다. 통화 차단 모드에는 실행 모드, 해제 모드, 선택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화 차단 모드를 선택 모드로 선택하고, 사용자 상태 정보를 '회의 중'으로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며, 제어부(16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통화 차단 모드를 선택 모드로 설정하고 사용자 상태 정보를 '회의 중'으로 설정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610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통화 차단 모드가 '선택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 상태 정보가 '회의 중'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615단계에서 사용자 상태 정보('회의 중')를 포함하며, '통화 연결', '통화 종료', '메시지 송신'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메시지는 제1휴대 단말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제1휴대 단말기가 제2휴대 단말기로 메시지를 보낼 것을 기지국 등으로 전송하면 기지국 등이 상기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가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경우,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 기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한다. 메시지가 기지국 등으로부터 생성된 경우, 메시지를 송신한 기지국은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하며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한다.
제2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에서 제2휴대 단말기가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한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a의 표시 화면은 '010-9955-5665'(제1휴대 단말기)가 현재 '회의 중'이라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1. 통화 연결', '2. 통화 종료', '3. 메시지 송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키 입력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1'키를 입력하면, 620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1'키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하고, 625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630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1'키를 입력하면,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615단계에서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 후,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연결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615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 기로 메시지를 송신한 후, 시간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시간을 측정하고 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만약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가 시간을 측정하여 설정된 임계 시간을 도과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 상태 정보 및 통화 연결의 진행 여부의 선택하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2'키를 입력하면,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제1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며,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3'키를 입력하면,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의 번호 정보 및 통화 연결을 시도한 시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1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에서 제1휴대 단말기가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b의 표시 화면은 '010-7651-7876'(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있었다는 정보와 '5/29 1:52pm'과 같이 제2휴대 단말기가 통화 연결을 시도한 시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휴대 단말기가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이 요청되었을 때, 제1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와 통화 연결을 계속적으로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제2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을 계속 진행할 것인지 선택 기회를 제공하고, 제1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긴급한 전화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순서도에 해당한다.
제1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메뉴를 선택하면,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메뉴를 표시한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메뉴의 예시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메뉴에는 현재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 및 사용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포함되며, 목록 추가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010-7766-7678' 앞에 표시된 아이콘은 '운전 중'을 의미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며, '010-7677-5478' 앞에 표시된 아이콘은 '회의 중'을 의미하는 아이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상태 정보들이 일정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는 경우,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별로 색상을 구분하여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면 중'과 같이 전화를 전혀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는 아이콘을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회의 중'과 같이 통화 연결은 가능하지만 가급적 피하는 것이 적절한 상황에서는 아이콘을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통화 차단 해제 상태의 경우에는 아이콘을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목록 추가' 키를 입력하고, 목록 입력란에 제2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705단계에서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입력된 전화번호를 인식하고, 710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 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제1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추가할 것이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2휴대 단말기가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d의 메시지는 제1휴대 단말기('010-9955-5665')가 제2휴대 단말기('010-7651-7876')를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추가한다는 내용 및 동의 여부를 선택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휴대 단말기가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는 제1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1휴대 단말기가 제2휴대 단말기를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추가한다는 통지 또는 제1휴대 단말기를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추가해달라는 요청에 동의하는 키를 입력하면,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715단계에서 제1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한다. 이어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720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가 제1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1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725단계에서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제2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추가하여 저장한다.
이후 제2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자 상태 정보를 변경하면, 제2휴대 단말 기의 제어부(160)는 730단계에서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 상태 정보의 변경 명령을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메뉴를 표시하며,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메뉴에 포함되는 아이콘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2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사용자 상태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식하고, 735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변경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1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740단계에서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서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갱신하여 설정 및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형태 및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휴대 단말기가 사용자 상태 정보를 변경하면, 변경 정보가 제2휴대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달되며, 제2휴대 단말기가 사용자 상태 정보를 변경하면, 변경 정보가 제1휴대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달되어, 각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목록에 저장되어 있는 상대방의 상태를 확인하여 통화를 연결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대방이 전화를 받기 곤란한 상황을 피해서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 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을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에서 제2휴대 단말기가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한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및 차단 과정에서 제1휴대 단말기가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메뉴의 예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서 제2휴대 단말기가 제1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Claims (11)

  1.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통화 차단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 시점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상기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상기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요청된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에서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을 감한 시간 정보를 상기 통화 연결을 요청한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상기 설정된 통화 차단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3.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통화 차단 기능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통화 연결을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번호를 저장하는 단 계; 및
    통화 차단 기능을 해제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통화 연결이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4.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다음 통화 연결의 요청을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는 상기 설정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의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8. 제1휴대 단말기의 제2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휴대 단말기가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2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1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거나 제2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제1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9.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2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할 것을 상기 제2휴대 단말기로 알리는 단계;
    상기 제2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1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하고, 상기 제1휴대 단말기로 알리는 단계;
    상기 제1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2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 갱신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휴대 단말기에 사용자 상태 정보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휴대 단말기가 사용자 상태의 변경 정보를 상기 제1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휴대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사용자 상태의 변경 정보에 근거하여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와 관련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
KR1020090053943A 2009-06-17 2009-06-17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KR10166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943A KR101660374B1 (ko) 2009-06-17 2009-06-17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US12/802,868 US9813537B2 (en) 2009-06-17 2010-06-16 Method for connecting and blocking call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943A KR101660374B1 (ko) 2009-06-17 2009-06-17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17A true KR20100135517A (ko) 2010-12-27
KR101660374B1 KR101660374B1 (ko) 2016-09-27

Family

ID=4335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943A KR101660374B1 (ko) 2009-06-17 2009-06-17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13537B2 (ko)
KR (1) KR101660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006A (ko) * 2012-03-12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예약 통화 알림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0636B1 (en) 2012-08-01 2019-07-23 Allstate Insurance Company System for capturing passenger and trip data for a taxi vehicle
KR20140094951A (ko) * 2013-01-23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호 수신 거절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6115396B2 (ja) * 2013-08-15 2017-04-1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1307042B2 (en) 2015-09-24 2022-04-19 Allstate Insurance Company Three-dimensional risk maps
US10699347B1 (en) 2016-02-24 2020-06-30 Allstate Insurance Company Polynomial risk maps
US10264111B2 (en) 2016-10-04 2019-04-16 Allstate Solutions Private Limited Mobile device communication access and hands-free device activation
US9979813B2 (en) 2016-10-04 2018-05-22 Allstate Solutions Private Limited Mobile device communication access and hands-free device activation
US11295218B2 (en) 2016-10-17 2022-04-05 Allstate Solutions Private Limited Partitioning sensor based data to generate driving pattern map
KR20180090694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9415B1 (ko) 2022-05-27 2022-10-26 조민제 상황별 전화 수신차단 시간설정 및 안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878B1 (ko) * 2001-08-24 2004-02-11 서성환 스케줄을 이용한 자동 응답 시스템 및 방법
JP2004048310A (ja) * 2002-07-11 2004-02-12 Fujitsu Ltd 通信端末
KR20060058758A (ko) * 2005-07-14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거부 방법
US20060210024A1 (en) * 2005-03-21 2006-09-21 Chenxia Qiu Method of screening calls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call screen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0255A (en) * 1990-04-25 1991-10-22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timed-do-not-disturb
US5467388A (en) * 1994-01-31 1995-11-14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blocking incoming telephone calls
US20080139167A1 (en) * 1999-04-16 2008-06-12 Shelia Jean Burgess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7555108B2 (en) * 2002-10-01 2009-06-30 Nortel Networks Limited Presence information for telephony users
US7698648B2 (en) * 2006-10-23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Animation of icons based on presence
US8799925B2 (en) * 2007-12-28 2014-08-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contact list status notifications in collaboration systems to reduce network traffic
WO2010008542A2 (en) * 2008-07-15 2010-01-21 Manoj Ramnani Automatic profile update in a mobile device
US20100216438A1 (en) * 2009-01-26 2010-08-26 Jim Ruttler Mobile phone number exchang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878B1 (ko) * 2001-08-24 2004-02-11 서성환 스케줄을 이용한 자동 응답 시스템 및 방법
JP2004048310A (ja) * 2002-07-11 2004-02-12 Fujitsu Ltd 通信端末
US20060210024A1 (en) * 2005-03-21 2006-09-21 Chenxia Qiu Method of screening calls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call screening function
KR20060058758A (ko) * 2005-07-14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거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006A (ko) * 2012-03-12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예약 통화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1878880B1 (ko) * 2012-03-12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예약 통화 알림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13537B2 (en) 2017-11-07
KR101660374B1 (ko) 2016-09-27
US20100323673A1 (en)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5517A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연결 및 차단 방법
US20100048133A1 (en) Audio data flow input/output method and system
JP4508169B2 (ja) ハンズフリー装置
EP2309709A1 (en) Method for indicating a volume of an audio sink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3891297B (zh) 控制蓝牙连接的方法及电子设备
JP2006014300A (ja) 移動通信端末機の呼接続方法及び装置
JP5988900B2 (ja) 車載電子装置、車載システム、ハンズフリー通話プログラムおよびハンズフリー通話方法
WO2007074596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使用制限方法
KR100678166B1 (ko) 어쿠스틱 쇼크를 방지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768482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of mobile terminal
KR2005000694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 중 선택적 수신 방법
JP2005033672A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20090081170A (ko) 문자메시지 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헤드셋 및 문자메시지출력방법
US7421065B2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KR100610894B1 (ko) 스크린 세이버 자동 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12894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covert operation mode
KR10044266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US20190230486A1 (en) Opera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4366286A1 (en) Call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bluetooth earphone, and storage medium
JP2012004757A (ja) 携帯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400762B1 (ko) 통화 중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6026310A1 (zh) 一种通信提示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KR2006007289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 응답 기능 설정에 따른메신저 제어 방법
JP2009302860A (ja) 通話制御装置および通話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