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065A -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065A
KR20100135065A KR1020090053515A KR20090053515A KR20100135065A KR 20100135065 A KR20100135065 A KR 20100135065A KR 1020090053515 A KR1020090053515 A KR 1020090053515A KR 20090053515 A KR20090053515 A KR 20090053515A KR 20100135065 A KR20100135065 A KR 2010013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s
driven
bolts
dri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강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욱 filed Critical 강태욱
Priority to KR102009005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065A/ko
Publication of KR2010013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8Machines for placing washers, circlips, or the like on bolts or other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제1체결공(13) 및 제2체결공(14)이 형성된 제1,2부재(11,12)를 볼트(B1,B2)와 너트(N1,N2)로 체결시키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B1,B2)의 나사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볼트(B1,B2)가 상기 제1,2체결공(13,14)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제1,2부재(11,12)가 안착되는 고정대(200)와, 상기 제1,2부재(11,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송가능한 이송대(400)와, 상기 이송대(400)에 고정되는 제1,2모터(40,41)와, 상기 제1,2모터(40,41)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2체결공(13,14)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된 제1,2구동축(120,121)과, 상기 각 볼트(B1,B2)와 동축상에 위치되며, 하단부에 상기 너트(N1,N2)가 결합되는 렌치부(20)가 형성된 제1,2종동축(110,111)과, 상기 이송대(400)에 고정되며, 상기 제1,2구동축(120,121) 및 상기 제1,2종동축(110,11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40)와, 상기 제1,2구동축(120,121)과 상기 제1,2종동축(110,111)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2구동축(120,121)의 회전력을 상기 제1,2종동축(110,111)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어암, 나사, 볼트, 너트, 체결장치

Description

체결장치 { Fastening Machine }
본 발명은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부재에 복수의 볼트와 너트쌍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서로 좁은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체결공에 복수의 볼트와 너트쌍을 동시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부재 중에서, 볼트와 너트가 널리 사용된다. 복수의 부재에 동축적으로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가 끼워진 후, 볼트의 단부측에 너트가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볼트와 너트는 복수의 부재를 결합시키게 된다.
복수의 볼트와 너트쌍에 의해 결합되는 많은 조립체 중의 하나로써,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일부분을 이루는 로어암 어셈블리가 있다. 도1에 로어암 어셈블리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로어암 어셈블리(10)는 커넥터(11), 로어암 본체(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넥터(11)는 로어암 어셈블리(10)와 너클암을 연결시키기 위한 부재로써, 로어암 본체(12)와 별도로 제작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1)와 로어암 본체(12)는 3쌍의 볼트와 너트(B1-N1,B2-N2,B3-N3)에 의해 결합되는데, 볼트(B1,B2,B3)가 커넥터(11)와 로어암 본체(12)에 형성된 체결공(13,14,15)에 삽입된 후, 너트(N1,N2,N3)가 체결됨으로써 결합된다.
도2은 종래의 체결장치의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써, 자동차의 로어암 어셈블리(10)에 나사부재를 체결하는 체결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커넥터(1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쌍의 볼트와 너트(B1-N1,B2-N2,B3-N3)가 체결됨으로써, 로어암 본체(12)에 결합된다. 이러한 3쌍의 볼트와 너트(B1-N1,B2-N2,B3-N3)를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장치(1)가 사용되며, 상기 체결장치(1)는 선단부에 너트(N1)를 고정 수납하는 렌치부(20)를 구비하며 모터(47)에 연결된 회전축(30)을 구비한다.
3쌍의 볼트와 너트(B1-N1,B2-N2,B3-N3)를 체결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축(30)이 이동하면서, 너트를(N1,N2,N3)를 볼트(B1,B2,B3)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시킨다. 종래의 체결장치(1)는 3개의 너트(N1,N2,N3) 중의 하나를 먼저 체결하고, 회전축(30)을 이동시킨 후, 다른 너트를 체결해 나가는 방법으로 3개의 너트(N1,N2,N3)를 순차적으로 체결시킨다. 따라서, 회전축(30)의 이동시간을 고려하면, 3개의 너트(N1,N2,N3)를 모두 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너트 하나를 체결할 때 걸리는 시간보다 3배 이상이 소요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부에 렌치부(20)가 형성된 3개의 회전축(30)을 구비하며, 3개의 너트(N1,N2,N3)를 동시에 3개의 볼트(B1,B2,B3)에 체결시키는 체결장치가 착안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30)을 구동시키는 모터(47)의 직경은 렌치부(20)의 직경에 비해서 큰 것이 일반적이므로, 체결공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경우, 회전축(30)과 동축선 상에 있는 모터(47)간에 겹침이 발생된다. 따라서, 체결공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경우에는, 그 체결공에 볼트와 너트를 동시에 체결하는 체결장치 를 제작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로어암 본체(12)의 단부측에 형성된 체결공(13,14)에 삽입된 볼트(B1,B2)에 너트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에서 발생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암 본체(12)의 단부측에 형성된 체결공(13,14) 사이의 간격이 작기 때문에, 상기 체결공(13,14)과 동축상에 각각 모터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두 개의 회전축(30)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30)이 다른 회전축(30)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는 체결장치를 고려해 볼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에 렌치부(20)에 고정된 너트(N1,N2)의 나사부와 볼트(B1,B2)의 나사부가 원활하게 나사결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체결공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경우에도, 복수의 체결공에 복수의 볼트와 너트쌍을 동시에 체결시킬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1,2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키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나사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볼트가 상기 제1,2체결공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제1,2부재가 안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제1,2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송가능한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에 고정되는 제1,2모터와, 상기 제1,2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2체결공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된 제1,2구동축과, 상기 각 볼트와 동축상에 위치되며, 하단부에 상기 너트가 결합되는 렌치부가 형성된 제1,2종동축과, 상기 이송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1,2구동축 및 상기 제1,2종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1,2구동축과 상기 제1,2종동축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2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1,2종동축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결장치를 사용하면, 서로 좁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체결공을 가지는 부재에 복수의 볼트와 너트쌍을 동시에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 의 볼트와 너트쌍을 체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되는 조립체의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너트가 결합되는 렌치부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너트는 자력에 의해서 렌치부에 부착되며, 너트의 자중으로 인하여 렌치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너트가 렌치부에 끼워져 마찰력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렌치부의 내주면을 너트의 외주면의 크기와 거의 일치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너트가 렌치부에 마찰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므로,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손쉽게 너트를 렌치부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3b는 도3a의 M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체결장치의 주요부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체결장치의 주요부분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수단의 일부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3a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는 자동차의 로어암 어셈블리(10)를 이루는 제1부재인 커넥터(11)와 제2부재인 로어암 본 체(12)를 볼트(B1,B2,B3)와 너트(N1,N2,N3)를 체결함으로써, 결합시키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체결장치(2)는 고정대(200), 이송대(400), 제1,2모터(40,41), 제1,2구동축(120,121), 제1,2종동축(110,111), 지지대(140) 및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대(200)는 상기 체결공(13,14,15)에 볼트(B1,B2,B3)가 끼워져 결합된 커넥터(11)와 로어암 본체(12)를 안착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11)는 로어암 본체(12)에 끼워진 후, 로어암 본체(12)와 커넥터(11)에 동축적으로 형성된 체결공(13,14,15)으로 볼트(B1,B2,B3)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때, 볼트(B1,B2,B3)의 나사부는 로어암 본체(12)의 상부로 돌출되고, 볼트(B1,B2,B3)의 볼트헤드(B11,B12,B13)가 하측을 향한 상태로 상기 고정대(200)에 안착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는 상기 커넥터(11)가 삽입된 로어암 본체(12)를 고정대(200)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2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210)는 클램핑 피스톤(220)에 의해서 작동한다. 상기 클램프(210)는 고정대(200)에 놓여진 커넥터(11)와 커넥터(11)가 끼워진 로어암 본체(12)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커넥터(11) 및 로어암 본체(12)를 고정대(200)에 고정시킨다.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는 고정소켓(300,301,302)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소켓(300,301,302)은 체결공(13,14,15)에 삽입된 볼트(B1,B2,B3)가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하며, 볼트(B1,B2,B3)에 너트(N1,N2,N3)가 체결될 때, 볼트(B1,B2,B3)가 너트(N1,N2,N3)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 정소켓(300,301,302)은 볼트헤드(B11,B21,B31)의 하방에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즉, 로어암 본체(12)의 단부측에 위치한 제1,2체결공(13,14)에 삽입된 두 개의 볼트(B1,B2)의 볼트헤드(B11,B21) 아래쪽에 각각 하나의 고정소켓(300,301)이 마련되어 있고, 로어암 본체(12)의 내측에 위치한 체결공(15)에 삽입된 볼트(B3)의 하방에 하나의 고정소켓(302)이 마련되어 있다. 로어암 본체(12)의 내측에 위치한 체결공(15)에 삽입된 볼트(B3)의 하방에 위치한 고정소켓(302)은 한 쌍의 승강 피스톤(310)에 의해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스프링(320)을 구비하여 탄성적으로 상기 볼트(B3)를 가압하면서 상기 볼트(B3)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이송대(400)는 고정대(200)에 안착 고정되는 커넥터(11)와 로어암 본체(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송 피스톤(41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송대(400)에는 제1,2모터(40,41)와 지지대(140)가 고정되어 있어서, 이송대(400)와 제1,2모터(40,41) 및 지지대(40)가 일체로써 상하방향(D1,D2)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제1,2모터(40,41)는 너트(N1,N2)를 볼트(B1,B2)의 나사부에 체결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제1,2모터(40,41)는 너트(N1,N2)가 볼트(B1,B2)의 나사부에 닿게 되면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1,2구동축(120,121)은 상기 제1,2모터(40,41)의 하방에 연결되어 있어, 제1,2모터(40,41)가 작동하면 회전하게 된다. 제1,2구동축(120,121)은 로어암 본체(12)의 단부에 형성된 제1,2체결공(13,14)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것은 제1,2체결공(13,14) 사이의 간격이 작을 경우에 제1,2모터(40,41)간 에 겹침으로 인해서, 실질적으로 제1,2모터(40,41)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설치의 곤란성은 모터(40,41)의 직경이 제1,2종동축(110,111)의 직경에 비해서 상당히 크다는 점에 기인한다.
상기 제1,2종동축(110,111)은 로어암 본체(12)의 단부의 제1,2체결공(13,14)에 삽입된 볼트(B1,B2)와 동축상에 위치하며, 하단부에 너트(N1,N2)가 삽입되는 렌치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렌치부(20)의 내측 윗면에는 자성체(500)가 구비되어 있어 너트(N1,N2)가 렌치부(20)의 윗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너트(N1,N2)는 자중에도 불구하고, 렌치부(2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즉, 너트(N1,N2)는 렌치부(20)에 끼워진 후, 너트(N1,N2)의 외주면과 렌지부(20)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렌치부(2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력에 의해서 렌치부(20)의 윗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140)는 이송대(400)에 고정되며, 상기 제1,2구동축(120,121) 및 제1,2종동축(110,111)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140)에는 하부 수평플레이트(142)와 상부 수평플레이트(1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수평플레이트(142) 및 상부 수평플레이트(144)에는 각각 제1,2종동축(110,111)과 제1,2구동축(120,121)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제1,2종동축(110,111) 및 제1,2구동축(120,121)의 외주면 사이에는 베어링(130)이 설치되어 제1,2종동축(110,111) 및 제1,2구동축(120,121)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특히, 하부 수평플레이트(142)의 하면에는 쓰러스트 베어링(13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볼트(B1,B2)와 너트(N1,N2)가 체결될 때, 제1,2종동축(110,111)이 상 방으로 밀리는 힘을 받더라도,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2종동축(110,111) 및 제1,2구동축(120,121)에는 플랜지(124)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1,2종동축(110,111) 및 제1,2구동축(120,121)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2,14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축 다각돌기(122,123), 종동축 다각 돌기(112,113) 및 제1,2연결축(100,10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축 다각돌기(122,123)는 각각 제1,2구동축(120,12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2구동축(120,121)과 일체로 함께 회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종동축 다각돌기(112,113)는 각각 제1,2종동축(110,11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2종동축(110,111)과 일체로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1,2연결축(100,101)은 일단에 상기 구동축 다각돌기(122,123)를 수용하는 다각홈(102,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상기 종동축 다각돌기(112,113)를 수용하는 다각홈(104,105)이 형성되어 있다. 제1,2연결축(100,101)은 제1,2구동축(120,121)의 회전력을 제1,2종동축(110,111)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축(120) 하단에 형성된 정사각뿔대 형상의 구동축 다각돌기(122)가 연결축(100)의 상측에 형성된 정사각형 모양의 다각홈(102)에 삽입된다. 제1연결축(100)의 다각홈(102)의 한 변의 길이는 구동축 다각돌기(122)의 아랫면의 대각선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구동축(120)이 회전되면, 구동축 다각돌기(122)와 다각홈(102)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제1연결축(1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 구동축(120)과 제1연결축(100)이 경사지게 연결된 경우에도 구동축 다각돌기(122)와 다각홈은(102)는 서로 맞물려 함께 회전된다. 종동축 다각돌기(112)와 제1연결축(100)의 타단에 형성된 다각홈(104)의 경우도, 구동축 다각돌기(122)와 제1연결축(100)의 일단에 형성된 다각홈(102)이 연결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1,2연결축(100,101)은 지지대(140)에 고정된 베어링 브라켓(134)에 설치된 베어링(130)에 끼워지서, 지지대(14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2연결축(100,101)은 상기 브라켓(134)에 고정된 베어링(1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볼트(109)에 의해서 결합되는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40)에는 위치고정 스토퍼(250)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 스토퍼(250)의 하단부에는 고정돌기(252)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270)에는 상기 위치고정 스토퍼(250)가 결합되는 스토퍼 수용부(260)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스토퍼 수용부(260)에는 상기 고정돌기(252)가 끼워지는 고정홈(26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대(140)가 하방(D2)로 내려가면, 지지대(140)에 고정 결합 되어있는 위치고정 스토퍼(250)도 함께 내려가게 되고, 상기 고정돌기(252)가 스토퍼 수용부(260)의 고정홈(262)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고정 스토퍼(250)와 스토퍼 수용부(260)가 결합되면, 볼트(B1,B2,B3)와 너트(N1,N2,N3)를 체결시키는 힘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송대(400)와 베이스 프레임(270)간의 상대적 움직임이 더욱 방지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에 있어서, 로어암 본체(12)의 내측에 위치한 볼트(B3)에 너트(N3)를 결합시키기 위한 회전축(30)과 연결된 모터(47)는 다른 모터(40,41)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볼트(B3)와 동축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0)의 하측단부에도 자성체(500)를 구비한 렌치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자동차 로어암 어셈블리(10)를 조립하기 위해서, 로어암 본체(12)에 커넥터(11)를 상기 로어암 본체(10)에 삽입한다. 상기 로어암 본체(12)와 커넥터(11)에는 볼트(B1,B2,B3)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13,14,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13,14,15)이 일렬로 나란해지도록 커넥터(11)와 로어암 본체(12)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한 다음, 3개의 볼트(B1,B2,B3)를 상기 체결공(13,14,15)에 삽입한다. 이때, 볼트헤드(B11,B21,B31)와 볼트(B1,B2,B3)의 나사부는 로어암 본체(12)의 외부에 노출된다.
볼트(B1,B2,B3)가 삽입되어 조립된 상기의 커넥터(11)와 로어암 본체(12)를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의 고정대(200)에 놓는다. 이때, 로어암 본체(12)의 단부에 삽입된 볼트(B1,B2)의 볼트헤드(B11,B21)는 고정대(20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소켓(300,301)에 끼워지도록 하고, 로어암 본체(12)의 내측에 삽입된 볼트(B3)의 볼트헤드(B31)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고정소켓(302)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로어암 본체(12)와 커넥터(11)가 고정대(200)에 놓여지면, 클램프(210)에 연결된 클램핑 피스톤(220)을 동작시킴으로써, 클램프(210)가 로어암 본체(12)와 커넥터(11)를 고정대(200)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커넥터(11)가 삽입된 로어암 본체(12)가 고정대(200)에 고정되면, 렌치부(20)에 너트(N1,N2,N3)를 삽입시킨다. 이때, 렌치부(20) 내부의 상측면에는 자석성체(5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너트(N1,N2,N3)는 렌치부(20) 내부의 상측면에 부착되게 된다. 렌치부(20)에 너트(N1,N2,N3)를 삽입한 후, 이송 피스톤(410)을 작동시켜 이송대(400)를 하방(D2)로 이동시킴으로써, 3개의 렌치부(20)를 하강시킨다. 상기 렌치부(20)에 삽입된 너트(N1,N2,N3)가 볼트(B1,B2,B3)에 접촉되면 모터(40,41,47)를 구동시켜, 너트(N1,N2,N3)가 볼트(B1,B2,B3)에 체결되도록 한다.
너트(N1,N2,N3)가 볼트(B1,B2,B3)에 체결되면, 모터(40,41,47)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송대(400)를 상방(D1)으로 이동시켜 렌치부(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클램핑 피스톤(220)을 제어하여 클램프(210)가 클램핑을 해제하도록 한다. 클램핑이 해제되면, 볼트(B1,B2,B3)와 너트(N1,N2,N3)가 체결된 로어암 어셈블리(10)를 고정대(200)에 빼낸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너트(N1,N2,N3)와 볼트(B1,B2,B3)가 체결된 로어암 어셈블리(10)를 다량으로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복수의 볼트와 너트 쌍(B1-N1,B2-N2,B3-N3)을 동시에 체결하게 되면, 하나씩 볼트를 체결할 때에 비해서, 소요시간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시간당 제조되는 로어암 어셈블리(10)의 수가 증가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너트(N1,N2,N3)가 결합되는 렌치부(20)는 자성체(50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너트(N1,N2,N3)는 자력에 의해서 렌치부(20)에 부착되며, 너트(N1,N2,N3) 의 자중으로 인하여 렌치부(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렌치부(20)에 너트(N1,N2,N3)가 끼워져 마찰력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렌치부(20)의 내주면을 너트의 외주면(N1,N2,N3)의 크기와 거의 일치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너트(N1,N2,N3)와 렌치부(20)가 마찰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므로,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손쉽게 너트(N1,N2,N3)를 렌치부(20)와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3)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와 같이, 고정대(200), 이송대(400), 제1,2모터(40,41), 제1,2구동축(120,121), 제1,2종동축(110,111), 지지대(140) 및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3)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와는 달리 제1,2연결축(100,101)을 구비하지 않는다.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3)는 동력전달수단으로써, 구동기어(600,601)와 종동기어(602,60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기어(600,601)는 구동축(120,121)의 하측단부에 동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종동기어(602,603)는 종동축(110,111)의 상측단부에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3)에서, 상기 구동기어(600,601)와 종동기 어(602,603)는 서로 맞물리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기어(600,601)가 회전함에 따라서 종동기어(602,603)가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기어(600,601)과 종동기어(602,603)의 결합에 의해서, 구동축(120,121)과 종동축(110,111)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3)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와 매우 유사하며, 동일한 도면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와 같이, 고정대(200), 이송대(400), 제1,2모터(40,41), 제1,2구동축(120,121), 제1,2종동축(110,111), 지지대(140) 및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와는 달리 제1,2연결축(100,101)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4)는 동력전달수단으로써, 체인(700,701)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710,711) 및 종동스프로킷(720,721)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스프로킷(710,711)은 구동축(120,121)의 하측단부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며, 종동 스프로킷(720,721)은종동축(110,111)의 상측단부에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축(120,121)의 회전력이 체인(700,701)에 종동축에 전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4)는 제1,2구동축(120,121)간의 간격을 크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4)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와 매우 유사하며, 동일한 도면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도1은 로어암 어셈블리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체결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3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3b는 도3a에 도시된 M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주요부분의 개략적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주요부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동력전달수단의 일부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어암 어셈블리 11 ... 커넥터
12 ... 로어암 본체 20 ... 렌치부
40,41,47 ... 모터 100,101 ... 연결축
110,111 ... 종동축 120,121 ... 구동축
200 ... 고정대 300,301,302 ... 고정소켓

Claims (5)

  1. 제1체결공(13) 및 제2체결공(14)이 형성된 제1,2부재(11,12)를 볼트(B1,B2)와 너트(N1,N2)로 체결시키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B1,B2)의 나사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볼트(B1,B2)가 상기 제1,2체결공(13,14)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제1,2부재(11,12)가 안착되는 고정대(200)와,
    상기 제1,2부재(11,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송가능한 이송대(400)와,
    상기 이송대(400)에 고정되는 제1,2모터(40,41)와,
    상기 제1,2모터(40,41)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2체결공(13,14)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된 제1,2구동축(120,121)과,
    상기 각 볼트(B1,B2)와 동축상에 위치되며, 하단부에 상기 너트(N1,N2)가 결합되는 렌치부(20)가 형성된 제1,2종동축(110,111)과,
    상기 이송대(400)에 고정되며, 상기 제1,2구동축(120,121) 및 상기 제1,2종동축(110,11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40)와,
    상기 제1,2구동축(120,121)과 상기 제1,2종동축(110,111)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2구동축(120,121)의 회전력을 상기 제1,2종동축(110,111)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각 제1,2구동축(120,121)의 각 하단부에는 구동축 다각돌기(122,123)가 형성되고,
    상기 각 제1,2종동축(110,111)의 각 상단부에는 종동축 다각돌기(112,113)가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구동축 다각돌기(122,123)를 수용하는 다각홈(102,103)이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종동축 다각돌기(112,113)를 수용하는 다각홈(104,105)이 형성되어 있는 제1,2연결축(100,10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축(120,121)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구동기어(600,601)와,
    상기 종동축(110,111)에 동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600,601)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600,601)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기어(602,60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축(120,121)에 동축으로 결합된 구동 스프로킷(710,711)과,
    상기 종동축(110,111)에 동축으로 결합된 종동 스프로킷(720,721)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710,711)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720,721)을 연결하는 체인(700,70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부(20)는 자성체(500)를 구비하여, 상기 너트(N1,N2)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KR1020090053515A 2009-06-16 2009-06-16 체결장치 KR20100135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15A KR20100135065A (ko) 2009-06-16 2009-06-16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15A KR20100135065A (ko) 2009-06-16 2009-06-16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065A true KR20100135065A (ko) 2010-12-24

Family

ID=4350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515A KR20100135065A (ko) 2009-06-16 2009-06-16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0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97B1 (ko) * 2013-02-26 2013-06-05 (주)에스엠티 자동차의 로어암 자동조립장치
KR101638059B1 (ko) * 2015-11-02 2016-07-08 주식회사 태창이엔지 라이저 클램프 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97B1 (ko) * 2013-02-26 2013-06-05 (주)에스엠티 자동차의 로어암 자동조립장치
KR101638059B1 (ko) * 2015-11-02 2016-07-08 주식회사 태창이엔지 라이저 클램프 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486B2 (en) Support frame of a hoisting machine
US10465836B2 (en) Motor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NO20170735A1 (en) Gear-Coupling type steering apparatus and steering method using same
JP5272091B2 (ja) ねじ切りされた締結部品を位置合わせして挿入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11173208A (ja) ロボット
CN107399560B (zh) 一种内置安装的传送带驱动设备
KR20100135065A (ko) 체결장치
CN112960594B (zh) 升降装置、定位设备和腔室设备
CN110950000A (zh) 一种辊式输送机
KR101271697B1 (ko) 자동차의 로어암 자동조립장치
CN206278678U (zh) 一种回转机械手传送臂
CN114700910B (zh) 一种转动设备找同心的方法
CA2288512C (en) Pivoting mounting block for motorized conveyor pulleys
CN112077589B (zh) 一种机械拆装工具
KR20130007912A (ko) 볼트 체결기
KR20090005073U (ko) 커플링 분해용 지그
CN202560957U (zh) 一种链轮涨紧机构
CN210709270U (zh) 一种用于机械零件制造流水线的环形传送机构
CN111958547A (zh) 丝杠螺母自动装卸多用工具
KR101739056B1 (ko) 볼트체결장치
CN214923613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柱形材夹持定位装置
KR100741760B1 (ko) 스핀들장치
CN212341054U (zh) 自转式夹具
CN213560827U (zh) 杆材的辅助焊接装置
CN217837243U (zh) 一种链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