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238A -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238A
KR20100132238A KR1020090050956A KR20090050956A KR20100132238A KR 20100132238 A KR20100132238 A KR 20100132238A KR 1020090050956 A KR1020090050956 A KR 1020090050956A KR 20090050956 A KR20090050956 A KR 20090050956A KR 20100132238 A KR20100132238 A KR 20100132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electronic money
currency
amount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2238A/ko
Priority to CN201310288867.7A priority patent/CN103366275B/zh
Priority to CN2010800044796A priority patent/CN102282579A/zh
Priority to PCT/KR2010/003127 priority patent/WO2010143823A2/ko
Priority to US13/144,913 priority patent/US20110270746A1/en
Publication of KR20100132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7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in that multiple accounts are available, e.g. to the p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시, 환율을 고려하여 보유한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 뿐 아니라 다양한 타 종류의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들 중 결제에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할 수 있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은,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입력받은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받은 전자화폐서비스센터가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가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전자화폐, 환율, 결제, 환전금액

Description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MONEY SETTLEMENT}
본 발명은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시, 환율을 고려하여 보유한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 뿐 아니라 다양한 타 종류의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들 중 결제에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할 수 있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결제 방법, 전자화폐서비스센터 및 전자화폐서비스센터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화폐는 발행자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발행자로부터 제공받는 일정한 화폐가치를 갖는 가상의 화폐로서, 비교적 위조나 변조 등의 위험성이 적고, 도난이나 분실했을 경우에도 안전하며, 소액 결제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화폐의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전자화폐가 신용카드만큼 활성화되어 있지 아니한 것은 전자화폐의 사용 호환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전자화폐 발행사들은 각각 별도의 서로 다른 IC칩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지 불시스템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에 맞는 전자화폐 결제단말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 측면에서는 전자화폐발행사 별로 전자화폐를 마련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전자화폐로 책정된 제품을 다루는 면세점 등과 같은 장소에서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할 시, 현재의 환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전자 화폐(원화)가 아닌 타 종류의 전자 화폐(달러화, 엔화 등)로 지불하는 것이 구입 가격 면에서 더 저렴할 수 있는 경우라도 전자화폐를 호환해서 사용하는데 무리가 있어, 환율에 따른 금전적 이익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입력받은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받은 전자화폐서비스센터가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가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을 제공하여,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시, 환율을 고려하여 보유한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 뿐 아니라 다양 한 타 종류의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들 중 결제에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에 요청하는고,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결제 방법을 제공하여,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시, 환율을 고려하여 보유한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 뿐 아니라 다양한 타 종류의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들 중 결제에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저장하며,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환전하고 각 통화별 결제금액을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및 저자화폐서비스센터의 결제 방법을 제공하여,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시, 환율을 고려하여 보유한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 뿐 아니라 다양한 타 종류의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들 중 결제에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 제금액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은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요청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되는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결제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에 요청하고, 이에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며, 각 통 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접근하는 전자화폐카드와 통신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근되는 상기 전자화폐카드를 인지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에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는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결제처리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를 차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화폐를 저장하는 전자화폐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는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결제처리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를 차감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는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저장하는 환율정보저장부;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환전하고 각 통화별 결제금액을 계산하는 결 제금액계산부; 및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결제금액계산부에 요청하고 상기 결제금액계산부에서 계산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소정 전자화폐카드의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면, 상기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따른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은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입력받은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전자화폐서비스센터가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가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회신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회신된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결제 방법은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접근하는 전자화폐카드를 인지하는 단계와, 인지된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결제처리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전 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를 차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내부에 탑재된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결제처리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의 결제 방법은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환전하고 각 통화별 결제금액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소정 전자화폐카드의 결제처리가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면, 상기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따른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통해 소정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를 요청하면, 단말장치 및 전자화폐서비스센터 간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에서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에 제시하여 사용자가 금전적으로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해당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에 의하면,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요청 시, 보유한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 뿐 아니라 환율을 고려하여 다양한 타 종류의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들 중 결제에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처리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통화의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타 통화를 적용한 결제금액으로 결제할 수 있어 현재 환율에 따른 금전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은,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며,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는, 단말장치(100) 및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 각각이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연동망으로서, 유/무선랜망, 유/무인터넷망, 휴대인터넷망(예 : 와이브로망),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금융네트워크망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장치(100)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10)에 의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네트워크(1)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면세점이나 서점과 같은 특정 상점에 위치하는 결제장치로서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10)가 제시하는 전자화폐카드(15)를 인지하는 형태를 채택하여, 사용자(10)에 의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전자화폐카드(15)는 코인카드, T-머니카드와 같이 전자화폐를 저장하는 플라스틱카드일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10)가 소지하는 노트북컴퓨터, PDA, 이동통신 단말과 같은 이동 가능한 장치로서 내부에 전자화폐카드를 탑재하는 형태를 채택하여, 사용자(10)에 의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 내부에 탑재되는 전자화폐카드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와 같은 스마트카드 형태의 사용자식별카드일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함에 따라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 결제처리를 요청한다.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특정 상점에 위치하는 결제장치로서의 구성을 갖는 단말장치(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120)와, 조작부(120)를 통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하고, 이에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조작부(120)를 통해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말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접근하는 전자화폐카드(15)와 통신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110)와,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0)는,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키입력부와 터치입력부와 음성명령입력부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를 채택할 수 있다.
카드인터페이스부(110)는, 접근된 전자화폐카드(15)를 인지하고 인지된 전자화폐카드(15)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근거리 접근된 전자화폐카드(15)를 인지/통신하는 무선인터페이스 기능 또는 삽입되는 전자화폐카드(15)를 인지/통신하는 접촉인터페이스 기능 등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채택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40)는, 카드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접근 또는 접촉된 전자화폐카드(15)가 인지되고, 조작부(120)를 통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
즉, 단말제어부(140)는, 사용자(10)가 조작부(120)를 조작하여 결제하고자 하는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한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입력하면, 네트워크(1)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접속하여, 입력된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
이에,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회신되면, 단말제어부(140)는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한다.
즉, 단말제어부(140)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 : 원화, 달러화, 엔화 등)가 회신되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제어부(140)는, 전자화폐카드(15) 인지 시 전자화폐카드(15)에 A원의 전자화폐 잔액이 존재함을 인지한 상태에서, B원에 상당하는 결제요청금액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원화 : B원, 달러화 : C원+환전수수료, 엔화 : D원+환전수수료)가 회신되면, 다음과 같은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택1. 원화 결제 시 전자화폐 잔액 : 현재 잔액 A원 - B원
선택2. 달러화 환전액수 결제 시 잔액 : 현재 잔액 A원 - (C원+환전수수료)
선택3. 엔화 환전액수 결제 시 잔액 : 현재 잔액 A원 - (D원+환전수수료)
이에, 사용자(10)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시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조작부(120)를 통해 소정의 결제금액정보가 선택되면, 단말제어부(140)는 선택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카드(15)에 대한 결제처리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
즉, 단말제어부(140)는 전술과 같이 제시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 : 선택1, 선택2, 선택3) 중 소정의 결제금액정보(예 : 선택2)가 선택되면, 단말제어부(140)는 전자화폐카드(15)에 대하여 선택된 해당 통화(예 : 달러화)의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대응하는 결제처리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40)는, 결제처리를 요청함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를 차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내부에 전자화폐카드를 탑재하는 이동 가능한 장치로서의 구성을 갖는 단말장치(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160)와, 조작부(160)를 통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하고, 이에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 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조작부(160)를 통해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말제어부(18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내부에 탑재된 전자화폐카드(150)와, 표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60)는,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키입력부와 터치입력부와 음성명령입력부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를 채택할 수 있다.
내부에 탑재된 전자화폐카드(15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와 같은 스마트카드 형태의 사용자식별카드일 수 있다.
단말제어부(180)는, 조작부(160)를 통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
즉, 단말제어부(180)는, 사용자(10)가 조작부(160)를 조작하여 결제하고자 하는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한 전자화폐카드(150)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입력하면, 네트워크(1)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접속하여, 입력된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
이에,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회신되면, 단말제어부(180)는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한다.
즉, 단말제어부(180)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 : 원화, 달러화, 엔화 등)가 회신되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17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제어부(180)는, 전자화폐카드(150)에 A원의 전자화폐 잔액이 존재함을 인지한 상태에서, B원에 상당하는 결제요청금액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원화 : B원, 달러화 : C원+환전수수료, 엔화 : D원+환전수수료)가 회신되면, 다음과 같은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택1. 원화 결제 시 전자화폐 잔액 : 현재 잔액 A원 - B원
선택2. 달러화 환전액수 결제 시 잔액 : 현재 잔액 A원 - (C원+환전수수료)
선택3. 엔화 환전액수 결제 시 잔액 : 현재 잔액 A원 - (D원+환전수수료)
이에, 사용자(10)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시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조작부(160)를 통해 소정의 결제금액정보가 선택되면, 단말제어부(180)는 선택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카드(150)에 대한 결제처리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
즉, 단말제어부(180)는 전술과 같이 제시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 : 선 택1, 선택2, 선택3) 중 소정의 결제금액정보(예 : 선택2)가 선택되면, 단말제어부(180)는 전자화폐카드(150)에 대하여 선택된 해당 통화(예 : 달러화)의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대응하는 결제처리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80)는, 결제처리를 요청함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전자화폐카드(150)의 전자화폐를 차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저장하는 환율정보저장부(240)와,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환전하고 각 통화별 결제금액을 계산하는 결제금액계산부(230)와,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100 또는 100', 이하에서는 100을 언급함)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결제금액계산부(230)에 요청하고 결제금액계산부(230)에서 계산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250)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전자화폐서비스에 가입한 각 가입자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부(220)와, 각 가입자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계좌를 관리하는 정산/관리부(210)를 더 포함한다.
가입자정보저장부(220)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서 제공하는 전자화폐서비스 가입한 적어도 한명의 가입자 각각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가입자정보는, 해당 가입자의 식별정보(예 : 이름, 가입 시 부여하는 고유정보), 패스워드정보, 전자화폐계좌정보, 전자화폐카드정보(예 : 카드식별정보), 단말전화번호, 이메일주소정보, 금융계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산/관리부(210)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서 제공하는 전자화폐서비스 가입한 적어도 한명의 가입자 각각의 전자화폐계좌를 관리한다. 즉, 정산/관리부(210)는 각 가입자의 전자화폐계좌에 해당하는 전자화폐 잔액정보를 관리하며, 서비스제공부(25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전자화폐계좌의 전자화폐 잔액을 증액 또는 차감할 수 있다.
환율정보저장부(240)는,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로서, 이에 저장되는 각 통화별 환율정보는 실시간으로 지속적 관리 및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제금액계산부(230)는,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환전하고 각 통화별 결제금액을 계산하는 계산부이다.
즉, 결제금액계산부(230)는, 환율정보저장부(240)의 각 통화별 환율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통화의 결제요청금액(예 : B원)을 타 통화로 환전하여 환전액수(예를 들면, 원화 : B원, 달러화 : C원, 엔화 : D원)를 계산하고 각 통화별 환전액수에 환전수수료를 부가한 각 통화별 결제금액(예를 들면, 원화 : B원, 달러화 : C원+환전수수료, 엔화 : D원+환전수수료)을 계산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부(250)는, 소정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결제금액계산부(230)에 요청한다.
즉, 서비스제공부(25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결제금액계산부(230)에 요청한다.
이에, 서비스제공부(250)는, 결제금액계산부(230)에서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여 환전/계산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를 들면, 원화 : B원, 달러화 : C원+환전수수료, 엔화 : D원+환전수수료)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사용자(10)에게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를 들면, 원화 : B원, 달러화 : C원+환전수수료, 엔화 : D원+환전수수료)를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제공부(250)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 후, 단말장치(100)로부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소정 전자화폐카드의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즉, 서비스제공부(250)는, 단말장치(100)에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정보(예 : 선택2)가 선택됨에 따라 해당 통화(예 : 달러화)의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대응하는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결제처리 요청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15))의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제공부(250)는, 전자화폐카드(15)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계좌를 정산/관리부(210)에서 검색하여 잔액이 결제처리 요청된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화폐카드(15)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계좌가 정산/관리부(210)에서 관리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제공부(250)는 단말장치(100)를 통해 전자화폐카드(15)의 잔액정보를 획득하여 전자화폐카드(15)의 잔액이 결제처리 요청된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결제처리 요청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15))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서비스제공부(250)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즉, 서비스제공부(250)는, 결제처리 요청된 해당 통화(예 : 달러화)의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대응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계좌에서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상당하는 전자화폐를 차감하고,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상당하는 실제 화폐를 결제수신처의 금융계좌로 송금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제공부(250)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면,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따른 전자화폐차감신호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서비스제공부(250)는,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따른 전자화폐차감신호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 금 해당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를 차감시키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자화폐가 전자화폐카드(15)에 저장되는 형태가 아닌 전자화폐카드(15)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계좌에서는 관리되는 경우라면, 서비스제공부(250)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면,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따른 처리완료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사용자(10)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10)가 단말장치(100)를 통해 소정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를 요청하면, 단말장치(100) 및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 간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100)에서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에 제시하여 사용자(10)가 금전적으로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해당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요청 시, 보유한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 뿐 아니라 환율을 고려하여 다양한 타 종류의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들 중 결제에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처리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통화의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타 통화를 적용한 결제금액으로 결제할 수 있어 현재 환율에 따른 금전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의 제어 흐름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화폐 결제 방법의 전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가 면세점이나 서점과 같은 특정 상점에 위치하는 결제장치로서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10)가 제시하는 전자화폐카드(15)를 인지하는 구성이라면, 사용자(10)는 자신이 소지한 전자화폐카드(15)를 단말장치(100)에 접근시킬 것이다(S10). 이에, 단말장치(100)는, 접근되는 전자화폐카드(15)를 인지하고(S15), 사용자(10)에 의해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한편, 노트북컴퓨터, PDA, 이동통신단말과 같은 이동 가능한 장치로서 내부에 전자화폐카드(150)를 탑재하는 형태를 채택하는 단말장치(100')라면, S10단계 및 S15단계 수행 없이 단말장치(100')는 사용자(10)에 의해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것이다(S20).
이에, 사용자(10)에 의해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 요청이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단말장치(100)는 입력된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S30).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받은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 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계산하고(S40), 계산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50).
이에, S30단계에서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함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회신받은 단말장치(100)는, 회신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한다(S60).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시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결제금액정보가 선택되는지 판단하여(S70), 소정의 결제금액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카드(15)에 대한 결제처리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S80).
그리고,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15)가 결제 가능한지 판단하여(S90), 결제가 가능한 경우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15)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S95). 한편 S90단계에서 결제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결제가 불가능함을 단말장치(100)에 통보할 수 있다(S93).
그리고,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따른 전자화폐차감신호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S100),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해당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를 차감시키도록 할 수 있다(S105).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의 결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결제 방법은 접근 또는 접속되는 전자화폐카드를 인지한다(S110). 즉, 단말장치(100)는 전자화폐 결제를 요청하고자 하는 사용자(10)에 의해 접근 또는 접촉된 전자화폐카드(15)를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결제 방법은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즉, 사용자(10)가 조작부(120)를 조작하여 결제하고자 하는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한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입력하면, 단말장치(100)는 이를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결제 방법은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S130).
즉, 단말장치(100)는, 사용자(10)가 조작부(120)를 조작하여 결제하고자 하는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한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입력하면, 네트워크(1)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접속하여, 입력된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40),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한다(S150).
즉, 단말장치(100)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 : 원화, 달러화, 엔화 등)가 회신되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전자화폐카드(15) 인지 시 전자화폐카드(15)에 A원의 전자화폐 잔액이 존재함을 인지한 상태에서, B원에 상당하는 결제요청금액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원화 : B원, 달러화 : C원+환전수수료, 엔화 : D원+환전수수료)가 회신되면, 다음과 같은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택1. 원화 결제 시 전자화폐 잔액 : 현재 잔액 A원 - B원
선택2. 달러화 환전액수 결제 시 잔액 : 현재 잔액 A원 - (C원+환전수수료)
선택3. 엔화 환전액수 결제 시 잔액 : 현재 잔액 A원 - (D원+환전수수료)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시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결제금액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즉, 단말장치(100)는, 사용자(10)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시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조작부(120)를 통해 소정의 결제금액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0), 선택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카드(15)에 대한 결제처리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한다(S170).
즉,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제시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 : 선택1, 선택2, 선택3) 중 소정의 결제금액정보(예 : 선택2)가 선택되면, 전자화폐카드(15)에 대하여 선택된 해당 통화(예 : 달러화)의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대응하는 결제처리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결제처리를 요청함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는지 판단하여(S180),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를 차감시킬 수 있다(S190).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화폐카드(150)를 탑재하는 이동 가능한 장치로서의 구성을 갖는 단말장치(100')에서는, 전술의 S110단계를 수행하지 않으며, 단말장치(100')는 S170단계에서 선택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카드(150)에 대한 결제처리를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에 요청하며, S190단계에서 회신된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전자화폐카드(150)의 전자화폐를 차감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의 결제 방법은,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저장한다(S200). 이러한 각 통화별 환율정보는 실시간으로 지속적 관리 및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의 결제 방법은, 소정 단말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즉,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는지 판단한다.
이에,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의 결제 방법은,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계산한다(S220).
즉,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기 저장된 각 통화별 환율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통화의 결제요청금액(예 : B원)을 타 통화로 환전하여 환전액수(예를 들면, 원화 : B원, 달러화 : C원, 엔화 : D원)를 계산하고, 각 통화별 환전액수에 환전수수료를 부가한 각 통화별 결제금액(예를 들면, 원화 : B원, 달러화 : C원+환전수수료, 엔화 : D원+환전수수료)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의 결제 방법은, 결제요청금액(예 : B원)에 대응하여 환전/계산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를 들면, 원화 : B원, 달러화 : C원+환전수수료, 엔화 : D원+환전수수료)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230).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사용자(10)에게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예를 들면, 원화 : B원, 달러화 : C원+환전수수료, 엔화 : D원+환전수수료)를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의 결제 방법은,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 후, 단말장치(100)로부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소정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15))의 결제처리가 요청되는지 판단하여(S240),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해당 전자화폐카드(15)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즉,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단말장치(100)에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정보(예 : 선택2)가 선택됨에 따라 해당 통화(예 : 달러화)의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대응하는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결제처리 요청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15))의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250).
예를 들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전자화폐카드(15)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계좌를 정산/관리부(210)에서 검색하여 잔액이 결제처리 요청된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화폐카드(15)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계좌가 정산/관리부(210)에서 관리되지 않는 경우,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단말장치(100)를 통해 전자화폐카드(15)의 잔액정보를 획득하여 전자화폐카드(15)의 잔액이 결제처리 요청된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결제처리 요청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15))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의 결제 방법은,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한다(S260). 즉,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결제처리 요청된 해당 통화(예 : 달러화)의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대응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계좌에서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상당하는 전자화폐를 차감하고,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상당하는 실제 화폐를 결제수신처의 금융계좌로 송금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S250단계의 판단 결과, 전자화폐카드(150)의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의 결제 방법은, 결제 불가능함을 단말장치(100)로 통보할 수 있다(S255).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의 결제 방법은, S260단계에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면,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따른 전자화폐차감신호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270).
즉,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C원+환전수수료)에 따른 전자화폐차감신호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해당 전자화폐카드(15)의 전자화폐를 차감시키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자화폐가 전자화폐카드(15)에 저장되는 형태가 아닌 전자화폐카드(15)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계좌에서는 관리되는 경우라면,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면,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따른 처리완료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사용자(10)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은, 사용자(10)가 단말장치(100)를 통해 소정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를 요청하 면, 단말장치(100) 및 전자화폐서비스센터(200) 간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100)에서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10)에 제시하여 사용자(10)가 금전적으로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해당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요청 시, 보유한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 뿐 아니라 환율을 고려하여 다양한 타 종류의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들 중 결제에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결제처리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통화의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타 통화를 적용한 결제금액으로 결제할 수 있어 현재 환율에 따른 금전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통해 소정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를 요청하면, 단말장치 및 전자화폐서비스센터 간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에서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에 제시하여 사용자가 금전적으로 유리한 통화에 따른 결제금액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선택된 해당 통화에 따른 결 제금액으로 결제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을 적용할 경우, 전자화폐의 통화 종류 간 호환 결제, 전자화폐 결제 서비스 개선, 사용자 금전적 이익 및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단말장치 및 전자화폐서비스센터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결제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센터의 결제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네트워크 10 : 사용자
15 : 전자화폐카드 100 : 단말장치
200 : 전자화폐서비스센터

Claims (18)

  1.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요청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되는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에 요청하고, 이에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접근하는 전자화폐카드와 통신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근되는 상기 전자화폐카드를 인지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는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결제처리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자 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를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전자화폐를 저장하는 전자화폐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되는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결제처리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저장하는 환율정보저장부;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환전하고 각 통화별 결제금액을 계산하는 결제금액계산부; 및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결제금액계산부에 요청하고 상기 결제금액계산부에서 계산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소정 전자화폐카드의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면, 상기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따른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10.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을 입력받은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전자화폐서비스센터가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환전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가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회신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회신된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방법.
  12.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서비스센터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회신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사용자 인지 가능하도록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결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접근하는 전자화폐카드를 인지하는 단계와,
    인지된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자화폐 결제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결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결제처리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를 차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결제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 선택되는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내부에 탑재된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결제처리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전자화폐차감신호가 회신되면 상기 전자화폐차감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화 폐카드의 전자화폐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결제 방법.
  16.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소정의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결제요청금액에 대응하여 상기 각 통화별 환율정보를 토대로 환전하고 각 통화별 결제금액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의 결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각 통화별 결제금액정보 중 소정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한 소정 전자화폐카드의 결제처리가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결제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의 결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결제를 처리하면, 상기 결제 처리된 해당 통화의 결제금액에 따른 전자화폐차감신호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의 결제 방법.
KR1020090050956A 2009-06-09 2009-06-09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KR20100132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56A KR20100132238A (ko) 2009-06-09 2009-06-09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CN201310288867.7A CN103366275B (zh) 2009-06-09 2010-05-18 电子货币支付系统和电子货币支付方法
CN2010800044796A CN102282579A (zh) 2009-06-09 2010-05-18 电子货币支付系统和电子货币支付方法
PCT/KR2010/003127 WO2010143823A2 (ko) 2009-06-09 2010-05-18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US13/144,913 US20110270746A1 (en) 2009-06-09 2010-05-18 Electronic money payment system and electronic money pay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56A KR20100132238A (ko) 2009-06-09 2009-06-09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238A true KR20100132238A (ko) 2010-12-17

Family

ID=4330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956A KR20100132238A (ko) 2009-06-09 2009-06-09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70746A1 (ko)
KR (1) KR20100132238A (ko)
CN (2) CN102282579A (ko)
WO (1) WO2010143823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727A2 (ko) * 2011-06-10 2012-12-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환율 개념을 적용한 게임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서비스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301895B1 (ko) * 2012-08-24 2013-08-29 주식회사 케이알파트너스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의 신용 카드 결제 방법
KR101349327B1 (ko) * 2013-03-22 2014-01-13 석천정보통신(주) 결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WO2018049320A1 (en) * 2016-09-12 2018-03-15 KOOTORO, Inc. Electronic exchange unit management
KR102077424B1 (ko) * 2019-05-14 2020-02-13 이수호 Ble 통신을 이용한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9306B2 (ja) * 2012-09-06 2016-03-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販売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販売処理システム
CN104392348A (zh) * 2014-11-06 2015-03-04 朱锐泷 基于数字货币的跨境支付清算系统和跨境支付方法
US10740732B2 (en) 2015-05-20 2020-08-11 Ripple Luxembourg S.A. Resource transfer system
US11367072B2 (en) * 2015-05-20 2022-06-21 Ripple Luxembourg S.A. Private networks and content requests in a resource transfer system
CN106327167B (zh) * 2015-06-15 2021-06-29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实现网络支付的方法和装置
CN105069685A (zh) * 2015-08-05 2015-11-18 杭州呯嘭智能技术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货币兑换与结算方法及系统
JP6803692B2 (ja) * 2016-06-30 2020-12-2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現金処理システム、現金処理方法及び携帯端末
CN106779710A (zh) * 2017-01-16 2017-05-31 世纪禾光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电子商务平台汇率管理的方法及设备
CN107784581A (zh) * 2017-11-17 2018-03-09 博文软件(贵州)有限公司 一种比特币交易平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010B1 (ko) * 2000-04-14 2003-02-05 엄용식 전자화폐 교환방법
US6736314B2 (en) * 2000-06-09 2004-05-18 Telecom Usa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funds
US7219832B2 (en) * 2004-06-17 2007-05-22 First Data Corporation ATM machine and methods with currency conversion capabilities
US20060015453A1 (en) * 2004-07-14 2006-01-19 Mani Kulasooriya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person-to-person international money exchanges
KR100700295B1 (ko) * 2004-07-15 2007-03-29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
KR20060099957A (ko) * 2005-03-15 2006-09-20 미래시티닷컴(주) 국제 전자 화폐 시스템
US20060287004A1 (en) * 2005-06-17 2006-12-21 Fuqua Walter B SIM card cash transactions
KR20070023261A (ko) * 2005-08-24 2007-02-28 김재형 국제 유통 상품권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국제유통 상품권 운용 장치 및 기록매체
US20070255662A1 (en) * 2006-03-30 2007-11-01 Obopay Inc. Authenticating Wireless Person-to-Person Money Transfers
KR100945415B1 (ko) * 2007-10-19 2010-03-0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해외카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카드단말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727A2 (ko) * 2011-06-10 2012-12-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환율 개념을 적용한 게임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서비스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WO2012169727A3 (ko) * 2011-06-10 2013-02-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환율 개념을 적용한 게임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서비스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301895B1 (ko) * 2012-08-24 2013-08-29 주식회사 케이알파트너스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의 신용 카드 결제 방법
WO2014030798A1 (ko) * 2012-08-24 2014-02-27 주식회사 케이알파트너스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의 신용 카드 결제 방법
KR101349327B1 (ko) * 2013-03-22 2014-01-13 석천정보통신(주) 결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WO2018049320A1 (en) * 2016-09-12 2018-03-15 KOOTORO, Inc. Electronic exchange unit management
KR102077424B1 (ko) * 2019-05-14 2020-02-13 이수호 Ble 통신을 이용한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0746A1 (en) 2011-11-03
CN103366275B (zh) 2018-06-01
CN102282579A (zh) 2011-12-14
WO2010143823A3 (ko) 2011-03-03
CN103366275A (zh) 2013-10-23
WO2010143823A2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2238A (ko)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KR101910915B1 (ko) 국내전용카드와 연계된 해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US20140372300A1 (en) Smart card electronic wallet system
US201401642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erson-to-person funds transfers via wireless communications
CN109643418A (zh) 用于增强授权响应的系统和方法
JP2009525546A (ja) 支払装置の使用の許可のための技術
KR20130000072A (ko) Nfc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75790B2 (ja) 金融決済システム、金融決済方法、及び金融決済プログラム
KR101740121B1 (ko) 해외 선불화폐로 결제한 자금에 대한 실시간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669042A (zh) 支付方法、服务器、用户终端、系统及存储介质
KR101949459B1 (ko)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atm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KR20000000304A (ko)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티켓예매시스템
KR20110021491A (ko) 휴대폰을 이용한 선불 가상계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7177A (ko) 결제 중계 서버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35292A (ko) 바코드 표시기능을 갖는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방법
KR100897498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통합형 금융 서비스 시스템
US20190333042A1 (en) Electronic money payment system and method
KR20110064119A (ko) 결제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결제 처리 서비스 방법
KR101119423B1 (ko) 멤버쉽을 이용한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KR1014296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
KR20170071961A (ko) Ic 카드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20160117922A (ko) 신용한도를 포함한 정보를 제공받아 ict를 활용한 간편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KR102033576B1 (ko) 전자 결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20065805A (ko) 무선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구매 결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