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295B1 -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 - Google Patents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295B1
KR100700295B1 KR1020040055216A KR20040055216A KR100700295B1 KR 100700295 B1 KR100700295 B1 KR 100700295B1 KR 1020040055216 A KR1020040055216 A KR 1020040055216A KR 20040055216 A KR20040055216 A KR 20040055216A KR 100700295 B1 KR100700295 B1 KR 10070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currency
card
foreign currenc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285A (ko
Inventor
김기정
박민우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filed Critical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to KR102004005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2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통화를 타국 통화로 환전하여 복수 통화 저장하는 스마트 카드와 그 카드에 충전된 통화를 타국 통화로 환전하여 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은,
외화 데이터가 충전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와; 외화에 대한 원화환율정보를 외부 서버로 조회 요청하고, 그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전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가 선택한 외화의 원화환율정보 전송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환전용 외화금액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와 연산하여 환전원화금액을 계산하고 그에 따른 원화 데이터를 상기 카드에 충전 요청하는 한편, 그 원화의 환전에 소요된 환전용 외화금액의 차감을 상기 카드에 요청하는 환전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카드, 환전, 충전.

Description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A CURREN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중 복수 통화(currency) 저장용 스마트 카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중 환전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화 환전 흐름도.
본 발명은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통화를 타국 통화로 환전하여 복수 통화 저장하는 스마트 카드와 그 카드에 충전된 통화를 타국 통화로 환전하여 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카드는 신용카드 정도 크기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이 내장되어 있고 전화 통화, 전자적으로 대금을 지불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충전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는 자기테이프 방식의 카드에 비해 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 용도에 맞게 편리하게 프로그램화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교통요금 지불, 신원확인, 폰 뱅킹 업무 등에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미 언급하여 듯이 스마트 카드는 마그네틱 카드에 비해 보안성이 뛰어나며 사용면에서 편리성을 갖추고 있다는 측면에서는 그 유용성을 인정받을 수 있으나, 카드 자체를 분실하는 경우에는 그 카드 습득자가 카드에 충전된 재화를 아무런 제재 없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카드 소유자는 카드에 충전된 재화를 잃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카드에 충전된 재화를 보호받기 위한 새로운 방법의 연구가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스마트 카드는 유럽 지역에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현재 약 10억 개 이상 발급되어 사용중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의 스마트 카드는 자국의 통화를 충전하여 이용할 뿐, 해외 여행시 이미 충전되어 있는 자국 통화를 타국 통화로 환전하여 이용할 수는 없다. 만약 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타국 통화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해외 여행시 그 만큼 환전을 위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카드에 충전되는 재화를 락킹(locking)시켜 카드 분실로 인한 충전재화의 소실을 예방함은 물론, 자국 및 타국 통화를 함께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카드에 충전되어 있는 하나의 통화를 타국 통화로 환전하여 줄 수 있는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은,
외화 데이터가 충전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와;
외화에 대한 원화환율정보를 외부 서버로 조회 요청하고, 그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전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가 선택한 외화의 원화환율정보 전송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환전용 외화금액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와 연산하여 환전원화금액을 계산하고 그에 따른 원화 데이터를 상기 카드에 충전 요청하는 한편, 그 원화의 환전에 소요된 환전용 외화금액의 차감을 상기 카드에 요청하는 환전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카드를 인증하기 위한 카드 인증 서버를 더 포함하되, 그 카드 인증 서버는 상기 환전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칩 시리얼번호를 통해 카드 인증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충전재화 환전 방법은,
상기 카드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로부터 외화선택정보와 환전용 외화금액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선택된 외화에 대한 원화환율정보 전송을 환율정보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환전용 외화금액을 상기 환율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원화환율 정보와 연산하여 환전원화금액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환전원화금액에 대한 사용자 확인정보가 입력되면 그에 따른 원화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충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원화 환전에 소요된 외화금액의 차감을 요청하는 단계와;
카드별 재화충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구성을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중 복수 통화(currency) 저장용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은 크게 스마트 카드(10)와 환전 단말기(20), 환전 서비스 서버(30) 및 환율정보 제공서버(50)로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마트 카드(IC 칩)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80)와 환전 서비스 서버(30) 및 환율정보 제공서버(50)를 포함하여 또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10)의 인증을 위한 카드인증서버(40)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물론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카드인증서버(40)가 필요 없을 것이다. 참고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금융기관 서버(60)는 전자화폐 충전을 위해 필요한 계좌가 유치된 금융기관의 서버를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에서 스마트 카드(10)와 환전 단말기(20), 환전 서비스 서버(30) 및 환율정보 제공서버(50)로 구성 가능한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스마트 카드(10)는 자국 및 타국의 재화가 충전되어진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국가의 외화 데이터를 충전 기록하기 전자지갑 메모리(12,13)들과, 원화 데이터를 충전 기록하기 위한 전자지갑 메모리(11)를 포함한다. 아울러 카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개인인증정보가 저장된 메모리(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인인증정보는 전자지갑 일부를 액세스하는 권한을 인증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10)는 일반 스마트 카드와 같이 카드에 기록된 혹은 기록할 정보를 카드 리더기와 상호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17)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10)는 스마트 카드(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4)의 동작을 예로 들면, 제어부(14)는 전자지갑 메모리들(11,12,13)에 충전된 정보를 액세스하여 출력하거나 새로운 정보로 갱신하되, 어느 하나의 전자지갑 메모리에 충전된 정보의 액세스 요구시에는 개인인증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응답하여 입력된 개인인증정보의 진위여부에 따라 해당 전자지갑 메모리에 충전된 정보를 액세스하여 출력한다. 이는 곧 하나의 전자지갑에 충전된 재화를 락킹(locking)하여 관리함으로서 추후 카드 분실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화자는 취지이다. 상기 구성 외에 스마 트 카드(10)에는 카드 리더기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부(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스마트 카드(10)는 기본적으로 전자지갑 1에 일반 스마트 카드와 같이 원화 데이터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후술하는 환전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지갑 1에 충전된 원화를 외화로 환전하여 전자지갑 2 혹은 전자지갑 3에 충전하여 타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무인 정보단말기인 환전 단말기(20)는 일종의 전자화폐 충전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외화의 원화환율정보 전송을 후술할 환전 서비스 서버(30)로 요청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환전용 외화금액을 상기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와 연산하여 환전원화금액을 계산하고 그에 따른 원화 데이터를 상기 카드(10)에 충전 요청하는 한편, 그 원화의 환전에 소요된 환전용 외화금액을 상기 카드(10)에 기록된 외화데이터에서 차감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원화데이터의 충전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자화폐 관리사로부터 충전 받아 놓은 원화 데이터의 일부를 분할하여 카드(10)로 전송하면 된다.
이러한 환전 단말기(20)의 구성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해 보면, 환전 단말기(20)의 데이터 입출력부(21)는 스마트 카드(21)와 외화 데이터, 환전 원화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며, 메모리(27)는 스마트 카드(10)에 충전되어 있는 재화의 환전을 지원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후술할 제어부(23)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그리고 전자화폐 저장부(22)에는 전자화폐 관리사로부터 충전 받아 놓은 원화 및 외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23)는 상기 메모리(27)에 저장된 충전재화 환전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 카드(10)의 충전재화 환전이 이루어지도록 환전 단말기(2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네트워크 접속부(24)는 후술할 환전 서비스 서버(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물리적이고도 논리적인 통신채널을 제공한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인 키 조작부(25)와 표시부(26)는 각각 충전재화의 환전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입력장치와 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적으로 환전 단말기(20)는 스마트 카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와 무선방식으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방식의 데이터 송수신부를 추가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의 환전 단말기(20)와 접속되는 환전 서비스 서버(30)는 전자화폐 관리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환전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환전 단말기(20)로부터 외화에 대한 원화환율정보 제공 요청시 그 정보제공을 환율정보 제공서버(50)로 조회 요청하고, 그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를 다시 해당 환전 단말기(20)로 제공하여 준다. 이러한 환전 서비스 서버(30)는 환전 단말기(20)로부터 카드별 재화충전정보를 전송 받아 관리함으로서, 추후 환전된 원화 및 외화금액의 사용시 카드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처 사이에서 금액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된 카드인증서버(40)는 환전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스마트 카드(10)의 카드인증정보(칩 시리얼 번호)를 전송 받아 카드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환전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드인증 역 시 환전 서비스 서버(3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화 환전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환전 단말기(20)는 여행지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환전 단말기(20) 입장에서 보면 카드(10)의 전자지갑 1(11)에 이미 충전되어 있는 충전재화는 외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외화를 여행지의 재화, 예를 들어 원화로 환전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면,
우선 카드 사용자가 환전 단말기(20)에 환전 서비스 요청(110단계)한다. 그러면 환전 단말기(20)는 스마트 카드(10)의 삽입을 요청하고, 카드 사용자는 그 요청에 응답하여 외화(원화)가 이미 충전(100단계)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10)를 카드삽입구에 삽입한다.
그러면 스마트 카드(10)는 환전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라 카드인증정보(칩 시리얼번호)를 메모리(16)에서 리드하여 환전 단말기(20)로 전송(120단계)하고, 환전 단말기(20)는 그 카드인증정보를 다시 환전 서비스 서버(30)로 전송(130단계)하여 카드인증 요청한다.
이에 환전 서비스 서버(30)는 카드인증서버(40)로 상기 카드인증정보를 전송하여 조회 요청하고, 카드인증서버(40)는 전송된 카드인증정보가 자사에서 발급한 번호인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환전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하여 준다. 이러한 카드조회결과는 환전 서비스 서버(30)를 통해 환전 단말기(20)로 전송(150단계)된다.
만약 정상적인 카드조회결과를 수신하였다면 환전 단말기(20)는 사용자에게 개인인증정보의 입력을 추가 요구(160단계)할 수 있고,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입 력되는 개인인증정보는 스마트 카드(10)로 전송(170단계)된다.
그러면 스마트 카드(10)에서는 카드 발급시 메모리(16)에 저장한 개인인증정보와 환전 단말기(20)에서 전송된 카드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인증(180단계)한다. 인증결과 이상이 없으면 카드(10)의 제어부(14)는 전자지갑들(11,12,13)에 충전 기록된 외화금액정보를 환전 단말기(20)로 전송(190단계)하여 준다. 이에 환전 단말기(20)에는 카드(10)로부터 전송된 외화금액정보가 출력 표시(200단계)된다.
참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지갑 2(12) 혹은 전자지갑 3(13)중 하나 이상의 전저지갑을 락킹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전자지갑 1에 충전되어 있는 재화는 개인인증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전자지갑 2 혹은 전자지갑 3에 충전되어 있는 재화는 개인인증 완료시에만 액세스 가능하도록 하여 분실 및 도난에 따른 재화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는 개인인증이 완료되었다고 가정하였기에 전자지갑 모두에 충전되어 있는 재화가 액세스되어 환전 단말기(20)에 표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만약 전자지갑 1(11)에만 재화가 충전되어 있다면 별도의 개인인증은 필요 없을 것이다.
한편 모든 외화금액정보를 표시한 환전 단말기(20)의 제어부(23)는 이후 사용자에게 환전 대상인 외화와 환전을 위해 사용할 외화금액의 입력을 요구(210단계)한다. 상기 "환전을 위해 사용할 외화금액"은 하기에서 "환전용 외화금액"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환전용 외화금액과 환전 대상인 외화가 선택 입력되면, 환전 정보단말기(20)는 선택된 외화의 원화환율정보 전송을 환전 서비스 서버 (30)로 요구(220단계)한다. 그러면 환전 서비스 서버(30) 역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화의 환율을 환율정보 제공서버(50)로 조회(230단계)함으로서, 환전 단말기(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화의 원화환율정보를 전송(240단계)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외화의 원화환율정보를 수신하면 환전 단말기(20)의 제어부(23)는 210단계에서 입력된 환전용 외화금액을 상기 환전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전송된 원화환율정보와 연산하여 환전원화금액을 계산하고 이를 표시부(26)상에 출력 표시(250단계)한다. 예를 들어, 환전용 외화금액이 100 $ 이고 1$당 원화환율이 1170원이라면 환전원화금액은 117,000원이 된다. 물론 환전 수수료를 차감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방법으로 환전원화금액이 계산 표시된후 사용자의 확인이 있으면, 환전 단말기(20)의 제어부(23)는 상기 계산된 환전원화금액에 대응하는 원화 데이터와 그 원화 환전에 소요된 외화금액이 차감된 외화데이터를 상기 카드(10)로 전송하여 원화 및 외화금액 충전을 요청(260단계)한다. 그리고 환전 단말기(20)의 제어부(23)는 카드별 재화충전정보를 환전 서비스 서버(30)로 전송(270단계)하여 줌으로서, 환전 서비스 서버(30)는 카드별 재화충전정보를 저장관리(280단계)하여 추후 사용자와, 물품 판매상, 카드 발행사 사이의 재화관계를 정산하여 준다.
한편 원화 및 외화금액정보의 충전요청을 받은 스마트 카드(10)의 제어부(14)는 전송된 환전 원화데이터와 외화 데이터를 각각 전자지갑 2(12)와 전자지갑 1(11)에 충전 기록한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10) 사용자는 여행지에서 전자지갑 2(12)에 충전된 원화데이터를 개인인증후 소액 결제 등에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충전된 원화 데이터가 남을 경우 이를 외화로 환전할 수도 있다. 즉, 환전 단말기(20)의 제어부(23)가 사용자로부터 원화의 외화환전 요청이 있으면 해당 외화의 원화환율정보 전송을 환전 서비스 서버(30)로 요청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환전용 원화금액을 상기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와 연산하여 환전외화금액을 계산하여 표시한다. 사용자의 확인이 있으면, 환전 단말기(20)의 제어부(23)는 상기 환전외화금액에 해당하는 외화 데이터와 그 외화 환전에 소요된 원화금액이 차감된 원화 데이터를 상기 카드(10)로 전송하여 줌으로서, 스마트 카드(10)의 제어부(14)는 새로이 갱신되어야 할 원화데이터를 전자지갑 2(12)에 기록하는 한편 환전외화금액에 해당하는 외화 데이터를 전자지갑 1(11)에 충전 기록한다.
즉, 본 발명은 여행지에서 전자지갑 2(12)에 충전된 원화금액을 다 사용하지 못하고 귀국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환전 서비스를 통해 충전 원화를 자국 통화로 환전하여 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10)에 충전되어 있는 하나의 통화를 타국 통화로 환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환전 단말기(20)에서 수행되는 환전 프로세스는 별 다른 변형없이 환전 서비스 서버(3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환전 단말기(20)는 단순히 스마트 카드(10)와 환전 서비스 서버(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따라 환전된 원화가 충전되어 있는 카드(10)를 사용자가 분실하였다면, 환전 서비스 서버(30)측에서는 해당 분실카드의 외화저장영역에 충전되어 있는 금액정보를 조회하여 그 금액을 새로운 카드에 충전시켜 발급하여 줄 수 있다. 만약 카드 재발급 의사가 없다면 충전되어 있는 금액을 환불하여 주면 된다. 따라서 카드 사용자는 전자화폐 충전 카드를 분실하더라도 그로 인한 손실을 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
이하 스마트 카드(IC 칩)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80)와 환전 서비스 서버(30) 및 환율정보 제공서버(50)로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을 구축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 환전 서비스 서버(30)는 제1실시예에서 환전 단말기(20)가 수행한 환전 프로세스를 대행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80)는 단순히 스마트 카드인 IC 칩과 환전 서비스 서버(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여 주는 중개자로 볼 수 있다.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80)는 외화 데이터가 충전되어지는 전자화폐용 IC 칩을 내장한다. 상기 IC 칩은 도 2에 도시한 스마트 카드(10)와 같이 외화 데이터와 환전 원화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영역에 저장하기 위한 전자지갑들을 포함한다. 상기 IC 칩 내부의 제어부는 서로 다른 전자지갑 중 일부를 도 2에 도시한 제어부(14)와 동일하게 개인인증결과 여부에 따라 액세스 허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통신망을 통해 휴대 단말기(80)와 접속 가능한 환전 서비스 서버(30)는 휴대 단말기(80)로부터 환전대상 외화와 환전용 외화금액정보가 전송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외화에 대한 원화환율정보를 환율정보 제공 서버(50)로 요청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환전용 외화금액을 상기 환율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와 연산하여 환전원화금액을 계산한다. 그리고 그 계산된 환전원화금액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있으면 그에 따른 원화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80)로 전송하여 충전 요청하는 한편, 그 원화의 환전에 소요된 환전용 외화금액을 IC 칩 카드에 기록된 외화 데이터에서 차감할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환전 서비스 서버(30)는 카드별 재화충전정보를 저장 관리함으로서, 추후 사용자와, 물품 판매상, 카드 발행사 사이의 재화관계를 정산하여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환전 프로세스에 따라 휴대 단말기(80)내 IC 칩 카드의 전자지갑에는 환전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전송된 원화 데이터가 함께 충전 기록될 수 있다. 물론 IC 칩에 충전되어 있는 환전 원화 데이터를 상술한 환전 프로세스에 의해 다시 외화 데이터로 재 환전하여 충전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지 않았지만 제2실시예에서의 개인인증은 환전 서비스 서버(30)의 개입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락킹 영역으로 관리되고 있는 전자지갑에 충전되어 있는 금액을 액세스하는 경우에 IC 칩의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80)의 표시부를 통해 개인인증정보 입력을 요구하고, 그에 따라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개인인증정보를 저장 정보와 비교함으로서 개인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인증완료 여부에 따라 전자지갑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재화를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카드에 충전되는 재화를 락킹(locking)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카드 분실로 인한 충전재화의 소실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에 충전되어 있는 통화를 타국 통화로 환전 가능하기 때문에, 카드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환전소 방문 없이 타국 통화를 편리하게 환전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자국 및 타국 통화가 충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나의 카드에 복수의 통화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외화 데이터가 충전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와;
    외화에 대한 원화환율정보를 외부 서버로 조회 요청하고, 그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환전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가 선택한 외화의 원화환율정보 전송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환전용 외화금액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와 연산하여 환전원화금액을 계산하고 그에 따른 원화 데이터를 상기 카드에 충전 요청하는 한편, 그 원화의 환전에 소요된 환전용 외화금액의 차감을 상기 카드에 요청하는 환전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를 인증하기 위한 카드 인증 서버를 더 포함하되, 그 카드 인증 서버는 상기 환전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칩 시리얼번호를 통해 카드 인증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상기 외화 데이터와 환전 원화 데이터를 서로 다른 전자지갑 저장영역에 충전 기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서로 다른 전자지갑 중 일부를 개인인증결과 여부에 따라 액세스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전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환전 단말기로부터 카드별 외화금액정보와 환전원화금액정보가 포함된 재화충전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전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마트 카드 분실 신고 접수시 해당 카드에서 락킹 영역으로 관리되고 있는 전자지갑에 충전되어 있는 금액을 재발급 카드에 충전 요청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전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외화의 원화환율정보 전송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환전용 원화금액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원화환율정보와 연산하여 환전외화금액을 계산하고 그에 따른 외화 데이터를 상기 카드에 충전 요청하는 한편, 그 외화의 환전에 소요된 환전용 원화금액의 차감을 상기 카드로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외화 데이터를 충전 기록하기 위한 제1전자지갑 메모리와;
    원화 데이터를 충전 기록하기 위한 제2전자지갑 메모리와;
    개인인증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지갑 메모리들에 충전된 정보를 액세스하여 출력하거나 새로운 정보로 갱신하되, 어느 하나의 전자지갑 메모리에 충전된 정보의 액세스 요구시 개인인증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응답하여 입력된 개인인증정보의 진위여부에 따라 해당 전자지갑 메모리에 충전된 정보를 액세스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충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자지갑 메모리는 하나의 통합 메모리내에서 영역 구분되어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KR1020040055216A 2004-07-15 2004-07-15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 KR10070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216A KR100700295B1 (ko) 2004-07-15 2004-07-15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216A KR100700295B1 (ko) 2004-07-15 2004-07-15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285A KR20060006285A (ko) 2006-01-19
KR100700295B1 true KR100700295B1 (ko) 2007-03-29

Family

ID=3711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216A KR100700295B1 (ko) 2004-07-15 2004-07-15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823A2 (ko) * 2009-06-09 2010-1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257B1 (ko) * 2011-11-28 2013-12-30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선불카드 로밍 결제 시스템
KR101647547B1 (ko) * 2014-04-11 2016-08-11 농협은행(주) 카드 관리 방법
KR20170052402A (ko) * 2015-11-04 2017-05-12 마이뱅크주식회사 소정의 환율로 환전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101864408B1 (ko) * 2016-11-24 2018-06-04 윤형운 입금자 구별 맵핑 시스템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823A2 (ko) * 2009-06-09 2010-1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WO2010143823A3 (ko) * 2009-06-09 2011-03-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전자화폐 결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285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2071B2 (en) Mobile device containing contactless payment device
US5796832A (en) Wireless transac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78193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netary value on a mobile device
PL169723B1 (pl) Sposób oraz uklad do przekazywania wartosci PL PL PL
WO2008106557A2 (en) Fraud prevention for transit fare collection
EP2119076A2 (en) Authentication of a data card using a transit verification value
KR100792959B1 (ko) Ic카드를 이용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충전,지불 및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00295B1 (ko) 충전재화 환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복수 통화 저장용 스마트 카드
KR100730751B1 (ko) 금융 ic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처리시스템 및 방법
JPH05504643A (ja) 金銭移転システム
KR100456343B1 (ko) 전자용돈화폐 발행 및 거래시스템
KR20060057796A (ko) 휴대폰 간 직접 가치 이전 방법 및 시스템
KR101216666B1 (ko) 선불카드의 자동충전 시스템 및 자동 충전 방법
KR100471942B1 (ko) 복합형 카드와 카드정보 등록 제어시스템
KR20010025504A (ko) 카드아이시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결제및 충전 시스템
KR20040001114A (ko) 전자화폐 단말기
KR100662278B1 (ko) 전자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19659A (ko) 관광기능 멤버쉽 카드 겸용 전자화폐와 이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KR100770387B1 (ko) 이동형휴대기기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CA2236931A1 (en) Wireless transaction and information system
JP2001357332A (ja) 電子通貨流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