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952A -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0952A KR20100130952A KR1020100049481A KR20100049481A KR20100130952A KR 20100130952 A KR20100130952 A KR 20100130952A KR 1020100049481 A KR1020100049481 A KR 1020100049481A KR 20100049481 A KR20100049481 A KR 20100049481A KR 20100130952 A KR20100130952 A KR 201001309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light emitting
- fitted
- leg portions
- portio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6—Filter hold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은 프레임과 편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와 복수의 마주 보는 다리부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 본체는 발광부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서 끼워 맞춰진다. 상기 편광부는 상기 프레임의 마주 보는 다리부 사이에서 연장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용 편광판을 장착할 수 있는 프레임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광 다이오드(LED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형광관, 형광 램프 등을 사용한 대형의 영상 표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홀수(odd) 및 짝수(even) 라인으로부터의 광을 서로 직교하는 진동 방향으로 출사시켜서, 편광 안경을 통해, 입체 영상을 시각화하는 기술도 고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3-029207호 참조).
이러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유닛화된 영상 표시부의 발광부의 전방면에, 라인마다 편광 방향이 바뀔 수 있도록, 다른 편광 방향을 갖는 편광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리니어 편광판 또는 일체화된 편광판은 영상 표시 장치의 최전방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편광판에 의한 문제는, 편광판의 부착에 상당한 시간과 수고가 들어가며, 영상 표시 장치의 최전방면에 부착된 편광판의 표면이 외광을 반사하여 영상을 보는데 트러블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영상 표시부에 대한 편광부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은 프레임과 편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와 마주 보는 다리부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 본체는 발광부의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서 끼워 맞춰진다. 상기 편광부는 상기 프레임의 마주 보는 다리부 사이에서 연장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다리부 사이에 상기 편광부가 배치되고, 상기 다리부가 상기 발광부의 주위에 끼워 맞춰지므로, 상기 발광부의 주위에 상기 프레임을 간단히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발광부에 대하여 상기 편광부를 올바른 위치에 장착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프레임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의 주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므로, 상기 편광부와 결합된 상기 프레임을 원하는 바에 따라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가능하다.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적어도 전방면은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색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편광부는 상기 다리부가 연장하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발광부의 주위에 끼워 맞춰지면, 상기 편광부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고 있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전방면은 상기 발광부의 발광측을 보는 관람자를 향한다. 프레임 본체의 전방면이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색으로 되어 있으면, 상기 프레임 본체는 외광의 확산 반사를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블랙 스트라이프로서의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부와, 프레임과, 복수의 편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표시부에는 복수의 발광부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영상 표시부의 발광부의 주위에 배치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발광부들 사이의 간극에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마주 보는 다리부를 갖는다. 상기 편광부는 상기 프레임의 마주 보는 다리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발광부의 주위에 끼워 맞춰지는 상기 프레임의 마주 보는 다리부 사이에 상기 편광부가 배치되므로, 간단히 상기 발광부의 주위에 상기 프레임을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발광부에 대응하는 편광부가 상기 영상 표시부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입체 영상 표시부의 발광부로서 사용되는 LED 칩 또는 LED 패키지의 표면 내에 미리 편광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원하는 바에 따라 편광부를 영상 표시부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착탈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b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착탈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리니어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매트릭스(행렬)형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매트릭스(행렬)형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입체 영상을 관람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발광부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착탈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b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착탈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리니어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매트릭스(행렬)형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매트릭스(행렬)형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입체 영상을 관람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발광부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프레임 유닛의 기본 구성의 예, 분해 사시도, 착탈 상태, 리니어 구성의 예, 매트릭스 구성의 예)
2. 영상 표시 장치(프레임 유닛의 구성의 예, 영상의 관람)
3. 발광부의 구성예(각형 패키지, 원형 패키지)
<1.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프레임 유닛의 기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 유닛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기본 구성에 의한 프레임 유닛(1)은 하나의 발광부(50)를 수용한다. 프레임 유닛(1)은, 프레임(10)과 편광부(2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프레임 본체(11) 및 마주 보는 다리부(12)를 갖는다. 프레임 본체(11)는, 발광부(5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발광부(50)의 외형에 대응하는 프레임 형상 부재이다. 다리부(12)는, 프레임 본체(11)로부터 연장하는 부재이며, 발광부(50)의 측면을 따라 끼워 맞추어진다. 도 1에서, 다리부(12)는 프레임 본체(11)의 가로 방향의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다르게는, 다리부(12)는, 도 1에서 프레임 본체(11)의 세로 방향의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프레임 본체(11)와 다리부(12)가 파선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프레임 본체(11)와 다리부(12)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다리부(12)는,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 본체(11)의 가로 방향 에지를 따라 전체적으로 제공되는 대신에, 프레임 본체(11)의 가로 방향 에지를 따라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편광부(20)는, 발광부(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하는 필터이며, S 편광(광 입사면에 대하여 수직한 편광 방향), P 편광(광 입사면에 대하여 수평한 편광 방향), 원 편광(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타원 편광 등의 편광 방향의 제어를 행한다.
편광부(20)는, 프레임(10)의 마주 보는 다리부(12)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 편광부(20)는, 프레임(10)의 마주 보는 가로 방향 에지 상에 제공된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서 연장하고, 이에 의해 프레임(10)의 프레임 본체(11)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를 편광부(20)가 완전히 덮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유닛(1)은, 발광부(50)의 주위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발광부(50)는, 예를 들어, 적색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50r)와, 녹색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50g)와, 청색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50b)를 포함하며, 이들이 패키지(51)내에 밀봉된다. 패키지(51)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이 패키지(51)의 외형 치수에 맞도록 프레임 본체(11)와 다리부(12)의 치수가 정해진다.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 주위에 끼워 맞추면, 마주 보는 다리부(12), 즉, 도 1의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 발광부(50)의 패키지(51)가 끼워 맞추어진다.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의 내측 치수는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므로, 오정렬 없이 프레임 유닛(1)이 끼워 맞추어 질 수 있다.
프레임(10)은,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고무계(실리콘 고무 등)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이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의 내측 치수를,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함으로써, 프레임(10)을 패키지(51)의 주위에 끼워 넣었을 때, 휘어진 다리부(12a, 12b)의 반력에 의해서, 프레임(10)을 패키지(51)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10)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11)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는 흑색, 진회색, 또는 여타의 색으로 되어 있어, 외광(발광부(50)로부터의 광 이외의 광)의 확산 반사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의 블랙 스트라이프로서 작용한다. 다르게는, 프레임 본체(11)의 전방면은, 소재 자체의 색 또는 표면 처리(요철 처리 등)에 의해 광반사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했지만, 영상 표시 장치가 야외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프레임 본체(11)의 전방 상부에 오버행(덮개)을 차양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프레임 유닛(1)은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마주 보는 다리부(12)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는 편광부(20)를 포함하고 있다. 편광부(20)는,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 끼워 맞춰지거나 프레임 본체(11)의 배면측에 접착된다. 편광부(20)를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 끼워 맞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편광부(20)를 삽입 또는 발출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편광부(20)는, 프레임 본체(11)의 배면측 또는 프레임 본체(11)내의 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프레임(10)을 발광부에 장착했을 때, 영상 표시부의 최전방면에 있어서 발광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본체(11)의 전방면이 관람자에 면하여 영상 표시 장치의 블랙 스트라이프로서 작용한다. 또한, 편광부(20)는 프레임 본체(11)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편광부(20)는 지향성이 향상되고 변형과 스크래치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프레임 본체(11)가 직접적인 외광의 입사를 줄여주므로, 편광부(20)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착탈 상태]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 유닛의 착탈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1)은 프레임(10)의 다리부(12) 사이에 편광부(20)가 끼워 맞춰진 상태로 되어 있다. 발광부(50)는, 기판(S) 위에 실장되어 있으며, 예컨대 납땜에 의해 기판(S) 상의 배선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프레임 유닛(1)은, 발광부(50)의 패키지(51)에 대하여 끼워 맞추어진다.
다리부(12)(12a, 12b) 사이의 내측 치수는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높이와 거의 같기 때문에,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추면 발광부(50)의 패키지(51)는 다리부(12)(12a, 12b) 사이에 정확히 끼워 맞춰진다. 또한, 프레임 본체(11)의 배면측에서 다리부(12)(12a, 12b) 사이에 편광부(20)가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추면 발광부(50)의 광 출사면에 편광부(20)가 면하게 된다.
도 3b는 다리부에 제공된 오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유닛(1)의 프레임(10)에 있어서의 다리부(12)(12a, 12b)에 오목부(120)가 제공되어 있고, 이 오목부(120)에 편광부(20)가 끼워 맞춰진다. 오목부(120)는, 프레임 본체(11)에 인접한 다리부(12)(12a, 12b) 부분에 서로 마주하는 개구를 갖고, 이에 의해 다리부(12)(12a, 12b) 사이의 내측 치수보다 폭이 넓은 편광부(20)가 오목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들 오목부(120)는, 다리부(12)(12a, 12b) 사이에 편광부(20)가 끼워 맞춰질 때, 그 편광부(20)를 수용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다리부(12)가 발광부(50)의 두께 + 편광부(20)의 두께와 동등한 길이를 가지면,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추었을 때, 편광부(20)가 발광부(50)에 밀착함과 함께 다리부(12)의 바닥이 기판(S)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다리부(12)의 바닥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프레임(10)이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10)이 가요성을 갖고 있으면, 간단히 프레임(10)을 그 일단부로부터 시작해서 휘게 함으로써, 기판(S)으로부터 접착제에 의해 기판(S)에 고정된 다리부(12)의 바닥을 떼어낼 수 있다.
다르게는,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추었을 때,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측면과 접촉하는, 다리부(12)(12a, 12b)의 내벽면에 요철을 제공해도 된다. 이들 요철은,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추었을 때, 다리부(12)(12a, 12b)의 내벽면과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측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다리부(12)(12a, 12b)의 유지력을 향상시킨다.
[리니어 구성]
도 4a는 리니어 프레임 유닛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이 프레임 유닛의 분해도이다. 본 프레임 유닛(1)은, 일행 또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부(50)에 대해 적합하다. 발광부(50)는 기판(S) 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a에서는, 발광부(50)가 일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 유닛(1)의 프레임(10)은, 이 발광부(50)의 행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0)의 프레임 본체(11)는, 발광부(50) 사이 및 주위를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 형상으로 성형된다. 다리부(12)는, 프레임 본체(11)로부터 연장하는 서로 마주하는 부재이며, 발광부(50)의 측면을 따라 끼워 맞춰진다. 도 4a 및 도 4b에서, 다리부(12)는 프레임 본체(11)의 가로 방향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다르게는, 다리부(12)는, 도 4a 및 도 4b에서 프레임 본체(11)의 세로 방향의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프레임 본체(11)와 다리부(12)가 파선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프레임 본체(11)와 다리부(12)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다리부(12)는,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프레임 본체(11)의 가로 방향 에지를 따라 전체적으로 제공되는 대신에, 프레임 본체(11)의 가로 방향 에지를 따라 부분적으로 제공되어 있어도 된다.
편광부(20)는, 발광부(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하는 필터이며, S 편광(광 입사면에 대하여 수직한 편광 방향), P 편광(광 입사면에 대하여 수평한 편광 방향), 원 편광(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타원 편광 등의 편광 방향의 제어를 행한다.
편광부(20)는, 프레임(10)의 마주 보는 다리부(12)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a에서, 편광부(20)는, 프레임(10)의 마주 보는 가로 방향 에지 상에 제공된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서 연장하고, 이에 의해 프레임(10)의 프레임 본체(11)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를 편광부(20)가 완전히 덮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유닛(1)은, 복수의 발광부(50)의 주위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추면, 마주 보는 다리부(12), 즉, 도 4a에서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 발광부(50)의 패키지(51)가 끼워 맞추어진다.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의 내측 치수는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므로, 오정렬 없이 프레임 유닛(1)이 끼워 맞추어 질 수 있다.
프레임(10)은,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고무계(실리콘 고무 등)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이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의 내측 치수를,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함으로써, 프레임(10)을 패키지(51)의 주위에 끼워 넣었을 때, 휘어진 다리부(12a, 12b)의 반력에 의해서, 프레임(10)을 패키지(51)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10)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11)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는 흑색, 진회색, 또는 여타의 색으로 되어 있어, 외광(발광부(50)로부터의 광 이외의 광)의 확산 반사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의 블랙 스트라이프로서 작용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1)은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마주 보는 다리부(12)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는 편광부(20)를 포함하고 있다. 편광부(20)는,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 끼워 맞춰지거나 프레임 본체(11)의 배면측에 접착된다. 편광부(20)를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 끼워 맞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편광부(20)를 삽입 또는 발출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1)이 일행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춰지면, 이 행을 따라서 연장하는 기다란 편광부(20)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 삽입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 오목부(120)가 제공되면, 이 오목부(120)에 의해 안내되어 기다란 편광부(20)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삽입될 수 있다.
[매트릭스 구성]
도 5는, 매트릭스(행렬)로서 구현된 프레임 유닛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 프레임 유닛(1)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부(50)에 적합하다. 발광부(50)는 기판(S) 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행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 유닛(1)의 프레임(10)은 발광부(50)의 종횡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0)의 프레임 본체(11)는, 발광부(50) 사이 및 주위를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 형상으로 성형된다. 다리부(12)는, 프레임 본체(11)로부터 연장하는 서로 마주하는 부재이며, 발광부(50)의 측면을 따라 끼워 맞춰진다. 도 5에서, 다리부(12)는 프레임 본체(11)의 가로 방향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다르게는, 다리부(12)는, 도 5에서 프레임 본체(11)의 세로 방향의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프레임 본체(11)와 다리부(12)를 구별되는 것으로서 묘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프레임 본체(11)와 다리부(12)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다리부(12)는, 도 5에서와 같이 프레임 본체(11)의 가로 방향 에지를 따라 전체적으로 제공되는 대신에, 프레임 본체(11)의 가로 방향 에지를 따라 부분적으로 제공되어 있어도 된다.
편광부(20)는, 발광부(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하는 필터이며, S 편광(광 입사면에 대하여 수직한 편광 방향), P 편광(광 입사면에 대하여 수평한 편광 방향), 원 편광(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타원 편광 등의 편광 방향의 제어를 행한다.
편광부(20)는, 프레임(10)의 마주 보는 다리부(12)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에서, 편광부(20)는, 프레임(10)의 마주 보는 가로 방향 에지 상에 제공된 상측 및 하측 다리부(12) 사이에서 연장하고, 이에 의해 프레임(10)의 프레임 본체(11)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를 편광부(20)가 완전히 덮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유닛(1)은, 복수의 발광부(50)의 주위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추면, 마주 보는 다리부(12) 사이에 발광부(50)의 패키지(51)가 끼워 맞추어진다. 서로 마주하는 상측 및 하측 다리부(12) 사이의 내측 치수는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므로, 오정렬 없이 프레임 유닛(1)이 끼워 맞추어 질 수 있다.
프레임(10)은,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고무계(실리콘 고무 등)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이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상측 다리부(12a)와 하측 다리부(12b) 사이의 내측 치수를,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함으로써, 프레임(10)을 패키지(51)의 주위에 끼워 넣었을 때, 휘어진 다리부(12a, 12b)의 반력에 의해서, 프레임(10)을 패키지(51)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10)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11)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는 흑색, 진회색, 또는 여타의 색으로 되어 있어, 외광(발광부(50)로부터의 광 이외의 광)의 확산 반사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의 블랙 스트라이프로서 작용한다.
도 6은 프레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1)은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마주 보는 다리부(12)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는 편광부(20)를 포함하고 있다. 편광부(20)는, 서로 마주보는 상측 및 하측 다리부(12) 사이에 끼워 맞춰지거나 프레임 본체(11)의 배면측에 접착된다. 편광부(20)를 서로 마주보는 상측 및 하측 다리부(12) 사이에 끼워 맞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편광부(20)를 삽입 또는 발출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1)이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춰지면, 발광부(50)의 행을 따라서 연장하는 기다란 편광부(2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상측 및 하측 다리부(12) 사이에 삽입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다리부(12)에 오목부(120)가 제공되면, 이 오목부(120)에 의해 안내되어 기다란 편광부(20)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행마다 기다란 편광부(20)를 장착할 경우, 편광부(20)의 편광 방향을 각행마다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행씩 걸러서 교대로 편광 방향이 변경되도록 편광부(20)를 장착할 수도 있다.
<2. 영상 표시 장치>
[프레임 구성]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발광부(50)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영상 표시부(101)와, 이에 장착되는 먼저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 유닛(1)을 갖는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행렬 형상으로서 구현된 프레임 유닛(1)이 적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기본 구성의 프레임 유닛(1)이나,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리니어 구성의 프레임 유닛(1)을 사용해도 되지만, 장착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행렬 형상의 프레임 유닛(1)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렬 형상의 프레임 유닛(1)을 사용하는 경우, 영상 표시부(101)의 전체면을, 단 하나의 프레임 유닛(1)으로 덮거나 또는 영상 표시부(101)의 전체면 중 소정 구역을 덮도록 치수 설정된 복수의 프레임 유닛(1)으로 덮을 수 있다.
프레임 유닛(1)의 프레임(10)은, 발광부(50)의 행과 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0)의 프레임 본체(11)는, 발광부(50) 사이 및 주위를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 형상으로 성형된다. 다리부(12)는, 프레임 본체(11)로부터 연장하는 서로 마주하는 부재이며, 발광부(50)의 측면을 따라 끼워 맞춰진다.
편광부(20)는, 발광부(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하는 필터이며, S 편광(광 입사면에 대하여 수직한 편광 방향), P 편광(광 입사면에 대하여 수평한 편광 방향), 원 편광(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타원 편광 등의 편광 방향의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유닛(1)은, 영상 표시부(101)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발광부(50)의 주위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에 대해 끼워 맞추면, 마주 보는 다리부(12) 사이에 발광부(50)의 패키지(51)가 끼워 맞추어진다. 서로 마주하는 상측 및 하측 다리부(12) 사이의 내측 치수는 발광부(50)의 패키지(51)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므로, 오정렬 없이 프레임 유닛(1)이 끼워 맞추어 질 수 있다.
프레임(10)은, 프레임 유닛(1)을 영상 표시부(101)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고무계(실리콘 고무 등)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11)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는 흑색, 진회색, 또는 여타의 색으로 되어 있어, 외광(발광부(50)로부터의 광 이외의 광)의 확산 반사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영상 표시부(101)의 발광부(50) 사이의 간극에 제공된 블랙 스트라이프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프레임 유닛(1)은 영상 표시부(101)의 각 행과 대응한 기다란 편광부(20)를 수용한다. 기다란 편광부(20)는 마주 보는 상측 다리부(12a) 및 하측 다리부(12b) 사이에 삽입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다리부(12)에 오목부(120)가 제공되면, 이 오목부(120)에 의해 안내되어 기다란 편광부(20)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삽입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를 입체 영상을 시각화하기 위해 사용할 경우, 각 행마다 편광 방향이 교대로 바뀌도록 편광부(20)를 장착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P 편광의 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20P)와, 발광부(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S 편광의 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부(20S)를 각행마다 교대로 배치한다.
다르게는, 이 실시예에서 각 행마다 교대로 배치된 P 편광과 S 편광용의 편광부(20P, 20S) 대신에, 다른 편광 방향의 편광부를 사용하여도 된다.
[영상의 관람]
도 8은 입체 영상을 관람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발광부(50)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되는 영상 표시부(101)와, 이 영상 표시부에 장착되는 먼저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 유닛(1)을 갖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 유닛(1)에는 P 편광용 편광부(20P)와 S 편광용 편광부(20S)가 각행마다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입체 영상을 시각화하기 위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홀수(odd)행의 영상 표시와 짝수(even)행의 영상 표시를 교대로 전환한다.
먼저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 유닛(1)에서, 홀수행의 편광부는 그 홀수 라인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S 편광(또는 P 편광)의 광으로 변환하고, 짝수행의 편광부는 그 짝수 라인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P 편광(또는 S 편광)의 광으로 변환한다.
영상 관람자는,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광을 투과시키는 안경(G)을 통해, 좌우의 눈으로 영상을 관람한다. 예를 들어, 안경(G)은 좌안측에는 P 편광의 광을 투과시키는 필터(FP)를 갖고, 우안측에는 S 편광의 광을 투과시키는 필터(FS)를 갖는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관람자의 좌우의 눈은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광을 따로따로 보게 된다.
프레임 유닛(1)의 편광부(20)가, 영상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의 홀수행의 영상을 P 편광의 광으로 변환하고, 짝수행의 영상을 S 편광의 광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여기서는, 안경(G)은 좌안측에 P 편광의 광을 투과시키는 필터(FP)를 갖고, 우안측에 S 편광의 광을 투과시키는 또 다른 필터(FS)를 갖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홀수행의 영상은 P 편광의 광으로 변환되어, P 편광의 광을 투과시키는 필터(FP)를 통과해서 안경(G)을 착용하고 있는 관람자의 좌안에 도달한다. 우안측의 필터(FS)는 P 편광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홀수행의 영상은 관람자의 우안에는 도달하지 않고, 좌안으로만 보이게 된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의 짝수행의 영상은 S 편광의 광으로 변환되어, S 편광의 광을 투과시키는 필터(FS)를 통과해서 안경(G)을 착용하고 있는 관람자의 우안에 도달한다. 좌안측의 필터(FP)는 S 편광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짝수행의 영상은 좌안에는 도달하지 않고, 우안으로만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여, 안경(G)을 착용하고 있는 관람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홀수행에 표시되는 영상은 좌안으로 보게 되고, 짝수행에 표시되는 영상은 우안으로 보게 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을, 홀수행에 표시되는 영상과, 짝수행에 표시되는 영상으로 변환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시각화할 수 있다. 관람자는 변환된 영상을 좌우의 눈으로 관람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에 프레임 유닛(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영상 표시 장치(100)가 입체 영상을 시각화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에는 프레임 유닛(1)이 장착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가 통상의 영상(2차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에는, 프레임 유닛(1)이 탈착될 수 있다.
<3. 발광부의 구성예>
[각형 패키지]
도 9a 및 도 9b는 발광부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각형 패키지에 포함된 발광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발광부(50)는 발광 소자를 각형 패키지(51)내에 밀봉시키고 있다. 발광부(50)에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50r), 녹색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50g), 청색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50b)가 소정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발광 소자는, 상기 3개의 발광 소자(50r, 50g, 50b)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의 색을 출사하는 1개 혹은 복수의 발광 소자가 단일의 패키지에 밀봉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4개 이상의 발광 소자가 배열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한 색 이외의 색이 사용되어도 된다.
[원형 패키지]
도 9b는 원형 패키지내에 포함된 발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발광부(50)는 발광 소자를 원형 패키지(51)내에 밀봉시키고 있다. 상술한 각형 패키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밀봉되거나, 또는 단일의 색을 발광하는 1개 혹은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밀봉되어 있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 유닛(1)을 원형 패키지(51)에 포함된 발광부(50)에 적용할 경우에는, 원형 패키지(51)에 외접하는 가상의 직사각형 주위에 끼워 맞추도록 다리부(12)를 배치하면 된다. 다르게는, 프레임 본체(11)가 원형 패키지(51)의 형상에 따라 성형된 원형 개구부를 가져도 된다.
상술한 서로 다른 패키지에 수용되는 발광부(50)에서 사용되는 발광 소자의 예로서는, LED 이외에, 반도체 레이저 및 유기 EL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도 된다.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발광부(50)의 발광 소자의 표면(예를 들어, LED 칩의 표면)에 조립되거나 또는 패키지의 발광 소자의 표면에 조립되어도 된다. 발광부(50)에 편광판이 조립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프레임(10)에 편광부(20)를 미리 장착할 필요가 없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간단히 프레임 유닛(1)을 발광부(50)에 끼워 맞춤으로써, 편광 변동을 발생시키지 않는 영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의 적어도 전방면이 광반사를 억제하는 색으로 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본체는 발광부(50)들 사이의 간극에 제공된 블랙 스트라이프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들 특징 사항의 상승적인 작용에 의해, 종래의 통상의 영상 표시 장치보다 대략 10~20% 높은 밝기와 보다 높은 콘트라스트의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출원은, 2009년 6월 4일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인 특허출원 JP2009-134787에 개시된 바와 관련한 청구 대상을 포함하며, 상기 일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써 포함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에 기재된 범주 내에 포함되는 한, 설계 요구조건과 여타의 요소에 따라, 각종 변경, 조합, 하위 조합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0)
- 발광부의 주위에 배치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서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마주 보는 다리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마주 보는 다리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제공된 편광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발광부 주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는 색으로 되어 있는,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도록 표면 처리가 되어 있는,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 상기 다리부가 끼워 맞춰지는,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 상기 다리부가 끼워 맞춰지는,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 상기 다리부가 끼워 맞춰지는,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소정 간격으로 행렬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 상기 다리부가 끼워 맞춰지는,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 복수의 발광부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되는 영상 표시부와,
상기 영상 표시부의 복수의 발광부의 주위에 배치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서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마주 보는 다리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마주 보는 다리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제공된 복수의 편광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발광부 사이의 간극에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의 발광부의 각행마다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편광 방향이 서로 다른 2종류의 편광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발광부의 주위에 배치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서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마주 보는 다리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마주 보는 다리부 사이에서 연장하여 상기 마주 보는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편광부를 포함하는,
부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소정 간격으로 행렬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 상기 다리부가 끼워 맞춰지는, 부재. - 복수의 발광부가 배치되는 영상 표시부와,
상기 영상 표시부의 복수의 발광부의 주위에 배치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서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마주 보는 다리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마주 보는 다리부 사이에서 연장하여 상기 마주 보는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편광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는 색으로 되어 있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도록 표면 처리가 되어 있는, 영상 표시 장치. - 복수의 발광부가 배치되는 영상 표시부와,
상기 영상 표시부의 복수의 발광부의 주위에 배치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발광부의 측면을 따라서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마주 보는 다리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마주 보는 다리부 사이에서 연장하여 상기 마주 보는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부는 편광 방향이 다르고 또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2종류의 편광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는 색으로 되어 있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프레임 본체의 전방면은 광반사를 억제하도록 표면 처리가 되어 있는, 영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34787 | 2009-06-04 | ||
JP2009134787A JP2010281994A (ja) | 2009-06-04 | 2009-06-04 | 映像表示装置用枠材および映像表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0952A true KR20100130952A (ko) | 2010-12-14 |
KR101739590B1 KR101739590B1 (ko) | 2017-05-24 |
Family
ID=4234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9481A KR101739590B1 (ko) | 2009-06-04 | 2010-05-27 |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309395A1 (ko) |
EP (1) | EP2262271B9 (ko) |
JP (1) | JP2010281994A (ko) |
KR (1) | KR101739590B1 (ko) |
CN (1) | CN101907776B (ko) |
SG (1) | SG166767A1 (ko) |
TW (1) | TWI44209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53796B2 (ja) | 2009-02-23 | 2015-07-22 | イサム・リサーチ・デベロツプメント・カンパニー・オブ・ザ・ヘブルー・ユニバーシテイ・オブ・エルサレム・リミテッド | 光学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およびその方法 |
CN103201674B (zh) | 2010-11-05 | 2016-07-20 | 耶路撒冷希伯来大学伊森姆研究发展公司 | 偏振照明系统 |
JP2015522837A (ja) * | 2012-05-09 | 2015-08-06 |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 ナノロッドの蛍光発光による3次元表示システム |
US20140111849A1 (en) * | 2012-10-18 | 2014-04-24 | Polarization Solutions,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mosaic gratings-based polarizer |
JP6383548B2 (ja) * | 2014-03-10 | 2018-08-29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灯具 |
KR102313066B1 (ko) * | 2014-11-17 | 2021-10-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휴대용 표시 장치 |
US11307434B2 (en) * | 2016-09-01 | 2022-04-19 | 3D Live, Inc. |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employing light emitting diodes with polarizing film/lens materials |
CN114384020B (zh) * | 2022-01-20 | 2024-01-30 | 深圳铭毅智造科技有限公司 | 一种大视野显微成像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6450B2 (ja) * | 1985-09-05 | 1995-04-19 | 株式会社コパル | Led光源 |
US4697890A (en) * | 1985-10-03 | 1987-10-06 | Crookston Byron F | Light emitting device |
GB9119234D0 (en) * | 1991-09-09 | 1991-10-23 | Enichem Elastomers Ltd | Conjugated diene polymerisation |
US5689371A (en) * | 1995-08-30 | 1997-11-18 | Polaroid Corporation | Filter assembly |
JPH10206796A (ja) * | 1997-01-28 | 1998-08-07 | Scala Kk | 立体視構造 |
JP2001281403A (ja) * | 2000-03-29 | 2001-10-10 | Fuji Photo Film Co Ltd | 防眩性フイルム、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
JP2002043629A (ja) * | 2000-07-24 | 2002-02-08 | Yamakawa Akira | Led投光装置とこれに用いるレンズ体。 |
KR100915793B1 (ko) * | 2001-06-01 | 2009-09-08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또한 그 표시 장치에 부착되는 분할 파장판 필터, 필터의 위치 조정 기구, 필터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맞춤 방법 |
JP2003029207A (ja) * | 2001-07-11 | 2003-01-29 | Sony Corp | 3d映像表示体 |
US7221332B2 (en) * | 2003-12-19 | 2007-05-22 | Eastman Kodak Company | 3D stereo OLED display |
JP4417757B2 (ja) * | 2004-03-26 | 2010-02-17 | 京セラ株式会社 |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照明装置 |
JP5586119B2 (ja) * | 2006-03-28 | 2014-09-10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光学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
JP3125731U (ja) * | 2006-07-20 | 2006-09-28 | アイワ広告株式会社 | スタンド型看板装置 |
US8147113B2 (en) * | 2007-01-22 | 2012-04-03 | Sharp Kabushiki Kaisha | Backlight device and flat display using it |
US20080244943A1 (en) * | 2007-04-06 | 2008-10-09 | Element Labs, Inc. | Variable Baffle for Low Resolution Displays |
US8049230B2 (en) * | 2008-05-16 | 2011-11-01 | Cree Huizhou Opto Limited | Apparatus and system for miniature surface mount devices |
-
2009
- 2009-06-04 JP JP2009134787A patent/JP2010281994A/ja active Pending
-
2010
- 2010-04-30 TW TW099113907A patent/TWI44209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5-01 US US12/772,186 patent/US2010030939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5-11 EP EP10004984A patent/EP2262271B9/en not_active Not-in-force
- 2010-05-27 KR KR1020100049481A patent/KR1017395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5-28 CN CN201010194396XA patent/CN10190777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6-15 SG SG201004190-3A patent/SG166767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309395A1 (en) | 2010-12-09 |
KR101739590B1 (ko) | 2017-05-24 |
CN101907776B (zh) | 2013-03-27 |
EP2262271A1 (en) | 2010-12-15 |
SG166767A1 (en) | 2010-12-29 |
TWI442095B (zh) | 2014-06-21 |
TW201100868A (en) | 2011-01-01 |
EP2262271B9 (en) | 2013-01-02 |
CN101907776A (zh) | 2010-12-08 |
EP2262271B1 (en) | 2012-09-05 |
JP2010281994A (ja) | 2010-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30952A (ko) | 영상 표시 장치용 프레임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 | |
US8827472B2 (en) | Display apparatus, optical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member | |
JP4566958B2 (ja) |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モジュール | |
US20160041395A1 (en) | Wearable apparatus | |
KR20180071657A (ko) |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 |
US9389428B2 (en) |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 |
KR101716569B1 (ko) | 무배젤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 |
US9939681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262773B1 (ko) | 가변형 표시장치 | |
US20140009695A1 (en) |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 |
US20150042898A1 (en) |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 |
KR20170094809A (ko) | 표시 장치 | |
WO2012053442A1 (ja) |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 |
JP2012252937A (ja) |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 | |
KR102342716B1 (ko) |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
KR101942786B1 (ko) |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 |
ES2353950T3 (es) |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 imágenes de tipo plano. | |
JP2011158878A (ja) | 3d電光板 | |
CN114935845B (zh) | 显示装置 | |
KR101552762B1 (ko) | 액정표시장치 | |
US8899771B2 (en) |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 |
JP2010078761A (ja) |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KR101961720B1 (ko) |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 | |
WO2013015037A1 (ja) | 発光装置 | |
CN114935844B (zh) | 显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