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866A - 물놀이용 전동 보드 - Google Patents

물놀이용 전동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866A
KR20100130866A KR1020090049598A KR20090049598A KR20100130866A KR 20100130866 A KR20100130866 A KR 20100130866A KR 1020090049598 A KR1020090049598 A KR 1020090049598A KR 20090049598 A KR20090049598 A KR 20090049598A KR 20100130866 A KR20100130866 A KR 2010013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inner space
lever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만
Original Assignee
오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만 filed Critical 오경만
Priority to KR102009004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0866A/ko
Publication of KR2010013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7Boar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lami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70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20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prone position, e.g. wild-water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70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 B63B32/73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for tethering users or objects to the board, e.g. le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가동되는 물놀이용 전동 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FRP를 사용하여 보드 본체를 제작할 경우에 스티로폴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 부력의 향상과 충격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간단한 조작의 용이성은 물론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현재 전동력을 이용하여 강가나 바닷가 등의 물가에서 물놀이를 위한 보드로는 윈드 서핑보드와 수상보드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것들은 바람이나 파도를 이용하거나 또는 견인을 위한 모터보트를 이용하여야 하는 제한적인 조건이 따르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드에 동력을 적용하여 파도가 없어도 또는 바람이 없어도 또는 별도의 견인을 위한 모터보트가 없을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보드가 제안되고 있으나, 아이디어에 불과하거나 단지 동력을 이용하여 팬을 회전하여 추진력을 얻고자 하거나 또는 방향레버의 유동으로 보드의 진행방향을 전환토록 한다는 것에 불과하여 실질적인 제작에는 상당한 적용의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FRP를 얇게 구현토록 하여 경량이면서도 강한 충격에도 파손되어지지 않게 되면서도 부력이 우수토록 함은 물론 조작에 의한 추진력과 방향의 전환을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제공토록 함으로서 휴대가 편리하면서도 저 단가로의 제공이 가능하여 일반인들이 큰 부담 없이 구입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보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물놀이, 전동, 보드, 스치로플, FRP

Description

물놀이용 전동 보드{A electromotion board for playing in the water}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가동되는 물놀이용 전동 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FRP를 사용하여 보드 본체를 제작할 경우에 스티로폴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 부력의 향상과 충격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간단한 조작의 용이성은 물론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현재 전동력을 이용하여 강가나 바닷가 등의 물가에서 물놀이를 위한 보드로는 윈드 서핑보드와 수상보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바람이 필요하거나 또는 별도의 모터보트를 이용하여 견인되어야 함으로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파도가 높은 곳에서는 서핑보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도 반드시 파도가 있어야 한다는 제한적인 조건이 따른다는 것이다.
따라서 보드에 동력을 적용하여 파도가 없어도 또는 바람이 없어도 또는 별도의 견인을 위한 모터보트가 없을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보드가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의 단점은 아이디어에 불과하거나 단지 동력을 이용하여 팬을 회전하여 추진력을 얻고자 하거나 또는 방향레버의 유동으로 보드의 진행방향을 전환토록 한다는 것에 불과하여 실질적인 제작에는 상당한 적용의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FRP를 얇게 구현토록 하여 경량이면서도 강한 충격에도 파손되어지지 않게 되면서도 부력이 우수토록 함은 물론 조작에 의한 추진력과 방향의 전환을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제공토록 함으로서 휴대가 편리하면서도 저 단가로의 제공이 가능하여 일반인들이 큰 부담 없이 구입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보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보드는 본체를 경량이면서도 일정한 부피를 갖고, 부력을 가질 수 있는 스티로플과 상기 스티로폴을 감싸게 되는 커버필름과 상기 커버필름으로 감싸여진 스티로폴을 밀착되게 감싸게 되면서 보드의 형상을 구현하게 되는 FRP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필름과 FRP로 감싸여지는 본체의 중앙으로는 구동셋트가 장착될 수 있는 내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공간부의 개구되어진 상부에는 가압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패킹테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가압 고정되어지는 덮개판을 형성시켜 구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공간부에 설치되어지는 구동셋트는 상기 본체의 전방 상측으로는 운전대가 장착되고, 후방 하측으로는 상기 운전대에 의하여 조작되는 방향레버 가 장착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놀이용 보드는 본체가 스치로플로 이루어져 경량이면서도 FRP가 상기 스치로폴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어져 제작 단가를 대폭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동력으로 구동토록 하기 위한 구동셋트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독립적으로 확보되어져 외관이 미려하게 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한 추진력과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놀이용 보드는, 스치로플(11)로 보드 본체(10)의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스치로폴(11)의 표면에는 커버시트(12)가 감싸여져 FRP 작업 시 스치로폴(11)이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스치로폴(11)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커버시트(12)의 상면으로는 FRP를 도포하여 FRP 도포층(1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FRP 작업을 위한 커버시트(12)는 스치로플(11) 표면에 다층으로 적층되어지도록 감싸는 것이고, FRP 도포층(13) 형성을 위한 FRP는 스치로플(11)을 감싸고 있는 커버시트(12)의 상면에 다층으로 적층되어지도록 도포하여 커버시트(12)을 통한 스치로플(11) 표면에의 함침을 통하여 FRP 도포층(1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고, 형성된 FRP 도포층(13)은 건조과정과 연마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 다.
따라서 이러한 FRP 도포층(13)은 보드 본체(10)의 형태를 갖는 스치로폴(11)로 인하여 얇은 적층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FRP 도포층(13)을 얇게 구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시트(12)과 FRP 도포층(13)으로 감싸여져 형성되어진 본체(10)의 중앙으로는 구동셋트(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내공간부(30)가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공간부(30)의 개구되어진 상측으로는 가압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패킹테(41)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가압 고정되어지는 덮개판(4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셋트(20)가 장착되어지는 내공간부(30)는 스치로폴(11)의 구조와 FRP 도포층(13)의 적층구조로 인하여 완전하게 독립되어진 구조를 취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내공간부(30)는 패킹테(41)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 가압 결합되어지는 덮개판(40)에 의하여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공간부(30)의 외측으로는 상기 덮개판(40)이 패킹테(41)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압 결합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요입단면(31)이 형성되도록 하여, 덮개판(40)이 패킹테(41)가 장착된 상태에서 요입단면(31)에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요입단면(31)의 요입 깊이는 패킹테(41)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압 결합되어지는 덮개판(40)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될 정도로 하여 덮개판(40)과 본체(10)의 상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보드의 본체(10) 상면에 탑승자가 올라탈 경우 단차에 의하여 탑승자의 신체가 베기는 등의 불편함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판(40)은 요입단면(31)의 어느 일측과 힌지수단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결착수단에 의하여 탈착되도록 하여 개폐의 용이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공간부(30)에 장착된 구동셋트(20)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판(40)이 형성되어진, 상기 보드 본체(10)의 전방 상측으로는 탑승자가 손으로 잡고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전대(50)가 장착되고, 후방 하측으로는 상기 운전대(50)에 장착된 가속레버(70)의 당김에 의하여 회전되어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임펠라(80)와, 상기 운전대(50)의 회전축 양측에 연결된 와이어(51)가 양측 날개에 각각 연결되어 운전 방향이 조작되도록 된 방향레버(60)가 장착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51)는 서로 교차시켜 운전대(50)의 회전축과 방향레버(60)의 날개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고, 내공간부(30)의 양측에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장착된 가이드롤라(27a)에 의하여 이격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운전대(50)와 방향레버(60) 사이에 연결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양측의 와이어(51)는 내공간부(30)에 장착된 지지스프링(28)에 의하여 내측으로 당겨진 상태로 탄력 지지되어 운전대(50)의 방향 조작에 의하여 양측의 와이어(51)가 유동될 경우에도 팽팽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대(50)의 방향 조작에 따른 방향레버(60)의 방향 조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지스프링(28)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어진 상태의 와이어(51)는 상기 내공간부(30)에 장착되어진 상기 가이드롤라(27a)의 위치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장착되어진 또 다른 지지롤라(27)에 의하여 와이어(51)의 탄력 지지력을 더욱 보강토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방향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공간부(30)에 장착되는 구동셋트(20)로는, 전원의 충방전이 가능한 밧데리(21)와, 상기 운전대(50)에 장착된 가속레버(70)의 당김 정도에 따라 회전 속도가 증감되도록 되어 구동력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추진레버(22)와, 상기 추진레버(22)의 회전에 따라 추진력이 제공되어 구동축(24)에 연결된 상기 임펠라(8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모터(23)와, 상기 밧데리(21)를 통한 전원 공급의 온/오프 제어 및 추진레버(22)의 추진력 제어를 위한 제어판(24)이 포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추진레버(22)는 내공간부(30)에 장착된 복귀스프링(25)에 연결되도록 하여 가속레버(70)의 당김이 정지될 경우 회전되어 있던 추진레버(22)를 빠르게 역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보드의 빠른 정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추진레버(22)와 가속레버(70)는 와이어(26)로 연결되어 가속레버(70)의 당김에 의하여 추진레버(22)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공간부(30)에는 구동셋트(20)가 장착될 경우 내공간부(30)의 훼손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수납틀(90)을 마련하는 것이고, 상기 수납틀(90)에 구동셋 트(20)를 장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틀(90)은 알루미늄 등과 같이 경량이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시키는 것이고, 수납틀(90)의 내부에는 구동셋트(20)의 구획 배치 및 고정을 위한 고정배치틀(91)을 형성시키는 것이ek.
또한 상기 내공간부(30)에 수납틀(90)이 장착될 경우, 상기 수납틀(90)의 후면 중앙으로는 상기 모터(23)와 임펠라(80)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축(24)의 관통을 위한 구멍(93) 이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 양측의 동일선상으로는 운전대(50)와 방향레버(60)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51)의 관통을 위한 구멍(94)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면 양측으로는 탑승한 상태에서의 구동 시 좌우로의 쏠림으로 인하여 탑승자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가이드(1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물놀이용 보드는, 본체(10)의 형태가 스치로플(11)에 의하여 구현되고, 그 표면이 얇은 FRP 도포층(13)으로 구현토록 되어 경량이면서도 강한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부력을 갖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본체(10) 내부에 별도의 내공간부(30)를 마련하여 덮개(40)에 의한 내공간부(30)의 기밀 유지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내공간부(30)에 구동셋트(20)를 장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모터의 구동을 통한 추진력과 방향 전환이 가능한 물놀이용 보드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저렴한 제조 원가로의 제공이 가능함은 물론 휴대가 편리하고, 안전 사고에 대한 대비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덮개판(40)에 탑승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운전대(5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추진레버(70)를 작동시키면 추진레버(70)의 조작을 통한 속도 조절과 운전대(50)의 조작을 통한 방향 조절로 파도, 바람이 없이도 물 위에서 자유롭게 보드를 타고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운전대(50)에 스텐드(51)를 형성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어선 자세로 보드를 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상기 스텐드(51)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어선 자세 뿐 아니라 앉은 자세로도 보드를 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물놀이용 보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 측방으로 구동이 불가능한 또 다른 물놀이 도구와의 연결 걸이수단(100)을 장착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또 다른 물놀이 도구에 어린이 등의 또 다른 탑승자를 태워 물놀이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 본체 형성 작업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 본체와 수납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세로방향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가로방향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드에 장착된 구동셋트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7 내지 도 10은 은 본 발명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스치로플
12: 커버시트 13: FRP 도포층
20: 구동셋트 30: 내공간부
40: 덮개판 50: 운전대
60: 방향레버 70: 가속레버
90: 수납틀

Claims (8)

  1. 스치로플(11)로 보드 본체의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스치로폴(11)의 표면에는 커버시트(12)가 감싸여지고, 상기 커버시트(12)의 상면으로는 FRP 작업을 통하여 FRP 도포층(13)이 형성되도록 된 본체(10)의 중앙으로는 구동셋트(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내공간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내공간부(30)의 개구되어진 상측으로는 가압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패킹테(41)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가압 고정되는 덮개판(40)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드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장착된 운전대(50)와 와이어(51)로 연결된 방향레버(60)를 통한 방향 전환 및 가속레버(70)의 당김에 의하여 회전되는 임펠라(80)에 의하여 구동력을 갖도록 구성된 물놀이용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공간부(30)의 외측으로는 상기 덮개판(40)이 삽입되어 동일평면상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요입단면(31)이 형성된 물놀이용 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1)는 중간 부분이 내공간부(30)에 장착된 지지스프링(28)에 의하여 내측으로 당겨진 상태로 탄력 지지되어 팽팽함이 유지되도록 된 물놀이용 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1)는 지지롤라(28)에 의하여 지지스프링(28)에 의한 탄력 지지력이 보강토록 된 물놀이용 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셋트(20)에는 가속레버(70)의 당김 정도에 따라 회전 속도가 증감되도록 된 추진레버(22)가 포함되며, 상기 추진레버(22)는 내공간부(30)에 장착된 복귀스프링(25)에 연결되어 역회전이 가속토록 된 물놀이용 보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공간부(30)에는 수납틀(90)을 삽입시키고, 상기 수납틀(90)에 구동셋트(20)가 장착되도록 된 물놀이용 보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대(50)에는 스텐드(51)가 형성된 물놀이용 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또 다른 물놀이 도구와의 연결 걸이수단(100)이 장착된 물놀이용 보드.
KR1020090049598A 2009-06-04 2009-06-04 물놀이용 전동 보드 KR20100130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598A KR20100130866A (ko) 2009-06-04 2009-06-04 물놀이용 전동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598A KR20100130866A (ko) 2009-06-04 2009-06-04 물놀이용 전동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866A true KR20100130866A (ko) 2010-12-14

Family

ID=4350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598A KR20100130866A (ko) 2009-06-04 2009-06-04 물놀이용 전동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08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096B1 (ko) * 2019-02-01 2020-03-26 이준 유희용 수상추진체
KR102101747B1 (ko) 2020-02-13 2020-05-29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물놀이용 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096B1 (ko) * 2019-02-01 2020-03-26 이준 유희용 수상추진체
KR102101747B1 (ko) 2020-02-13 2020-05-29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물놀이용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381B2 (en) Electrically powered watercraft
US4840592A (en) Power driven underwater viewing platform
BR112020004900A2 (pt) dispositivo de embarcação modular controlado por deslocamento de peso
KR101522667B1 (ko) 동력식 서핑보드
CN201010038Y (zh) 水中推进器
JP2020511361A (ja) 水中推進装置
US7032698B2 (en) Hovercraft
KR20160057060A (ko)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모터와 워터제트 구조를 적용한 서핑보드
KR101443901B1 (ko)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KR20200073167A (ko)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KR20170090702A (ko) 수상 웨이크 보드
KR20100130866A (ko) 물놀이용 전동 보드
JP4482040B2 (ja) ホバークラフト玩具
KR101248396B1 (ko) 수중 스쿠터
FR2928132A1 (fr) Dispositif de reglage de fenetre d&#39;abri pour vedette
US8056494B1 (en) Propelling apparatus for a flotation device
CN201049727Y (zh) 冲浪艇
US20130252502A1 (en) Air swimming toy with driving device
US6647912B1 (en) Underwater traveling craft
KR102094096B1 (ko) 유희용 수상추진체
AU5012101A (en) Electric powered water craft
WO2017220000A1 (zh) 划水模块装置
CN113184155B (zh) 一种翻转锁紧机构及船用挂桨机
CN201961511U (zh) 水上电动娱乐舟
CN218751281U (zh) 一种水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