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436A -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436A
KR20100130436A KR1020090049121A KR20090049121A KR20100130436A KR 20100130436 A KR20100130436 A KR 20100130436A KR 1020090049121 A KR1020090049121 A KR 1020090049121A KR 20090049121 A KR20090049121 A KR 20090049121A KR 20100130436 A KR20100130436 A KR 2010013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embers
wall
booth
prefabricated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679B1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102009004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67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다른 조립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가 조립벽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모서리 부재의 양단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및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및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조립벽체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벽체 패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부스를 시공함에 있어서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시공된 조립식 부스를 해체한 경우에도 해체된 자재를 이후에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부스를 조립하기 전이나 조립식 부스를 해체한 경우에 각 부재의 운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조립식 부스, 조립벽체, 확장, 재활용

Description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Assembled Wall for Assembing Type Booth and Assembing Type Booth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한 시공을 보장함과 동시에 재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에 관한 것이다.
전시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회용 부스는 일반적으로 목공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목공 과정을 통해 제조된 일회용 부스는 미관을 위해 도배 과정을 거치게 되며, 게다가 관계 법령에 따라 방염공사까지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일회용 부스는 적지 않은 자재와 인력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행사가 끝나면 철거되어야 하고, 일단 철거된 일회용 부스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한 시공을 보장함과 동시에 재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는, 다른 조립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가 조립벽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모서리 부재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조립벽체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벽체 패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는, 고정용 홈이 형성된 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용 홈에 결합되는 고정 돌기가 구비된 수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 연결부재에 형성된 고정용 홈은 다른 조립벽체에 구비된 암 연결부재에 형성된 고정용 홈과 맞닿은 상태에서 조인트 블록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는, 다른 조립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가 조립벽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모서리 부재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조립벽체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벽체 패널을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상기 복수개의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가 복수의 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부재의 상기 결합용 홈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구가 구비된 조인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에 구비된 상기 결합용 홈과 상기 조인트 부재에 구비된 상기 결합구가 결합되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는, 고정용 홈이 형성된 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용 홈에 결합되는 고정 돌기가 구비된 수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부스를 시공함에 있어서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시공된 조립식 부스를 해체한 경우에도 해체된 자재를 이후에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부스를 조립하기 전이나 조립식 부스를 해체한 경우에 각 부재의 운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우선, 작업자는 모서리 부재(110)와 연결부재(120)를 각각 복수개 준비한다. 모서리 부재(110)는 일종의 알루미늄 사출 파이프로써, 부스용 조립벽체의 테두리로 사용되며, 다른 조립벽체의 모서리 부재(110)와 결합에 필요한 결합용 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연결부재(120)의 돌출부를 모서리 부재(110)의 양 끝단에 삽입함으로써, 연결부재(120)와 모서리 부재(110)를 결합한다. 한편, 연결부재(120)는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110)가 조립벽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11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120)는 도 1a에서와 같이 고정용 홈(125)이 형성되어 있는 암 연결부재(120)와 도 1b에서와 같이 암 연결부재(120)의 고정용 홈(125)에 결합되는 고정 돌기(127)가 구비된 수 연결부재(12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작업자는 도 1a에서의 암 연결부재(120) 및 도 1b에서의 수 연결부재(120)를 이용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모서리 부재(110)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은 조립벽체의 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1a에서의 암 연결부재(120)에 형성된 고정용 홈(125)은 조립벽체와 다른 조립벽체와의 결합시에 다른 조립벽체에 구비된 암 연결부재(120)에 형성된 고정용 홈(125)과의 상호 고정에도 활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자는 도 4에서의 벽체 패널(130)을 조립벽체의 테두리에 부착하는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벽체 패널(130)을 조립벽체의 태두리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공지된 제품인 3M사의 듀얼락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벽체 패널(130)의 부착을 위해 듀얼락이 사용되는 부위는 도 4에서 표시된 부분이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보다 견고한 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모서리 부재(110)의 중심부에서도 듀얼락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를 확장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설치되어야 하는 조립식 부스의 크기에 따라 조립벽체를 확장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작업자는 두개의 조립벽체를 도 5에서와 같이 나란히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작업자는 두개의 조립벽체에서의 연결부재(120)가 맞닿은 지점의 고정용 홈(125)에 조인트 블록(135)을 끼움으로써 두개의 조립벽체를 고정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두개의 조립벽체에서의 맞닿은 모서리 부재(110)는 도 6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서로 맞닿은 모서리 부재(110)에는 모두 결합용 홈(11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 맞닿은 두개의 모서리 부재(110)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부재(110)의 결합용 홈(115)에는 결합구(117)가 고정 설치되고, 이와 같이 고정 설치된 결합구(117)가 상대 모서리 부재(110)의 결합용 홈(115)에 삽입 고정되는 방식을 통해 두개의 모서리 부재(11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립식 부스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를 제조함에 있어서,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조립식 부스의 설치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벽체를 배치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복수개의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가 복수의 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부재(140)가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의 조인트 부재(140)는 조립식 벽체의 모서리 부재(110)와 동일한 재질인 알루미늄 사출 파이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조인트 부재(140)가 조립벽체의 모서리 부재(110)에 구비된 결합용 홈(115)과 결합될 수 있도록, 조인트 부재(140)에는 도 6에서와 같은 결합구(117)가 필요에 따라 2방향,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즉,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은 (a)2방향 조인트 부재, (b)3방 향 조인트 부재, 또는 (c)4방향 조인트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조립벽체를 확장 설치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조립식 부스의 설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부스가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를 확장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립식 부스의 평면도, 및
도 8은 도 7에서의 조인트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5)

  1. 다른 조립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가 조립벽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모서리 부재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조립벽체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벽체 패널
    을 포함하는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는, 고정용 홈이 형성된 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용 홈에 결합되는 고정 돌기가 구비된 수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 연결부재에 형성된 고정용 홈은 다른 조립벽체에 구비된 암 연결부재에 형성된 고정용 홈과 맞닿은 상태에서 조인트 블록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4. 다른 조립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가 조립벽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모서리 부재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 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조립벽체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벽체 패널을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상기 복수개의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가 복수의 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부재의 상기 결합용 홈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구가 구비된 조인트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에 구비된 상기 결합용 홈과 상기 조인트 부재에 구비된 상기 결합구가 결합되어 제조되는 조립식 부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는, 고정용 홈이 형성된 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용 홈에 결합되는 고정 돌기가 구비된 수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립식 부스.
KR1020090049121A 2009-06-03 2009-06-03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KR10110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121A KR101103679B1 (ko) 2009-06-03 2009-06-03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121A KR101103679B1 (ko) 2009-06-03 2009-06-03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436A true KR20100130436A (ko) 2010-12-13
KR101103679B1 KR101103679B1 (ko) 2012-01-11

Family

ID=4350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121A KR101103679B1 (ko) 2009-06-03 2009-06-03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6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801B1 (ko) * 2011-05-03 2013-02-08 이동욱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
WO2020158992A1 (ko) * 2019-02-01 2020-08-06 박진태 자석 결합식 부스
KR20210048155A (ko) * 2019-10-23 2021-05-03 (주)이즈피엠피 친환경 종이 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50Y1 (ko) * 2015-03-20 2015-05-04 주식회사 디자인비 전시회용 조립식 부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86209T3 (es) 1993-12-10 1996-06-16 Clestra Hauserman Sa Sistema de tabicado con postes flotantes.
KR100300753B1 (ko) 1999-05-01 2001-09-26 김헌재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ITMI20011989A1 (it) * 2001-09-25 2003-03-25 C I D Cosmetics Internat Di St Kit per la miscelazione di sostanze per la creazione di prodotti cosmetici
KR200326217Y1 (ko) * 2003-06-17 2003-09-17 토인환경디자인 주식회사 조립식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801B1 (ko) * 2011-05-03 2013-02-08 이동욱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
WO2020158992A1 (ko) * 2019-02-01 2020-08-06 박진태 자석 결합식 부스
KR20210048155A (ko) * 2019-10-23 2021-05-03 (주)이즈피엠피 친환경 종이 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679B1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6653C (en) Wall panel system
US8381468B2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BR0213889A (pt) Dispositivo de junção de bordas de painéis
KR101103679B1 (ko)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US8745950B2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wall surface
KR101625847B1 (ko)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KR20200127830A (ko)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KR101363739B1 (ko)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KR101611763B1 (ko) 토보드 연결구
WO2013054571A1 (ja) 建築用パネル及び建築用パネルの下地材への取付構造
KR102049583B1 (ko)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KR20170051628A (ko)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20200048077A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KR101044331B1 (ko) 부스용 조립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제조방법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ITUD970003U1 (it) Struttura per pavimento di accesso leggermente rialzato per automazione d'ufficio
KR10189852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EP3228769B1 (en) A firebreak device
US10781583B2 (en) Fitting profile for prefabrication constructive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a fitting profile system
KR101824461B1 (ko) 샌드위치 패널 커플링 유니트
JP4818741B2 (ja) 設備取付用下地及び界壁下地、並びに界壁パネル
KR101536352B1 (ko) 단열패널 고정철물 및 그를 이용한 단열패널 시공방법
JPH04306343A (ja) 天井板の取り付け方法
JP7312652B2 (ja) 建物天井とその施工方法
JP2009191528A (ja) 建築用パネル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