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026A -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 Google Patents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026A
KR20100130026A KR1020090048673A KR20090048673A KR20100130026A KR 20100130026 A KR20100130026 A KR 20100130026A KR 1020090048673 A KR1020090048673 A KR 1020090048673A KR 20090048673 A KR20090048673 A KR 20090048673A KR 20100130026 A KR20100130026 A KR 20100130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beverage
photographing means
photographing
c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중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중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중량
Priority to KR102009004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0026A/ko
Publication of KR2010013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이 투입된 이후부터 컵 배출구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컵 내부에 음료가 충전되는 상황을 음료자판기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확인이 가능함에 따라, 음료 배출상황 확인을 위해 자세를 낮추고 컵 배출구 측을 응시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하며, 촬영수단의 촬영을 하지 않을 시에는 광고영상이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광고효과발생 및 부수입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는 동전 투입구 측으로 동전을 투입한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컵 배출구 측에 구비된 컵으로 음료를 배출하는 음료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컵 배출구 내에 설치되어 음료공급 상황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음료자판기 외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 자판기, 촬영수단, 디스플레이수단, 센서

Description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BEVERAGE VENDING MACHINE THAT EQUIP PHOTOGRAPHING MEANS}
본 발명은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전이 투입된 이후부터 컵 배출구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컵 내부에 음료가 충전되는 상황을 음료자판기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확인이 가능함에 따라, 음료 배출상황 확인을 위해 자세를 낮추고 컵 배출구 측을 응시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하며, 촬영수단의 촬영을 하지 않을 시에는 광고영상이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광고효과발생 및 부수입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동전 투입구 측으로 동전을 투입하게 함으로써 커피, 유자차, 코코아, 우유 등과 같이 차와 물을 혼합하여 판매하거나 액체상태의 청량음료를 판매하는 자판기의 내부에는 각종 차 및 청량음료를 종류별로 넣어두는 저장탱크와,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탱크와, 각각의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해당 차나 물을 배출관으 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준비된 컵을 순차적으로 컵배출구 측으로 배출하여 배출관으로 공급돤 차나 물을 수용케 하는 컵공급부와, 자판기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자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그 사용자는 동전 투입구에 동전을 투입한 다음 음료가 컵 내부에 충전되는 상황을 허리를 구부리거나 쪼그리고 앉아서 일일이 확인한 다음 음료배출이 마무리된 컵을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의 토출이 마무리 되지 않은 상태에서 컵을 꺼내게 될 경우 뜨거운 음료가 손에 닿게 되거나 옷에 묻어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판기에 광고를 할 경우, 별도의 광고지를 부착하거나 자판기 자체에 광고프린팅을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바, 자판기를 광고의 목적으로 사용해 부가적 수입을 창출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이 투입된 이후부터 컵 배출구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컵 내부에 음료가 충전되는 상황을 음료자판기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확인이 가능함에 따라, 음료 배출상황 확인을 위해 자세를 낮추고 컵 배출구 측을 응시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한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수단의 촬영을 하지 않을 시에는 광고영상이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광고효과발생 및 부수입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동전 투입구 측으로 동전을 투입한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컵 배출구 측에 구비된 컵으로 음료를 배출하는 음료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컵 배출구 내에 설치되어 음료공급 상황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음료자판기 외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동전 투입구 내에는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가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면 상기 촬영수단 이 촬영을 시작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촬영수단이 촬영을 하지 않을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는 미리 설정된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이 구비된 자판기에 따르면 첫째, 동전이 투입된 이후부터 컵 배출구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컵 내부에 음료가 충전되는 상황을 음료자판기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확인이 가능함에 따라, 음료 배출상황 확인을 위해 자세를 낮추고 컵 배출구 측을 응시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촬영수단의 촬영을 하지 않을 시에는 광고영상이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광고효과발생 및 부수입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a 내지 2d는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20)이 구비된 음료자판기(1)는 동전 투입구(12) 측으로 동전을 투입한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컵 배출구(16) 측 에 구비된 컵(14)으로 음료를 배출하는 음료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컵 배출구(16) 내에 설치되어 음료공급 상황을 촬영하는 촬영수단(20) 및 상기 음료자판기 외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2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촬영수단(20)은 촬영수단(20)이 구비된 음료자판기(1)의 전체적 외형을 형성하는 자판기 본체(10)의 컵 배출구(16) 내에 설치되어 음료가 충전되는 컵(14)의 내부를 촬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컵(14) 내부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컵 배출구(16) 내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촬영수단(20)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카메라의 일종인 것으로 하며, 자판기 본체(1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도시되지 않음)와 자판기 본체(10)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촬영수단(20)이 설치되는 자판기 본체(10)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수단(30)이 설치되는데, 이 디스플레이수단(30)은 전술한 촬영수단(2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수단(30)은 전술한 촬영수단(20)과 전선(도시되지 않음)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영상정보를 전송받는 것으로 하며,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성인 눈높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수단(30)은 촬영수단(2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시에는 별도로 준비된 광고영상 또는 광고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수단(30)이 설치된 자판기 본체(10)의 동전 투입구(12) 내측에는 동전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40)가 구비되는데, 이 센서(40)는 동전의 투입을 감지한 다음 이 신호를 전술한 촬영수단(20)에 전달하여 촬영을 시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지신호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촬영수단(20)에 전달하는 것으로 하며, 투입된 동전이 반환구를 통해 반환될 수도 있으므로, 센서(40)의 위치는 반환구 하측으로 위치되어 반환되지 않는 동전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센서(40)의 감지를 통해 촬영을 시작하게 되는 전술한 촬영수단(20)은 컵(14) 내에 음료의 충전이 마무리되는 15초 내지 20초가 경과된 후에 자동적으로 꺼지며, 이어서 광고영상 또는 광고이미지가 디스플레이수단(3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촬영수단(20) 내부에는 별도의 타이머(도시되지 않음) 모듈이 구비되어 촬영시작 후 15초 내지 20초가 경과된 후에는 촬영이 중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수단(30)은 촬영수단(20)으로부터 영상 전달이 중단될 경우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수단(30) 내에 저장된 광고영상 또는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20)이 구비된 음료자판기(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동전 투입구(12) 측에 동전을 투입한 다음 원하는 음료를 선택한다. 이때 투입된 동전을 인식한 센서(40)는 그 신호를 촬영수단(20)에 전달하고, 이를 통해 촬영수단(20)은 음료가 배출되는 컵(14) 내부를 촬영하게 된다.
촬영되는 영상은 자판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수단(3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음료의 배출이 마무리된 다음 컵 배출구(16) 측에서 컵(14)을 꺼낼 수 있어, 자세를 낮추어 육안으로 음료가 배출되는 상황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된다.
20초가 경과된 후에는 자동적으로 촬영수단(20)의 촬영이 중단되고, 디스플레이수단(30)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의 사시도.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10 : 자판기 본체
12 : 동전 투입구
14 : 컵
16 : 컵 배출구
20 : 촬영수단
30 : 디스플레이수단
40 : 센서

Claims (3)

  1. 동전 투입구 측으로 동전을 투입한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컵 배출구 측에 구비된 컵으로 음료를 배출하는 음료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컵 배출구 내에 설치되어 음료공급 상황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음료자판기 외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전 투입구 내에는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가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면 상기 촬영수단이 촬영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이 촬영을 하지 않을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는 미리 설정된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KR1020090048673A 2009-06-02 2009-06-02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KR20100130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73A KR20100130026A (ko) 2009-06-02 2009-06-02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73A KR20100130026A (ko) 2009-06-02 2009-06-02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26A true KR20100130026A (ko) 2010-12-10

Family

ID=4350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673A KR20100130026A (ko) 2009-06-02 2009-06-02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00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6651A1 (es) * 2012-04-18 2013-10-24 Crambo Sa Máquina de venta con lcd translúcido incorporado
KR102558977B1 (ko) * 2023-05-11 2023-07-24 하나시스 주식회사 키오스크 연동형 담배 자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6651A1 (es) * 2012-04-18 2013-10-24 Crambo Sa Máquina de venta con lcd translúcido incorporado
KR102558977B1 (ko) * 2023-05-11 2023-07-24 하나시스 주식회사 키오스크 연동형 담배 자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4490T3 (es) Interfaz de usuario para máquinas de preparación de bebidas
ES2858469T3 (es) Máquina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con reconocimiento de cápsulas
ES2375852T3 (es) Módulo de producción de bebidas y método de funcionamiento de un módulo de producción de bebidas.
CN102639038B (zh) 包括读卡设置的饮料制备机
ITFI20080141A1 (it) "macchina per erogazione di bevande"
US20120240778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ambience emulation functionality
US20060117811A1 (en) Liquid detergent dispensing system for automatic washer
CA3011188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rranged to share capsule image and machine operation data
CN204765110U (zh) 计算机控制的咖啡机
CN105228943A (zh) 能确定容器的饮料容积的饮料制备机器和相应方法
ITTO20110621A1 (it) Distributore automatico di bevande in tazza a piu' punti di erogazione di bevande e con indicazione luminosa del punto di erogazione della bevanda selezionata
US8126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everage and container vending machine
JP6255535B2 (ja) 液体容積測定装置
KR20100130026A (ko) 촬영수단이 구비된 음료자판기
JP3133631U (ja) 試飲ディスペンサー
CN109832947B (zh) 一种具有识别功能的茶饮机及其操作方法、识别方法
KR20210061128A (ko) 캡슐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ES2378694T3 (es) Dispositivo detector, particular para máquinas expendedoras de bebidas, y máquina expendedora de bebidas provista con un dispositivo detector
CN113453597A (zh) 咖啡机
CN108135386A (zh) 用于饮料制备机器的胶囊保持器、包括所述胶囊保持器的饮料制备机器
KR200302649Y1 (ko) 게임 및 원격광고용 자동 판매기
CN215424157U (zh) 一种水箱的水留存量显示系统及咖啡机
JP3123584U (ja) 飲料試飲装置
KR102224062B1 (ko) 캡슐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CN210727530U (zh) 一种循环式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