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041A -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041A
KR20100129041A KR1020090047787A KR20090047787A KR20100129041A KR 20100129041 A KR20100129041 A KR 20100129041A KR 1020090047787 A KR1020090047787 A KR 1020090047787A KR 20090047787 A KR20090047787 A KR 20090047787A KR 20100129041 A KR20100129041 A KR 20100129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touch
input
points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용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9041A/ko
Publication of KR2010012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판넬의 두 지점에 멀티터치입력이 있을 때에도 두 지점의 터치입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는, 터치판넬의 선택된 지점에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선택된 지점의 평면 좌표값에 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센서부; 상기 터치판넬에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 상기 터치판넬에 구비된 복수의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구하고,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과 상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판넬, 멀티터치입력인식, 저항막, 평면 좌표값, 멀티터치입력

Description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ulti touch input cognition of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판넬의 두 지점에 멀티터치입력이 있을 때에도 두 지점의 터치입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치판넬은 각종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간에 대화를 하는 여러 방식 중의 하나로서,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과 같은 부가적인 주변기기 없이 사용자의 손이나 펜으로 화면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기기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크게 정전방식, 저항막방식, 초음파방식, 전계방식, 적외선방식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터치판넬(이하, '터치판넬'이라 한다.)의 작동원리에 따라 스크린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를 통해 위치를 좌표로 알아내는 감압식 터치판넬, 및 스크린 표면에 전하(전류의 흐름)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를 두어 접촉시 전하의 상실된 정보를 감지하여 접촉점을 알아내는 정전식 터치판넬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판넬은 특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서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기능버튼에 의해 외형 사이즈가 커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터치판넬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판넬 내부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TO(전극, 10)로 코팅된 유리판(30) 및 필름막(20)에는 일정한 전압이 걸린다. 이때, 터치판넬의 표면에 손 또는 펜으로 힘을 가하여 접촉하면 표면의 필름(20)이 내부로 눌리면서 ITO(10)로 코팅된 유리판(30)에 닿게 된다. 이때, 접촉이 일어난 지점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고, 필름막(20) 및 유리판(30)에 연결된 전극을 통해 전압을 계산하여 접촉이 일어난 지점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치판넬에서는 제1 터치입력이 있는 후의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 터치입력이 있는 두 지점의 중간지점의 평면 좌표값을 표시하게 되어 하나의 터치입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터치판넬에서 제1 터치입력이 있는 후의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에도 실제로 터치입력이 있는 두 지점의 평면 좌표값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터치판넬의 선택된 지점에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선택된 지점의 평면 좌표값에 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센서부; 상기 터치판넬에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 상기 터치판넬에 구비된 복수의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구하고,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과 상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입력이 있은 후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제2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저항막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저항막의 저항값에 따라 변동하는 상기 내부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체크하여 상기 저항막의 변동된 저항값을 연산하고, 상기 변동된 저항값으로부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에 상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의 반을 각각 횡축과 종축으로 가감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터치판넬의 선택된 지점에 제1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터치판넬의 다른 선택된 지점에 제2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 상기 터치판넬에 구비된 복수의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과 상기 두 지점의 횡축 과 종축상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입력이 있은 후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구하는 단계는,상기 저항막의 저항값에 따라 변동하는 내부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체크하여 상기 저항막의 변동된 저항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변동된 저항값으로부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 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에 상기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의 반을 각각 횡축과 종축상에서 가감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판넬에서 제1 터치입력이 있는 후의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에도 실제로 터치입력이 있는 두 지점의 평면 좌표값을 표시함으로써, 하나의 터치입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오류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는 통신부(100), 터치판넬(200), 터치 센서부(300), 제어 부(400), 연산부(500), 표시부(600), 음성신호 처리부(700), 메모리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송신을 위한 무선신호를 공중으로 방사하며, 안테나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신호를 처리한다.
음성신호 처리부(700)는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와 연결되어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스피커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의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는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에 대해 변환/복조를 수행한다.
표시부(600)는 제어부(400)의 동작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터치판넬(200)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터치판넬(200)은 복수의 저항막을 구비하고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제어 및 통화 등의 동작수행을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터치판넬(200)의 선택된 지점의 평면 좌표값에 관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터치 센서부(300)와 연결되어 있다.
터치 센서부(300)는 터치판넬(200)의 선택된 지점에 터치입력이 있을 때, 선택된 지점의 평면 좌표값에 관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메모리부(8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의 데이터,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 및 무선 인터넷/유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어플 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롬(ROM;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동작과정에서 액세스되거나 터치판넬(200)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램(RAM; Read Access Memor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판넬(200)의 접촉이 다수 회 감지되면 메모리부(800)는 터치 센서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좌표값을 저장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좌표값을 제어부(400) 또는 연산부(500)로 전송한다.
제어부(4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판넬(200)을 통해 사용자가 손 또는 펜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선택여부에 따라 메뉴정보를 표시하거나,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여 해당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판넬(200)로부터 순차로 수신되는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있을 때,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멀티터치입력인 경우에 이때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을 연산부(500)로 전송한다.
제어부(400)가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데, 일 예로는 제1 터치입력이 있은 후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2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터치판넬(200)에 가압이 생기면 액티브 신 호(active signal)가 발생하고, 가압이 해제되면 릴리즈 신호(release signal)가 발생하는데, 제1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제2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할 때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이 아닐 경우에는 각각의 입력이 발생한 지점의 평면 좌표값을 각각 나타내는데, 이와는 달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경우에는 하나의 평면 좌표값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신호는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발생한 지점의 중간지점의 평면 좌표값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한다.
연산부(500)는 저항막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저항을 구비하는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 저항막의 저항값에 따라 변동하는 내부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체크하여 저항막의 변동된 저항값을 연산하고, 변동된 저항값으로부터 터치판넬(200)에 구비된 복수의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한다.
또한, 연산부(500)는 선택된 지점의 평면 좌표값과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데,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과 복수의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의 반을 각각 횡축과 종축으로 가감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터치입력이 있는 경우에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연산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의 X+ 입력단자는 터치판넬(200)의 하나의 저항막을 통하여 제어부(400)의 X-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400)의 Y+ 입력단자는 터치판넬(200)의 다른 하나의 저항막을 통하여 제어부(400)의 Y-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판넬(200)은 복수의 저항막을 구비하고 있는데, 터치판넬(200)의 선택된 지점에 터치입력이 있을 때, 터치 센서부(300)는 선택된 지점의 평면 좌표값에 관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3에서는 저항막을 간단히 나타내었으나 실제로는 평면상에서 저항이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다.
연산부(500)의 X- 단자는 제어부(400)의 X-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연산부(500)의 Y- 단자는 제어부(400)의 Y-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산부(500)의 Xon 단자 및 Yon 단자는 제어부(400)의 X 단자 및 Y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경우에는, 제어부(400)의 X 단자 및 Y 단자로부터 연산부(500)의 Xon 단자 및 Yon 단자에 전류가 흘러 연산부(500)가 동작한다. 이때, 연산부(500)는 A점과 B점의 전압을 체크한다.
X+ 입력단자와 X-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저항막의 저항값과 연산부(500)의 내부저항(Xon 단자와 X- 단자에 연결되어 있음)이 같다고 가정하자. 이때, X+ 입력 단자의 전압이 5V이고, X- 입력단자가 접지전압을 가질 때,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이 아닐 경우에는, A점의 전압은 2.5V이다. 그러나,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이라면, A점의 전압은 2.5V보다 작아지게 된다. 제1 터치입력된 지점과 제2 터치입력된 지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A점의 전압은 더욱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저항값 변동과 연관이 있는 내부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체크하여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B점의 전압에 대해서도 A점의 전압을 구하는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500)는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X 단자를 통하여 Xon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 Y 단자를 통하여 Yon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X, Y)에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의 반을 각각 횡축과 종축으로 가감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다. 즉, X좌표에 두 지점의 횡축상의 거리의 반을 더한 지점의 X좌표와, Y좌표에 두 지점의 횡축상의 거리의 반을 더한 지점의 Y좌표를 구하여 하나의 X, Y 좌표값을 구하고, X좌표에 두 지점의 횡축상의 거리의 반을 뺀 지점의 X좌표와, Y좌표에 두 지점의 횡축상의 거리의 반을 뺀 지점의 Y좌표를 구하여 또 하나의 X, Y 좌표값을 구한다. 이렇게 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도 2와 함께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복수의 저항막이 구비되어 있는 터치판넬(200)의 선택된 지점에 손 또는 펜에 의한 가압으로 제1 터치입력이 발생한다(S10O). 이때, 제1 터치입력이 발생한 선택된 지점의 평면 좌표값이 제어부(400)로 전송된다.
이후, 터치판넬(200)의 다른 선택된 지점에 손 또는 펜에 의한 가압으로 제2 터치입력이 발생한다(S200). 이때, 제2 터치입력이 발생한 다른 선택된 지점의 평면 좌표값이 제어부(400)로 전송된다.
이후, 제어부(400)가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0). 제어부(400)가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예로는 제1 터치입력이 있은 후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2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터치판넬(200)에 가압이 생기면 액티브 신호가 발생하고, 가압이 해제되면 릴리즈 신호가 발생하는데, 제1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제2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할 때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이 아닐 경우에는 각각의 입력이 발생한 지점의 평면 좌표값을 각각 나타내는데, 이와는 달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경우에는 하나의 평면 좌표값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신호는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발생한 지점의 중간지점의 평면 좌표값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한다.
이후,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 연산부(500)가 터치판넬(200)에 구비된 복수의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한다(S400). 구체적으로는, 저항막의 저항값에 따라 변동하는 내부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체크하여 저항막의 변동된 저항값을 연산한 후, 변동된 저항값으로부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한다. 그러나,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이 아닐 때에는, 제어부(400)로 전송된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발생한 지점의 평면 좌표값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후, 연산부(500)가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과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한다(S500). 구체적으로는,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에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의 반을 각각 횡축과 종축상에서 가감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한다.
이후, 표시부(600)는 실제로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표시한다(S600). 이때,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으로 인식된 평면 좌표값을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과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구하는 예를 나타낸 좌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좌표계에서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이 B(5, 3)이고, 터치입력이 있는 터치판넬상의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가 각각 6, 6이라면 그 거리의 반인 3, 3을 각각 횡축과 종축으로 가감하여 A(2, 0)과 C(8, 6)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즉, 좌표값 (5, 3)에서 좌표값 (3, 3)을 감하여 좌표값 (2, 0)을 구할 수 있고, 좌표값 (5, 3)에서 좌표값 (3, 3)을 더하여 좌표값 (8, 6)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패털 내부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터치입력이 있는 경우에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연산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과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구하는 예를 나타낸 좌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신부 200 : 터치판넬
300 : 터치 센서부 400 : 제어부
500 : 연산부 600 : 표시부
700 : 음성신호 처리부 800 : 메모리부

Claims (10)

  1. 터치판넬의 선택된 지점에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선택된 지점의 평면 좌표값에 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센서부;
    상기 터치판넬에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 상기 터치판넬에 구비된 복수의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구하고,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과 상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입력이 있은 후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제2 터치입력 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저항막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저항막의 저항값에 따라 변동하는 상기 내부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체크하여 상기 저항막의 변동된 저항값을 연산하고, 상기 변동된 저항값으로부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에 상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의 반을 각각 횡축과 종축으로 가감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6. 터치판넬의 선택된 지점에 제1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터치판넬의 다른 선택된 지점에 제2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일 때, 상기 터치판넬에 구비된 복수의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과 상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입력이 있은 후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터치입력이 있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이 멀티터치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입력의 액티브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을 멀티터치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구하는 단계는,
    상기 저항막의 저항값에 따라 변동하는 내부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체크하여 상기 저항막의 변동된 저항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변동된 저항값으로부터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나타내는 평면 좌표값에 상기 저항막이 닿는 두 지점의 횡축과 종축상의 거리의 반을 각각 횡축과 종축상에서 가감하여 제1 터치입력 및 제2 터치입력된 지점의 좌표값을 각각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방법.
KR1020090047787A 2009-05-29 2009-05-29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00129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787A KR20100129041A (ko) 2009-05-29 2009-05-29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787A KR20100129041A (ko) 2009-05-29 2009-05-29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041A true KR20100129041A (ko) 2010-12-08

Family

ID=4350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787A KR20100129041A (ko) 2009-05-29 2009-05-29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90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9363A2 (ko) *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애트랩 터치 센서 제어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9363A2 (ko) *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애트랩 터치 센서 제어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12099363A3 (ko) * 2011-01-18 2012-10-18 주식회사 애트랩 터치 센서 제어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994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958215B2 (ja) 情報端末装置、タッチ座標決定方法及びタッチ座標決定プログラム
US2011029195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4764918B2 (ja) 電子デバイスおよびタッ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
EP2390766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1027338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001771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019352A (ko) 전자장치에서 그립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32030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00134153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
EP238545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375307A1 (en) Handheld device with localized thresholds for tactile feedback
US2014019805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sensitive display and gesture-detection
US2014014596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input display system using head-tracking to reduce visible offset for user input
JP5759659B2 (ja) タッチパネルに対する押下圧力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携帯式端末装置
US2013019418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acilitating input at a second electronic device
KR100894966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US201201696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321151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EP2320308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7111387B (zh) 确定方位角或姿态的方法、触控输入装置、触控屏及系统
KR20100129041A (ko) 터치판넬의 멀티터치입력인식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93109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election option
KR100867096B1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이동 방법 및그 이동 단말기
JP2013164710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