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022A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022A
KR20100129022A KR1020090047753A KR20090047753A KR20100129022A KR 20100129022 A KR20100129022 A KR 20100129022A KR 1020090047753 A KR1020090047753 A KR 1020090047753A KR 20090047753 A KR20090047753 A KR 20090047753A KR 20100129022 A KR20100129022 A KR 2010012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net
cooking
lid
rain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훈
Original Assignee
송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훈 filed Critical 송민훈
Priority to KR1020090047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9022A/ko
Publication of KR2010012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물 우림과 음식물 조리가 모두 가능하며, 국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뚜껑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림망을 포함하고, 뚜껑의 손잡이에는 재료 및 양념을 투입하기 위한 주입공이 형성되며, 주입공의 개폐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한편, 우림망이 외측 우림망과 내측 우림망으로 구성되되, 외측 우림망과 내측 우림망 중 어느 하나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우림망, 투입공, 조절판

Description

조리용기{COOKWARE}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국물 우림과 음식물 조리가 모두 가능하며, 국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식(韓食)은 양식, 일식, 중식에 비하여 국물을 이용한 요리가 발달되어 왔다. 이러한 국물은 요리의 종류에 따라 맹물, 쌀뜨물을 사용하거나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멸치, 가다랑어 등을 우린 육수를 사용한다.
그런데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의 경우는 그렇지 않지만, 멸치나 가다랑어 포를 이용하여 육수를 만들 경우 우려내고 난 육수 재료(멸치나 가다랑어 포)를 다시 건져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근래에는 섬유로 제작된 우림망을 사용하였으나, 섬유질의 경우 뜨거운 물에 조직이 쉽게 풀어질 우려가 있으며 내구성이 약하여 반복적인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 금속망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그물코가 형성된 몸체의 일측에 고정수단이 마련된 금속 우림망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4403호에는 육수를 만들기 위한 금속 우림망이 게재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각각이 반구형의 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망의 상단 테두리에 외향으로 돌출된 보강대가 갖추어진 한 쌍의 조리부와, 상기 조리부들 중 어느 하나의 보강대에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조리부들이 맞대어져 밀착된 보강대들을 고정 혹은 분리시키는 잠금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금속 우림망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우림망를 건져내기가 쉽지 않다. 또한, 우림망을 빼낼 경우 재료가 머금고 있던 육수가 흘러 그 처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림망이 마련되어 국물 우림과 음식물 조리가 모두 가능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시 국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는 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뚜껑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림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우림망은 상기 뚜껑의 손잡이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재료 및 양념을 투입하기 위한 주입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상단 둘레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공의 개폐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이 상기 슬롯을 통해 삽입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림망은 외측 우림망과 내측 우림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우림망과 내측 우림망 중 어느 하나는 그물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는 뚜껑의 내측에 우림망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별도의 조리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국물 우림과 음식물 조리를 할 수 있으며, 우림망을 빼낼 경우 재료가 머금고 있던 육수가 흐를 우려가 없으므로 조리 후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뚜껑의 손잡이에 주입공과 조절판이 구비되어 뚜껑을 열지 않고 각종 재료 및 양념 등을 투입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시 국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림망의 그물코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다랑어 포나 멸치에서부터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육수 재료를 이용하여 국물을 우릴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 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뚜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1)는, 음식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20)으로 구성된다.
본체(10)와 뚜껑(20)에는 모두 손잡이(12,30)가 설치되는데, 본체(10)의 손잡이(12)는 조리용기(1)를 이동하기 위한 것이며, 뚜껑(20)의 손잡이(30)는 뚜껑(20)을 개폐하기 위한 용도이다.
이 중에서 뚜껑(20)의 내측, 좀 더 상세하게는 손잡이(30)의 하단에는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별도의 조리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국물 우림과 음식물 조리를 할 수 있도록 우림망(50)이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용기(1)의 일례로 냄비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뚜껑(20)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즉, 주전자 등)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조절판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도 3을 참조하여 뚜껑(20)의 손잡이(3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30)는 뚜껑(2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뚜껑(20)의 상면으로 돌출된 부분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높이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러한 형상의 손잡이(30) 중앙에는 주입공(32)이 형성되고, 손잡이(30)의 상단 둘레에는 슬롯(34)이 형성되며, 슬롯(34)을 통해 삽입 가능하도록 조절판(40)이 힌지 결합된다.
주입공(32)은 음식물 조리 시 증기를 배출하여 국물의 넘침을 방지함과 동시에 뚜껑(20)을 열지 않고도 재료 및 양념을 투입하기 위한 부분이며, 뚜껑(20)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슬롯(34)에 삽입되는 조절판(40)은 주입공(32)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증기의 배출량을 조절함으로써 음식물이 균일하게 조리됨은 물론 산화현상을 최소화하여 맛이 좋아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40)의 둘레에는 돌기(4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돌기(42)를 이용할 경우 조절판(40)을 좀 더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기의 배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30)에 형성되어 국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재료 및 양념을 투입하기 위한 주입공(32)을 개폐하기 위한 조절판(40)은 상술한 힌지 구조가 아닌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뚜껑(2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30)의 중앙에는 주입공(32)이 형성되며, 주입공(32)의 내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안내홈(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안내홈(33)에 조절판(40)의 양측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조절판(40)의 일단에는 조절판(40)의 개폐조작을 좀 더 용이하도록 하여 증기의 배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뭉치(44)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조절판(40)의 타단(즉, 핸들뭉치(44)가 형성되지 않은 일단) 양측에는 안내홈(33) 측으로 스토퍼가 돌출되어, 조절판(40)이 손잡이(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절판(40)의 결합구조, 즉 힌지 구조 및 슬라이드 구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조절판(40)을 이용하여 주입공(32)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 중 우림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도 1의 1)는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별도의 조리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국물 우림과 음식물 조리를 할 수 있도록 손잡이(30)의 하단에 우림망(50)이 결합된다.
이때, 우림망(50)은 국물을 우리기 위한 재료(육수 재료)를 넣거나 뺄 수 있도록 손잡이(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의 하단에 확장 가능한 걸고리(36)를 설치하고, 걸고리(36)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돌기(52)를 우림망(50)의 상단을 따라 형성할 경우, 걸고리(36)의 형상탄성(形狀彈性)에 의해 우림망(50)의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안내홈(38)을 형성하고, 우림망(50)의 상단에 잠금돌기(54)를 형성할 경우, 잠금돌기(54)가 안내홈(38)을 따라 이동하여 잠금 가능하므로 우림망(50)의 탈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뚜껑(20)의 손잡이(30)에 우림망(50)을 결합할 경우 별도의 조리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국물 우림과 음식물 조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우림망(50)을 빼낼 때 재료가 머금고 있던 육수가 뚜껑(20)에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로 흐를 우려가 없으므로 조리 후 처리가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 중 우림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우림망(50)은 그물코의 크기가 동일한 외측 우림망(50a)과 내측 우림망(50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내측 우림망(50b)은 외측 우림망(50a)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내측 우림망(50b)을 회전시킬 경우 그물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가다랑어 포나 멸치와 같이 크기가 작거나 조리 시 부스러지기 쉬운 재료의 경우 우림망(50)으로부터 빠져나와 음식물의 식감(식감)을 변질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그물코의 크기는 우림망(50)을 손잡이(30)에 결합하기 전 내측 우림망(50b)을 회전시켜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손잡이(30)를 뚜껑(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외측 우림망(50a)과 내측 우림망(50b) 중 어느 하나를 손잡이(30)에 고정 결합할 경우, 우림망(50)이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30)를 회전시켜 그물코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뚜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조절판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 중 조절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 중 우림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 중 우림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리용기 10: 본체
20: 뚜껑 30: 손잡이
32: 주입공 34: 슬롯
36: 걸고리 38: 안내홈
40: 조절판 42: 돌기
50: 우림망 50a: 외측 우림망
50b: 내측 우림망 52: 걸림돌기
54: 잠금돌기

Claims (8)

  1. 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림망은 상기 뚜껑의 손잡이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는 확장 가능한 걸고리가 결합되고, 상기 우림망의 상단에는 상기 걸고리에 걸려 고정 가능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하단 둘레를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우림망의 상단에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우림망은 외측 우림망과 내측 우림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뚜껑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측 우림망과 내측 우림망 중 어느 하나는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어 그물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재료 및 양념을 투입하기 위한 주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단 둘레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통해 삽입 가능한 조절판이 손잡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의 내측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조절판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KR1020090047753A 2009-05-29 2009-05-29 조리용기 KR20100129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753A KR20100129022A (ko) 2009-05-29 2009-05-29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753A KR20100129022A (ko) 2009-05-29 2009-05-29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022A true KR20100129022A (ko) 2010-12-08

Family

ID=4350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753A KR20100129022A (ko) 2009-05-29 2009-05-29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90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6488A (zh) * 2015-12-04 2016-02-03 南京诺崇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效聚热节能锅
CN105496182A (zh) * 2016-01-28 2016-04-20 广东万事泰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户外炊具
KR200490598Y1 (ko) * 2019-02-15 2019-12-04 이수현 거름망이 구비된 냄비뚜껑
CN113876209A (zh) * 2021-10-12 2022-01-04 山东齐能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干湿分离功能的电热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6488A (zh) * 2015-12-04 2016-02-03 南京诺崇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效聚热节能锅
CN105496182A (zh) * 2016-01-28 2016-04-20 广东万事泰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户外炊具
KR200490598Y1 (ko) * 2019-02-15 2019-12-04 이수현 거름망이 구비된 냄비뚜껑
CN113876209A (zh) * 2021-10-12 2022-01-04 山东齐能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干湿分离功能的电热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54358A1 (en) Food cooking apparatus with drain spigot
KR20100129022A (ko) 조리용기
CN207253280U (zh) 手把装置及烹调器具
US20180092487A1 (en) Microwave mug cooker device
CN209153048U (zh) 一种卤锅
CN209219931U (zh) 多功能蒸笼及具有蒸笼的蒸汽烹饪装置
CN203885330U (zh) 一种电饭锅内置蒸笼
KR200416297Y1 (ko) 직화식 조리용기
CN209235750U (zh) 蒸汽烹饪装置
CN202698935U (zh) 一种漏勺
CN207898325U (zh) 一种软体锅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CN205433466U (zh) 一种漏勺
KR20160004610A (ko)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KR101146362B1 (ko) 조리용기
KR101591246B1 (ko) 수증기 조절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뚜껑
CN220256305U (zh) 一种防溅油烫伤的锅盖
JP3233309U (ja) 即席乾燥食品用湯戻し容器。
CN207071038U (zh) 液体加热容器
CN201388886Y (zh) 一种新型的不锈钢甑子桶
KR200318988Y1 (ko) 찜기 겸용 주전자
CN207970015U (zh) 一种双面烤盘
KR20140063992A (ko)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CN213488425U (zh) 一种加水便捷的蒸汽式空气炸锅
KR200455726Y1 (ko)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