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355A - 데이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355A
KR20100128355A KR1020107026306A KR20107026306A KR20100128355A KR 20100128355 A KR20100128355 A KR 20100128355A KR 1020107026306 A KR1020107026306 A KR 1020107026306A KR 20107026306 A KR20107026306 A KR 20107026306A KR 20100128355 A KR20100128355 A KR 20100128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ncrypted
cut
plain text
algorith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또시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엔크립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엔크립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엔크립트
Publication of KR2010012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1Revocation or update of secret information, e.g. encryption key update or re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08Randomization, e.g. dummy operations or us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의 암호화의 기술을, 제3자에 의한 통신의 해독의 가능성을 보다 작게 하도록 개량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고, 그것을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한 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돌리도록 되어 있다. 암호화는,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생성한 평문 절단 데이터를 단위로서 행하는데, 그때에,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에 변화를 줌과 함께, 평문 절단 데이터 중 가장 비트수가 큰 것 이외의 평문 절단 데이터에, 가장 비트수가 큰 것에 그 비트수를 맞추는 크기의 더미 데이터를 혼입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DATA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 암호화 데이터로 하고 나서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이다.
정보에 관한 시큐러티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는 현재, 제3자에게 그 내용이 알려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데이터(이 명세서에서는, 이것을 「처리 대상 데이터」라고 부름)를 암호화해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는, 그 수요가 매우 커지고 있다. 처리 대상 데이터의 비닉을 위해서 다양한 암호화의 기술이 제안되어, 실용화되어 있지만, 암호의 해독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일반적으로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 및 소정의 기록 매체에의 기록은,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하고, 그 절단한 데이터의 각각을 암호화한 것을 일괄한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8비트, 16비트 등의 결정된 단위로 암호화 또는 복호화의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위가 외부에 알려진 경우에는, 암호화를 위해서 이용되는 알고리즘이나 키가 해독되고, 나아가서는 통신의 내용이 해독되게 될 우려가 커진다.
또한, 기존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는, 8비트나 16비트 등의 규격화된 단위로 암호화 또는 복호화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규격된 단위와 동일한 단위로 암호화 또는 복호화를 행하고 있으면, 다른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도 암호화를 위해서 이용되는 알고리즘이나 키의 해독을 간단히 행하게 할 수 있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고 나서 상대측의 통신 장치에 보냄과 함께,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할 수 있는 2개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3자에 의한 통신의 해독의 가능성을 작게 하도록 개량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자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1 발명∼제5 발명을 제안한다.
제1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것이다.
제1 발명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절단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3자는, 암호화된 데이터가 어떤 단위로 암호화되어 있는지를 모르는 이상, 가령 암호화를 위해서 사용된 알고리즘 및 키를 알 수 있었다고 하여도, 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없다. 또한, 이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는, 평문 절단 데이터 및 암호화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할 수 있으므로, 암호의 해독을 행하려고 했을 때에,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의 단위인 8비트나 16비트와는 서로 다른 단위의 처리가 적어도 하나의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에서 필요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해석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의 암호화 통신은, 제3자에게 해독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전술한 제1 발명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알고리즘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었지만, 키를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서도,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그 예로서 들 수 있다.
전술한 제1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이하에 예시한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제1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이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알고리즘 또는 해를, 의사 난수인 해를 이용하여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알고리즘 또는 해의 해석이 곤란하여, 결과적으로 암호가 해독될 가능성이 보다 낮은 것으로 된다.
직근에서 설명한 상기 2개의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이하에 예시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 그것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 그것이다.
제1 발명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가장 많은 비트수의 것을 제외하는 것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모든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가장 비트수가 많은 것의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암호화 또는 복호화의 단위로 되는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가 모두 일치하므로, 암호화·복호화의 처리를 행하기 쉬워진다. 그 한편으로, 제3자에게는, 어느 데이터가 본래의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인지, 또한 어느 데이터가 더미 데이터인지를 모르기 때문에, 암호가 해독될 가능성은 낮은 그대로이다.
제2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이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의 절단 수단은, 처리 대상 데이터를,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는데, 이 기준 비트수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데이터의 처리 단위와 동일한 8비트나 16비트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암호의 해독을 행하고자 했을 때에,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 단위인 8비트나 16비트와는 서로 다른 처리 단위에서의 처리가 적어도 하나의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에서 필요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컴퓨터에서의 해석을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또한, 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데이터 처리 장치는,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행하는 처리 단위로 암호화·복호화의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되므로, 그 하드웨어 구성을, 종래의 것과 다르게 하지 않아도 된다. 그 한편으로, 제3자에게는 어느 데이터가 본래의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인지, 또한 어느 데이터가 더미 데이터인지를 모르기 때문에, 암호가 해독될 가능성은 낮은 그대로이다.
전술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알고리즘을 변화시키는 것이었지만, 키를 변화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그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제2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의 효과를, 이하에 예시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고,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키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고,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 그것이다.
제2 발명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이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알고리즘 또는 해를, 의사 난수인 해를 이용하여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알고리즘 또는 해의 해석이 곤란하여, 결과적으로 암호가 해독될 가능성이 보다 낮은 것으로 된다.
직근에서 설명한 2개의 제2 발명의 효과는, 예를 들면 이하의 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알고리즘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 그것에 해당한다.
또한,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키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 그것에 해당한다.
제2 발명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의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게 절단하는 것이라면, 처리 대상 데이터를, 일정한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서로 다른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전자 쪽이 처리가 간단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암호가 해독될 가능성이 보다 낮아진다.
상기 절단 수단이,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일정한 비트수로 절단하는 경우,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더미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특정한 위치에 포함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더미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마다 서로 다른 소정의 위치에 포함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전자 쪽이 처리가 간단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암호가 해독될 가능성이 보다 낮아진다.
제2 발명에서의 상기 해 생성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 또는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가 행해질 때마다 상기 해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암호화, 또는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의 복호화가 행해질 때마다 상기 해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발명이 해 생성 수단을 갖는 경우, 제2 발명에서의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상기 소정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되고, 제2 발명에서의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제3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제3 발명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제3 발명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의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사하지만, 제1 발명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달리,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또는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는, 제3 발명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가,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있는 것과 관계되어 있다.
제3 발명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의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키 생성 수단은 각각,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가 행해질 때마다, 알고리즘 또는 키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3 발명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호화를 행할 때에, 암호화를 행했을 때에 이용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 및 키를 생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3 발명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는, 과거에 생성한 알고리즘 또는 키와 동일한 알고리즘 또는 키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만 하고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정보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제3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제3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이들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앞에서 나타낸 2개의 데이터 처리 장치와 서로 다른 것은, 해 생성 수단이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 또는 제1 키 생성 수단, 제2 키 생성 수단의 각각에 대응해서 2개 존재하는 점이다. 이와 같이 하여도, 앞에서 나타낸 2개의 데이터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직근 2개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효과를, 예를 들면 이하의 2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 그것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제4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전술한 제4 발명이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 그것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이들 제4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2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사하다. 서로 다른 것은, 제4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가, 특정 정보 기록 수단을 갖지 않는 점이다. 제4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가 특정 정보 기록 수단을 갖지 않는 이유는, 제3 발명이 그것을 갖지 않는 이유와 동일하다.
제4 발명도, 제3 발명이 그랬었던 바와 같이, 2개의 해 생성 수단을 갖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직근 2개의 데이터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제4 발명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직근 2개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효과를, 예를 들면 이하의 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가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직근 2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해 생성 수단을 2개 구비하는 이하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직근 2개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효과를,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혹은,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또한, 제3 발명 및 제4 발명은 각각, 제1 발명, 제2 발명에서 설명한 다양한 베리에이션을 가질 수 있다.
제5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제5 발명은, 복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의 각각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동수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한 암호화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짐과 함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다.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1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2 장치를 갖는다.
또한,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모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다른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는 서로 다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상기 해 생성 수단으로부터 접수한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의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4 발명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생성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그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여기까지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응용한 것이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1 장치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2 장치와의 사이에서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무선, 혹은 유선으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접수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그것이 갖는 기록 매체에 암호화한 상태에서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1대다의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이점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암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암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다른 암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도 9에서 나타낸 S11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도 9에서 나타낸 S13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도 9에서 나타낸 S14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도 9에서 나타낸 S15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암호화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암호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호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암호화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공통하는 부분에서 공통되는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이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13)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 복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및 1개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를 포함하고 있다. 네트워크(13)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LAN(Local Area Network)이다.
복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는, 서로 암호화 통신을 행한다.
또한, 네트워크(13)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 사이에서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 2에 도시한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ROM(read only memory)(22), HDD(hard disk drive)(23), RAM(random access memory)(24), 입력 장치(25), 표시 장치(26), 암호화 장치(27), 통신 장치(28), 버스(29)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CPU(21), ROM(22), HDD(23), RAM(24), 입력 장치(25), 표시 장치(26), 암호화 장치(27), 통신 장치(28)는, 버스(29)를 통해서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ROM(22), 혹은 HDD(23)에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소정의 데이터(이것에는,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는 것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와 같이 되어 있음. 또한, 소정의 데이터에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가 포함됨)가 기록되어 있다. CPU(21)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ROM(22), 혹은 HDD(23)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RAM(24)은, CPU(21)에서 처리를 행할 때의 작업용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입력 장치(25)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커맨드나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된다. 표시 장치(2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커맨드나 입력된 데이터나, 후술하는 처리의 상황 등을 표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암호화 장치(27)는, 후술하는,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 및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하는 것이다.
통신 장치(28)는, 네트워크(13)를 통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와의 통신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통신 장치(28)는, 네트워크(13)를 통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28)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통신 장치(28)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통신 장치(28)는, 인터페이스부(281), 인증 데이터 생성부(282), 및 통신부(283)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부(281)는, 버스(29)와 통신 장치(28)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부(281)는, 버스(29)로부터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를 인증 데이터 생성부(282)에 보내고, 통신부(283)로부터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를 버스(29)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인증 데이터 생성부(282)는, 후술하는 암호화 데이터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의 송신이 행해지는 경우에, 송신되는 암호화 데이터의 예를 들면 헤더에, 인증 데이터를 부가하는 것이다. 인증 데이터는, 암호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특정을 하는 것이다. 인증 데이터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관리자 등에 의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마다 할당되어 있고, 예를 들면, ROM(22), 혹은 HDD(23)에 기록되어 있다. 인증 데이터 생성부(282)는, ROM(22), 혹은 HDD(23)로부터 읽어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에 부가된 인증 데이터에 의해, 그 암호화 데이터가 어느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로부터 보내진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인증 데이터 생성부(282)는, 인증 데이터를 부가한 암호화 데이터를 통신부(283)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통신부(283)는,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암호화 장치(27)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암호화 장치(27)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암호화 장치(27)는, 인터페이스부(271), 전처리부(272), 암호화·복호화부(273), 해 생성부(274), 알고리즘 생성부(275), 키 생성부(276), 및 접속부(277)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부(271)는, 버스(29)와 통신 장치(28)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부(271)는, 버스(29)를 통해서, HDD(23)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또한, 버스(29)를 통해서 통신부(28)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하도록 되어 있고,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전처리부(272)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71)는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해 생성부(274)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27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277)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하도록 되어 있고,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버스(29)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전처리부(272)는, 인터페이스부(271)를 통해서 버스(29)로부터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하여,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복호화부(273)에 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어떻게 절단하는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전처리부(272)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데이터인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암호화·복호화부(273)는,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전처리부(272)로부터 수취하고,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그것을 암호화하고,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그것을 복호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의 암호화·복호화부(273)는, 암호화 및 복호화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 단위인 기준 비트수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기준 비트수는, 이것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8비트로 되어 있다. 암호화 및 복호화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해 생성부(274)는, 해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해 생성부(274)가 생성하는 해는, 후술하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해 생성부(274A)가 생성하는 해와, 동일한 순번으로 생성된 해가 동일한 것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해는, 의사 난수이다. 생성된 해는, 전처리부(272)와, 알고리즘 생성부(275)와, 키 생성부(276)에 보내어진다.
알고리즘 생성부(275)는, 해 생성부(274)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알고리즘은, 암호화·복호화부(273)에서, 암호화 처리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키 생성부(276)는, 해 생성부(274)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키를 생성하는 것이다. 키는, 암호화·복호화부(273)에서, 암호화 처리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접속부(277)는, 암호화·복호화부(273)에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 생성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원래의 순서로 접속해서 일괄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처리 대상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271)에 보내어지고, 버스(29)를 통해서, 필요에 따라서, HDD(23), 혹은 CPU(21) 등에 보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277)는, 또한, 암호화·복호화부(273)에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일괄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암호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271)에 보내어지고, 거기로부터, 버스(29)를 통해서 통신 장치(28)의 통신부(283)에 보내어지고, 또한, 통신부(283)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 보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277)는, 암호화·복호화부(273)에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접속하는 기능을 갖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는 암호화된 순으로 순차적으로 상대측의 통신 장치에 보내어지게 된다. 접속부(277)가 그와 같은 것인 경우, 암호화 절단 데이터는 접속부(277)를 통하지 않고 통신부(283)에 직접 보내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하드웨어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그것과 동일하지만,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 1개이었던 암호화 장치(27)가 2종류로 되고, 암호화 장치(27) 대신에 암호화 장치(27A)와 암호화 장치(27B)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상위하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CPU(21), ROM(22), HDD(23), RAM(24), 입력 장치(25), 표시 장치(26), 버스(29)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그것들과 마찬가지의 것으로 되어 있다.
암호화 장치(27A), 암호화 장치(27B)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암호화 장치(27)와 마찬가지로,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와,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쌍방의 구성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암호화 장치(27A)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동수의 복수이며, 그 각각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중 어느 하나와 대응지어져 있다. 즉, 서로 대응지어진 암호화 장치(27A)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는, 상대방이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서로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암호화 장치(27A)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는, 상대방이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암호화 장치(27A)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암호화 장치(27A)는, 인터페이스부(271A), 전처리부(272A), 암호화·복호화부(273A), 해 생성부(274A), 알고리즘 생성부(275A), 키 생성부(276A), 및 접속부(277A)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부(271A)는, 버스(29)를 통해서, 암호화 장치(27B)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또한, 버스(29)를 통해서 통신부(28)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하도록 되어 있고,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전처리부(272A)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71A)는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해 생성부(274A)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271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277A)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하도록 되어 있고,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버스(29)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전처리부(272A)는, 인터페이스부(271A)를 통해서 버스(29)로부터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하여,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복호화부(273A)에 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처리부(272A)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데이터인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암호화·복호화부(273A)는,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전처리부(272A)로부터 수취하고,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그것을 암호화하고,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그것을 복호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의 암호화·복호화부(273A)는, 암호화 및 복호화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 단위인 기준 비트수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기준 비트수는, 이것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8비트로 되어 있다. 암호화 및 복호화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해 생성부(274A)는, 해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이 해 생성부(274A)가 생성하는 해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해 생성부(274)가 생성하는 해와, 동일한 순번으로 생성된 해가 동일한 것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생성된 해는, 전처리부(272A)와, 알고리즘 생성부(275A)와, 키 생성부(276A)에 보내어진다.
알고리즘 생성부(275A)는, 해 생성부(274A)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알고리즘은, 암호화·복호화부(273A)에서, 암호화 처리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알고리즘 생성부(275A)가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알고리즘 생성부(275)에서 동일한 순번으로 생성된 알고리즘과 동일한 것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키 생성부(276A)는, 해 생성부(274A)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키를 생성하는 것이다. 키는, 암호화·복호화부(273A)에서, 암호화 처리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키 생성부(276A)가 생성하는 키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키 생성부(276)에서 동일한 순번으로 생성된 키와 동일한 것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접속부(277A)의 기능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그것과 마찬가지이다. 접속부(277A)는, 암호화·복호화부(273A)가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 생성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일괄하여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처리 대상 데이터는, 버스(29)를 통해서 암호화 장치(27B)에 보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277A)는, 또한, 암호화·복호화부(273A)가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일괄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암호화 데이터는, 통신 장치(28)를 통해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 보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암호화 장치(27B)는, 1개뿐이다.
암호화 장치(27B)는,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가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 장치(27A)가 복호화함으로써 생성된 처리 대상 데이터를 다시 암호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암호화 장치(27B)는,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 내의 HDD(23)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암호화 장치(27B)는, 그 HDD(23)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암호화 장치(27B)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암호화 장치(27B)는, 인터페이스부(271B), 전처리부(272B), 암호화·복호화부(273B), 해 생성부(274B), 알고리즘 생성부(275B), 키 생성부(276B), 접속부(277B), 및 특정 정보 생성부(278B)로 구성된다.
암호화 장치(27B)의 인터페이스부(271B)는, 버스(29)를 통해서, 암호화 장치(27A)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또한, 버스(29)를 통해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 내의 HDD(23)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하도록 되어 있고,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전처리부(272B)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71B)는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해 생성부(274B)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인터페이스부(271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암호화 장치(27B) 내의 접속부(277B)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특정 정보 생성부(278B)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하도록 되어 있고,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버스(29)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전처리부(272B)는, 인터페이스부(271B)를 통해서 버스(29)로부터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하여,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암호화·복호화부(273B)에 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처리부(272B)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데이터인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전처리부(272B)로부터 수취하고,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그것을 암호화하고,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그것을 복호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의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암호화 및 복호화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 단위인 기준 비트수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기준 비트수는, 이것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8비트로 되어 있다. 암호화 및 복호화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또한, 이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복호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행한다.
해 생성부(274B)는, 해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이 해 생성부(274B)가 생성하는 해는, 의사 난수이다. 생성된 해는, 알고리즘 생성부(275B)와, 키 생성부(276B)에 보내어지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처리부(272B)에도 보내어진다.
알고리즘 생성부(275B)는, 해 생성부(274B)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알고리즘은, 암호화·복호화부(273B)에서, 암호화 처리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키 생성부(276B)는, 해 생성부(274B)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키를 생성하는 것이다. 키는, 암호화·복호화부(273B)에서, 암호화 처리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키 생성부(276B)가 생성하는 키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키 생성부(276)에서 동일한 순번으로 생성된 키와 동일한 것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접속부(277B)는, 암호화·복호화부(273B)가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 생성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처리 대상 데이터는 암호화 장치(27A)에 보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277B)는, 또한, 암호화·복호화부(273B)가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일괄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암호화 데이터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 내의 HDD(23)에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암호화 장치(27B)에는, 특정 정보 생성부(278B)가 포함되어 있다.
특정 정보 생성부(278B)는, 접속부(277B)가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에 특정 정보를 부가하는 것이다. 이 특정 정보는, 그 특정 정보가 부가되는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과 키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자체,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키 자체,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내지 키를 생성할 때에 이용한 해 자체, 혹은 그 해가 몇 번째에 생성된 해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알고리즘과 키의 쌍방이 변화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특정 정보는, 알고리즘과 키의 쌍방을 특정하거나, 또는,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하기 위해서 이용된 해, 혹은 그 해의 생성된 순번을 특정하는 것이어야만 하지만, 알고리즘과 해의 한쪽만 변화되는 경우에는, 특정 정보는, 알고리즘과 해가 변화되는 것만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정보 생성부(278B)는, 암호화 데이터에 특정 정보를 부가하도록 되어 있지만, 특정 정보는 암호화 데이터와는 별도의 장소에, 암호화 데이터와의 대응짓기를 행한 후에 보존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통신 장치(28)의 구성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통신 장치(28)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다. 인터페이스부(281), 통신부(283)의 기능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통신 장치(28)에서의 그것들과 다르지 않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통신 장치(28)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인증 데이터 생성부(282) 대신에 인증부(284)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통신 장치(28)와 서로 다르다.
인증부(284)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로부터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의 이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인증 데이터를 읽어내고, 그 암호화 데이터가 어느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로부터 온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암호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281)를 통해서, 그 송신원인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대응지어진 암호화 장치(27A)에 보내어진다.
다음으로,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흐름은 이하와 같다.
우선, 복수 있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중 1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암호화 장치(27)가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S110).
다음으로, 그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가 그 암호화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 보낸다(S120).
다음으로,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 내에 있는 복수의 암호화 장치(27A) 중, 그 암호화 데이터를 보내 온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대응지어진 것이, 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돌린다(S130).
다음으로, 복호화된 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 장치(27B)가 암호화해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 내의 HDD(23)에 기록한다(S140).
다음으로,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HDD(23) 내의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 장치(27B)가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돌린다(S150).
다음으로, 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 장치(27A)가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한다(S160).
다음으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보낸다(S170).
다음으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내의 암호화 장치(27)가 복호화하여, 원래의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돌린다(S180).
우선, 복수 있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중 1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암호화 장치(27)가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술한 S110의 과정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처리 대상 데이터의 읽어내기가 행해진다(S1101). 처리 대상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 송신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이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는 HDD(23)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외부 기록 매체 등의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 읽어 들여진 데이터를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25)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 보내라고 하는 내용의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 CPU(21)는, 처리 대상 데이터를 HDD(23)로부터 읽어내고, 예를 들면 RAM(24)에 일시적으로 기록시킨다. 이 처리 대상 데이터는, HDD(23)로부터 버스(29)를 거쳐서, 암호화 장치(27)에 보내어진다. 이 처리 대상 데이터는,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페이스부(271)를 통해서, 전처리부(272)에 보내어지게 된다.
전처리부(272)에서, 처리 대상 데이터는,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되어, 평문 절단 데이터로 된다(S1102). 전처리부(272)는, 필요에 따라서, 평문 절단 데이터에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킨다.
처리 대상 데이터로부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한 가지이어도 되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세 가지의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처리 대상 데이터로부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A) 처리 대상 데이터를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일정한 비트수로 절단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그 모두가 기준 비트수보다도 비트수가 짧게 되어 있는 평문 절단 데이터의 각각의 일정한 위치에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경우
B) 처리 대상 데이터를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의 일정한 비트수로 절단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그 모두가 기준 비트수보다도 비트수가 짧게 되어 있는 평문 절단 데이터의 각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경우
C) 처리 대상 데이터를 기준 비트수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기준 비트수보다도 비트수가 짧은 평문 절단 데이터의 각각에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경우
전술한 세 가지의 방법 중 어느 것으로, 처리 대상 데이터로부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할지는, 해 생성부(274)가 생성한 해에 의해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해 생성부(274)가 어떻게 해를 생성하는지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해 생성부(274)는, 인터페이스부(271)가 버스(29)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 그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71)로부터 접수한다.
이것을 계기로 하여 생성부(274)는, 해의 생성을 개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해 생성부(274)는, 처리 대상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271)에서 접수될 때마다, 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것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의 해는 8행 8열의 행렬(X)이다.
해 생성부(274)는, 반드시 그렇게 되어 있을 필요는 없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해를, 비선형 천이하는 등의 것으로 하여 연속하여 발생시킨다. 이 해는, 결과로서 의사 난수로 된다.
비선형 천이하도록 해를 연속해서 발생시키기 데에는, 예를 들면, (1) 해의 생성의 과정에, 과거의 해의 누승의 연산을 포함하거나, (2) 해의 생성의 과정에, 과거의 2개 이상의 해의 곱을 포함하거나, 혹은, (1)과 (2)를 조합하는 등의 방법이 생각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해 생성부(274)는, 초기 행렬로서, 제01 해(X01)와 제02 해(X02)를 미리 정해진 것으로 하여 가지고 있다(예를 들면, 제01 해와 제02 해는, HDD(23)나 ROM(22) 등의 소정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음). 각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가 갖는 초기 행렬은 각각 서로 다른 것으로 되어 있고, 그 때문에, 각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 발생되는 해는, 각각 서로 다른 것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복수의 암호화 장치(27A)의 각각은, 각 암호화 장치(27A)와 대응지어진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가 갖는 것과 동일한 초기 행렬을 가지고 있다.
해 생성부(274)는, 이 초기 행렬을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대입하고, 제1 해(X1)를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
제1 해(X1)=X02X01+α(α=8행 8열의 행렬)
이것이 최초로 생성되는 해이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부(271)가 버스(29)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 해 생성부(274)는, 제2 해(X2)를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
제2 해(X2)=X1X02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부(271)가 버스(29)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접수할 때마다, 해 생성부(274)는, 제3 해, 제4 해,……, 제N 해를,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
제3 해(X3)=X2X1
제4 해(X4)=X3X2
:
제N 해(XN)=XN -1XN -2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해는, 전처리부(272), 알고리즘 생성부(275), 및 키 생성부(276)에 보내어짐과 함께, 해 생성부(274)에서 유지되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N 해(XN)를 생성하기 위해서, 제N-1 해(XN -1)와 제N-2 해(XN -2)를, 즉, 그 직전에 생성된 2개의 해를 이용한다. 따라서, 해 생성부(274)는,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과거에 생성된 직근 2개의 해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한다(또는, 해 생성부(274)가 아닌 다른 무엇인가가 이들 2개의 해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함). 반대로 과거에 생성된 직근 2개의 해보다도 오래된 해는, 새로운 해를 생성하기 위해서 앞으로 사용될 경우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항상 과거 2개의 해를 해 생성부(274)에서 유지하는 것으로 하지만, 새로운 해가 생성됨으로써 직근 3개째의 해로 된 거기까지 직근 2개째의 해이었던 해를, 그 해가 기록되어 있던 소정의 메모리 등으로부터 소거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생성되는 해는, 비선형 천이하는 카오스적인 것으로 되고, 의사 난수로 된다.
비선형 천이를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는, 제N 해를 구할 때에, 전술한
제N 해(XN)=XN -1XN -2
라고 하는 식을 이용하는 외에, 이하와 같은 식을 이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a) 제N 해(XN)=(XN -1)P
(b) 제N 해(XN)=(XN -1)P(XN -2)Q(XN -3)R(XN -4)S
(c) 제N 해(XN)=(XN -1)P+(XN -2)Q
등이다.
또한, P, Q, R, S는 각각 소정의 상수이다. 또한, 수식 (a) 또는 (c)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2개, 수식 (b)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4개의 초기 행렬을, 해 생성부(274)는 가지고 있다.
또한, 전술한 α은 상수이었지만, 이것을, 특정의 변화되는 환경 정보로 할 수도 있다. 이 환경 정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차례로 자연 발생하는 정보로서 떨어진 장소에서도 공통되어 취득할 수 있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특정 지방의 날씨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정보, 특정한 시간에 방송되는 임의의 텔레비전국의 텔레비전 방송의 내용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정보, 특정한 스포츠의 결과에 의해 정해지는 정보 등이다.
이와 같은 환경 정보로부터, 전술한 α을 차례로 작성하여 공통 정보를 생성하기로 하면, 통신의 비닉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전술한, 수식 (a) 내지 (c)의 우변에, α(이것은 환경 정보로부터 생성된 것이어도 됨)를 더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즉, 전술한 해)를 접수한 전처리부(272)는, 그것에 따라서, 전술한 A), B), C) 중 어느 방법으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할지를 결정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해인 8행 8열의 행렬을 구성하는 숫자를 서로 더한 합을 3으로 나누고, 그 나머지가 0일 때에는 A)의 방법으로, 그 나머지가 1일 때에는 B)의 방법으로, 그 나머지가 2일 때에는 C)의 방법으로, 각각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A)의 방법으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전처리부(272)는, 인터페이스부(271)로부터 접수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일정한 비트수(이 실시 형태에서는, 7비트)로 절단함으로써,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해 간다. 또한, 전처리부(272)는, 평문 절단 데이터의 일정한 위치에, 더미 데이터를 매립해 간다. 또한, 더미 데이터를 매립하는 평문 절단 데이터에서의 위치는, 변화되어도 되고,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더미 데이터가 매립되는 위치는, 예를 들면, 평문 절단 데이터의 선두나 말미, 혹은 2비트째나 3비트째 등의 소정의 중간의 위치로 할 수 있다. 이 더미 데이터는,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무관계한 데이터이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항상 0이라고 하는 데이터를 매립해 가거나, 또는 1이라고 하는 데이터를 매립해 가거나 혹은 1과 0이라고 하는 데이터를 교대로 매립해 가는 등의 처리가 생각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술한 해에 기초하여, 어떤 더미 데이터를 매립해 갈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해인 8행 8열의 행렬을 구성하는 숫자를 서로 더한 합을 9로 나누고, 그 나머지가 0일 때에는 0, 0, 0, 0,…으로 0을 연속하고, 그 나머지가 1일 때에는, 0, 1, 0, 1,…로 1개 걸러서 1을 삽입하고, 그 나머지가 2일 때에는, 0, 0, 1, 0, 0, 1,…로 2개 걸러서 1을 삽입하고, 마찬가지로, 나머지가 3일 때에는 3개 걸러서, 나머지가 4의 때는 4개 걸러서,……, 나머지가 9일 때에는 9개 걸러서 1을 삽입하도록 하는 등의 것으로 할 수 있다.
 B)의 방법으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전처리부(272)는, 처리 대상 데이터를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의 일정한 비트수(예를 들면, 7비트)로 절단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그 모두가 기준 비트수보다도 비트수가 짧게 되어 있는 평문 절단 데이터의 각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킨다. 이 경우, 더미 데이터가 매립되는 위치는, 고정이어도 되고, 평문 절단 데이터의 각각에 대해서, 1비트째, 2비트째, 3비트째,…, 8비트째, 1비트째, 2비트째,…, 8비트째로 순서대로 이동해 가는, 규칙적으로 변화되는 것이어도, 혹은, 랜덤하게 변화되는 것이어도 된다. 더미 데이터가 매립되는 위치가 랜덤하게 변화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더미 데이터가 매립되는 위치가, 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해에 의해, 더미 데이터가 매립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해인 8행 8열의 행렬을 구성하는 숫자를 서로 더한 합을 8로 나누고, 그 나머지가 0일 때에는, 평문 절단 데이터 1개 걸러서, 선두와 말미에 교대로 더미 데이터를 매립하고, 나머지가 1일 때에는 선두에 더미 데이터가 매립된 평문 절단 데이터와, 말미에 더미 데이터가 매립된 평문 절단 데이터가 2개 걸러서 되도록 하고, 나머지가 2일 때에는 선두에 더미 데이터가 매립된 평문 절단 데이터와, 말미에 더미 데이터가 매립된 평문 절단 데이터가 3개 걸러서 되도록 하고,……, 나머지가 7일 때에는 선두에 더미 데이터가 매립된 평문 절단 데이터와, 말미에 더미 데이터가 매립된 평문 절단 데이터가 8개 걸러서 되도록 한다고 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선두와 말미와 같이, 더미 데이터를 매립하는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그 위치를 또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C)의 방법에 의해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처리 대상 데이터를 기준 비트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한다. 이 절단은, 처리 대상 데이터를, 8비트보다도 짧은 랜덤한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해인 8행 8열의 행렬을 구성하는 숫자를 서로 더한 합을 8로 나누고, 그 나머지가 0일 때에는 처리 대상 데이터의 그 시점에서의 선두 부분을 8비트로 절단하여, 그 나머지가 1일 때에는 처리 대상 데이터의 그 시점에서의 선두 부분을 1비트로 절단하여, 그 나머지가 2일 때에는 처리 대상 데이터의 그 시점에서의 선두 부분을 2비트로 절단하여, …, 그 나머지가 7일 때에는 처리 대상 데이터의 그 시점에서의 선두 부분을 7비트로 절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272)는, 이에 의해 생성된 평문 절단 데이터 중, 기준 비트수보다도 비트수가 짧은 평문 절단 데이터의 각각에, 더미 데이터를 매립한다. 이 경우의 더미 데이터의 매립 위치는 선두, 말미 등의 특정한 위치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해에 의해 특정되는 변화하는 소정의 위치이어도 된다.
어느 쪽이든,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평문 절단 데이터는, 생성된 순번으로, 암호화·복호화부(273)에 스트림적으로 보내어진다.
평문 절단 데이터의 생성과 병행하여, 알고리즘 생성부(275)가,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알고리즘 생성부(275)는, 알고리즘을,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알고리즘 생성부(275)는, 알고리즘을 이하와 같은 것으로 하여 생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알고리즘은, 『8비트의 데이터인 평문 절단 데이터를 1행 8열의 행렬 Y로 한 경우에, 해인 8행 8열의 행렬 X를 a승하고 나서, 시계 방향으로 n×90°만큼 회전시킨 행렬에, Y를 곱하여 구해지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여기에서, a는 소정의 상수로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해에 기초하여 변화되는 숫자이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의 알고리즘은, 해에 기초하여 변화된다. 예를 들면 a는, 8행 8열의 행렬인 해에 포함되어 있는 행렬의 요소인 수 모두를 서로 더하여 얻어지는 수를 5로 나눈 경우의 나머지(단, 나머지가 0인 경우에는 a=1로 함)와 같이 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n은, 키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의 수이다. 키가 일정한 수이면 n은 고정이지만,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키는 해에 기초하여 변화된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 n도 해에 기초하여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단, 알고리즘을 다른 것으로 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알고리즘 생성부(275)는, 해 생성부(274)로부터 해를 수취할 때마다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그것을 암호화·복호화부(273)에 보낸다.
평문 절단 데이터의 생성과 병행하여, 키 생성부(276)가,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되는 키를 생성한다.
키 생성부(276)는, 키를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키 생성부(276)는, 키를 이하와 같은 것으로 하여 생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키는, 8행 8열의 행렬인 해에 포함되어 있는 행렬의 요소인 수 모두를 서로 더하여 얻어지는 수로 된다. 따라서, 키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해에 기초하여 변화된다.
또한, 키를 다른 것으로 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키 생성부(276)는, 해 생성부(274)로부터 해를 수취할 때마다 키를 생성하고, 그것을 암호화·복호화부(273)에 보낸다.
암호화·복호화부(273)는, 알고리즘 생성부(275)로부터 접수한 알고리즘과, 키 생성부(276)로부터 접수한 키에 기초하여, 전처리부(272)로부터 접수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한다(S1103).
알고리즘은, 전술한 바와 같이, 『8비트의 데이터인 평문 절단 데이터를 1행 8열의 행렬 Y로 한 경우에, 해인 8행 8열의 행렬 X를 a승하고 나서, 시계 방향으로 n×90°만큼 회전시킨 행렬에, Y를 곱하여 구해지는 것』이라고 하는 규칙이며, 키인 n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수이다.
예를 들면, a가 3, n이 6인 경우에는, X를 3승하여 얻어지는 8행 8열의 행렬을, 6×90°=540°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진 8행 8열의 행렬에, 평문 절단 데이터를 곱하여 암호화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암호화 절단 데이터이다.
암호화 절단 데이터는, 접속부(277)에 보내어진다. 접속부(277)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일괄 접속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S1104). 이때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의 배열순은, 원래의 평문 절단 데이터의 배열순에 대응한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우선,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가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S110의 과정이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는, 버스(29)를 통해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내의 통신 장치(28)에 보내어진다. 암호화 데이터는, 통신 장치 내의 인터페이스(281)에서 수취되어 인증 데이터 생성부(282)에 보내어진다. 인증 데이터 생성부(282)는,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 데이터의 헤더에 부가한 후에, 암호화 데이터를 통신부(283)에 보낸다.
통신부(283)는, 그 암호화 데이터를 네트워크(13)를 통해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 보낸다. 이에 의해, 전술한 S120의 과정이 실행된다.
이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돌리는 S130의 과정이 실행된다.
이하, 이 복호화의 과정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 보내진 암호화 데이터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통신 장치(28)에서의 통신부(283)가 접수한다(S1201).
통신부(283)는, 이 암호화 데이터를 인증부(284)에 보낸다. 인증부(284)는, 그 암호화 데이터가 어느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로부터 온 것인지를, 그 암호화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정한다(S1202).
인증부(284)에 의해 이러한 판정이 된 후, 그 암호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281)에 보내어진다. 인터페이스부(281)는, 그 암호화 데이터를, 인증부(284)에서 그 암호화 데이터의 송신원이라고 판정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대응지어진 암호화 장치(27A)에 보낸다.
암호화 장치(27A) 내의 전처리부(272A)가, 인터페이스부(271A)를 통해서 이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한다.
전처리부(272A)는,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하여,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한다(S1203).
암호화 데이터를 절단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전처리부(272A)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접속부(277)에서 행해진 것과 반대의 처리를 행한다. 즉, 암호화 데이터는, 선두로부터 8비트마다 절단되어,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나누어진다.
다음으로, 암호화 절단 데이터는 암호화·복호화부(273A)에 보내어지고, 거기에서 복호화되어, 평문 절단 데이터로 된다(S1204).
복호화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암호화·복호화부(273)에서 행해진 것과 반대의 처리로서 실행된다. 그 때문에,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 암호화를 행할 때에 필요로 한 알고리즘과 키를 필요로 한다.
복호화에 이용되는 알고리즘과 키는, 암호화 장치(27A) 내에서 생성된다. 그 구조를 설명한다.
암호화 장치(27A)의 인터페이스부(271A)가 암호화 데이터를 접수하였다고 하는 정보는, 해 생성부(274A)에 보내어진다. 해 생성부(274A)는, 이 정보를 접수한 것을 계기로 하여, 이 정보를 접수할 때마다 해를 생성한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암호화 장치(27A) 내에 있는 해 생성부(274A)에서 행해지는 해의 생성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해 생성부(274)에서 행해진 것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행해진다. 또한, 이 해 생성부(274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해 생성부(274A)를 포함하는 암호화 장치(27A)와 대응지어진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해 생성부(274)가 가지고 있던 것과 마찬가지의 초기 행렬과, 해 생성용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암호화 장치(27A) 내에서 생성되는 해는, 생성된 순번이 동일한 것끼리를 비교하면,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암호화 장치(27) 내에서 생성되는 해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생성된 해는, 해 생성부(274A)로부터, 전처리부(272A)와, 알고리즘 생성부(275A)와, 키 생성부(276A)에 보내어진다.
알고리즘 생성부(275A)는,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해를 접수할 때마다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알고리즘 생성부(275A)가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과정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알고리즘 생성부(275)가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생성된 알고리즘은, 알고리즘 생성부(275A)로부터 암호화·복호화부(273A)에 보내어진다.
한편, 키 생성부(276A)는,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해를 접수할 때마다 키를 생성한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키 생성부(276A)가 키를 생성하는 과정은,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키 생성부(276)가 키를 생성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생성된 키는, 키 생성부(276A)로부터 암호화·복호화부(273A)에 보내어진다.
그런데,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 암호화가 행해질 때마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 새로운 해가 생성되고, 또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 복호화될 때마다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 새로운 해가 생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암호화 장치(27A)에서 생성되는 해는, 생성된 순번이 동일한 것끼리를 비교하면,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내의 암호화 장치(27)에서 생성되는 해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생성된 해와, 그 해에 기초하여 생성된 알고리즘 및 키는 모두, 그 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암호화 장치(27A)에서 생성되는 해와, 그 해에 기초하여 생성된 알고리즘 및 키에, 항상 일치하게 된다. 또한, 이 사정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 암호화가 행해지고,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 복호화가 행해지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암호화·복호화부(273A)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알고리즘 생성부(275A)로부터 접수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호화의 처리가 행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암호화·복호화부(273A)는, 알고리즘 생성부(275A)로부터 접수한 알고리즘(『8비트의 데이터인 평문 절단 데이터를 1행 8열의 행렬 Y로 한 경우에, 해인 8행 8열의 행렬 X를 a승하고 나서, 시계 방향으로 n×90°만큼 회전시킨 행렬에, Y를 곱하여 구해지는 것이 암호화 절단 데이터이다』 라고 하는 정의)에 기초하여, 복호화 처리를 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1행 8열의 행렬 Z로 본 경우에, 해인 8행 8열의 행렬 X를 a승하고 나서, 시계 방향으로 n×90°만큼 회전시킨 행렬의 역행열에, Y를 곱하여 구해지는 것이 평문 절단 데이터이다』 라고 하는 정의)을 생성하고, 키를 이용하여 전술한 정의에 따른 연산을 행함으로써, 복호화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암호화·복호화부(273A)에서는, 전처리부(272A)로부터 스트림적으로 공급되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차례로 복호화하여,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암호화·복호화부(273A)는, 필요에 따라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부터, 더미 데이터를 제거한다(S1205). 전술한 바와 같이, 해 생성부(274A)에서 생성된 해는 전처리부(272A)에 보내어지고 있다. 이 해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전처리부(272)에서 어떻게 하여 더미 데이터를 평문 절단 데이터에 매립한 것인지를 결정할 때에 사용된 것이다. 즉, 암호화 장치(27A)의 전처리부(272A)가 그 시점에서 가지고 있는 해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암호화·복호화부(273A)가 복호화를 끝낸(혹은 복호화를 행하고 있거나, 혹은 앞으로 복호화를 하려고 하고 있음) 암호화 절단 데이터(보다 정확하게는,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가 암호화되기 전의 평문 절단 데이터)에 어떻게 하여 더미 데이터를 매립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처리부(272A)는, 암호화·복호화부(273A)에서 복호화된 평문 절단 데이터의 어디에 더미 데이터가 매립되어 있는지라고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복호화부(273A)에 보낸다.
이것을 이용하여, 암호화·복호화부(273A)는, 더미 데이터를 평문 절단 데이터 중에서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평문 절단 데이터는, 접속부(277A)에 보내어진다. 접속부(277A)는, 수취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일괄 접속하여,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 암호화되기 전의 원래의 상태의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돌린다(S1206).
이와 같이 하여,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가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돌리는 S130의 과정이 종료한다.
생성된 처리 대상 데이터는, 접속부(277A)로부터 인터페이스부(271A)에 보내어지고, 버스(29)를 통해서 암호화 장치(27B)에 보내어진다.
여기에서, 암호화 장치(27B)는, 복호화된 그 처리 대상 데이터를 다시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전술한 S140의 처리를 행한다.
암호화 장치(27B)에서의 암호화의 처리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그것과 대략 마찬가지의 흐름으로 행해진다(도 12).
암호화 장치(27B)에 보내어진 처리 대상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271B)가 접수한다(S1301).
인터페이스부(271B)는, 이것을 전처리부(272B)에 보낸다.
전처리부(272B)는, 접수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하여,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한다(S1302). 이 경우에서의 처리 대상 데이터의 절단의 방법은, 암호화 장치(27) 및 암호화 장치(27A)와 동일할 필요는 없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암호화 장치(27) 및 암호화 장치(27A)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처리 대상 데이터의 절단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처리부(272B)는, 암호화 장치(27)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고, 평문 절단 데이터에 필요에 따라서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킨다.
다음으로, 평문 절단 데이터는 암호화·복호화부(273B)에 보내어지고, 거기에서 암호화되어,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된다(S1303).
여기에서, 암호화 장치(2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암호화에 이용되는 알고리즘과 키의 생성이 행해진다. 이것에 앞서 해의 생성이 행해지는 것도 암호화 장치(27)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해의 생성으로부터, 알고리즘 및 키의 생성까지의 흐름을 이하에 설명한다.
해 생성부(274B)는, 인터페이스부(271B)가 버스(29)로부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 그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71B)로부터 접수한다. 해 생성부(274B)는, 적당한 타이밍에서 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면 되는데, 이 실시 형태에서의 해 생성부(274B)는,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접수하였다고 하는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71B)로부터 접수한 경우에 그것을 계기로 해를 생성한다. 해의 생성의 상세 내용은, 암호화 장치(27)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생성된 해는, 알고리즘 생성부(275B)와 키 생성부(276B)에 보내어진다.
알고리즘 생성부(275B)와 키 생성부(276B)는, 암호화 장치(27)에서의 알고리즘 생성부(275)와 키 생성부(276)가 실행한 것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한다. 생성된 알고리즘과 키는, 알고리즘 생성부(275B) 또는 키 생성부(276B)로부터 암호화·복호화부(273B)에 보내어진다.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알고리즘 생성부(275B)로부터 알고리즘을, 키 생성부(276B)로부터 키를 각각 접수하고, 거기에 기초하여, 전처리부(272B)로부터 접수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암호화한다(S1303).
암호화의 상세 내용은, 암호화 장치(27)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생성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접속부(277B)에 보내어진다.
접속부(277B)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일괄하여 암호화 데이터로 한다(S1304). 이 암호화 데이터는, 특정 정보 생성부(278B)에 보내어진다.
특정 정보 생성부(278B)는,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의 예를 들면 헤더에,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정보를 부가한다(S1305).
특정 정보가 부가된 암호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271B)를 통해서 버스(29)에 보내어지고,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 내에 있는 HDD(23)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로부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 내의 HDD(23)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 회신하라고 하는 지시가 온 경우에,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암호화 장치(27B)가, HDD(23)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읽어내고, 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돌린다고 하는, 전술한 S150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의 상세 내용을,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암호화 장치(27B)에서의 인터페이스부(271B)가 HDD(23)로부터 버스(29)를 통해서 암호화 데이터를 읽어낸다(S1401).
인터페이스부(271B)는, 이 암호화 데이터를 전처리부(272B)에 보낸다. 전처리부(272B)는,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하여,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한다(S1402).
암호화 데이터를 절단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전처리부(272B)는, 복호화를 행할 때에 암호화 장치(27A)의 전처리부(272A)가 행하는 전술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즉, 암호화 데이터는, 선두로부터 8비트 마다 절단되어,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나누어진다.
다음으로, 암호화 절단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암호화·복호화부(273B)에 보내어지고, 거기에서 복호화되어, 평문 절단 데이터로 된다(S1403).
복호화는, 복호화를 행할 때에 암호화 장치(27A)의 암호화·복호화부(273A)가 행하는 전술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로서 실행된다. 이러한 복호화를 행하기 위해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는, 알고리즘과 키를 필요로 한다.
알고리즘과 키는, 아래와 같이 해서 생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인터페이스부(271B)는, 암호화 데이터에 부가된 특정 정보를 읽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특정 정보는, 그 특정 정보가 부가되는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과 키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특정 정보가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과 키 자체인 경우, 인터페이스(217B)는 이 알고리즘과 키를 암호화 데이터로부터 읽어내고, 이것을 예를 들면 전처리부(272B)를 통해서 암호화·복호화부(273B)에 보낸다.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이 알고리즘과 키에 기초하여, 암호화 절단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한다.
또한, 특정 정보가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할 때에 이용한 해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217B)는 이 해를 암호화 데이터로부터 읽어내고, 이것을 알고리즘 생성부(275B)과 키 생성부(276B)에 보낸다. 이 경우, 알고리즘 생성부(275B)와 키 생성부(276B)는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알고리즘과 키를 각각 생성하는데, 이 알고리즘과 키는, 그 해가 부가되어 있던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에 각각 일치한다. 알고리즘 생성부(275B)와 키 생성부(276B)는, 생성한 알고리즘과 키를 암호화·복호화부(273B)에 보낸다.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이 알고리즘과 키에 기초하여, 암호화 절단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한다.
또한, 특정 정보가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할 때에 이용한 해가 몇 번째에 생성된 해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217B)는 이 정보를 암호화 데이터로부터 읽어내고, 이것을 해 생성부(274B)에 보낸다. 이 정보를 접수한 해 생성부(274B)는, 그 나타내어진 순번까지 해를 생성한다. 이 해는, 전술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던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해에 일치한다. 또한, 이 경우, 동일한 순번으로 생성된 해가 항상 동일한 것으로 되도록, 초기 행렬만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해 둔다. 해 생성부(274B)는, 생성한 해를 알고리즘 생성부(275B)와 키 생성부(276B)에 보낸다. 알고리즘 생성부(275B)와 키 생성부(276B)는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알고리즘과 키를 각각 생성하는데, 이 알고리즘과 키는, 그 해가 부가되어 있던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에 각각 일치한다. 알고리즘 생성부(275B)와 키 생성부(276B)는, 생성한 알고리즘과 키를 암호화·복호화부(273B)에 보낸다.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이 알고리즘과 키에 기초하여, 암호화 절단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암호화 절단 데이터는, 평문 절단 데이터로 되돌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필요에 따라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부터, 더미 데이터를 제거한다(S1404).
여기에서, 평문 절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더미 데이터가, 해에 기초하여 적당한 위치에 포함시켜진 것이라면,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더미 데이터를 제거할 때에, 그 평문 절단 데이터가 전회 암호화된 경우에 이용된 해를 필요로 한다. 특정 정보가 그 평문 절단 데이터가 전회 암호화되었을 때에 이용한 해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217B)는 이 해를 암호화·복호화부(273B)에 보낸다. 또한, 특정 정보가 그 평문 절단 데이터가 전회 암호화되었을 때에 이용된 해가 몇 번째에 생성된 해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 생성부(274B)는, 생성한 해를 암호화·복호화부(273B)에 보낸다. 이 해를 이용하여, 암호화·복호화부(273B)는, 해에 기초하여 적당한 위치에 포함시켜진 더미 데이터를 제거한다.
또한, 평문 절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더미 데이터를, 해에 기초하여 적당한 위치에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특정 정보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과 키 자체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와 같이 하면, 암호화·복호화부(273B)가 해를 입수할 수 없으므로, 더미 데이터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미 데이터가 제거된 평문 절단 데이터는, 접속부(277B)에 보내어진다. 이 평문 절단 데이터는, 접속부(277B)에서 일괄 접속되어 처리 대상 데이터로 되돌려진다(S1405).
이 평문 절단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271B)를 통해서 버스(29)에 보내어지고, 이 평문 절단 데이터의 기초로 되어 있던 암호화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해 온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대응지어진 암호화 장치(27A)에 보내어진다.
이것을 수취한 암호화 장치(27A)는, 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전술한 S160의 처리를 실행한다.
암호화 장치(27A)는, 이 처리를,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 데이터로 할 때에,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암호화 장치(27)가 행한, S110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실행한다.
암호화 장치(27A)에서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는, 버스(29)를 통해서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서의 통신 장치(28)에 보내어지고, 거기로부터, 네트워크(13)를 통해서, 암호화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해 온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통신부(28)에 보내어진다. 이것이, 전술한 S170의 처리에 해당한다.
이 암호화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내의 암호화 장치(27)에서 복호화된다. 이것이, 전술한 S180의 처리이다. 또한, 암호화 장치(27)는, 이 처리를, 암호화 데이터를 처리 대상 데이터에 복호화할 때에,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의 암호화 장치(27A)가 행한, S130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실행한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각각에 내장된 암호화 장치(27)와, 그 암호화 장치(27)를 내장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대응지어진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 내의 암호화 장치(27A)는 서로, 상대측이 암호화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등의 것으로 되어 있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내의 암호화 장치(27)에서 복호화되어 생성된 처리 대상 데이터는, S110의 처리가 행해지기 전에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내의HDD(23)에 있던 것과 동일하다. 이 처리 대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 내의 HDD(23)에 기록된다.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는, 그것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처리 장치는 1개뿐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와 마찬가지이다. 단,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통신의 필요가 없으므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가 구비하고 있던 통신 장치(28)를 갖지 않는다.
즉,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CPU(21), ROM(22), HDD(23), RAM(24), 입력 장치(25), 표시 장치(26), 암호화 장치(27), 버스(29)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기능은, 기본적으로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서의 CPU(21), ROM(22), HDD(23), RAM(24), 입력 장치(25), 표시 장치(26), 암호화 장치(27), 버스(29)의 기능과 일치한다.
단,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의 암호화 장치(27)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 내장되어 있던 암호화 장치(27)의 구성(도 4에 도시되어 있던 것)과 거의 마찬가지이지만, 알고리즘 생성부(275)가,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 및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에, 키 생성부(276)가, 제1 키 생성부(276X) 및 제2 키 생성부(276Y)로 치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암호화 장치(27)와 상위하다(도 14).
제2 실시 형태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HDD(23)에 기록되어 있던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 장치(27)에 의한 암호화, 그 암호화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의 HDD(23)에의 기록, HDD(23)에 기록되어 있던 암호화 데이터의 암호화 장치(27)에 의한 복호화, 그 복호화에 의해 생성된 처리 대상 데이터의 HDD(23)에의 기록의 각 처리가 실행되는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복호화되는 암호화 데이터는 복수이며, 또한 암호화 데이터가 복호화되는 순번은, 암호화 데이터가 처리 대상 데이터로부터 암호화된 순번에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의 암호화 장치(27)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 내장되어 있던 암호화 장치(27)의 상위는, 이 점에 관련되어 생기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의 암호화 장치(2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 내의 암호화 장치(27)가 갖는 인터페이스부(271), 전처리부(272), 암호화·복호화부(273), 해 생성부(274), 및 접속부(277)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의 암호화 장치(27) 내에 있던 그것들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터페이스부(271)는, 버스(29)와 통신 장치(28)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전처리부(272)는, 인터페이스부(271)를 통해서 버스(29)로부터 수취한 처리 대상 데이터 또는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하여,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암호화·복호화부(273)에 보낸다. 전처리부(272)는, 평문 절단 데이터에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다.
암호화·복호화부(273)는, 평문 절단 데이터 또는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전처리부(272)로부터 수취하고,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그것을 암호화하고,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그것을 복호화한다. 암호화·복호화부(273)는, 암호화 및 복호화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 단위인 기준 비트수가, 이 실시 형태에서는 8비트로 고정되어 있다.
해 생성부(274)는, 해를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해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처리부(272)가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접수할 때마다 생성된다. 해는, 의사 난수이다.
접속부(277)는, 암호화·복호화부(273)에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 생성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원래의 순서로 접속해서 일괄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접속부(277)는, 또한, 암호화·복호화부(273)에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일괄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는, 해 생성부(274)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이 알고리즘은, 암호화를 행할 때에 이용된다.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는, 해 생성부(274)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이 알고리즘은, 복호화를 행할 때에 이용된다. 또한,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와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는, 동일한 해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1 키 생성부(276X)는, 해 생성부(274)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키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키는, 암호화를 행할 때에 이용된다. 제2 키 생성부(276Y)는, 해 생성부(274)로부터 접수한 해에 기초하여 키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키는, 복호화를 행할 때에 이용된다. 또한, 제1 키 생성부(276X)와 제2 키 생성부(276Y)는, 동일한 해를 이용하여 키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키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 및 제1 키 생성부(276X)가, 전처리부(272)가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접수할 때마다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한다. 또한,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 및 제2 키 생성부(276Y)가, 전처리부(272)가 암호화 데이터를 접수할 때마다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리 대상 데이터의 읽어내기가 행해진다(S1501). 처리 대상 데이터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HDD(23)로부터 읽어내어진다. 처리 대상 데이터는, HDD(23)로부터 버스(29)를 거쳐서, 암호화 장치(27)에 보내어진다. 이 처리 대상 데이터는,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페이스부(271)를 통해서, 전처리부(272)에 보내어지게 된다.
전처리부(272)에서, 처리 대상 데이터는,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되어, 평문 절단 데이터로 된다(S1502). 전처리부(272)는, 필요에 따라서, 평문 절단 데이터에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킨다.
처리 대상 데이터로부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의 S1102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한편, 해 생성부(274)는, 인터페이스부(271)로부터, 인터페이스부(271)가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접수하였다고 하는 정보를 접수한 것을 계기로 하여, 해를 생성한다. 또한, 해는, 전처리부(272)에서 처리 대상 데이터가 절단될 때마다 생성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전처리부(272)에서의 처리 대상 데이터의 생성과, 해 생성부(274)에서의 해의 생성을 동기시킨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해의 생성의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가 암호화를 행할 때에 해 생성부(274)가 행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생성된 해는,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 제1 키 생성부(276X), 및 제2 키 생성부(276Y)에 보내어진다.
이것을 접수한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 및 제1 키 생성부(276X)는 각각,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알고리즘 및 키의 생성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가 알고리즘과 키의 생성을 행할 때에 알고리즘 생성부(275) 및 키 생성부(276)가 행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 및 제1 키 생성부(276X)는 생성한 알고리즘과 키를 암호화·복호화부(273)에 보낸다.
또한, 암호화·복호화부(273)는,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로부터 접수한 알고리즘과, 제1 키 생성부(276X)로부터 접수한 키에 기초하여, 전처리부(272)로부터 접수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한다(S1503). 이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S1103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로서 행해진다.
이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는, 접속부(277)에 보내어지고, 거기에서 일괄 접속되어, 암호화 데이터로 된다(S1504).
이상과 같이 하여,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는, 버스(29)를 통해서 데이터 처리 장치 내의 HDD(23)에 기록된다.
이와 같은 암호화의 처리가,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회 행해진다.
이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는, HDD(23)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가 행해진다.
이하, 복호화의 과정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복호화는, HDD(23)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 장치(27)가 읽어내는 것으로부터 개시된다(S1601).
암호화 장치(27) 내의 전처리부(272)가, 인터페이스부(271)를 통해서 HDD(23)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취하면, 전처리부(272)는, 접수한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하여,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한다(S1602).
암호화 데이터를 절단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전처리부(272)는, 전술한 암호화의 처리에서 행해진 것과 반대의 처리를 행한다. 즉, 암호화 데이터는, 선두로부터 8비트마다 절단되어,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나누어진다. 이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S1203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된다.
다음으로, 암호화 절단 데이터는 암호화·복호화부(273)에 보내어지고, 거기에서 복호화되어, 평문 절단 데이터로 된다(S1603).
복호화는, 암호화·복호화부(273)에서 행해진 전술한 암호화의 처리와 반대의 처리로서 실행된다. 그 때문에, 암호화·복호화부(273)는, 암호화 시에 이용한 알고리즘과 키를 필요로 한다. 여기에서, 먼저 생성되어 있던 해를 이용하여,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가 알고리즘을, 제2 키 생성부(276Y)가 키를 각각 생성한다. 암호화 데이터가 복호화되는 순번과, 암호화 데이터가 처리 대상 데이터로부터 암호화된 순번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와 제2 키 생성부(276Y)가 생성하는 알고리즘과 키는, 복호화되고자 하고 있는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이용된 해에 기초하여 생성되게 된다. 이것은,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가 생성하는 알고리즘과, 제2 키 생성부(276Y)가 생성하는 키가, 앞으로 복호화되고자 하고 있는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과 키에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와 제2 키 생성부(276Y)는, 해 생성부(274)가 해를 생성한 후이면, 복호화를 행하기 위해서 암호화·복호화부(273)가 알고리즘과 키를 필요로 할 때까지의 어느 타이밍에서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가 생성한 알고리즘과, 제2 키 생성부(276Y)가 생성한 키는, 암호화·복호화부(273)에 보내어진다. 암호화·복호화부(273)는, 그 알고리즘과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한다. 이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S1204에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로서 실행된다.
다음으로, 암호화·복호화부(273)는, 필요에 따라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부터, 더미 데이터를 제거한다(S1604). 이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S1205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로서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평문 절단 데이터는, 접속부(277)에 보내어진다. 접속부(277)는, 수취한 평문 절단 데이터를 일괄 접속하여,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605).
생성된 처리 대상 데이터는, 접속부(277)로부터 인터페이스부(271)에 보내어지고, 버스(29)를 통해서 HDD(23)에 기록된다.
≪변형예≫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아래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와, 암호화 장치(27)의 구성이 약간 상위하다. 그 밖의 부분에서는,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변형예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암호화 장치(27)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암호화 장치(27)는, 제1 해 생성부(274X)와 제2 해 생성부(274Y)라고 하는 2개의 해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1개의 해 생성부(274)만 구비하고 있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암호화 장치(27)와 서로 다르다.
제1 해 생성부(274X)와 제2 해 생성부(274Y)는 모두,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해 생성부(274)와 마찬가지로, 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1 해 생성부(274X)는, 인터페이스부(271)로부터, 인터페이스부(271)가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접수하였다고 하는 정보를 접수한 것을 계기로 하여, 해를 생성한다. 단, 제1 해 생성부(274X)는, 전처리부(272)에서 처리 대상 데이터가 절단될 때마다 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해 생성부(274X)에서 생성된 해는,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 및 제1 키 생성부(276X)에 보내어진다. 이것을 접수한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 및 제1 키 생성부(276X)는 각각,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하고, 이것을 암호화·복호화부(273)에 보낸다. 암호화·복호화부(273)는, 제1 알고리즘 생성부(275X) 및 제1 키 생성부(276X)로부터 접수한 알고리즘과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제2 해 생성부(274Y)는, 인터페이스부(271)로부터, 인터페이스부(271)가 암호화 데이터를 접수하였다고 하는 정보를 접수한 것을 계기로 하여, 해를 생성한다. 단, 제2 해 생성부(274Y)는, 전처리부(272)에서 암호화 데이터가 절단될 때마다 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제2 해 생성부(274Y)에서 생성된 해는,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 및 제2 키 생성부(276Y)에 보내어진다. 이것을 접수한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 및 제2 키 생성부(276Y)는 각각,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알고리즘과 키를 생성하고, 이것을 암호화·복호화부(273)에 보낸다. 암호화·복호화부(273)는, 제2 알고리즘 생성부(275Y) 및 제2 키 생성부(276Y)로부터 접수한 알고리즘과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2 해 생성부(274Y)가 생성하는 해는, 동일한 순번으로 생성된 것끼리를 비교하면, 제1 해 생성부(274X)에서 생성된 해와 동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11)에 내장되어 있던 암호화 장치(27) 내의 해 생성부(271)와, 제2 데이터 처리 장치(12)에 내장되어 있던 암호화 장치(27A) 내의 해 생성부(271A)가, 동일한 순번으로 생성된 것끼리를 비교하면 동일한 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던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이 변형예에서의 제2 해 생성부(274Y)와 제1 해 생성부(274X)는, 동일한 해 생성용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고, 또한 동일한 초기 행렬을 가지고 있다.
해의 생성 및 알고리즘의 생성의 처리를 제외하고, 이 변형예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2 실시 형태의 데이터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가 가지고 있던 암호화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암호화 장치(27B)로 치환할 수 있다.

Claims (55)

  1.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4.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5.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가장 많은 비트수의 것을 제외하는 것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모든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가장 비트수가 많은 것의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8.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9.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특정 정보 기록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은,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기록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일정한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더미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특정한 위치에 포함시키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더미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마다 서로 다른 소정의 위치에 포함시키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4. 제5항, 제6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 생성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 또는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가 행해질 때마다 상기 해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5. 제5항, 제6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 생성 수단은,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암호화, 또는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의 복호화가 행해질 때마다 상기 해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상기 소정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8.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19.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0.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1.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2.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3.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4.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5.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6.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7.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해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8.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29.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수단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수단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해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것이며,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상기 복호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상기 암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읽고 쓰기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혼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30. 복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의 각각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동수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한 암호화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짐과 함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1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2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모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다른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는 서로 다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상기 해 생성 수단으로부터 접수한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
    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항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생성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그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보내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1.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2.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3.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고,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4.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소정의 타이밍에서 변화되는 키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고,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5.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6.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7.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알고리즘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알고리즘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키,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8.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의사 난수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키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에 이용된 상기 키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에, 그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알고리즘, 및 그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키에 의해 상기 복호화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9.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0.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1.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2.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3.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4.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5.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6.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7.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8.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9.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키, 및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키, 및 상기 제2 알고리즘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50.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 및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한 알고리즘 및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해서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1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의 암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1 키 생성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와는 관계가 없는 더미 데이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되는 기준 비트수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알고리즘, 및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통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는 과정과,
    과거의 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입함으로써 새로운 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해 생성용 알고리즘에 과거의 해를 대입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해를 생성하는 제2 해 생성 과정과,
    상기 제2 해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키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제2 키 생성 과정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키 생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그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키에 의해 상기 기준 비트수마다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과정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의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데이터로 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것들이 암호화된 것과 동일한 순번으로 복호화하고,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평문 절단 데이터와 서로 다른 비트수로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비트수보다도 짧은 비트수로 되도록 절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51. 복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의 각각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동수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한 암호화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짐과 함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1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2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모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다른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는 서로 다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상기 해 생성 수단으로부터 접수한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
    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2항 내지 제6항, 제8항, 제9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제1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생성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그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보내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52. 복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의 각각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동수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한 암호화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짐과 함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1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2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모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다른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는 서로 다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상기 해 생성 수단으로부터 접수한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
    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7항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생성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그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보내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53. 복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의 각각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동수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한 암호화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짐과 함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1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2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모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다른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는 서로 다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상기 해 생성 수단으로부터 접수한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
    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0항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생성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그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보내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54. 복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의 각각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동수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한 암호화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짐과 함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1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2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모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다른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는 서로 다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상기 해 생성 수단으로부터 접수한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
    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4항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생성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그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보내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55. 복수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의 각각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동수의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평문인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한 암호화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짐과 함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 사이에서는, 처리 대상 데이터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1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는 제2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는 모두,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그 암호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을 때에 절단된 것과 동일한 비트수마다 절단해서 복수의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하는 절단 수단과,
    쌍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다른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와는 서로 다른 해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해 생성 수단과,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상기 해 생성 수단으로부터 접수한 상기 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공통으로 된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해서 암호화 절단 데이터로 함과 함께, 상기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그 암호화 절단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에 이용된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해서 평문 절단 데이터로 하는 암호화·복호화 수단과,
    복호화된 상기 평문 절단 데이터를 접속해서 상기 처리 대상 데이터로 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
    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3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5항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생성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그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그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에 보내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0107026306A 2005-03-08 2006-03-07 데이터 처리 장치 KR201001283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3270A JP2006253745A (ja) 2005-03-08 2005-03-08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JP-P-2005-063270 2005-03-0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782A Division KR101008135B1 (ko) 2005-03-08 2006-03-07 데이터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355A true KR20100128355A (ko) 2010-12-07

Family

ID=369534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782A KR101008135B1 (ko) 2005-03-08 2006-03-07 데이터 처리 장치
KR1020107026306A KR20100128355A (ko) 2005-03-08 2006-03-07 데이터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782A KR101008135B1 (ko) 2005-03-08 2006-03-07 데이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577022B2 (ko)
EP (1) EP1865653B1 (ko)
JP (1) JP2006253745A (ko)
KR (2) KR101008135B1 (ko)
CN (1) CN101138194B (ko)
AU (2) AU2006221275A1 (ko)
BR (1) BRPI0608040A2 (ko)
CA (1) CA2599878A1 (ko)
HK (1) HK1107883A1 (ko)
IL (1) IL185572A0 (ko)
RU (1) RU2007136968A (ko)
TW (1) TW200704095A (ko)
WO (1) WO2006095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59738C (en) 1999-01-20 2012-10-16 Certicom Corp. A resilient cryptographic scheme
US8351610B2 (en) * 2005-01-07 2013-01-08 N-Crypt,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4860708B2 (ja) * 2006-12-27 2012-01-25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リーム暗号方法および暗号システム
JP2008165612A (ja) 2006-12-28 2008-07-17 N-Crypt Lab Inc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ユーザ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2008165613A (ja) 2006-12-28 2008-07-17 N-Crypt Lab Inc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ユーザ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2009253650A (ja) 2008-04-04 2009-10-29 N-Crypt Lab Inc 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認証装置、ユーザ装置、それらで実行される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395372B2 (ja) * 2008-06-19 2014-01-22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鍵サーバ及びデータ
JP5326815B2 (ja) * 2009-05-26 2013-10-30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送受信装置およびパケット送受信方法
US9008313B1 (en) * 2014-07-24 2015-04-14 Elliptic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andom key stream cipher texts
CN106301763B (zh) * 2016-08-31 2019-07-16 国家超级计算深圳中心(深圳云计算中心) 一种基于二重盐值的数据加密与解密方法及系统
JP7321481B2 (ja) * 2017-07-03 2023-08-07 株式会社 エヌティーアイ 第1通信装置、第2通信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005000B2 (ja) * 2017-08-07 2022-01-21 株式会社 エヌティーアイ 仮想貨幣データ発行システム、ユーザ端末、管理装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1012339A (ja) * 2019-07-09 2021-02-04 株式会社 エヌティーアイ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232639B (zh) * 2020-09-22 2023-06-30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统计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8938A (en) * 1990-03-09 1991-04-16 Motorola, Inc. Encryption apparatus
JPH0488736A (ja) * 1990-07-31 1992-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方式
JPH06216897A (ja) * 1993-01-20 1994-08-05 Nippon Signal Co Ltd:The データ送受信装置
JP2546504B2 (ja) * 1993-07-14 1996-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暗号における暗号化前処理装置および復号後処理装置
JPH0918469A (ja) * 1995-06-30 1997-01-17 Canon Inc 暗号通信装置、システム及び暗号装置
JP3086887B2 (ja) * 1996-08-08 2000-09-11 株式会社ローレルインテリジェントシステムズ 情報伝達方法、情報発信方法、情報再生方法及び通信装置
JPH1155241A (ja) * 1997-07-30 1999-02-26 Sharp Corp 鍵暗号化方式による通信装置
JPH1196674A (ja) * 1997-09-22 1999-04-09 Digital Vision Laboratories:Kk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媒体
US6259789B1 (en) * 1997-12-12 2001-07-10 Safecourier Software, Inc. Computer implemented secret object key block cipher encryption and digital signature device and method
JP3561154B2 (ja) * 1997-12-26 2004-09-02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および契約管理装置
US6490353B1 (en) * 1998-11-23 2002-12-03 Tan Daniel Tiong Hok Data encrypting and decrypting apparatus and method
JP3891720B2 (ja) * 1999-02-22 2007-03-14 コロムビア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US20010033654A1 (en) * 2000-01-13 2001-10-25 Gabor Wieser W-EC1 encryption and decryption method and system
JP2001211442A (ja) * 2000-01-27 2001-08-03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情報伝送方法、コンテンツ情報記録方法、コンテンツ情報伝送装置、コンテンツ情報記録装置、伝送媒体、及び記録媒体
CN1347225A (zh) * 2000-10-09 2002-05-01 杨高雄 制作权安全控制的方法
JP3770584B2 (ja) * 2000-10-31 2006-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暗号鍵生成回路
US20020114452A1 (en) * 2000-12-21 2002-08-22 Hamilton Jon W.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image authentication
US7155011B2 (en) * 2001-03-13 2006-12-26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Encryption method, decryption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N1200560C (zh) * 2001-04-20 2005-05-04 安科数码媒体有限公司 数字式音频及视频媒体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US7382878B2 (en) * 2001-06-22 2008-06-03 Uponus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ata encryption
JP3851115B2 (ja) * 2001-06-28 2006-11-29 富士通株式会社 暗号回路
JP2003115830A (ja) * 2001-10-03 2003-04-18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152706A (ja) * 2001-11-12 2003-05-23 Toshiba Information Systems (Japan) Corp 暗号生成装置、暗号復号装置、暗号生成プログラム、暗号復号プログラム、認証システム、電子装置
US7380120B1 (en) * 2001-12-12 2008-05-27 Guardian Data Storage, Llc Secured data format for access control
GB0129928D0 (en) * 2001-12-14 2002-02-06 Ib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on of data
EP1471486A3 (en) * 2003-01-31 2006-02-08 Khalil Jiraki Time based encryption algorithm
JP2004265194A (ja) * 2003-03-03 2004-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7346160B2 (en) * 2003-04-23 2008-03-18 Michaelsen David L Randomization-based encryption apparatus and method
DE102004018874B4 (de) * 2004-04-19 2009-08-06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eines Ergebni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5653A4 (en) 2011-11-02
CA2599878A1 (en) 2006-09-14
IL185572A0 (en) 2008-01-06
HK1107883A1 (zh) 2008-04-18
US20090141889A1 (en) 2009-06-04
JP2006253745A (ja) 2006-09-21
AU2010212527A1 (en) 2010-09-16
EP1865653B1 (en) 2015-07-22
KR101008135B1 (ko) 2011-01-13
KR20070110417A (ko) 2007-11-16
AU2006221275A1 (en) 2006-09-14
WO2006095895A1 (ja) 2006-09-14
CN101138194B (zh) 2011-10-05
CN101138194A (zh) 2008-03-05
BRPI0608040A2 (pt) 2017-05-23
TW200704095A (en) 2007-01-16
RU2007136968A (ru) 2009-04-20
EP1865653A1 (en) 2007-12-12
US8577022B2 (en)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135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KR20100072106A (ko) 데이터 처리 장치
KR101574618B1 (ko) 기록재생시스템, 기록매체장치 및 기록재생장치
CN107483192B (zh) 一种基于量子通讯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20080022223A (ko) 암호화 처리 장치, 암호화 방법, 복호화 처리 장치, 복호화방법, 및 데이터 구조
US20080279385A1 (en) Method and host device for using content using mobile card, and mobile card
RU2410842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CA259267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5837626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2011259439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JP2011229174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2011234398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2017118560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4302076B2 (ja) 鍵判定装置
JP2014079002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835161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1324866A (zh) 一种预防破解密码的数据存取方法
JP2000261426A (ja) 暗号通信システム
JP2014099875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