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039A -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039A
KR20100128039A KR1020090046466A KR20090046466A KR20100128039A KR 20100128039 A KR20100128039 A KR 20100128039A KR 1020090046466 A KR1020090046466 A KR 1020090046466A KR 20090046466 A KR20090046466 A KR 20090046466A KR 20100128039 A KR20100128039 A KR 20100128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ouncement
subscriber
information
servic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8847B1 (ko
Inventor
곽민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4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84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위치등록서버가 발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 정보를 파악하고, 착신 가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상기 착신불가 정보를 매칭하여 응답한다. 그리고, 발신 교환기는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상기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을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입자 안내방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착신불가 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안내방송을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의 개인적인 착신불가 이유가 반영된 가입자 안내방송을 발신 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발신자의 반복적인 발신 시도에 따른 무선자원의 낭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착신불가, 안내방송, 어나운스먼트, 컨텐츠, 멘트

Description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SUBSCRIBER ANNOUNCE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UNRECEIVING SIGNAL}
본 발명은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착신 가입자의 착신불가 상태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입자 안내 방송을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입자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주변의 환경적인 조건 또는 자신의 개인적인 이유에 따라서 착신불가 상황에 처할 때가 있다. 여기서, 주변 환경적인 조건은 통화권이탈 및 전파의 수신상태가 불량한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들 수 있으며, 개인적 이유는 착신단말의 파워 오프(off), 차량의 운전, 영화/공연 관람, 회의 및 강의 등과 같은 이유로 일정한 시간 동안의 착신이 불가능한 상황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입자의 착신불가상황에서 발신 교환기는 가입자의 착신단말에 대한 호 연결을 실패하는 경우 발신 단말로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어나운스먼트 코드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통화와 관련된 어나운스먼트(Announcement)는 IS-41 규격에 표준 어나운스먼트(Standard Announcement) 및 커스텀 어나운스먼트(Custom Announcement) 및 톤(Tone)으로 구분되며, 발신 교환기는 가입자 착신불가상황에 따른 안내방송(멘트)을 발신 단말기로 송출하게 된다.
표준 어나운스먼트 및 커스텀 어나운스먼트는 표준 규격 및 통신사업자에 의해 설정된 착신불가 상황에 따른 범용 안내멘트를 송출한다. 예컨대, 착신불가상황에서 발신 교환기는 '고객이 전화를 받을 수 없어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됩니다'라는 범용 안내멘트를 발신 단말기로 송출하게 된다. 이 때, 표준 어나운스먼트 및 커스텀 어나운스먼트는 톤(Tone)에 우선한다. 따라서, 톤은 어떠한 착신불가상황에 있어서 해당하는 표준 어나운스먼트 혹은 커스텀 어나운스먼트가 송출된 이후 송출되거나 또는 표준 어나운스먼트 및 커스텀 어나운스먼트가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 송출될 수 있다.
그런데, 착신자가 상기한 개인적인 이유로 인해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거나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표준 어나운스먼트 및 커스텀 어나운스먼트에 의한 안내멘트에는 착신자의 개인적 착신불가 이유(사정)가 반영되지 않으므로 발신자의 반복적인 발신을 시도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불필요한 호 시도로 인해 무선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착신자의 입장에서는 착신불가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호출되는 경우의 심리적 불편함과 그로 인해 전원을 오프할 경우 문자 등의 다른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착신 가입자의 착신불가 상태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입자 안내 방송을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착신 가입차의 착신불가상태에 따른 안내 방송을 착신 가입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다른 유명인의 음성을 활용함으로써 신뢰성있는 안내 방송을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등록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발신 교환기로부터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모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착신불가모드가 아니면 착신 교환기로 호 접속여부를 문의하고 착신불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착신 가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상기 착신불가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착신 가입자의 개인적 이유가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안내방송을 등록하고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b) 발신 교환기로부터 제1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착신불가 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안내방송을 검출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발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 정보를 파악하고, 착신 가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상기 착신불가 정보를 매칭하여 응답하는 위치등록서버;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상기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가입자안내방송을 요청하는 발신 교환기; 및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가입자 안내방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착신불가 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안내방송을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입자의 개인적인 착신불가 이유가 반영된 가입자 안내방송을 발신 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발신자의 반복적인 발신 시도에 따른 무선자원의 낭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입자 어나운스먼트를 통해 기존 타입의 안내방송을 가입자가 직접 입력한 멘트 또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취향에 맞게 변경하거나 추가함으로써 착신불 가상황을 발신자에게 명확히 전달하고, 범용(기계적인) 안내방송과 차별화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일정시간 동안의 착신불가 설정을 지원하여 가입자의 스케줄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신불가 시간 동안 단말기의 전원을 켜둘 수 있으므로 통화 이외에 단말기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 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발신 측의 발신 단말기(11), 발신 교환기(111), 착신 측의 착신 단말기(12), 착신 교환기(112), 위치등록서버(120), 서비스 서버(130) 및 음성 서서함(Voice Mail Service, VMS)(140)을 포함한다.
발신 단말기(11)와 착신 단말기(12)는 이동통신 기능을 갖는 가입자 이동국(Mobile Station, MS)(10)으로 기지국을 통해 무선통신망으로 접속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1)는 착신 단말기(12)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신 시도를 하고, 착신 단말기(12)의 착신불가 상태에 따른 안내방송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후 필요시 VMS(14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착신 단말기(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불가에 따른 안내방송 서비스(부가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 단말기로 다양한 착신불가상황에 따른 안내멘트를 서비스 서버(130)에 등록하고, 해당상황에 맞게 착신불가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착신 단말기(12)는 착신불가모드 설정 메뉴를 통해 착신불가 타입 ID 및 설정시간(기간)등의 정보를 입력 받아 착신불가모드를 활성화 하거나, 피쳐코드를 통해 간단히 착신불가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기(12)는 착신불가모드 설정과 함께 호출음을 묵음 혹은 램프로 출력하는 매너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신 교환기(111)는 발신 단말기(11)의 발신 시도에 따른 위치정보를 위치등록서버(120)로 요청하고, 위치등록서버(120)로부터 착신 단말기(12)의 착신불가 정보(이유)에 따른 어나운스먼트 리스트(List)를 수신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상기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포함된 가입자 어나운스먼트 (Subscriber Announcement)코드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안내방송을 수신하여 발신 단말기(1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입자 어나운스먼트는 기존의 범용(표준 및 커스텀) 어나운스먼트에 구별되거나 대체될 수 있는 가입자 설정 안내 방송으로 착신 가입자의 개인적 착신불가 이유를 반영하여 확장된 어나운스먼트를 의미한다.
착신 교환기(112)는 서비스서버(130)로 착신 단말기(12)에 대한 착신불가모 드 활성화를 요청하여, 서비스 서버(130)가 미리 설정된 가입자 어나운스먼트를 발신 단말기(11)로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착신 교환기(112)는 착신 단말기(12)의 착신불가모드 기간 동안 호를 시도한 발신 단말기(11)의 발신정보를 착신 단말기(12)로 통보하되, 착신 단말기(12)가 호출 음을 출력하지 않도록 묵음 또는 램프점등으로 처리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등록서버(120)는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일 수 있으며, 발신 교환기(111)의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12)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위치등록서버(120)는 착신 단말기(12)에 의해 설정된 착신불가모드 혹은 착신 교환기(112)로부터 수신되는 착신불가정보(Access Deny Reason)에 따른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며, 착신 단말기(12)의 착신불가정보(이유)에 대응하는 어나운스먼트 코드(Announcement Code)를 발신 교환기(111)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위치등록서버(120)는 착신 단말기(12)로부터 가입자정보, 안내방송 타입 ID 및 설정 시간 등을 포함하는 착신불가모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착신 단말기(12)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상기 설정 시간 동안만 착신불가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 시간의 카운터가 만료되면 착신불가모드 설정을 해제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확장된 어나운스먼트 코드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나운스먼트 코드는 범 용 안내방송 이외에 가입자의 취향에 따라 직접 안내방송을 녹음하거나 연예인 목소리, 효과음 및 배경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을 레코딩하고, 가입자 어나운스먼트(Subscriber Announcement)란 신규 파리메터를 더 포함하여 가입자의 착신 및 부가 서비스 상황을 발신 단말기(11)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서버(130)는 일종의 서비스 교환기(Service Switching Point, SSP) 혹은 링서버(Ring Server)일수 있으며 착신 단말기(12)의 착신불가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착신자의 착신불가 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어나운스먼트를 발신 교환기(111)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30)는 통신부(131), 가입자 인증부(132), 어나운스먼트 처리부(133), 미디어 생성부(134), 데이터 베이스부(135) 및 제어부(136)를 포함한다.
통신부(131)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 및 위치등록서버(120)와 통신한다.
가입자 인증부(132)는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며,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입자 접속에 따른 인증을 수행한다.
어나운스먼트 처리부(133)는 발신 교환기(111)로부터 요청되는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요청을 분석하여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 및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파악한다. 그리고,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서 착신불가 정보에 매칭된 어나운스먼트 코드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안내 타입 정보를 파악한다.
이 때, 어나운스먼트 코드 파라메터에는 기존의 범용 어나운스먼트외에 8개의 디지트(Digit)로 구성되는 가입자 어나운스먼트 필드가 추가되어 가입자 개별 안내방송 송출기능이 동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나운스먼트 처리부(133)는 어나운스먼트 코드의 가입자 어나운스먼트 필드 값에 따라 착신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에서 요청된 타입에 맞는 가입자 안내방송을 검출하여, 발신 교환기(111)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자가 착신자의 착신불가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은 타입 ID, 안내타입, 시간(초), 파일형식, 배경음악, 안내 멘트 내용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은 가입자 어나운스먼트를 통해 가입자의 개인적인 착신불가 이유에 따른 타입정보를 더 포함하는 안내방송 목록으로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부가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따라 가입자 별로 저장하고, 요청된 타입 정보(ID)에 대응하는 안내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생성부(134)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된 가입 자가 자신의 안내방송 목록을 확인하고, 기존 타입의 안내멘트를 가입자의 취향에 맞게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기존 타입의 안내멘트 외에 가입자의 개인적인 착신불가 이유가 고려된 신규한 타입의 안내멘트를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미디어 생성부(134)는 도 5에서와 같이 각 타입별 안내방송을 가입자가 직접 녹음한 음성 혹은 영상 멘트 뿐아니라 좋아하는 연예인의 목소리를 통한 안내, 배경음악, 링(Ring), 광고, 동영상,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가 결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135)는 서비스 서버(13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구동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부가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별 안내방송 목록을 저장하고 미디어 생성을 위한 각종 컨텐츠가 저장된다.
제어부(136)는 서비스 서버(130)의 전반적인 구동을 위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36)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가입자가 안내방송 목록을 수정/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은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위치등록서버(120)로 전송하여, 위치등록서버(120)에서 관리하는 가입자별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와 동기 시킨다.
VMS(140)는 호 전환으로 연결된 발신 단말기(11)의 음성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2)의 음성사서함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30)가 착신불 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30)는 착신 단말기(12)로부터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안내방송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S601),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S602). 유/무선 통신 수단은 유/무선 인터넷 및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130)는 인증에 성공한 착신 단말기(12)로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을 제공한다(S603). 그리고, 기존의 안내멘트 내용을 변경하거나 또는 신규 안내방송 타입을 추가하고자 하면(S604), 해당하는 타입을 결정한다(S605).
이 때, 기존 타입 변경의 경우 가입자 안내 방송 목록 중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타입을 선택하면 되고, 신규 타입 추가의 경우 새로운 착신불가 이유를 정의하면 된다.
서비스 서버(130)는 가입자의 직접 녹음 여부를 판단하여(S606), 가입자가 직접 녹음을 하는 경우 입력되는 가입자의 안내멘트를 레코딩 한다(S607). 그리고, 레코딩된 안내멘트에 부가적으로 결합할 컨텐츠가 요구되면(S608), 배경음악과 같은 연관 컨텐츠 목록/검색을 제공하고(S611), 선택된 컨텐츠 정보(예; 배경음악)를 추출한다(S612).
이어서,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레코딩된 가입자 안내멘트와 배경음악을 결합하여 하나의 미디어 파일로 생성하고(S609), 이를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과 연 관되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610).
한편, 상기 S606 단계에서 가입자가 직접 녹음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결정된 안내방송 타입과 연관된 컨텐츠 목록/검색을 제공하고,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한다(S611, S612).
예컨대, 가입자가 "운전중"이란 안내방송 타입을 선택한 경우 연예인 등과 같은 유명인이 미리 녹음한 안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특정 연예인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해당 연예인의 목소리를 이용한 안내 및 음악/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비스 서버(130)는 추출된 연예인의 안내멘트와 배경음악을 결합하여 하나의 미디어 파일로 생성하고(S609), 이를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과 연관되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610).
이후, 서비스 서버(130)는 업데이트된 안내방송 목록을 위치등록서버(120)로 전송하여 해당 가입자의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와 동기시킨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에 가입된 착신 가입자가 상기 도 6의 과정을 통해 안내방송을 레코딩한다(S701).
발신 단말기(11)가 착신 단말기(12)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발신 교환기(111)가 위치등록서버(120)로 착신 단말기(12)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702).
위치등록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DB)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12)가 위치한 착신 교환기(112)를 확인하여 라우팅 리퀘스트(Routing Request)를 요청하고(S703), 착신 교환기(112)로부터 착신 단말기(12)의 라우팅 실패 이유에 따른 착신불가(Access Deny Reason)정보를 수신한다(S704). 상기 착신불가 정보는 착신 단말기(12)의 파워오프, 통화중, 통화권이탈, 음영지역, 호거부 정보 등의 착신불가 타입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위치등록서버(120)가 상기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교환기(111)로 전달하고, 발신 교환기(111)에서 상기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범용 어나운스먼트를 발신 단말기(11)로 제공하였으나, 상기 범용 어나운스먼트는 착신자의 개인적인 착신불가 이유가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위치등록서버(120)는 착신자가 부가 서비스 가입자인지 확인되면, 착신자의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착신불가 정보를 매칭하여 발신 교환기(111)로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 교환기(111)는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 및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요청을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S708).
서비스 서버(130)는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서 착신불가 이유의 어나운스먼트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안내 타입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해당하는 가입자 안내 방송을 검출하여(S709), 발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710). 발신 교환기(111)는 가입자 안내방송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응답하고(S711), 발신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착신 가입자의 가입자 어나운스먼트를 발신 단말기(11)로 송출한다.
이후에, 발신 단말기(11)의 요청에 따라 VMS(140) 등과 같은 호전환 장비에 연동되어 착신 가입자의 사서함에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한다(S712).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은 상기 도 7의 제1 실시 예와 유사하며, 다만 착신자의 개인적 착신불가 사정에 따라 안내방송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것이 다르다.
먼저, 부가 서비스에 가입된 착신 가입자가 상기 도 6의 과정을 통해 안내방송을 레코딩한다(S801).
이후에 착신 단말기(12)는 개인적인 사정에 의해 착신이 불가능할 경우 착신불가모드 활성화를 요청한다(S802). 이 때, 착신불가모드 활성화 요청은 착신 단말기(12)가 메뉴를 통해 타입 ID 및 설정시간 등을 입력 받거나, 피쳐코드를 입력 받아 간단히 요청할 수 있다.
착신 교환기(112)는 수신되는 착신불가모드 활성화 요청에 따라 가입자정보, 착신불가 타입 ID 및 설정시간 등을 포함하는 착신불가모드 활성화 요청을 위치등록서버(120)로 전송하고(S803), 이를 수신한 위치등록서버(120)는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가입여부를 확인하고 착신불가모드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안내방송 서 비스를 활성화한다(S804). 이 때, 수신된 상기 착신불가 타입 ID에 따라 가입자의 착신불가 정보가 결정된다.
한편, 발신 단말기(11)가 착신 단말기(12)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발신 교환기(111)가 위치등록서버(120)로 착신 단말기(12)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805).
위치등록서버(120)는 착신 단말기(12)의 착신불가모드 상태를 확인하고, 타입 ID에 따른 착신불가 정보를 확인한다(S806). 그리고, 착신자의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착신불가 정보를 적용하여(S807), 발신 교환기(111)로 전송한다(S808).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등록서버(120)는 착신 단말기(12)의 부가 서비스 활성화에 따른 착신불가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제1 실시 예에서의 착신 교환기(112)로의 라우팅리 퀘스트 과정(S703, S704)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S809 단계 내지 S813 단계는, 상기 도 7의 S708 단계 내지 S712 단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입자의 개인적인 착신불가 이유가 반영된 가입자 안내방송을 발신 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발신자의 반복적인 발신 시도에 따른 무선자원의 낭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입자 어나운스먼트를 통해 기존 타입의 안내방송을 가입자가 직접 입력한 멘트 또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취향에 맞게 변경하거나 추가함으로써 착신불가상황을 발신자에게 명확히 전달하고, 범용(기계적인) 안내방송과 차별화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시간 동안의 착신불가 설정을 지원하여 가입자의 스케줄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신불가 시간 동안 단말기의 전원을 켜둘 수 있으므로 통화 이외에 단말기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위치등록서버(120)가 착신 단말기(12)의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발신 교환기(111)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시에 발신 단말기(11)의 호 시도 정보를 착신 교환기(112)를 통해 착신 단말기(1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래서, 착신자는 착신불가모드 중에 자신에게 시도된 발신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 때 전송되는 발신정보는 착신 단말기(12)에서 묵음 또는 램프를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 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어나운스먼트 코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확장된 어나운스먼트 코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5)

  1.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등록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교환기로부터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모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착신불가모드가 아니면 착신 교환기로 호 접속여부를 문의하고 착신불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착신 가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상기 착신불가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착신 가입자의 개인적 이유가 반영된 착신불가 정보에 따라 등록되는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가입자별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동기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는,
    표준 어나운스먼트, 커스텀 어나운스먼트, 가입자 어나운스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모드 활성화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모드 및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를 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착신불가모드 활성화 요청은,
    가입자 정보, 착신불가 정보(타입 ID) 및 설정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기가 착신불가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상기 착신불가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발신표시정보를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8.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착신 가입자의 개인적 이유가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안내방송을 등록하고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b) 발신 교환기로부터 제1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착신불가 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안내방송을 검출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을 가입자별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관리하는 위치등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기 안내방송 설정 요청에 따른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a-2) 상기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에서 기존의 안내방송 변경 혹은 신규한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안내방송을 추가하는 단계; 및
    a-3) 상기 변경 혹은 추가한 안내방송을 상기 가입자 안내방송 목록에 업데이트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가입자의 음성멘트, 영상멘트, 유명인의 멘트, 배경음악, 배경이미지,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방송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2.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착신불가 정보를 파악하고, 착신 가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상기 착신불가 정보를 매칭하여 응답하는 위치등록서버;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상기 어나운스먼트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불가 정보에 따른 가입자안내방송을 요청하는 발신 교환기; 및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가입자 안내방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착신불가 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안내방송을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서버는,
    상기 어나운스먼트 리스트에 상기 착신불가 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어나운스먼트 코드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 및 상기 위치등록 서버와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통시부를 통해 접속되는 가입자를 인증하는 가입자 인증부;
    상기 가입자 안내방송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착신불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 가입자의 안내방송을 검출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어나운스먼트 처 리부;
    기존 타입의 안내멘트를 가입자의 취향에 맞게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가입자의 개인적인 착신불가 이유가 고려된 신규한 타입의 안내멘트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미디어 생성부;
    상기 서비스 서버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구동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가입자의 안내방송 목록을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업데이트되는 상기 안내방송 목록을 상기 위치등록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생성부는,
    상기 착신불가 타입별 안내방송을 상기 가입자의 음성멘트, 영상멘트, 유명인의 목소리, 배경음악, 링(Ring), 광고,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90046466A 2009-05-27 2009-05-27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4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466A KR101048847B1 (ko) 2009-05-27 2009-05-27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466A KR101048847B1 (ko) 2009-05-27 2009-05-27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039A true KR20100128039A (ko) 2010-12-07
KR101048847B1 KR101048847B1 (ko) 2011-07-13

Family

ID=4350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466A KR101048847B1 (ko) 2009-05-27 2009-05-27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779B1 (ko) * 2013-04-05 2014-10-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중 위젯 표시 장치 및 통화 중 위젯 표시 방법
WO2014178665A1 (ko) * 2013-05-03 2014-11-06 쉬폰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에서의 전화 수신 방법
KR101649363B1 (ko) * 2013-05-03 2016-08-18 쉬폰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에서의 전화 수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182B1 (ko) * 2005-04-13 2007-03-22 강시찬 이동통신 가입자 요청에 의한 부재중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847B1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85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network call processing
KR100630239B1 (ko) 호출자 id에 기초하는 호출 자동 응답 방법
US6597667B1 (en) Network based muting of a cellular telephone
KR20080102242A (ko)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여 존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83026B1 (ko) 가상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20080002430A (ko)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8847B1 (ko) 착신불가에 따른 가입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66859B1 (ko)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077128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for advising and placing a calling party on hold/delay until call completion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US20020077157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transceiver for advising and placing a calling party on hold/delay
KR101074057B1 (ko) 개선된 응답보류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692659B1 (ko)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링백톤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070011982A (ko) 발신번호 별 선택적 착신 전환 및 자동 연결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76228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1048846B1 (ko) 벨소리 모드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동 단말 및 그 벨소리 모드 변경 방법
KR100784217B1 (ko)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14155A (ko) 착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착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04537A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JP2000209326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H03280798A (ja) 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4009391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실시간 음성메시지 수신방법
KR20040066959A (ko) 웹 자동 응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