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597A -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 Google Patents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597A
KR20100127597A KR1020090046103A KR20090046103A KR20100127597A KR 20100127597 A KR20100127597 A KR 20100127597A KR 1020090046103 A KR1020090046103 A KR 1020090046103A KR 20090046103 A KR20090046103 A KR 20090046103A KR 20100127597 A KR20100127597 A KR 20100127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ver
rails
suppor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제섭
박상우
Original Assignee
황제섭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제섭, 박상우 filed Critical 황제섭
Priority to KR102009004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597A/ko
Publication of KR20100127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연경다리연결부(1) 및 안경다리(2)상에 구비되고, 일단부에 스프링(S)이 수용되되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되는 제1, 2지지레일(10)(10'); 상기 제1, 2지지레일(10)(10')상에 각각 설치되어 미끄럼운동되면서 스프링(S)이 수용되는 레일홈(22)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구비되어 겹쳐진 상태로 맞물려 축핀(24)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체결공(26)이 형성되는 연결판(28)이 구비되는 제1, 2덮개레일(20)(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접철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이 크게 덮개레일과 지지레일로 2종으로 구성됨에 따라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이 크게 절감되면서 조립에 따른 작업성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안경다리가 접철작동시 한 쌍의 지지레일이 동시에 이송되면서 각각의 지지레일의 작동거리가 기존에 비해 절반으로 감소됨에 따라 덮개레일 및 스프링의 축소제작이 가능하여 실테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안경테에 적용되더라도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면서 안경의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안경다리, 지지레일, 덮개레일, 스프링

Description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Double folding and binding device for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다리를 접철시 탄력성을 가지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안경다리연결부와 연결다리가 힌지로 결합되는 연결부분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안경다리가 접힌 상태 혹은 펼쳐진 상태로 위치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면서 안경을 착용시 얼굴사이즈에 따라 안경다리가 탄력적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안경용 스프링 힌지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작동시키기 위한 힌지작동체가 필히 삽입설치되어야 하므로 케이스의 사이즈가 커질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디자인이 투박하여 상품성이 크게 저하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28603호에서 레일 브라켓을 안경다리에 먼저 용접 및 은납땜으로 고정한 후, 코일스프링이 수장된 케이스를 레일 브라켓에 삽착하고 이를 경첩부와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코일스프링의 열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힌지가 필요치 않아 소 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관한 기술이 선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안경용 스프링 힌지는 경첩부의 회동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케이스와 스프링이 안경다리상에 1개소에 구비됨에 따라 경첩부의 선회작동에 대응하여 케이스의 이송폭이 확대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케이스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도 함께 길어질 수밖에 없고, 이에 케이스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증가되어 외관상 투박한 이미지가 부각되면서 안경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스프링 힌지를 구성하는 부품의 종류를 살펴보면, 코일스프링이 수장되는 케이스와, 케이스를 슬라이드이송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브라켓과, 레일브라켓과 볼트로 체결되는 경첩부로 크게 3종으로 구성되는바, 안경과 같이 간단한 물품에 있어 부품이 2종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부담으로 제조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시장경쟁력을 상실하고, 또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첩부상에서 안경다리를 탄력적으로 선회되도록 지지하는 접철장치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실테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안경테에 적용되어 미려한 이미지를 제공하고, 또 구성부품의 종류를 줄여 조립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하기 위한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연경다리연결부(1) 및 안경다리(2)상에 구비되고, 일단부에 스프링(S)이 수용되되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되는 제1, 2지지레일(10)(10'); 상기 제1, 2지지레일(10)(10')상에 각각 설치되어 미끄럼운동되면서 스프링(S)이 수용되는 레일홈(22)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구비되어 겹쳐진 상태로 맞물려 축핀(24)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체결공(26)이 형성되는 연결판(28)이 구비되는 제1, 2덮개레일(20)(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2지지레일(10)(10')과 레일홈(22)은 음양각구조로 형성된 안내홈/턱(10a)(22a)을 통하여 서로 맞물려 미끄럼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28)은 단부에 밀편(28a)이 구비되는 주판(28A)과 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보조판(28B)이 1조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고, 제1덮개레일(20)에 형성되는 주판(28A)은 제2지지레일(10')의 단부와 면접되도록 위치되며, 제2덮개레일(10')의 주판(28A)은 제1지지레일(10)의 단부와 면접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접철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이 크게 덮개레일과 지지레일로 2종으로 구성됨에 따라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이 크게 절감되면서 조립에 따른 작업성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안경다리가 접철작동시 한 쌍의 지지레일이 동시에 이송되면서 각각의 지지레일의 작동거리가 기존에 비해 절반으 로 감소됨에 따라 덮개레일 및 스프링의 축소제작이 가능하여 실테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안경테에 적용되더라도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면서 안경의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는 실테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안경테에 적용되어 미려한 이미지를 제공하고, 부품 종류를 줄여 제조원가 절감 및 조립에 따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제1, 2지지레일(10)(10'), 제1, 2덮개레일(20)(20') 등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2지지레일(10)(10')은 연경다리연결부(1) 및 안경다리(2)상에 구비되고, 일단부에 스프링(S)이 수용되되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제1, 2지지레일(10)(1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경다리연결부(1) 및 안경다리(2)상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분할제작되어 용접고정되며, 도 2와 같이 서로 어긋한 위치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후술하는 제1, 2덮개레일(20)(20')을 미끄 럼운동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 2지지레일(10)(10')은 일단부에 스프링(S)이 일부 수용되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되고, 다른 단부는 제1, 2덮개레일(20)(20')의 주판(28A)과 안정적으로 면접되도록 광폭으로 확장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2덮개레일(20)(20')는 제1, 2지지레일(10)(10')상에 각각 설치되어 미끄럼운동되면서 스프링(S)이 수용되는 레일홈(22)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구비되어 겹쳐진 상태로 맞물려 축핀(24)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체결공(26)이 형성되는 연결판(28)이 구비된다. 제1, 2덮개레일(20)(2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형성된 레일홈(22)을 통하여 제1, 2지지레일(10)(10')상에서 미끄럼운동되도록 설치되되, 이때 제1, 2지지레일(10)(10')과 레일홈(22)은 음양각구조로 형성된 안내홈/턱(10a)(22a)을 통하여 서로 맞물려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는 중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된다.
여기서, 제1, 2덮개레일(20)(20')는 제1, 2지지레일(10)(10')상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축핀(24)으로 서로 연결되는바, 즉 제1덮개레일(20)는 제1지지레일(10)상에서 미끄럼운동되도록 설치되고, 제2덮개레일(20')는 제2지지레일(10')상에서 미끄럼 운동되도록 설치하며, 제1, 2덮개레일(20)(20')의 연결판(28)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하여 각각의 체결공(26)을 동축상에 일치시킨 상태로 축핀(24)을 삽입하여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연결판(28)은 단부에 밀편(28a)이 구비되는 주판(28A)과 단부가 반구 형으로 형성되는 보조판(28B)이 1조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고, 제1덮개레일(20)에 형성되는 주판(28A)은 제2지지레일(10')의 단부와 면접되도록 위치되며, 제2덮개레일(10')의 주판(28A)은 제1지지레일(10)의 단부와 면접되도록 위치된다.
즉, 제1덮개레일(10)상에 형성되는 주판(28A)과 보조판(28B)이 제2덮개레일상에 구비되는 주판(28A)과 보조판(28B)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축핀(24)에 의해 연결되고, 이때 주판(28A)은 제1, 2덮개레일(20)(20')이 선회시 제1, 2지지레일(10)(10')상에 가압되도록 밀편(28a)이 구비된다.
여기서, 밀편(28a)은 도 4에서 처럼 주판(28A)의 선단부가 "ㄱ"자의 형상으로 각지게 돌출형성되고, 안경다리(2)를 접철시 축핀(24)을 중심으로 제1, 2덮개레일(20)(20')이 선회되면 도 4에서처럼 밀편(28a)이 제1, 2지지레일(10)(10')의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제1, 2덮개레일(20)(20')상에서 제1, 2지지레일(10)(10')이 밀리면서 스프링(S)이 압축되고,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제1, 2지지레일(10)(10')이 제자리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안경다리(2)가 접힌 상태 혹은 펼쳐진 상태로 위치가 유지된다.
조립상에 있어서, 연경다리연결부(1) 및 안경다리(2)상에 제1, 2지지레일(10)(10')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고정하고, 제1, 2지지레일(10)(10')의 삽입홈(12)상에 스프링(S)을 삽입한다. 이어서 제1, 2덮개레일(20)(20')의 레일홈(22)을 통하여 제1, 2지지레일(10)(10')상에 삽입설치 후, 연결판(28)을 축핀(24)으로 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처럼 접철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이 2종류(예컨대, 지지레일, 덮개레일)로 구비되어 제조원가 절감 및 조립시 작업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상에 있어서, 안경다리(2)가 접철작동시 제1, 2덮개레일(20)(20')가 축핀(24)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주판(28A)의 밀편(28a)이 제1, 2지지레일(10)(10')의 단부를 가압하면 제1, 2지지레일(10)(10')이 제1, 2덮개레일(20)(20')상에서 이송되면서 스프링(S)이 압축되고,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제1, 2덮개레일(20)(20')가 제자리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안경다리(2)가 접철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때, 제1, 2지지레일(10)(10')이 안경다리가 접철작동되는 중에 제1, 2덮개레일(20)(20')상에서 동시에 이송되므로 각각의 제1, 2지지레일(10)(10')이 이송되는 거리가 절반으로 축소되는바, 일예로서 종래에 1개소에 구비되는 레일브라켓이 안경다리가 접철작동시 1mm의정도의 이송거리를 가지는데 반해, 본 발명은 각각의 제1, 2지지레일(10)(10')이 0.5mm씩 이송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제1, 2덮개레일(20)(20') 및 스프링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여 실테와 같은 작은사이즈의 안경테에 적용되더라도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Claims (3)

  1. 연경다리연결부(1) 및 안경다리(2)상에 구비되고, 일단부에 스프링(S)이 수용되되도록 삽입홈(12)이 형성되는 제1, 2지지레일(10)(10');
    상기 제1, 2지지레일(10)(10')상에 각각 설치되어 미끄럼운동되면서 스프링(S)이 수용되는 레일홈(22)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구비되어 겹쳐진 상태로 맞물려 축핀(24)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체결공(26)이 형성되는 연결판(28)이 구비되는 제1, 2덮개레일(20)(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지지레일(10)(10')과 레일홈(22)은 음양각구조로 형성된 안내홈/턱(10a)(22a)을 통하여 서로 맞물려 미끄럼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28)은 단부에 밀편(28a)이 구비되는 주판(28A)과 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보조판(28B)이 1조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고, 제1덮개레일(20)에 형성되는 주판(28A)은 제2지지레일(10')의 단부와 면접되도록 위치되며, 제2덮개레일(10')의 주판(28A)은 제1지지레일(10)의 단부와 면접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KR1020090046103A 2009-05-26 2009-05-26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KR20100127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03A KR20100127597A (ko) 2009-05-26 2009-05-26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03A KR20100127597A (ko) 2009-05-26 2009-05-26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97A true KR20100127597A (ko) 2010-12-06

Family

ID=4350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103A KR20100127597A (ko) 2009-05-26 2009-05-26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5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9002716A (es) Bisagra universal mecanica.
EP2120087B1 (en) Elastic miniaturized hinge for flex temple
KR100951114B1 (ko) 접철 안경용 슬라이더
KR20090125275A (ko) 안경테
CN111796435A (zh) 应用于眼镜的新型眼镜脚组件
US5627608A (en) Spectacle frame having resilient legs
ATE385323T1 (de) Einbauscharnier um brillenbügel elastisch zu machen
KR20100127597A (ko) 안경용 이중 접철장치
KR20090028603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JP3188168U (ja) 眼鏡フレーム
KR101149618B1 (ko) 안경다리의 탄성 구조
JP2012141359A (ja) 眼鏡フレーム
KR10147704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467457Y1 (ko) 안경다리 탄성구조
CN219225225U (zh) 一种眼镜镜腿无铰链弹性定位结构
CN220691210U (zh) 眼镜弹簧铰链
KR200276602Y1 (ko) 안경의 힌지 구조
CN217902190U (zh) 一种转轴组件及眼镜
CN212302132U (zh) 应用于眼镜的新型眼镜脚组件
CN218068481U (zh) 一种外扩式弹力结构及其眼镜框
CN201837792U (zh) 一种可快速拆解式框架眼镜
JP2013148826A (ja) 眼鏡のテンプル連結構造
CN215642106U (zh) 一种带有弹片结构的镜架
CN219245877U (zh) 一种弹性铰链眼镜
CN211905895U (zh) 一种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