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584A -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584A
KR20100127584A KR1020090046085A KR20090046085A KR20100127584A KR 20100127584 A KR20100127584 A KR 20100127584A KR 1020090046085 A KR1020090046085 A KR 1020090046085A KR 20090046085 A KR20090046085 A KR 20090046085A KR 20100127584 A KR20100127584 A KR 20100127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tergent
washing liquid
raw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케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케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케이텍
Priority to KR102009004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584A/ko
Publication of KR2010012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9Metering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및 식용재료를 세척하는 장치에 세척물의 종류에 따라서 세척액양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투입토록 함으로써 사용시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수 공급용 파이프 중간에 설치되어 원수 공급용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조절하기 위한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의 유량을 체크하는 유량 센서부와; 세정제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액상의 세정제를 담을 수 있도록 직육면체 또는 다각형 형태의 용기로 이루어지는 세정제 저장통과; 상기 유량 센서부와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세정제 이송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유량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세정제 이송펌프를 작동시켜 세정제가 혼합된 상태로 혼합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세정제 수위가 기준이하이면 경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Figure P1020090046085
식기,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 자동공급방법

Description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 및 방법{A Automatic Supply Unit for Tablewar Wash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기 및 식용재료를 세척하는 장치에 세척물의 종류에 따라서 세척액양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투입토록 함으로써 사용시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의 업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식기세척기는 세척실 바닥의 중앙과 그 상부에는 회전식 세척노즐과 헹굼노즐을 설치하고, 그러한 세척실의 바닥 일측에는 음식찌꺼기의 걸름망 덮개가 복개되는 세척수탱크를 본체의 내부 하단에 위치되게 내장형으로 설치하며, 상기 세척수탱크외에 그 세척수탱크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세척노즐로 공급하는 세척수모터와 세척기의 동작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탱크 내부에는 대부분 온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외에 채워진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정해진 높이 이상으로 수위가 차면 세척수를 자동으로 퇴수시키면서 세척수를 완전 퇴수시킬 때 사용하는 퇴수봉, 세제투입구등 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척기의 일측에는 애벌 세척을 겸한 불림수조가 구비된 상태에서 식기가 담긴 랙을 세척실로 공급하는 싱크대를 설치되고, 세척실의 타측에는 세척실에서 그릇의 세척이 완료된 랙을 받아주기 위한 작업대가 설치되어 식당 등의 요식업소나 회사내의 구내식당 등에서 사용하는 하나의 업소용 식기세척기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러한 업소용 식기세척기는 대부분 식사 종료 후 나온 빈 그릇들을 랙에 담아 세척실로 보내기 전에 먼저 싱크대의 불림수조에 채워져 있는 물에 담궈 식기에 묻어있는 오물이 불어나도록 한 후 대충 애벌 세척을 하고 랙에 담아 세척기 본체의 세척실 내부에 투입하고 있다.
그리고, 세척기 본체의 세척수 탱크에 세척수(온수)가 채워지면 그 세척수에는 세제를 적정량 투입한 다음 그 세제가 섞인 세척수를 세척수 모터로 펌핑하여 세척실 내의 상하 세척노즐로 분사되게 하여 세척실 내부에 놓인 랙의 식기들에 묻어 있는 오물들을 딱고 있다.
또한, 상기 세척실에서 세척노즐로 분사되어 식기들을 세척한 세척수는 세척실 바닥으로 떨어진 후 세척수 탱크 상단의 걸름망을 통해 이물질들이 걸러진 상태에서 세척수 탱크로 복귀되어 재 순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세척공정이 종료되면 별도의 헹굼수탱크에 있는 깨끗한 헹굼수가 헹굼노즐로 분사되어 랙의 그릇들을 헹구어준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자외선 살균과정등을 거치게 된다.
한편, 학교 급식 등 대규모 급식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식기를 비롯하여 과 일을 세척수로 행구는 작업을 진행한다.
그런데, 상기 식기 또는 과일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제 투입량을 작업자가 임의로 선택하기 때문에 적정량의 세제 투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과다한 양의 세제를 투입함으로서 식기나 과일에 남아 있는 세제의 완전한 제거가 어렵게 되고, 아울러 재순환 과정에서 과다한 세제가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하는 관계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즉, 종래에는 수조에 미리 물을 받아 놓은 상태에서 세정제를 투입하기 때문에 수조에 담겨있는 물의 양을 알아 내기가 어렵고 또한 그 물의 양을 알더라도 비율에 맞추어 세정제를 투입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결국, 종래에 식기나 과일을 세척하기 위해서 수조에 물을 받아 놓고 세정제를 투입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세정제를 투입시키기 때문에 적정한 권장량으로 세정제를 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였고, 이에 따라 기준보다 과다한 세정제를 투입하거나 기준보다 미약한 세정제를 투입하여 제대로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세척물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지정된 농도로 세척액을 자동으로 제공토록하여 물의 양에 상관없이 세척하기에 가장 적당한 세척액 농도로 식기 및 과일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원수 공급용 파이프 중간에 설치되어 원수 공급용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냉수 및 온수의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의 유량을 체크하는 것으로 원수가 통과되는 원수 공급용 파이프의 구경과 물의 흐름을 조합하여 순간 물의 이동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 센서부와; 세정제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액상의 세정제를 담을 수 있도록 직육면체 또는 다각형 형태의 용기로 이루어지는 세정제 저장통과; 세정제 저장통의 내측에 설치되며 세정제의 잔존량을 체크하여 일정 기준이하로 세정제의 양이 떨어지면 경보를 행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세정제 수위감지센서와; 세정제 이송 파이프 중간에 설치되어 세정제 저장통에 담겨있는 세정제를 펌핑하여 이송하는 세정제 이송펌프와; 2개의 입력관과 1개의 출력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입력관에는 원수 이송파이프 및 세정제 이송 파이프가 결합되며 1개의 출력관은 수조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혼합기와; 상기 유량센서와 수위감지 센서와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세정제 이송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유량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세정제 이송펌프를 작동시켜 세정제가 혼합된 상태로 혼합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세정제 수위가 기준 이하이면 경보하는 제어부 및; 원수와 세정제의 혼합비율을 제어부에 미리 메모리 시키거나 수동으로 원수와 세정제의 혼합비율을 제어부에 입력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세정제 이송펌프를 동시에 작동시켜 물과 세정제를 혼합한 상태로 출력하고, 이후 세정제 이송펌프 작동을 중단하고 물만을 일정시간 공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원수 대비 세척액 비율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원수 대비 세척액 비율 사용자 입력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사용자가 미리 지정하여 메모리시킨 내용에 따라서 버튼을 누르는 버튼 누름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사용자가 세척 버튼을 누르면 원수 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원수를 공급하고 이때 원수의 유량을 유량감지 센서로 센싱하여 유량에 따라 미리 지정한 농도대로 세척액을 펌핑하는 원수 및 세척액 공급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세척액의 수위를 감지하여 기준 이하이면 경고하는 단계와; 혼합기에서 원수와 세척액을 혼합하여 수조로 공급하는 혼합액 출력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원수 및 세척액 공급단계는,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세정제 이송펌프를 동시에 작동시켜 물과 세정제를 혼합한 상태로 출력하고, 이후 세정제 이송펌프 작동을 중단하고 물만을 일정시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물의 종류에 따라서 세척액을 적정량 자동으로 제공토록하여 세척하기에 가장 적당한 세척액 농도로 식기 및 과일등을 세척하기 때문에 세척액의 농도를 맞추기 위한 별도의 수고로움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부 외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크게 구분하면 원수 공급용 파이프(10)와,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0)와, 유량 센서부(30)와, 세정제 저장통(40)과, 세정제 수위감지센서(50)와, 세정제 이송펌프(60)와, 세정제 이송용 파이프(70)와, 혼합기(80)와, 출력관(90)과, 제어부(100)와, 사용자 입력부(110) 및, 수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0)는 원수 공급용 파이프(10)의 중간에 설치되어 원수 공급용 파이프(1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냉수 및 온수의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유량 센서부(30)는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0)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의 유량을 체크하는 것으로 원수가 통과되는 원수 공급용 파이프(10)의 구경과 물의 흐름을 조합하여 순간 물의 이동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유량 센서부(30)의 체크 결과에 따라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저장통(40)은 세정제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액상의 세정제를 담을 수 있도록 직육면체 또는 다각형 형태의 용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제 수위감지센서(50)는 세정제 저장통(40)의 내측에 설치되며 세정제의 잔존량을 체크하여 일정 기준이하로 세정제의 양이 떨어지면 경보를 행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세정제 이송펌프(60)는 세정제 이송 파이프 중간에 설치되어 세정제 저장통에 담겨있는 세정제를 펌핑하여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물의 공급량과 비례하여 세정제를 펌핑시킨다.
상기 혼합기(80)는 2개의 입력관과 1개의 출력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입력관에는 원수 공급용 파이프(10) 및 세정제 이송 파이프(70)가 결합되며 1개의 출력관(90)은 수조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수 공급용 파이프(10)에 의해서 이송된 원수와 세정제 이송 파이프(70)에 의해서 이송된 세정제를 적절하게 혼합시켜 수조로 보낸다.
상기 제어부(100)는 유량 센서부(30)와 세정제 수위감지 센서(50)와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0) 및 세정제 이송펌프(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유량센서부(30)를 통해 입력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세정제 이송펌프(60)를 작동시켜 적정량의 세정제가 혼합되도록 제어하고, 세정제 수위가 기준이하이면 경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세정제 이송펌프를 동시에 작동시켜 물과 세정제를 혼합한 상태로 출력하고, 이후 세정제 이송펌프 작동을 중단하고 물만을 일정시간 공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배관내 세정제 잔존으로 인한 부식 방지를 위해서 작동 초기에는 물공급과 동시에 세정제가 투입되도록 하고, 원하는 양의 물이 수조에 차 오르면 마지막에는 세정제 이송펌프의 작동을 중단하고 물만을 공급하여 혼합기 및 출력관에 남아 있는 세정제를 원수로 세척토록 함으로서 세정제가 잔존하여 혼합기 및 출력관이 부식되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물론, 세정제를 투입하지 않고 원수만을 투입하는 것은 기본 기능에 속하며, 원수 제공 버튼을 설치하여, 상기 버튼을 누르면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작동시켜 세정제는 투입하지 않고 원수만을 공급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원수와 세정제의 혼합비율을 미리 설정하여 메모리시키는 구성수단으로서 예컨대 식기의 경우 1000:1의 혼합비율을 설정하고, 과일의 경우 500:1로 혼합비율을 설정하며, 다수개의 기능버튼에 메모리하여 식기의 경우 식기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1000:1로 원수와 세정제가 혼합되도록 제어하고, 과일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500:1로 원수와 세정제가 혼합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에 식기나 과일 등과 같이 자주 사용되는 세척 내용물을 저장한다. 예컨대 식기의 경우 원수와 세정제를 1000:1의 혼합비율을 설정하고, 과일의 경우 원수와 세정제를 500:1의 혼합비율로 설정한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버튼을 구비하여 세척 내용물에 따라서 보다 더 많이 원수와 세정제의 혼합비율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비율은 제작회사에서 미리 메모리하여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쉽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아니면 미리 메모리된 정보를 토대로 스위치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는 원수 공급용 파이프(10)에 설치된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0)를 오픈시켜 원수를 이송시킨다.
이때 유량 센서부(30)에서 원수의 투입양을 센싱하며,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원수의 흐름을 파악하여 원수의 양에 맞는 세정제를 투입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00)는 세정제 이송펌프(60)를 작동시켜 세정제를 펌핑시키되 세척 내용물에 따른 혼합비율에 맞추어서 적정량의 세정제를 펌핑시킨다. 예컨데 식기 세척의 경우 1000:1로 원수 대비 세정제의 혼합비율을 설정하였다면 원수의 흐름에 상응하여 1000:1의 비율로 공급되도록 세정제의 펌핑속도를 조절하고, 과일 세척의 경우 500:1의 원수 대비 세정제의 혼합비율을 설정하였다면 원수의 흐름에 상응하여 500:1의 비율로 공급되도록 세정제의 펌핑속도를 조절한다.
즉, 과일 세척과 같이 원수 대비 세정제의 혼합비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보다 많은 세정제가 공급되도록 세정제 이송펌프(60)의 펌핑 속도를 높이고, 식기 세척과 같이 원수 대비 세정제의 혼합비율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보다 적은 세정제가 공급되도록 세정제 이송펌프(60)의 펌핑속도를 낮춘다.
상기와 같이 미리 프로그램된 내용대로 원수 대비 세정제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혼합기에서 원수와 세정제가 혼합된 상태로 수조로 이송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로 원수 대비 세정제의 혼합비율을 신경쓰지 않고 세척 내용물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원하는 양만큼의 원수가 공급되면 이에 합당하게 세정제가 공급되기 때문에 항상 갖는 농도의 세정제가 투입되어 기준보다 넘치는 과다한 세정제 투입이나 기준에 못미치는 세정제의 투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수조에 미리 물을 받아놓은 상태에서 세정제를 수동으로 투입 하였기 때문에 수조에 있는 물의 양을 정확히 알아 내기도 어렵고 또한 수조에 있는 물에 대비하여 세정제의 적절한 투입량을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수조에 있는 물의 양을 파악할 필요도 없이 항상 원하는 농도로 세정제가 투입되어 있어 과다한 세정제 투입에 대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플로우 챠트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 세척액 비율 사용자 입력단계(S10)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원수 대비 세척액 비율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계로 예컨대 식기의 경우 원수 대비 세척액 비율을 1000:1로 지정하고 과일의 경우 원수 대비 세척액 비율을 500:1로 지정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며, 제어부에서는 각각의 버튼과 메모리 내용을 일치시킨다.
제 2 단계; 세척 내용물 버튼 입력단계(S20)
상기 제 1 단계에서 사용자가 미리 지정하여 메모리시킨 내용에 따라서 버튼을 누르는바, 식기 세척이면 식기 세척 버튼을 누르고, 과일 세척이면 과일 버튼을 누른다.
제 3 단계; 원수 및 세척액 공급단계(S30)
상기 제 2 단계에서 사용자가 세척 버튼을 누르면 원수 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원수를 공급하고 이때 원수의 유량을 유량감지 센서로 센싱하여 유량에 따라 미리 지정한 농도대로 세척액을 펌핑한다.
상기 원수 및 세척액 공급단계(S30)는,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세정제 이송펌프를 동시에 작동시켜 물과 세정제를 혼합한 상태로 출력하고, 이후 세정제 이송펌프 작동을 중단하고 물만을 일정시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혼합기 및 출력배관에 세정제가 남아 있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지막 순간에는 세정제를 투입하지 않고 원수만을 투입시키는 것이다.
제 4 단계; 세척액 경고 단계(S40)
상기 단계에서 세척액의 수위를 감지하여 기준 이하이면 경고하는 단계(S40)와;
제 5 단계; 혼합액 출력단계(S50)
혼합기에서 원수와 세척액을 혼합하여 수조로 공급한다. 따라서 항상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수조에 혼합액이 공급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의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부 외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원수 공급용 파이프
20: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30: 유량 센서부
40: 세정제 저장통
50: 세정제 수위감지센서
60: 세정제 이송펌프
70: 세정제 이송용 파이프
80: 혼합기
90:출력관
100: 제어부
110: 사용자 입력부
120: 수조

Claims (4)

  1. 원수 공급용 파이프 중간에 설치되어 원수 공급용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냉수 및 온수의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20)와;
    상기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의 유량을 체크하는 것으로 원수가 통과되는 원수 공급용 파이프의 구경과 물의 흐름을 조합하여 순간 물의 이동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 센서부(30)와;
    세정제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액상의 세정제를 담을 수 있도록 직육면체 또는 다각형 형태의 용기로 이루어지는 세정제 저장통(40)과;
    세정제 저장통의 내측에 설치되며 세정제의 잔존량을 체크하여 일정 기준이하로 세정제의 양이 떨어지면 경보를 행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세정제 수위감지센서(50)와;
    세정제 이송 파이프 중간에 설치되어 세정제 저장통에 담겨있는 세정제를 펌핑하여 이송하는 세정제 이송펌프(60)와;
    2개의 입력관과 1개의 출력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입력관에는 원수 이송파이프 및 세정제 이송 파이프가 결합되며 1개의 출력관은 수조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혼합기(80)와;
    상기 유량 센서부와 수위감지 센서와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세 정제 이송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유량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세정제 이송펌프를 작동시켜 세정제가 혼합된 상태로 혼합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세정제 수위가 기준이하이면 경보하는 제어부(100) 및;
    원수와 세정제의 혼합비율을 제어부에 미리 메모리 시키거나 수동으로 원수와 세정제의 혼합비율을 제어부에 입력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세정제 이송펌프를 동시에 작동시켜 물과 세정제를 혼합한 상태로 출력하고, 이후 세정제 이송펌프 작동을 중단하고 물만을 일정시간 공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
  3.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원수 대비 세척액 비율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원수 대비 세척액 비율 사용자 입력단계(S10)와;
    상기 단계에서 사용자가 미리 지정하여 메모리시킨 내용에 따라서 버튼을 누르는 버튼 누름단계(S20)와;
    상기 단계에서 사용자가 세척 버튼을 누르면 원수 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원수를 공급하고 이때 원수의 유량을 유량감지 센서로 센싱하여 유량에 따라 미리 지정한 농도대로 세척액을 펌핑하는 원수 및 세척액 공급단계(S30)와;
    상기 단계에서 세척액의 수위를 감지하여 기준 이하이면 경고하는 단계(S40)와;
    혼합기에서 원수와 세척액을 혼합하여 수조로 공급하는 혼합액 출력단계(S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및 세척액 공급단계(S30)는,
    물공급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세정제 이송펌프를 동시에 작동시켜 물과 세정제를 혼합한 상태로 출력하고, 이후 세정제 이송펌프 작동을 중단하고 물만을 일정시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방법.
KR1020090046085A 2009-05-26 2009-05-26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방법 KR20100127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85A KR20100127584A (ko) 2009-05-26 2009-05-26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85A KR20100127584A (ko) 2009-05-26 2009-05-26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84A true KR20100127584A (ko) 2010-12-06

Family

ID=4350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085A KR20100127584A (ko) 2009-05-26 2009-05-26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5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7479A (zh) * 2011-07-19 2012-02-22 廖启明 应用于线路板生产的环保节水处理系统、装置及处理方法
KR20220037298A (ko) * 2020-09-17 2022-03-24 (주)자숨 도어형 식기 세척기의 세정제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7479A (zh) * 2011-07-19 2012-02-22 廖启明 应用于线路板生产的环保节水处理系统、装置及处理方法
KR20220037298A (ko) * 2020-09-17 2022-03-24 (주)자숨 도어형 식기 세척기의 세정제 자동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7558A (en) Method for rinsing and chemically sanitizing food ware items
KR102049943B1 (ko) 자동 세정 방법 및 장치
US10905306B2 (en) Dish washing machine
EP0262932B1 (en) Sink located dishwashers
US8202373B2 (en) Auxiliary rinse phase in a wash machine
EP2843101B1 (en)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e-scaling apparatus
US20110214702A1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RU274673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CN108113608A (zh) 被设计为批量洗碗机的商用用具清洗机或洗碗机的形式的洗碗机
US10117561B2 (en) Dishwasher comprising a cleaning system for a liquid/gel detergent dosing unit and a receptacle unit
JP2004154576A (ja) 物品洗浄器の洗浄サイクルを制御して水位を検出して物品洗浄器の化学薬品送りラインを装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1213681B2 (en) Intelligent wash period with unload/load alert and idle mode, system and methods for washing machine
US201200972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are Washing
US9596973B2 (en) Auxiliary gray water source device for commercial kitchens
US9277849B2 (en) Combination dishwashing machine and sink
KR20100127584A (ko) 식기 및 식용재료 세척액 자동공급장치방법
CN102225017B (zh) 小型家用多功能洗碗机
KR20030080961A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시스템
AU2012326378B2 (en) Ware washer with at least one washing system realized as a recirculating circuit
US8337631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KR20150061217A (ko) 세척통과 헹굼통의 급수 충전시간과 히터 가열시간을 단축시키는 급수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
JP2004298621A (ja) 洗浄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洗浄装置
CN202801527U (zh) 一种吸水循环喷谢清洁洗碗机
JP7344042B2 (ja) 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JPS6335221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006

Effective date: 2011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