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499A -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499A
KR20100126499A KR1020107022830A KR20107022830A KR20100126499A KR 20100126499 A KR20100126499 A KR 20100126499A KR 1020107022830 A KR1020107022830 A KR 1020107022830A KR 20107022830 A KR20107022830 A KR 20107022830A KR 20100126499 A KR20100126499 A KR 20100126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tionic
composition
alkyl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558B1 (ko
Inventor
아피루디 추초티로스
콜린 크리스토퍼 데이비드 자일즈
아누차이 신사와트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6188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12649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0012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 계면활성제, 및 70℃를 초과하는 융점을 갖는 미립자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컨디셔닝 겔 그물구조를 포함하는 수성 컨디셔닝 샴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본 발명은 개선된 안정성을 갖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겔 그물구조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결정성 물질에 의해 구조화된 오일 상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들 겔 그물구조는 샴푸와 같은 세정 조성물에서 컨디셔닝의 효과를 제공하도록 수성 세정 상에 분산되어 있다. 그러한 개시의 전형적인 것은 WO 2007/040571(P&G)이며, 이는 (a) 샴푸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약 5% 내지 약 50%의 1종 이상의 세제 계면활성제; (b) 샴푸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i) 적어도 약 0.05%의 1종 이상의 지방 양친매성 물질; (ii) 적어도 약 0.01%의 1종 이상의 제2 계면활성제; 및 (iii) 물을 포함하는 분산된 겔 그물구조 상; 및 (c) 샴푸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약 20%의 수성 담체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 기술은 더 안정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남는다.
따라서, 첫 번째 국면에서, 본 발명은 세정 계면활성제, 및 70℃를 초과하는 융점을 갖는 미립자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컨디셔닝 겔 그물구조를 포함하는 수성 컨디셔닝 샴푸를 제공한다.
추가의 국면에서, 본 발명은 세정 계면활성제, 및 70℃를 초과하는 융점을 갖는 미립자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조화된 컨디셔닝 겔 상을 포함하는 수성 컨디셔닝 샴푸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립자를 포함하는 컨디셔닝 겔 상 또는 겔 그물구조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의 존재 하에 더욱 안정함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바람직한 미립자는 75℃를 초과하는 융점을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립자는 작은 판의 형태학을 갖는다. 별법으로, 상기 미립자는 소수성이다. 바람직한 미립자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클레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선택은 왁스를 포함한다.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0.01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이다.
겔 그물구조는 물의 존재 하에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의 융점 위의 온도에서 성분들을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물에서 용융시키고, 그 후 미립자 물질을 가한다. 더욱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서,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물질을 가한 후, 4차 암모늄 화합물을 또한 가한다. 액정 상의 작은 방울들의 분산이 전형적으로 생성된다. 실제로, 겔 그물구조가 또 하나의 성분: 물을 갖는 것이 실현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겔 그물구조는 25℃에서 Lβ 라멜라 상 분산액을 포함한다.
겔 그물구조가 또한 4차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입자는 또한 상기 성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고체 입자는 무기 코어를 갖지만, 이들은 유기 기로 표면-개질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자들은 작은 판의 형태학을 갖거나 소수성이다.
"작은 판의 형태학"은 입자들이 "판-같은" 모양을 가짐을 의미하며, 즉 그들의 두 수직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 3의 수직 방향에서 그들의 길이보다 상당히 더 크다. 전형적으로, 상기 입자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그들의 깊이보다 적어도 10배 더 큰 길이와 폭을 갖는다; 여기에서 "길이", "폭" 및 "깊이"는 3 개의 수직 방향을 표시한다.
작은 판의 형태학을 갖는 적합한 입자는 층상 구조를 갖는 클레이이다. 상기 클레이는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일 수 있고, 즉, 이들은 클레이의 표면 위에 각각 - 또는 +의 총 전하를 가질 수 있다.
작은 판의 형태학을 갖는 바람직한 입자는 스멕타이트 클레이와 같은 음이온성 클레이이다.
전형적인 스멕타이트 클레이는 화학식 Al2(Si2O5)2(OH)2.nH2O를 갖는 화합물 및 화학식 Mg3(Si2O5)2(OH)2.nH2O를 갖는 화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여기에서 알루미늄 이온의 비율은 마그네슘 이온으로 대체되거나 마그네슘 이온의 비율이 리튬 이온으로 대체되고/되거나 히드록실 이온의 일부가 플루오르화 이온으로 대체되고; 상기 유도체는 총 전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추가의 금속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스멕타이트 클레이의 구체적인 예는 몬모릴로나이트, 볼콘스코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및 사우코나이트, 특히 결정 격자 구조 내에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을 갖는 것들이다. 바람직한 스멕타이트 클레이는 몬모릴로나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베이델라이트, 사우코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몬모릴로나이트,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및 헥토라이트이며, 벤토나이트가 특별히 바람직하다.
작은 판의 형태학을 갖는 특히 바람직한 입자는 소수성-개질된 음이온성 클레이; 특히 소수성-개질된 벤토나이트 클레이이다.
소수성-개질된 클레이는 전형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클레이의 무기 금속 이온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는 유기 양이온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의 바람직한 유기 양이온은 하나 이상의 C6-C30 알킬 기를 포함한다. 양이온성 기는 바람직하게는 4차 암모늄 기이다. 특히 바람직한 유기 양이온은 2 개의 C6-C30 알킬 기를 가지며, 예를 들면: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디세틸디메틸암모늄;
디메틸디(수소화 우지)암모늄;
디세틸메틸벤질암모늄;
디코코디메틸암모늄;
디베헤닐/디아라키딜디메틸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비스-스테아릴암모늄;
디베헤닐디메틸암모늄;
디베헤닐메틸벤질암모늄; 및
디미리스틸디메틸암모늄이다.
작은 판의 형태학을 갖는 특히 바람직한 미립자 물질은 쿼터늄-18 벤토나이트, 즉 디메틸디(수소화 우지)암모늄 양이온)에 의해 소수성-개질된 벤토나이트 및 2 개의 식물-유래 지방 사슬을 갖는 유사 물질인 쿼터늄-90 벤토나이트이다. 그러한 클레이의 예는 쉬드 케미(Sud Chemie)의 제품인 틱소겔 (Tixogel) MP 100™ 및 틱소겔 MP 100V™이다. 다른 유사한 물질은 쿼터늄 벤잘코늄 벤토나이트, 쿼터늄-18 헥토라이트, 스테아르알코늄 벤토나이트, 스테아르알코늄 헥토라이트 및 디수소화 우지 벤질모늄 헥토라이트를 포함한다.
작은 판의 형태학을 갖는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적어도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가,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공기 체와 같은, 90 마이크로미터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다.
입자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0.00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이다.
작은 판의 형태학을 갖는 입자 대 지방 에스테르의 중량 비는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10이다.
길이 C12-C30의 적어도 하나의 탄소 사슬을 갖는 4차 암모늄 화합물이 겔 그물구조의 바람직한 성분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4차 암모늄 화합물은 길이 C12-C30의 단 하나의 탄소 사슬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길이 C12-C30의 하나의 탄소 사슬은 직쇄의 (즉, 분지가 없는) 탄화수소 사슬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C12-C30의 하나의 탄소 사슬은 포화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C12-C30의 하나의 탄소 사슬은 C12-C22의 사슬 길이를 갖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는 사슬 길이 C16-C22의 것이다. 길이 C12-C30의 하나의 탄소 사슬은, 겔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겔 그물구조에 역시 존재하는 C12-C22 지방 알코올의 평균 사슬 길이의 4 개 탄소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2 개 탄소 원자 이내의 평균 사슬 길이의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길이 C12-C30의 탄소 사슬을 갖는 4차 암모늄 화합물은 4차 질소 원자에 부착된 3 개의 다른 탄소-함유 치환체를 갖는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C1-C4 알킬 기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및/또는 에틸 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메틸 기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C12-C30의 탄소 사슬을 갖는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이다.
존재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길이 C12-C30의 탄소 사슬을 갖는 4차 암모늄 화합물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0.00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이다.
적어도 하나의 길이 C12-C30의 탄소 사슬을 갖는 4차 암모늄 화합물 대 작은 판의 형태학을 갖는 입자의 중량 비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1,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1,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1이다.
적어도 하나의 길이 C12-C30의 탄소 사슬을 갖는 4차 암모늄 화합물 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의 몰 비는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5:1,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2,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10이다. 상기 몰 비는, 4차 암모늄 화합물이 단 하나의 길이 C12-C30의 탄소 사슬을 갖는 경우에 특별히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샴푸 조성물을 위한 바람직한 점도는, 20 rpm의 측정 속도에서 RVT 5호 핀이 장착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할 때, 30℃에서 3000 내지 9000 cP (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7000 cP (mPa.s), 가장 바람직하게는 5500 내지 6500 cP (mPa.s)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중량%의 물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화장료에 허용되며 모발의 국소 적용에 적합한, 1종 이상의 음이온성 세정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음이온성 세정 계면활성제의 예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크아릴 설포네이트, 알카노일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숙시네이트, 알킬 설포숙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숙시네이트, N-알킬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염, 특히 이들의 나트륨, 마그네슘, 암모늄 및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이다. 알킬 및 아실 기는 일반적으로 8 내지 18 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개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불포화일 수 있다.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숙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염은 분자 당 1 내지 20 개의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사용하기 전형적인 음이온성 세정 계면활성제는 소듐 올레일 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포숙시네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릴 이세티오네이트, 라우릴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소듐 N-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세정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n)EO (식 중, n은 1 내지 3),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포숙시네이트(n)EO (식 중, n은 1 내지 3),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n)EO (식 중, n은 1 내지 3),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및 라우릴 에테르 카르복실산 (n)EO(식 중, n은 10 내지 20)이다.
전술한 음이온성 세정 계면활성제 중 임의의 것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할 수 있다.
음이온성 세정 계면활성제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의 0.5 내지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서 바람직한 추가의 성분은 실리콘 오일이다.
사용될 경우, 실리콘 오일은 전형적으로 4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평균 방울 직경(D3 ,2)을 갖는 유화된 작은 방울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방울 직경(D3,2)은 1 마이크로미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마이크로미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다.
평균 방울 직경(D3,2)을 측정하기 적합한 방법은 맬번 매스터사이저 (Malvern Mastersizer)와 같은 기기를 이용하는 레이저 광 산란에 의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오일은 비휘발성이며, 이는 25℃에서 1000 Pa 미만의 증기압을 가짐을 의미한다.
적합한 실리콘 오일은 폴리디유기실록산, 특히 폴리디메틸실록산 (디메티콘), 히드록실 말단 기를 갖는 폴리디메틸 실록산 (디메티코놀), 및 아미노-관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아모디메티콘)이다.
적합한 실리콘은 바람직하게는 100,000을 초과하는 분자량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00을 초과하는 분자량을 갖는다.
적합한 실리콘은 바람직하게는 50,000 cS (mm2.s-1) 보다 큰 운동학적 점도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0 cS (mm2.s-1) 보다 큰 운동학적 점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실리콘 오일 운동학적 점도는 25℃에서 측정되었으며, 다우 코닝사 시험법(Dow Corning Corporate Test Method CTM004 July 20, 1970)에 상세히 기재된 것과 같은 유리 모세관 점도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적합한 실리콘은 다우 코닝 및 GE 실리콘과 같은 공급원으로부터 미리-형성된 실리콘 에멀션으로 입수가능하다. 그러한 미리-형성된 실리콘 에멀션을 사용하는 것은 가공의 용이함 및 실리콘 입자 크기 조절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러한 미리-형성된 실리콘 에멀션은 전형적으로 적합한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것이며, 유화 중합과 같은 화학적 유화 방법에 의해, 또는 고전단 믹서를 이용하는 기계적 유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0.15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사우터 (Sauter) 평균 방울 직경(D3,2)을 갖는 미리-형성된 실리콘 에멀션을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에멀션이라 한다.
적합한 미리-형성된 실리콘 에멀션의 예는 에멀션 DC2-1766, DC2-1784, DC-1785, DC-1786, DC-1788, DC-1310, DC-7123 및 마이크로에멀션 DC2-1865 및 DC2-1870을 포함하며, 모두 다우 코닝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이들은 모두 디메티코놀의 에멀션/마이크로에멀션이다. DC939 (다우 코닝의 제품) 및 SME253(GE 실리콘스(Silicones)의 제품)과 같은 아모디메티콘 에멀션도 적합하다.
특정 종류의 고분자량 표면 활성 블럭 공중합체가 실리콘 에멀션 방울과 배합되어 있는, 예를 들면 WO03/094874에 기재된 것과 같은 실리콘 에멀션도 적합하다.
전술한 실리콘 에멀션 중 임의의 것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실리콘 오일의 총량은 적합하게는 조성물의 0.05 내지 10 중량%, 특히 0.2 내지 8 중량%, 특히 0.5 내지 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성분은 탄화수소 오일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다. 실리콘 오일과 마찬가지로, 이들 물질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발견되는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적합한 탄화수소 오일은 적어도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파라핀 오일, 미네랄 오일, 포화 및 불포화 도데칸, 포화 및 불포화 트리데칸, 포화 및 불포화 테트라데칸, 포화 및 불포화 펜타데칸, 포화 및 불포화 헥사데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의 분지쇄 이성체, 뿐만 아니라 더 높은 사슬 길이의 탄화수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C2 -6 알케닐 단량체의 중합체성 탄화수소, 예컨대 폴리이소부틸렌도 적합하다.
적합한 에스테르 오일은 적어도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지방산 또는 알코올로부터 유래된 히드로카르빌 사슬을 갖는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에스테르 오일은 화학식 R'COOR의 것이며, 여기에서 R' 및 R은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알케닐 기를 나타내고, R' 및 R에서 탄소 원자의 합은 적어도 10 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개이다. 카르복실산의 디- 및 트리알킬 및 알케닐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지방 오일은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리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롤과 C1 -22 카르복실산과 같은 장쇄 카르복실산의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이다. 그러한 물질의 예는 코코아 버터, 야자 스테아린, 해바라기유, 대두유 및 코코넛 오일을 포함한다.
전술한 탄화수소/에스테르 오일 중 임의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탄화수소 오일 및 에스테르 오일의 총 합한 양은 적합하게는 조성물의 0.05 내지 10 중량%, 특히 0.2 내지 5 중량%, 특히 0.5 내지 3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서 바람직한 추가의 성분은 양이온성 중합체이다. 상기 성분은 컨디셔닝제의 전달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수득되는 컨디셔닝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양이온성 중합체는 4차 암모늄 또는 양성자화된 아미노 기와 같은 양이온성 질소-함유 기를 전형적으로 함유한다. 양이온성 양성자화된 아민은 1차, 2차, 또는 3차 아민(바람직하게는 2차 또는 3차)일 수 있다. 양이온성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000이다. 양이온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0.2 meq/gm 내지 7 meq/gm의 양이온성 전하 밀도를 갖는다.
양이온성 중합체의 양이온성 질소-함유 잔기는 일반적으로, 모든, 또는 더욱 전형적으로는 일부의, 그의 반복 단위 상의 치환체로서 존재한다. 양이온성 중합체는, 임의로 비-양이온성 반복 단위와 조합된, 4차 암모늄 또는 양이온성 아민-치환된 반복 단위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그러한 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문헌[CTFA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ition, edited by Wenninger, JA and McEwen Jr, GN,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1995)]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에 사용하기 특히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다당류 중합체, 예컨대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양이온성 전분 유도체, 및 양이온성 구아르를 포함한다.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예는, 산업분야(CTFA)에서 폴리쿼터늄 10이라 하는, 트리메틸암모늄 치환된 에폭시드와 반응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의 염이다.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추가의 예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라우릴디메틸암모늄-치환된 에폭시드로부터 제조되며, 산업분야(CTFA)에서 폴리쿼터늄 24라 한다.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양이온성 구아르 검 유도체, 예컨대 구아르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이며, 그 구체적인 예는 로디아 사(Rhodia Corp.)로부터 시판되는 재구어 (JAGUAR) 계열을 포함한다 (예, JAGUAR C17 또는 JAGUAR C13S).
다른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4차 질소-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며, 그 예는 US 3,962,418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에테르화된 셀룰로오스, 구아르 및 전분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그 몇 가지 예가 US 3,958,581에 기재되어 있다.
합성의 양이온성 중합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 예는 양이온성 양성자화된 아민 또는 4차 암모늄 관능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와 수용성 스페이서 반복 단위, 전형적으로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 및 N,N-디알킬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카프로락톤, 비닐 아세테이트/알코올에서 유래된 단위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른 스페이서 반복 단위는 말레산 무수물,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에틸렌 글리콜에서 유래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합성의 양이온성 중합체는 산업분야(CTFA)에서 폴리쿼터늄-16이라 하는 1-비닐-2-피롤리돈 및 1-비닐-3-메틸이미다졸륨 염(예, 클로라이드 염)의 공중합체; 산업분야(CTFA)에서 폴리쿼터늄-11이라 하는 1-비닐-2-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산업분야(CTFA)에서 각각 폴리쿼터늄 6 및 폴리쿼터늄 7이라 하는, 예를 들면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단독 중합체 및 아크릴아미드와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디알릴 4차 암모늄-함유 중합체; 및 3 내지 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아미노-알킬 에스테르의 무기산 염을 포함한다.
조성물 중 양이온성 중합체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05 내지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이다.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바람직한 추가의 성분이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베타인, 예컨대 화학식 R(CH3)2N+CH2CO2 -[식 중, R은 알킬 또는 알킬아미도알킬 기이고, 상기 알킬 기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짐]를 갖는 것들이다. 특히 적합한 베타인은 올레일 베타인, 카프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우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이소스테아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이다.
다른 적합한 베타인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설포베타인, 예컨대 화학식 R'(CH3)2N+CH2CH(OH)CH2SO3 -[식 중, R'은 알킬 또는 알킬아미도알킬 기이며, 알킬 기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짐]를 갖는 것들이다. 특히 적합한 설포베타인은 라우릴아미도프로필 히드록시설타인 및 코코아미도프로필 히드록시설타인이다.
다른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지방 아민 옥시드, 예컨대 라우릴디메틸아민 옥시드이다.
포함될 경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총 수준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1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카보머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카보머는 펜타에리트리톨의 알릴 에테르 또는 자당의 알릴 에테르와 가교된 아크릴산의 단독중합체이다. 상기 물질은 현탁제로 기능할 수 있다.
포함될 경우, 카보머의 총 수준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모발 세정 및 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하기 적합한 여타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은 방향제, 현탁제, 아미노산 및 단백질 유도체, 점도 조절제, 방부제, 착색제 및 진주광택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실시예 1
표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2 개의 샴푸 조성물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표 2는 표 1에 따르는 조성물 1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공정 단계를 보여준다.
단계 성분 설명
1


예비혼합 부분 모든 물질을 칭량하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쿼터늄-90 벤토나이트가 한데 용해될 때까지 75-80℃에서 용융시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90 벤토나이트
2 소듐 라우레트 설페이트 (3%) 상기 예비혼합 부분을 75-80℃의 온도를 갖는 고온의 SLES에 가함
3 믹서를 40-45℃까지 식힘
4

주 믹서 식힌 예비혼합 부분을, 물과 SLES를 갖는 주 믹서 내에 가함
소듐 라우레트 설페이트 (9%)
5 카보머 주 믹서 내에 카보머를 가함
6
EDTA 2Na를 물에 용해시킨 다음 주 믹서 내에 가함
EDTA 2Na
7
방향제 구아르 히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를 방향제에 분산시킨 다음, 주 믹서 내에 가함
구아르 히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
8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를 주 믹서내에 가함
9 디메티코놀 디메티코놀을 주 믹서 내에 가함
10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을 주 믹서 내에 가함
11 CIT/MIT CIT/MIT를 주 믹서 내에 가함
12 DMDM H DMDM H를 주 믹서 내에 가함
13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나트륨을 가하여 스펙 내의 pH로 조절함
14 염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을 가하여 스펙 내의 점도로 조절함
실시예 3
표 3은 표 1에 따르는 조성물 2를 제조하기 위해 진행된 공정 단계이다.
단계 성분 설명
1


예비혼합 부분 모든 물질을 칭량하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쿼터늄-90 벤토나이트가 한데 용해될 때까지 75-80℃에서 용융시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90 벤토나이트
2 고온의 물 상기 예비혼합 부분을 75-80℃의 온도를 갖는 고온의 물에 가함
3 믹서를 40-45℃까지 식힘
4

주 믹서 식힌 예비혼합 부분을, 물과 SLES를 갖는 주 믹서 내에 가함
소듐 라우레트 설페이트
5 카보머 주 믹서 내에 카보머를 가함
6
EDTA 2Na를 물에 용해시킨 다음 주 믹서 내에 가함
EDTA 2Na
7
방향제 구아르 히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를 방향제에 분산시킨 다음, 주 믹서 내에 가함
구아르 히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
8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를 주 믹서내에 가함
9 디메티코놀 디메티코놀을 주 믹서 내에 가함
10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을 주 믹서 내에 가함
11 CIT/MIT CIT/MIT를 주 믹서 내에 가함
12 DMDM H DMDM H를 주 믹서 내에 가함
13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나트륨을 가하여 스펙 내의 pH로 조절함
14 염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을 가하여 스펙 내의 점도로 조절함
실시예 4
표 4는 각종의 상이한 지방 물질을 갖는 표 1에 따르는 조성물의 전이 온도를 나타낸다. 결과는 DSC 주사에 의한 전이 온도, 및 따라서 상승된 온도에서 조성물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표는 GMS가 지방 알코올 또는 지방산보다 높은 온도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2

Claims (3)

  1. 세정 계면활성제, 및 70℃를 초과하는 융점을 갖는 미립자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컨디셔닝 겔 그물구조를 포함하는 수성 컨디셔닝 샴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75℃를 초과하는 융점을 갖는 것인 샴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클레이인 샴푸 조성물.
KR1020107022830A 2008-03-14 2009-03-05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546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2752 2008-03-14
EP08152752.5 200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499A true KR20100126499A (ko) 2010-12-01
KR101546558B1 KR101546558B1 (ko) 2015-08-25

Family

ID=3961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830A KR101546558B1 (ko) 2008-03-14 2009-03-05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153572B2 (ko)
EP (1) EP2249925B1 (ko)
JP (1) JP5767476B2 (ko)
KR (1) KR101546558B1 (ko)
CN (1) CN101970053B (ko)
AR (1) AR070838A1 (ko)
AU (1) AU2009224785B2 (ko)
BR (1) BRPI0906216B1 (ko)
CA (1) CA2718500C (ko)
EA (1) EA020213B1 (ko)
TW (1) TWI440471B (ko)
WO (1) WO20091124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669A1 (ko) * 2017-04-03 2018-10-11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액적 방출 화장료
WO2018186531A1 (ko) * 2017-04-03 2018-10-11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액적 방출 화장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5393A (ja) * 2010-04-30 2013-06-20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組成物
JP2013529659A (ja) 2010-07-08 2013-07-22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ヘアケア組成物
EP2964187B1 (en) 2013-03-08 2018-08-15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Improved foaming performance in cleansing compositions through the use of nonionic, amphiphilic polymers
US20150011450A1 (en) * 2013-07-03 2015-0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mphoteric Ter-Polymers For Use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10226404B2 (en) 2014-02-06 2019-03-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antidandruff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step of injecting antidandruff agents, perfumes and/or silicones
US20150216777A1 (en) * 2014-02-06 2015-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Step of Controlling Temperature to Add Antidandruff Agents
US10912719B2 (en) 2014-10-20 2021-02-0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US10358625B2 (en) * 2015-07-17 2019-07-23 S. C. Johnson & Son, Inc. Non-corrosive cleaning composition
US10945935B2 (en) 2016-06-27 2021-03-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a gel network
CN109640942B (zh) * 2016-09-13 2023-01-17 宝洁公司 具有改善的凝聚层性质的用甘油酯晶体形成的个人护理组合物
CN112261931B (zh) 2018-06-05 2023-12-08 宝洁公司 透明清洁组合物
WO2020123484A1 (en) 2018-12-14 2020-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 comprising sheet-like microcapsules
US11896689B2 (en) 2019-06-28 2024-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clear personal care comprising microcapsules
CN216735268U (zh) 2020-02-14 2022-06-14 宝洁公司 包装和泵式分配器
US11633072B2 (en) 2021-02-12 2023-04-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hase shampoo composition with an aesthetic desig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0033A (en) * 1979-09-24 1983-06-28 Johnson Products Co., Inc. Stable hair relaxer
GB8828014D0 (en) * 1988-12-01 1989-01-05 Unilever Plc Topical composition
US5034218A (en) * 1990-07-13 1991-07-23 Helene Curtis, Inc. Stable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compatible anionic surfactant/cationic conditioning agent-non-volatile silicone emulsion
FR2814065B1 (fr) * 2000-09-20 2005-06-17 Oreal Composition de lavage comprenant des particules d'oxyde d'aluminium, au moins un tensioactif anionique et au moins un tensioactif amphotere ou non ionique
GB0220578D0 (en) 2001-12-04 2002-10-09 Unilever Plc Hair treatement composition
DE60332726D1 (de) * 2002-06-04 2010-07-08 Procter & Gamble Haarwaschmittel enthaltend ein gelförmiges system
US9381382B2 (en) 2002-06-04 2016-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a particulate zinc material, a pyrithione or a polyvalent metal salt of a pyrithione and a gel network
US8367048B2 (en) * 2002-06-04 2013-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ntaining a gel network
CN100435772C (zh) 2002-11-15 2008-11-26 狮王株式会社 香波组合物
JP2004307463A (ja) * 2003-03-26 2004-11-04 Lion Corp シャンプー組成物
RU2345757C2 (ru) 2003-10-21 2009-02-10 Унилевер Нв Кондиционирующи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волос
JP4129645B2 (ja) * 2004-08-30 2008-08-06 ライオン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WO2006076454A1 (en) * 2005-01-12 2006-07-20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Detersive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phobic benefit agents pre-emulsified using colloidal cationic part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669A1 (ko) * 2017-04-03 2018-10-11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액적 방출 화장료
WO2018186531A1 (ko) * 2017-04-03 2018-10-11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액적 방출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24785B2 (en) 2012-06-07
US20110053818A1 (en) 2011-03-03
AU2009224785A1 (en) 2009-09-17
JP5767476B2 (ja) 2015-08-19
EP2249925B1 (en) 2015-08-19
EP2249925A1 (en) 2010-11-17
TW200944240A (en) 2009-11-01
WO2009112420A1 (en) 2009-09-17
CN101970053A (zh) 2011-02-09
CN101970053B (zh) 2014-12-31
EA020213B1 (ru) 2014-09-30
CA2718500A1 (en) 2009-09-17
EA201071075A1 (ru) 2011-04-29
JP2011513453A (ja) 2011-04-28
KR101546558B1 (ko) 2015-08-25
AR070838A1 (es) 2010-05-05
BRPI0906216A2 (pt) 2015-06-30
TWI440471B (zh) 2014-06-11
CA2718500C (en) 2016-06-07
US8153572B2 (en) 2012-04-10
BRPI0906216B1 (pt)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558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US8530399B2 (en)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s
JP5816168B2 (ja) コンディショニングゲルネットワークを含有するシャンプー組成物
JP5849047B2 (ja) ゲルネットワーク構造のふけ防止シャンプー
AU2009312895A1 (en) Concentrated shampoo composition
US20090233825A1 (en)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s
JP2012508208A (ja) 水性コンディショニングゲルを含むコンディショニングシャンプー組成物
TW201021838A (en) Composition
JP2013525393A (ja) 組成物
JP5849053B2 (ja) 組成物
WO2010043481A1 (en) Composition
WO2010043482A1 (e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