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075A - 간이형 생태수로 - Google Patents

간이형 생태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075A
KR20100126075A KR1020090045125A KR20090045125A KR20100126075A KR 20100126075 A KR20100126075 A KR 20100126075A KR 1020090045125 A KR1020090045125 A KR 1020090045125A KR 20090045125 A KR20090045125 A KR 20090045125A KR 20100126075 A KR20100126075 A KR 20100126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way
biodegradable resin
vegetation
columnar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096B1 (ko
Inventor
박재희
Original Assignee
박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희 filed Critical 박재희
Priority to KR102009004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0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원주목을 이용한 경계부와 식생망태의 구비를 통해 친환경적인 생태수로를 간편하게 조성 가능하고, 전체적인 수로 형태를 휘어지게 설치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로 설치가 가능한 간이형 생태수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닥에 물이 흐를 수 있게 조성 설치된 생태수로에 있어서, 양측에 다수의 원주목을 각각 연결 설치하여 구성한 경계부와; 상기 양측 경계부 하단 일부와 바닥을 커버하여 설치하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 상면 일부에 설치되어 원주목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다수의 원주목을 연결 설치하여 경계부를 구성하므로 경계부의 형태를 곡면형이나 라운드형 등으로 조성할 수 있어 도심지에서도 장애물에 관계 없이 수로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또한 수로의 외관 형상을 자연 친화적인 형상으로 형성하여 최대한 자연환경에 근접한 수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식생망태를 이용한 수로의 녹화 시공작업을 통해 식물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생태수로, 원주목, 식생망태, 도심, 데드스페이스.

Description

간이형 생태수로{Simplicity type ecological canal}
본 발명은 생태수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원주목을 이용한 경계부와 식생망태의 구비를 통해 친환경적인 생태수로를 간편하게 조성 가능하고, 전체적인 수로 형태를 휘어지게 설치 가능하여 장애물에 관계 없이 원하는 형태로 수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간이형 생태수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눈부신 산업의 발달과 함께 주거·상업·편의시설 등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이로 인해 사람들의 삶의 질은 점차 윤택해지고 있다. 그 반면, 도심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과 사람들의 개발 요구에 따른 무분별한 도심화 현상으로 인해 주변의 자연 환경은 갈수록 파괴되고 있고, 그 범위 또한 점차 넓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최근에는 도심을 개발하면서 자연 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는 녹색 테마 및 친환경 정책이 이슈화되고 있어, 국가 또는 각급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여러 가지 환경 친화적인 사업을 중점적으로 시행해 나아가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하천 복원사업, 인공 수로 조성사업, 자전거도로 건설사업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인공 수로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대부분 상부가 개방된 'ㄷ'형 상의 측구 다수를 지중에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매설하고, 이 측구 내부를 따라 인위적으로 물을 흘려 보냄으로써, 인공 수로를 조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공 수로는 그 구조 특성상 단순히 물만 흘려 보내는 수로의 기능 이 외에 친환경적인 요소가 전혀 가미되어 있지 않으므로, 실제로 환경 친화적이라고 하기에는 크게 부족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인공 수로 특성상 도심 내부에는 수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크게 부족하여 현실적으로는 수로 조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도 1과 도 2는 상기한 문제점 중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80508호의 "친환경 개구수로"에 대한 것으로, 지면에 형성된 수로 바닥면에 철근(40)이 배설되고, 상기 철근(40)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공급 및 양생되어 저면부(10)를 생성하며, 상기 저면부(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로의 측벽을 따라 지면까지 측벽부(20)를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10)의 바닥폭보다 크기가 조금 작게 일정 간격으로 대형 공간부(30)를 다수 형성하고, 상기 대형 공간부(30)에 다수의 보강물(50)을 삽입함으로써,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수초가 자랄 수 있게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개구수로는 그 개구수로를 구성하는 저면부와 측벽부가 콘크리트로 양생 시공됨으로써, 콘크리트로부터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 배출되어, 오히려 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개구수로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통해 측벽을 형성함으로 써, 측벽의 형상을 직선형에서 크게 변형시키지 못하게 되어 장애물이 있는 경우 수로를 형성하는 문제가 있었고, 설령 수로의 형태를 변경 가능하다 하더라도 그 작업이 쉽지 않아 시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의 개구수로는 날씨 또는 악천후 등 불가피한 이유로 수초가 고사되는 경우, 수로 내부에 들어가 수초를 다시 심어야 하는데, 수로에 계속해서 물이 흐르게 됨으로써 물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이 전에는 수초의 식재는 물론 보강물의 교체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원주목을 이용하여 인접된 도로와의 경계부를 이루고, 내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망태를 안착 구비하므로, 최대한 자연환경에 가까운 친환경 형태의 간이형 생태수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적인 원주목들의 연결 설치를 통해 도로와의 경계를 이루게 되므로, 전체적인 수로 형태를 휘어지게 설치 가능하여 장애물에 관계 없이 원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간이형 생태수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수로 내부에 식물이 활착된 별도의 식생망태를 구비하여 녹화 시공하므로,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녹화 시공하거나 교체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간이형 생태수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에 물이 흐를 수 있게 조성 설치된 생태수로에 있어서, 양측에 다수의 원주목을 각각 연결 설치하여 구성한 경계부와; 상기 양측 경계부 하단 일부와 바닥을 커버하여 설치하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 상면 일부에 설치되어 원주목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부는 원주목 상부와 하부에 체결홀을 각각 관통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에 로프를 연결하여 원주목과 이웃하는 원주목을 서로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시트 상면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망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식생망태가, 전분으로 형성된 생분해성수지상자와; 전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생분해성수지상자 내측에 끼워지는 생분해성수지망함체와; 다수의 수질정화식물이 식생되어 상기 생분해성수지망 함체 내부에 채워지는 활생토와; 상기 생분해성수지상자 상부에 고정되는 생분해성수지망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생분해성수지망 뚜껑 상면에는 다수의 식재홀을 형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다수의 개별적인 원주목을 서로 연결 설치하여 경계부를 구성하므로, 경계부의 형태를 곡면형이나 라운드형 등 다양한 형태로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여유 공간이 부족한 도심지 내부에도 장애물에 관계 없이 수로의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수로의 경계부 형상 뿐만 아니라 수로 내부에도 식생망태 또는 식물의 직접 식재를 통해 녹화 시공함으로써, 수로의 설치 환경을 최대한 자연환경에 근접한 환경이 될 수 있게 조성하여,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수로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수로 내부에 식생망태를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녹화 시공이 가능하므로, 수로 내부의 녹화 시공작업은 물론 녹화 시공된 식물의 관리를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간이형 생태수로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경계부(110)와, 방수시트(120)와, 지지대(130)와, 식생망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과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경계부(110)는 조성하고자 하는 수로 양측에 각각 연결 설치하여 인접된 도로와의 경계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나무로 이루어진 원주목(112)을 대략 15~30㎝의 직경으로 형성하고, 이를 유사한 두께와 크기로 다수 형성한다.
이처럼 형성된 원주목(112)은 다른 원주목(112)들과 서로 연결 설치하여 도로와의 경계부(110)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경계부(110)의 견고한 연결 설치를 위해 원주목(112)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홀(114)을 각각 관통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114)에 PVC재로 이루어진 로프(116)를 관통시켜 상기 원주목(112)과 이웃하는 다른 원주목(112)들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 설치한다.
또한, 상기 경계부(110)는 개별적으로 형성된 상기 원주목(112)들을 서로 연결 설치하는 구조 특성으로 인해, 경계부(110)의 전체적 또는 일부의 형태를 휘어지거나 꺽어지게 조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양측 경계부(110)의 하단 일부와 수로의 바닥에는 그 노출면을 커버할 수 있게 방수시트(120)를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방수시트(120)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이 지중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120) 상면 일부에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ㄷ'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재의 지지대(130)를 구비하고, 피스못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130)를 원주목(112)에 고정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방수시트(120) 상면에는 식물이 식재된 상태의 식생망태(140)를 다수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식생망태(140)는 크게 생분해성수지상자(141)와, 생분해성수지망 함체(142)와, 활생토(143)와, 생분해성수지망 뚜껑(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생망태(140)에 대해 도 4와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분해성수지상자(141)는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 함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시일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분(녹말)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적절하게는 옥수수녹말(콘스타치)을 사용하여 제조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분해성수지상자(141) 내측에 끼워질 수 있게 생분해성수지망 함체(142)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생분해성수지망 함체(142)는 망 형태로 성형된 것으로, 전분으로 형성하여 일정 시일 경과시 자연적인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수지망 함체(142)가 끼워진 생분해성수지상자(141) 내부에는 활생토(143)를 충진하고, 상기 활생토(143)에는 수생식물 또는 수질정화식물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하여 다수 식생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활생토(143)는 친환경적인 인공토양으로 악취 제거, 유해미생물 제거, 중금속 흡수, 잔류 농약(특히 다이옥신) 제거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질정화식물로는 갈대, 꽃창포, 노랑어리연꽃, 눈여뀌바늘, 달뿌리풀, 물봉선, 물억새, 물옥잠, 미나리, 박하, 부들, 부레옥잠, 생이가래, 애기부들, 이삭물수세미, 줄, 케나프, 큰피막이, 토란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같은 수질정화식물의 녹화 시공을 통해 수중에 함유된, 질소, 인, 카드뮴, 납 등의 중금속을 정화하고, pH를 중화시키며, COD, BOD를 저감함은 물론 축산폐수와 생활하수 등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생분해성수지상자(141) 상부에는 그 상단 테두리에 일치할 수 있도록 생분해성수지망 뚜껑(144)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생분해성수지망 뚜껑(144)을 망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써,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생분해성수지상자(141) 또는 생분해성수지망 함체(142)에 끼워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생분해성수지망 뚜껑(144) 역시 상기 생분해성수지상자(141) 및 생분해성수지망 함체(142)와 동일하게 전분으로 형성함으로써, 일정 시일 경과시 자연스런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수지망 뚜껑(144)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식재홀(144a)을 형성하여, 활생토(143)에 식생된 수질정화식물들이 이 식재홀(144a)을 통해 생분해성수지망 뚜껑(144)에 걸려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식생됨으로써, 수질정화식물들의 생장을 돕게 된다.
이처럼, 수로 내부에 구비되는 식생망태(140)로써, 상기한 구성의 식생망태(140)가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나, 이 외에도 본 출원인이 이 건 특허 출원 이 전에 선출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8102호의 "식생매트리스를 활용 한 개비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로 내부에는 식생망태(140)가 구비되는 실시예 이 외에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망태(140) 대신에 수로 바닥에 흙을 일정 높이로 채우고 여기에 수질정화식물 또는 수생식물을 직접 식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생태수로(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태수로를 설치하기 위한 대상지를 지정하여 지면을 굴착하고, 이 굴착된 부분 양측으로 다수의 원주목(112)을 연결 설치하여 수로와 인접된 도로와의 경계부(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수로의 바닥을 평탄화시킨 후, 경계부(110) 하단 일부와 수로의 바닥을 커버할 수 있게 방수시트(120)를 설치하고, 상기 방수시트(120)를 원주목(112)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원주목(112)의 견고한 설치를 위해 지지대(130)를 원주목(112)에 고정 설치한다.
이 후, 수로 내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망태(140)를 구비하거나 혹은 수로 내부에 식물을 직접 식재하고, 물을 흘려보내게 됨으로써, 생태수로(100)를 완성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간이형 생태수로(100)는 수로 내부에 물을 흘리는 기본적인 수로의 역할 이 외에도, 수로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 시공함은 물론, 수로의 양측 경계부(110)를 친환경적인 부품인 원주목(112)으로 조성함으로써, 수로의 설치 환경을 최대한 자연환경에 근접한 환경이 될 수 있게 조성하여, 진정한 의 미의 친환경 수로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수로 내부에 이미 식물이 재배된 상태의 식생망태(140)를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수로 내부의 녹화 시공이 가능하므로, 녹화 시공은 물론, 식재된 식물을 매우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즉,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떨어져 식물이 고사될 위험에 처하게 되는 경우에는 식생망태(140)를 수로 외부로 들어낸 후 별도 보관하여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로 내부에서 식물이 고사된 경우에는 고사된 식물이 있는 식생망태(140)만을 들어낸 후 교체함으로써 수로 내부의 식물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간이형 생태수로(100)는 다수의 개별적인 원주목(112)을 서로 연결 설치하여 경계부(110)를 구성함으로써, 경계부(110)의 형태를 직선형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곡면형이나 라운드형 등 다양한 형태로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계부(110) 형태를 통해 도심 내부, 특히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수와 가로수 사이에 조성된 공간(데드스페이스)에 가로수의 관계 없이 수로의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도심의 공간 활용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친환경 개거수로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친환경 개거수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생태수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생태수로에 식생망태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식생망태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생태수로에 식물을 직접 식재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생태수로를 도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생태수로 110 : 경계부
112 : 원주목 114 : 체결홀
116 : 로프 120 : 방수시트
130 : 지지대 140 : 식생망태
141 : 생분해성수지상자 142 : 생분해성수지망 함체
143 : 활생토 144 : 생분해성수지망 뚜껑
144a : 식재홀

Claims (5)

  1. 바닥에 물이 흐를 수 있게 조성 설치된 수로에 있어서,
    양측에 다수의 원주목(112)을 각각 연결 설치하여 구성한 경계부(110)와;
    상기 양측 경계부(110) 하단 일부와 바닥을 커버하여 설치하는 방수시트(120)와;
    상기 방수시트(120) 상면 일부에 설치되어 원주목(112)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지지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생태수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110)는 원주목(112) 상부와 하부에 체결홀(114)을 각각 관통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114)에 로프(116)를 연결하여 원주목(112)과 이웃하는 원주목(112)을 서로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생태수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120) 상면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망태(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생태수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망태(140)가,
    전분으로 형성된 생분해성수지상자(141)와;
    전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생분해성수지상자(141) 내측에 끼워지는 생분해성수 지망 함체(142)와;
    다수의 수질정화식물이 식생되어 상기 생분해성수지망 함체(142) 내부에 채워지는 활생토(143)와;
    상기 생분해성수지상자(141) 상부에 고정되는 생분해성수지망 뚜껑(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생태수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수지망 뚜껑(144) 상면에는 다수의 식재홀(144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생태수로.
KR1020090045125A 2009-05-22 2009-05-22 간이형 생태수로 KR101086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25A KR101086096B1 (ko) 2009-05-22 2009-05-22 간이형 생태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125A KR101086096B1 (ko) 2009-05-22 2009-05-22 간이형 생태수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075A true KR20100126075A (ko) 2010-12-01
KR101086096B1 KR101086096B1 (ko) 2011-11-25

Family

ID=4350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125A KR101086096B1 (ko) 2009-05-22 2009-05-22 간이형 생태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50B1 (ko) * 2020-07-13 2020-11-19 오은호 불규칙한 지면에 대해 조정 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 타입 물길 돌리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193B1 (ko) 2021-10-21 2022-09-28 유후자 동파방지용 물공급부를 갖는 인공수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113Y1 (ko) 2006-09-29 2006-12-07 박재희 프랜터형 식생매트
JP4576636B2 (ja) * 2006-10-13 2010-11-10 独立行政法人土木研究所 水路の補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50B1 (ko) * 2020-07-13 2020-11-19 오은호 불규칙한 지면에 대해 조정 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 타입 물길 돌리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096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073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장치
CN106702980B (zh) 防止沟壁土壤流失的农田生态排水沟渠构建方法
KR20140116351A (ko) 식생용 포트와 이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KR101816075B1 (ko) 바이오폴리머를 이용한 투수성 식생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어소 시공방법
KR101048026B1 (ko) 가로수 보호구조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AU2011100491A4 (en) Root Barrier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649103B1 (ko) 친환경적인 상수원지 제방 녹화 구조물
JP2002112626A (ja) 植物育成ブロック構築構造
KR101058340B1 (ko) 생태통로
CN209975296U (zh) 园林用防攀爬路缘构筑结构
CN211644793U (zh) 农田面源污染控制和水资源利用系统
KR200411792Y1 (ko) 수로관
KR100789938B1 (ko)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CN217694605U (zh) 一种园林绿化工程用虫害防治设备
KR100655463B1 (ko)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수생동식물 보호용 조립식 유공관
KR200408101Y1 (ko) 식생 플랜지
KR101459654B1 (ko) 친환경 수로 구조물
CN215774465U (zh) 一种种植盒
KR102247357B1 (ko) 친환경 여과 수처리 시스템
KR100345461B1 (ko) 조경용 식수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